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고집단과 자발적 결사체의 신뢰 비교 연구 - 동창회와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류석춘,왕혜숙,박소연 동양사회사상학회 2008 사회사상과 문화 Vol.17 No.-

        Many critics see yongo chipdan, the traditional community based on kinship, home region and school, as a major source of the continued lackluster performance of Korean economies and democracies in recent years. They argue that ascriptiveness and closedness of yongo chipdan create a strong in-group trust and generalized reciprocity and, at the same time, the distrust of others in general, discouraging the formation of general trust. It is also argued that the general trust should be produced based on public institutions for the sound development of market and democracy. For them, the most desirable group that can produce a general trust is an open and horizontal voluntary association. However,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es to yongo chipdan and voluntary association this article tries show the results contrary to the recent critics on yongo chipdan and heaping praises of voluntary association. An NGO, a representative voluntary association in Korean society, limits the range of participation among volunteers and constitutes the limited trust among particular participators to cope with the problem of trust in the course of collective action. A high school alumni association, a representative yongo chipdan, shows a low level of in-group trust and tries to maintain their community through encouraging the norm of generalized reciprocity. The results of this article call for the reappreaciation of trust in some respects. First, what brings the development of market and democracy is not the general trust in others in general, but the particular trust produced through the concrete and intimate relationships. Further, the concept of general trust cannot be captured in sociological concept of trust regarding the social uncertainty and risk. Secondly, the organizational mechanisms of groups and attributes of networks tell nothing about the effects and functions of their social capital. It is needed to examine in detail how trust among in-groups members is produced and maintained and how generalized reciprocity is shared among them. 한국사회의 전통적 1차 공동체인 연고집단은 경제성장과 민주주의 발전의 걸림돌로 지적되어 오곤 한다. 사회자본의 관점에서 연고집단의 귀속성과 폐쇄성은 집단 내부 차원에서는 강한 호혜성의 규범과 내집단 신뢰를 형성하지만, 집단 외부의 타인에 대한 불신을 강화시키기 때문에 보편적 신뢰의 형성을 저해한다는 비판을 면치 못해 왔다. 이러한 연고집단 비판은 시장과 민주주의 성숙을 위해서 제도에 기반한 일반적 신뢰의 형성이 필수적이라는 주장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연고집단과 대비되는 특성을 지닌 개방적이고 수평적인 자발적 결사체가 이러한 보편적 신뢰를 만들어 내는 대안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이 논문은 동창회와 시민단체로부터 수집한 양적 및 질적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러한 연고집단 비판론이 한국사회의 현실과 부합하지 않음을 밝히고 있다. 시민단체는 집합행동에서 나타나는 신뢰의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참여의 폐쇄성과 특정 참여자들 사이에서만 공유되는 제한된 신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또한 동창회의 경우 강한 내집단 신뢰를 형성할 것이라는 가정과 달리 오히려 신뢰 부족의 문제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있고,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일반화된 호혜성의 규범에 호소하고 있다. 이러한 동창회와 시민단체의 재발견은 한국사회에 존재하는 신뢰의 문제에 몇 가지 주장을 가능하게 한다. 첫째는, 실제 시장과 민주주의의 성숙을 가져오는 것은 낯선 타인에 대한 보편적 신뢰가 아니라 구체적인 관계에 놓여 있는 사람들 사이에 공유되는 제한적 신뢰라는 주장이다. 더 나아가 우리가 보편적 신뢰라 부르는 개념은 사회적 불확실성과 위험을 수반하는 사회학적인 신뢰의 개념에 포함될 수 없다는 주장도 가능하다. 두 번째로 집단의 구성원리와 연결망의 형태만으로 사회자본의 특성과 효과를 예측할 수 없으며, 이보다 더욱 중요한 것은 집단 내부에서 신뢰가 어떻게 형성되고 호혜성이 어떻게 공유되는가에 대한 구체적 분석이 중요하다는 주장이다.

      • KCI등재

        메콩강유역개발사업(GMS)을 통해 본 중국의 대 동남아시아 지역협력 연구: 중국 대외정책의 변화배경과 지역협력의 양면성

        류석춘,최진명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12 국제지역연구 Vol.21 No.2

        This paper focuses on China's Greater Mekong Subregion Economic Cooperation Program (GMS) to analyze changing characteristics of China's foreign policy and regional cooperation efforts, as she emerges as a new super power in the 21st century. With the rapid economic growth after reform policies, China is trying to rebrand its image as a responsible international actor. More specifically, China takes an active part in regional cooperative mechanisms in order to enhance its soft power. Ultimately, what China seeks to accomplish is to quell “China Threat”. In this context, the GMS program, which involves China and five Southeast Asian states, is a model demonstrative of China’s efforts to engage with its regional neighbors. China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GMS program. The Chinese government has invested a great deal on building transportation and energy development infrastructure in the Mekong River area. China is also actively supporting the involved states. China's participation has not only contributed to promoting trade between the Mekong subregion countries, but has also positively impacted the economic growths of the countries as well. Moreover, as foreign investors regard Chinese investment as evidence of regional economic potentials, investment from other countries has also flown into this region. However, recent developments are a stark contrast to the Chinese government's official position that stronger reciprocity among the Mekong subregion countries is the priority of this program. China's dam building projects have taken a toll on the Mekong region’s environment and the ecosystem and have caused outcry from the countries located in the river’s downstream. China is also being criticized for relentlessly pursuing only its own national interest, far from being cooperative. In short, while China's foreign policy appears to places more emphasis on cooperation, it is far from dispelling “China Threat”. Chinese soft power policy is instrumentalized to promote its advances in foreign economies. In this context, the said soft power policy contains strong hard power-like characteristics. This is why Southeast Asian countries are wary of Chinese assistance and investments. While they may be economically beneficial, they are primarily strategically motivated. Thus, contrary to China’s intensions, the GMS program shows how the existing “China Threat” in the area of national security can turn into an economic “China Threat” as well. 본 논문은 21세기 신흥대국 중국의 변화하는 외교정책을 인접지역인 동남아시아와의 지역협력 특히 메콩강유역개발사업을 통해 분석한다. 개혁․개방 정책을 통해 경제적으로 급부상한 중국은 국제사회에서도 적극적인 역할을 모색하고 있으며, ‘중국위협론’을 불식시키기 위한 이미지 제고의 일환으로 ‘소프트파워’의 확대 특히 지역협력을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중국과 동남아시아 5개 국가가 수로를 공유하는 메콩강유역개발사업은 중국이 인접 국가와 지역협력을 추진하는 시범적인 사례이다. 메콩강유역개발사업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역할은 상당하다. 중국 정부는 메콩강 유역의 수송 및 에너지 개발 등 인프라 구축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으며 관련 국가에 대한 지원에도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중국의 적극적인 참여는 메콩강 유역 국가 간의 교역을 증가시키는 중요한 요소가 되었으며 각 유역국의 경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최근의 상황은 ‘개발을 통해 메콩강 유역 국가 간의 호혜성을 강화’한다는 중국 정부의 공식 입장과는 전혀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어 우려를 자아내고 있기도 하다. 무리한 댐 건설로 메콩강의 생태계를 위협하여 메콩강 하류에 위치한 국가들의 불만을 사고 있으며, 협력이라는 단어가 무색하게 일방적인 프로젝트를 추진하여 지나치게 자국의 이익만을 추구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따라서 중국의 외교정책이 한 편으로는 협력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다른 한 편으로는 여전히 ‘중국위협론’을 불식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중국 정부가 선전하는 ‘소프트파워’는 자국의 경제적 진출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는 맥락에서 여전히 ‘하드파워’적인 측면이 강하다. 중국의 경제적 지원과 투자는 동남아시아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전략적인 요인이 강하기 때문에 여전히 경계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러한 중국의 태도는 오히려 기존의 안보 측면의 ‘중국위협론’을 경제 측면의 ‘중국위협론’으로까지 확대되어 비화시키는 모습을 보여 준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연고집단과 자발적 결사체의 신뢰 비교 연구 - 동창회와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류석춘(Lew Seok Choon),왕혜숙(Wang Hye-Suk),박소연(Park So-Youn) 동양사회사상학회 2008 사회사상과 문화 Vol.17 No.-

          한국사회의 전통적 1차 공동체인 연고집단은 경제성장과 민주주의 발전의 걸림돌로 지적되어 오곤 한다. 사회자본의 관점에서 연고집단의 귀속성과 폐쇄성은 집단 내부 차원에서는 강한 호혜성의 규범과 내집단 신뢰를 형성하지만, 집단 외부의 타인에 대한 불신을 강화시키기 때문에 보편적 신뢰의 형성을 저해한다는 비판을 면치 못해 왔다. 이러한 연고집단 비판은 시장과 민주주의 성숙을 위해서 제도에 기반한 일반적 신뢰의 형성이 필수적이라는 주장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연고집단과 대비되는 특성을 지닌 개방적이고 수평적인 자발적 결사체가 이러한 보편적 신뢰를 만들어 내는 대안으로 여겨지고 있다.<BR>  그러나 이 논문은 동창회와 시민단체로부터 수집한 양적 및 질적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러한 연고집단 비판론이 한국사회의 현실과 부합하지 않음을 밝히고 있다. 시민단체는 집합행동에서 나타나는 신뢰의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참여의 폐쇄성과 특정 참여자들 사이에서만 공유되는 제한된 신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또한 동창회의 경우 강한 내집단 신뢰를 형성할것이라는 가정과 달리 오히려 신뢰 부족의 문제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있고,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일반화된 호혜성의 규범에 호소하고 있다.<BR>  이러한 동창회와 시민단체의 재발견은 한국사회에 존재하는 신뢰의 문제에 몇 가지 주장을 가능하게 한다. 첫째는, 실제 시장과 민주주의의 성숙을 가져오는 것은 낯선 타인에 대한 보편적 신뢰가 아니라 구체적인 관계에 놓여있는 사람들 사이에 공유되는 제한적 신뢰라는 주장이다. 더 나아가 우리가 보편적 신뢰라 부르는 개념은 사회적 불확실성과 위험을 수반하는 사회학적인 신뢰의 개념에 포함될 수 없다는 주장도 가능하다. 두 번째로 집단의 구성원리와 연결망의 형태만으로 사회자본의 특성과 효과를 예측할 수 없으며, 이보다 더욱 중요한 것은 집단 내부에서 신뢰가 어떻게 형성되고 호혜성이 어떻게 공유되는가에 대한 구체적 분석이 중요하다는 주장이다.   Many critics see yongo chipdan, the traditional community based on kinship, home region and school, as a major source of the continued lackluster performance of Korean economies and democracies in recent years. They argue that ascriptiveness and closedness of yongo chipdan create a strong in-group trust and generalized reciprocity and, at the same time, the distrust of others in general, discouraging the formation of general trust. It is also argued that the general trust should be produced based on public institutions for the sound development of market and democracy. For them, the most desirable group that can produce a general trust is an open and horizontal voluntary association.<BR>  However,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es to yongo chipdan and voluntary association this article tries show the results contrary to the recent critics on yongo chipdan and heaping praises of voluntary association. An NGO, a representative voluntary association in Korean society, limits the range of participation among volunteers and constitutes the limited trust among particular participators to cope with the problem of trust in the course of collective action. A high school alumni association, a representative yongo chipdan, shows a low level of in-group trust and tries to maintain their community through encouraging the norm of generalized reciprocity.<BR>  The results of this article call for the reappreaciation of trust in some respects. First, what brings the development of market and democracy is not the general trust in others in general, but the particular trust produced through the concrete and intimate relationships. Further, the concept of general trust cannot be captured in sociological concept of trust regarding the social uncertainty and risk. Secondly, the organizational mechanisms of groups and attributes of networks tell nothing about the effects and functions of their social capital. It is needed to examine in detail how trust among in-groups members is produced and maintained and how generalized reciprocity is shared among them.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