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국인 학부생의 융복합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사전 학습용 온라인 학습 콘텐츠 개발 사례

        류선숙,허유경,임형옥 민족어문학회 2023 어문논집 Vol.- No.99

        이 연구에서는 교양 교과목에서 활용할 수 있는 외국인 학부생의 융복합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사전 학습용 온라인 학습 콘텐츠의 설계 절차 및 실례를 제시하였다. 융복합적 사고력은 지식이나 정보의 내용적인 측면과 그것을 담고 있는 형태나 도구의 경계를 허물고, 거시적인 측면에서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사고 능력이다. 이는 외국인 학부생이 언어 학습자가 아닌 대학의 주요 구성원이자 세계 시민으로 나아가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능력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본고에서는 플립드 러닝의 사전 학습에서 활용할 수 있는 스토리텔링형의 온라인 학습 콘텐츠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외국인 학부생의 특성을 고려하여 개발 원리를 수립한 후 7단계의 절차를 거쳐 콘텐츠를 완성하였으며 이를 실제 수업에 적용하였다. 이후 설문 조사를 통해 콘텐츠에 대한 학습자 인식을 알아보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외국인 학부생들은 온라인 학습 콘텐츠가 내용과 형식 면에서 적절하며, 주체적인 자가 학습을 돕는 유용한 도구이자 매개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콘텐츠를 통해 주제를 다층적으로 이해하며, 이를 문제해결과정에 활용하며 사고의 확장을 꾀할 수 있었다고 응답하였다. 이를 통해 온라인 학습 콘텐츠가 외국인 학부생의 융복합적 사고력 신장에 도움을 준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의 학문적 글쓰기에서의 인용에 대한 인식 연구

        류선숙 한국교양교육학회 2019 교양교육연구 Vol.1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citations among foreign undergraduates. The citation is a very frequently used function in academic writing. However, foreign undergraduates often lack experience in academic writing and are unable to speak quotations smoothly because of their low level of Korean. In order to be more persuasive by citing appropriate references, while complying with the writing ethics, education on citations is necessary. So, in this study, a survey on their perceptions of quotations was conducted on 57 foreign students attending domestic universities. As a result, 44.8% of the respondents had learned about citations, and 88.7% recognized that citations were essential in academic writing. In reality, however, 74.4% of learners said they had experience with plagiarism. The most common method of plagiarism was that 'I have made a copy of what is written on the Internet.' They also cited mainly when writing reports or presentations, and cited them to provide grounds for their arguments. 71.9% of the respondents said they needed education on citations, which was very high, and wanted to learn the exact form of citations. This study argued that citations should be educated more repeatedly and systematically. 본 연구는 국내 대학에서 수학하고 있는 외국인 학부생들을 대상으로 인용하기 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인용하기는 학문적 글쓰기에서 매우 빈번하게 사용되는 기능이다. 하지만 외국인 학부생들의 경우, 학문적 글쓰기에 대한 경험이 부족하고 한국어 수준 또한 낮은 경우가 많아 글쓰기에서 인용하기를 원활하게 구사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대학에서 글쓰기 윤리를 준수하면서도, 자신의 견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적절한 참고자료를 인용함으로써 보다 설득력 있는 글쓰기를 하기 위해서는 인용하기에 대한 교육이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목적에서 외국인 학부생들이 현재 인용하기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대학에 다니고 있는 57명의 외국인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44.8%의 응답자가 인용에 대해 배운 경험이 있으며, 88.7%가 학문적 글쓰기에서 인용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하지만 실제 글쓰기 상황에서는 74.4%의 학습자가 표절을 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가장 많은 표절 방법은 ‘인터넷에 있는 글을 그대로 복사한 적이 있다’는 것이었다. 주로 보고서나 발표문을 쓸 때 인용을 하였고, 권위가 있거나 전문적인 글을 통해 자신의 주장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목적으로 인용하기를 하고 있었다. 대학에서 인용 교육이 필요하다는 응답은 71.9%로 매우 높았으며, 인용에 대한 정확한 형식을 배우고 싶어 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용하기를 보다 반복적이고 체계적으로 교육할 필요성이 있음을 주장하였다.

      • KCI등재

        융・복합적 대학 글쓰기 교육을 위한 외국인 학부생용 글쓰기 교재 분석 연구

        류선숙 돈암어문학회 2023 돈암어문학 Vol.43 No.-

        본 연구는 국내 대학에서 수학 중인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한 융‧복합적 대학 글쓰기 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하기 위해, 이들을 대상으로 한 대학 글쓰기 교육의 목표와 외국인 학부생용 글쓰기 교재를 분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최근 대학 글쓰기 교육이 비판적, 창의적, 융‧복합적 사고력을 바탕으로 한 쓰기 역량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전환되었음을 고려했을 때, 외국인 학부생을 위한 글쓰기 교육 그러한 교육적 패러다임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 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외국인 학부생 대상 글쓰기 교육의 목표를 살피고, 이를 바탕으로 현재 국내 대학에서 활용되고 있는 8종의 글쓰기 교재를 분석하였다. 분석 기준은 ‘교육의 목표’, ‘사고력 배양을 위한 내용 및 구성’, ‘쓰기 과제의 유형’이었다. 교재 분석 결과, 대부분의 교재가 외국인 학부생의 특성과 요구를 충분히 반영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상대적으로 사고력은 강조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사고력 중에서도 창의적 사고력과 비판적 사고력에 비해 융‧복합적 사고력에 관한 내용이나 쓰기 과제는 찾기 어려웠다. 따라서 향후에는 학습자 특성이나 한국어 숙달도 등을 고려해, 단계적으로 사고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쓰기 과제를 교재에 적절하게 배열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가정폭력을 경험한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통합예술치료의 효과성 연구

        류선숙,배성찬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19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5 No.2

        본 연구에서는 통합예술치료가 가정폭력을 경험한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의 효과성을 검증해 보는 것이며, 효과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양적연구로는 비모수 통계를 사용하여 자아존중감(Self-esteem)의 차이검증을 하였다. 질적연구로는 동적가족화, 문장완성검사, 프로그램 보고서, 피드백 일지, 연구자와 보조치료사의 관찰일지를 이용하여 내면을 이해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전라북도내 I시에 소재한 I초등학생 4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 실시 후 총체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가정적 자아존중감·학교적 자아존중감이 유의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통합예술치료는자신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 구체적 인식을 증진시켜 총체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 가정적 자아존중감, 학교적 자아존중감 향상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정폭력을 경험한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고, 또래관계와 대인 관계 개선을 위해 통합예술치료를 향후 학교나 기관에서 실시한다면 사회적 비용절감과 거리감을좁혀 나갈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tegrated art therapy on the self-esteem of children who experienced domestic violence. In order to find out whether there is an effect, we used the nonparametric statistic as a quantitative study to verify the difference of self-esteem. In qualitative research, I used the dynamic familyization, sentence completion test, program report, feedback journal, and observation log from researcher and assistant therapist so as to get the deep understanding of their inner world. This study conducted a trauma test for 49 children in grades 4-6 from one elementary school in a city of Jeollabukdo Province. As a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total self–esteem including their social life. family life, and school life after the program was implemented. Also, integrated art therapy promoted general perception and specific perception of self, which affected total self - esteem, social self - esteem, family self - esteem, and school self–esteem. So, it improves the self-esteem of children who have experienced domestic violence, In order to improve peer relations and interpersonal relations, if integrated art therapy is carried out in schools or institutions in the future, it will be possible to reduce social cost and distance.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의 범교과적 학문 문식성 측정 연구

        류선숙 경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3 시민인문학 Vol.45 No.-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원활한 대학생활 적응 및 성공적인 학업 수행을 위해 ‘범교과적 학문 문식성’ 배양이 필요함을 주장하며, 이들의 ‘범교과적 학문 문식성’을 측정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론적 검토를 통해 외국인 유학 생에게 필요한 다문서·다매체·복합양식 자료를 기반으로 한 ‘범교과적 학문 문 식성’의 개념을 재정의하였다. 그리고 ‘학습자 과제의 요구 인식(계획하기)’, ‘상 호텍스트 모형’, ‘정신 모형’, ‘반론 고려’, ‘학습 결과물 점검(점검하기)’의 네 요 인에 따라 ‘범교과적 학문 문식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외국인 유학생들은 내 국인 대학생에 비해서는 범교과적 학문 문식성의 평균 점수가 낮게 도출되었다. 그러나 전반적인 관점에서 보았을 때, 자신이 처한 학문적 맥락에서의 과제 표상 에 있어 다양한 자료를 탐색하고 선별하고 있었으며 그 안에서 자신만의 관점을 세우기 위해 노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외국인 유학생들은 내국인 학생 에 비해서는 부족하지만 나름대로 범교과적 학문 문식성에 대한 인식을 갖춘 것 으로 추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범교과적 학문 문식성이 실제 학문적 과제 수행에서 성공적으로 발현되기 위해서는 다각도의 교육적 처방이 함께 이뤄져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examines the measurement of interdisciplinary literacy among 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studying abroad. The study argues for the importance of cultivating interdisciplinary literacy to facilitate the smooth adaptation and successful academic performance of 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The concept of interdisciplinary literacy is redefined based on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the utilization of multi-textual, multimodal, and hybrid- form materials. Four factors, namely perception of task demands, intercontextual model, mental model, and consideration of counterarguments, are employed to measure interdisciplinary literacy. The findings indicate that, on average, 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demonstrate lower scores in interdisciplinary literacy compared to their domestic counterparts. However, a comprehensive analysis reveals that 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effectively navigate and select diverse materials within their academic contexts, while making efforts to establish their own perspectives. Thus, it can be inferred that 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possess an awareness of interdisciplinary literacy. However, to ensure the practical manifestation of interdisciplinary literacy in academic tasks, comprehensive educational interventions from various angles are necessary.

      • KCI등재후보

        다문화 아동 학습자 대상 한국어 교재의 문어 교육 내용 분석 연구

        류선숙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5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3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ducational content of written language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multicultural young learners so as to understand the current condition and state of written language education and to uncover implications regarding its future direction. For this purpose, Korean language textbooks targeting multicultural young learners have been analyzed based on their educational purpose and written language content, and learning activities. Based on our analysis, the following results have been reached: the contents of written language were insufficient compared to that of spoken language, e.g., they lacked activities that could guide learners to perform various academic tasks using written language; the difficulty level of the educational contents did not take into consideration the level of learners; rather than having written language activities that focused on conversations for communicative purposes, they included mainly mechanical and impractical exercises; and reading and writing aspects were not integrated.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future written language education for multicultural young learners should reflect the learners’ linguistic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needs, include ample activities for written language in practical learning contexts, and balance meaning-based conversational activities with various written language strategies and skills. 이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아동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의 문어 교육 내용을 분석하여 향후 문어 교육 및 교재 개발에의 시사점을 얻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다문화 아동 학습자용 한국어 교재를 ‘교육 목적 및 접근법’, ‘문어 교육 내용’, ‘문어 학습 활동’의 기준에 따라 분석하였다. 교재 분석 결과, 구어 교육 내용에 비해 문어 교육 내용이 현저히 부족하다는 점, 학업 맥락과 관련해 문어로서 학업 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 내용이 포함되지 않았다는 점, 난이도가 지나치게 어렵거나 쉬워 다문화 아동 학습자의 발달 수준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 담화 수준의 문어 활동과 문어 전략 연습 활동이 서로 불균형적이라는 점, 읽기와 쓰기 영역이 통합되지 못한 경우가 많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본고에서는 이를 토대로 향후 다문화 아동 학습자를 위한 문어 교육은 이들의 언어 발달 특성과 요구를 반영하며, 풍부한 문어 상호작용 활동과 학업 맥락을 고르게 포함하고, 의미를 중심으로 한 담화 수준의 활동과 문어를 익히기 위한 다양한 전략과 기술을 균형 있게 다루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문법 학습에 대한 인식 연구 - 대학 내 학문 목적 학습자를 중심으로

        류선숙 어문연구학회 2022 어문연구 Vol.114 No.-

        본 연구의 목적은 고급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 문법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데에 있다. 특히 본고에서 주목한 학습자들은 국내 대학에 입학하여 본격적으로 전공 및 교양 영역에서 학문을 수행하고 있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이다. 정부 및 각 대학 기관의 유학생 확대 정책에 따라, 국내 대학에서 수학하고 있는 학문 목적 학습자들의 증가 추세가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대학의 주요 구성원으로서 자리잡은 이들이 학문을 원활하게 수행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이유 중 하나는 한국어라는 언어적 요인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이들이 대학에서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고, 학문적 맥락에서의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글쓰기나 발표 등 특정 학문적 기능에 집중한 교육 뿐만 아니라 그러한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재료인 언어 지식을 충분히 습득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하지만 고급 수준에 이른 학습자들은 문법을 형식적 지식 학습으로 인식하거나, 이미 문법 능력은 어느 정도 보유했다고 간주되기 때문에 문법 학습에 대한 비중이 점차 경감되는 양상을 보인다. 그런데 이렇게 문법 학습을 정체할 경우, 문법 능력의 정체로 이어질 수 있고 이는 학습자들이 부정확한 한국어를 양산하거나 학문적 과제를 원만하게 수행하는 데 장애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고급 숙달도의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라도 대학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학문적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언어의 유창성과 정확성에 기여하는 문법에 대한 지속적이고 연속적인 학습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에 본고에서는 실제 외국인 학부생들을 대상으로 고급 이상의 숙달도를 획득한 후에도 문법 학습을 지속하고 있는지, 문법 학습의 필요성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대학의 학문 수행 과정에서 문법 능력이 얼마나 요구된다고 생각하는지 등을 설문조사를 통해 조사하였다. 인식 조사는 국내 대학 중 외국인 유학생 규모가 상위 10위 안에 드는 대학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뤄졌으며, 다양한 국적과 전공의 학습자들이 인식 조사에 참여하게 되었다. 인식 조사 결과, 외국인 학부생들은 자신의 문법 능력이 낮다고 인식하였으며, 대학에 입학한 이후에도 여전히 한국어 문법 학습이 필요함을 절감하고 있었다. 또한 일반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에서 익히는 고급 수준의 문법과는 차별화되는, 즉 학문적 맥락에서 필요한 문법 항목들에 대한 요구를 보였다. 따라서 향후 이와 같은 인식과 요구를 반영하여 학습자들의 학문적 한국어 능력을 뒷받침하는 문법 교수가 반드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대학 입학 전에 배웠던 일반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의 난이도 배열 순서에 따른 문법 항목 추출이 아니라, 대학에서 필요한 문법 항목을 기준으로 하여 별도의 문법 학습 시간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학문적 과제를 수행할 때 문법에 지속적으로 주목할 수 있도록 하여 정확하고 유창한 한국어를 토대로 성공적인 학업 수행을 도모할 수 있도록 견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대학 내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입학 전 한국어 수준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연구

        류선숙 한국교양교육학회 2019 교양교육연구 Vol.13 No.6

        According to the current college entrance standard sugges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or each college, it is premised that the intermediate level of the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TOPIK)’ is capable enough to achieve academic performance in college. However, this is no more than an arbitrary standard with no verification of its validity for now as there have been no researches on the accuracy of it. Therefore, there should be more researches on this area. Thus,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re-college Korean language ability and the post-college academic achievement, targeting the Korean language learners with academic purpose studying abroad in Korean college. Especially, this thesis conducted a survey and interview with foreign students by using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is study was participated by foreign students of four-year-course college in the capital area of Korea. This study followed the research procedures such as ‘1st survey, 2nd interview, Transcription of interview recording, Data coding & interpretation’. In the results, the credits that the research participants completed in the first semester were average 17.3. In case of GPA, it was average 3.3 of 4.5, which was mostly high. However, there was no clear correlation between Korean language ability and GPA. In order to find the causes for this phenomenon, the transcribed interview results were analyzed through coding. As a result, this study drew the conceptual categories such as ‘nature of TOPIK, percentage of using Korean and English in college, Differences in Evaluation Criteria for Foreign Students, and the matter of having knowledge related to major’. Based on such results of this study, this thesis verified that the academic achievement of foreign students would be influenced by not only TOPIK score, but also many factors. This study suggested the necessity to develop the tools for the evaluation of academic performance ability in the future. 현재 교육부나 각 대학에서 제시하는 입학 기준을 따르면 ‘한국어능력시험(TOPIK)’에서 중급 정도가 되면 대학에서의 학업 수행이 가능할 것이라는 전제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그것이 정확한 기준인지에 대해서는 아직 연구된 바가 없으므로 현재로서는 타당도가 되지 않은 임의적인 기준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분야에 대한 보다 많은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학에서 유학 중인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입학 전 한국어능력과 입학 후의 학업성취도가 서로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본고에서는 질적 연구 방법을 활용해 외국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과 면담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는 국내 수도권의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들이 참여하였고, ‘1차 설문조사 실시, 2차 면담 실시, 인터뷰 녹음 전사, 자료 코딩 및 해석’의 절차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연구 참여자들이 첫 학기에 이수한 학점은 평균 17.3학점이었다. GPA는 4.5점 만점에 평균 3.3점으로 대체로 높은 편에 속했다. 그런데 한국어능력과 GPA의 뚜렷한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을 찾기 위해 인터뷰 결과를 전사한 자료를 코딩을 통해 분석한 결과, ‘TOPIK의 성격, 대학 내 한국어와 영어의 사용 비중, 외국인 학생에 대한 평가 기준, 전공 관련 내용 지식의 유무’의 개념 범주가 도출되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외국인 유학생의 학업성취도에는 TOPIK 점수뿐만 아니라 여러 요인들이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추후 학문 수행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가 개발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