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 체육교사의 사회적 친화력 및 상호학습 향상을 위한 온라인 카페(onlie cafe)의 효과성 및 황용 가능성 탐색

        류민정 ( Min Jeong Lyu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2 체육과학연구 Vol.23 No.4

        이 연구는 미래 예비 체육교사의 사회적 친화력과 상호학습에 대한 인식 연구이며, 두 변인을 향상시킬 수 있는 대안적 교수법으로 온라인 카페 활용 수업의 효과성과 잠재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통합적 연구 방법론(양적과 질적 연구)을 적용하는 액션 리서치(action research)로, 사범대학 체육교육과의 온라인 카페를 활용한 전공 수업(스포츠교육학 관련)을 수강한 예비 체육교사 37명(실험집단)과 다른 대학의 일반 체육계 학과의 전공수업 수강생 27명(통제집단)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Rovai(2002)의 사회적 친화력 척도와 Summers와 Svinicki(2007)의 상호학습 척도를 번안하여 사용하였고, 아울러 개방형 설문자료, 온라인 게시판 자료, 면담 등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독립과 대응표본 t-test와 귀납적 범주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예비 체육교사는 온라인 카페를 활용한 수업을 통해 수업 중 상호 간에 더욱 친숙하고 의지하게 되었으며, 학습 과정 동안 서로의 의견을 공유하며 협력하는 상호학습을 경험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this was to investigate effect and potentiality of social connectedness and interactive learning through classes onlie-cafe in Pre-Se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 It is the action reseach with integrated research methodology. 37 pre-service teachers in physical education department and 27 students in department relative kinesiology were participate in this study. Rovai (2002)` social connectedness scale and Summers and Svinicki (2007)` interactive learning scale were used. In addition. Open-ended questionnaire, interview, and online-cafe boards were collected as data. Independent and paired t-test and inductive analysis were used. Results in dicated pr-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 were more closed with and dependent on each other after appling onlie-cafe classes. Also, their interactive learning were developed after appling onlie-cafe classes.

      • KCI등재

        위계적 신체적 유능감 구조에 관한 연구: 척도의 타당도 및 구조모형 검증

        류민정 ( Min Jeong Lyu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8 체육과학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일반 남?녀 중학생들이 평가하는 자신의 지각된 신체적 유능감의 위계적 구조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위계적 신체적 유능감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를 재개발하고, 척도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아울러 이 척도를 이용하여 위계적 신체적 유능감 구조의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총 553명의 중학생들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사용된 연구도구는 위계적 신체적 유능감 척도와 자기 존중감 척도이다. 수집된 자료는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검사, 상관분석, 그리고 공분산 구조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결과적으로 학생들의 지각된 신체적 유능감의 위계성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의 타당성과 신뢰성이 검증되었으며, 아울러 위계적 신체적 유능감 구조의 적합성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지각된 신체적 유능감의 선행연구와 관련지어 비교·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ived physical competence of students in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analyze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physical competence. First, a hierarchical physical competence scale (HPCS) was developed based on Fox`s model (1998, 2002). The HPCS includes 16 items which evaluate the four major components: handball shooting competence, handball competence, perceived physical competence, and physical self-worth. A total of 553 students participated and completed the HPCS and Self-Esteem Scale (Rosenberg, 1979).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version 15.0. To investig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HPCS,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ANOVA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were used. In additio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was used to test the hypothesis structural model.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HPCS including four sub-variables was established. Second, all variables of the hierarchical physical competence were positively related and the hierarchical physical competence structure was confirmed.

      • KCI등재

        한국판 체육수업성향 척도(KPEPS)의 요인구조와 타당성 검증

        류민정 ( Lyu Min-jeong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1 교사교육연구 Vol.60 No.3

        본 연구는 체육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성향을 알아보는 Hilland, Stratton, Vision, & Fairclough(2009)의 체육수업성향 척도(Physical Education Predisposition Scale; PEPS)에 대한 한국판 요인 구조와 척도의 타당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개인적 특성에 따른 각 요인의 차이 검증을 통해 척도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총 891명의 중학생들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문항분석, 상관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및 차이검증 등의 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KPEPS는 총 9문항을 포함하는 2개 요인구조(체육수업능력과 체육수업가치)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 학년, 체육수업 유형에 따라 체육수업성향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후 한국판 척도의 국내 활용을 기대해볼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hysical Education Predisposition Scale (KPEPS) which was developed and validated by Hilland, Stratton, Vision, & Fairclough (2009). Additionally, the differences of physical education predisposition according to personal variables were investigated. There were 891 middle school student participants. For the analysis of data, item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ronbach's α,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test, and ANOVA were used with the SPSS and Amos programs.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two factors were extracted with 9 items (perceived competence in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perceived value about physical education class). According to gender, grade, and physical education class type, there were differences of physical education predisposition. The Korean version of physical education predisposition scale would be expected to be use in Korea.

      • KCI등재

        중학생의 운동선호에 따른 지각된 신체적 유능감과 신체 이미지의 차이 및 관계 검증

        류민정 ( Min Jeong Lyu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9 체육과학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중학생의 지각된 신체적 유능감과 신체 이미지(외모만족과 외모지향)를 알아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구체적으로 성별과 운동선호에 따라 지각된 신체적 유능감과 신체 이미지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고, 두 변수 간의 관계성 분석과 함께 지각된 신체적 유능감이 청소년의 신체 이미지를 예측할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총 838명의 중학생들이 연구대상으로 참여하였으며, 위계적 신체적 유능감 척도(류민정, 2008)를 통해 학생들이 지각하는 신체적 유능감을 측정하였고, Cash(2000)의 다차원적 신체 이미지 척도(MBSRQ)를 이용하여 학생들의 외모 지각성을 알아보았다. 성별과 운동선호에 따른 두 변수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MANOVA를 사용하였으며, 두 변수의 관계성과 예측성을 검증하기 위해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성별과 운동선호에 따라 청소년의 지각된 신체적 유능감과 신체 이미지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각된 신체적 유능감을 통해 청소년들의 신체 이미지를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각된 신체적 유능감과 신체 이미지의 선행연구와 관련지어 비교·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erceived physical competence and body image (appearance satisfaction and orientation) in adolescents. First, the differences of perceived physical competence and body image were examined according to gender and exercise preference. In additi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physical competence and body image were analyzed. Total 838 students in middle school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s measure instruments, Lyu (2008)`s Hierarchical Physical Competence Scale (HPCS) and Cash(2000)`s the Multidimensional Body-Self Relation Questionnaire (MBSRQ) were used to measure students` perceptions. Cronbach`s alph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ANOVA, co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with SPSS ver 15.0 and Amos 5.0 programs.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perceived physical competence and body image in adolescents according to gender and exercise preference. Perceived physical competence was an predictor of body image. It suggested the need of future studie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competence, body image, and other psychological variables with various participants.

      • KCI등재

        체육수업 시간에는 여자 선생님이 더 좋아요?: 학생이 인식하는 운동흥미, 수업노력과 교사 피드백을 중심으로

        류민정 ( Min Jeong Lyu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1 체육과학연구 Vol.22 No.2

        이 연구는 체육수업을 진행하는 교사의 성별이 학생들의 심리적 변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구체적으로 남교사의 체육수업과 여교사의 체육수업에서 학생들이 인지하는 운동흥미, 수업에 대한 노력과 교사 피드백에 대한 차이를 검토하고자 하였으며, 교사 성별과 학생 성별 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하였다. 총 442명의 중학생들이(남교사 지도 학생: 244명, 여교사 지도 학생: 198))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학생이 지각하는 체육수업에서의 운동흥미와 노력, 그리고 교사 피드백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변인 간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MANOVA를 사용하였고, 분석결과 교사 성별에 따라 학생들은 운동흥미, 노력, 교사피드백(수행지식/긍정적 비언어 피드백, 격력/칭찬 피드백)을 다르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여교사반의 학생들이 남교사 반 학생에 비해 더욱 높은 수치를 보였다. 또한 학생 성별에 따라서는 여학생에 비해 남학생이 운동에 대한 흥미와 수업에서 더욱 노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성별과 학생 성별 간의 상호작용 효과에 기초한다면 특히 여학생의 경우 여교사 반 여학생이 남교사 반 여학생에 비해 체육수업에서 운동에 더욱 흥미를 느끼고, 더욱 열심히 수업에서 노력하고, 많은 교사 피드백을 받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eachers` gender influenced students` perceptions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based on the differences of variables among groups. According to teachers` gender and students` gender, the differences of exercise interest, class effort, and teacher feedback in PE classes were compared. Also, interaction effect between teachers` gender and students` gender were analyzed. 442 middle school students completed questionnaires to assess exercise interest and effort in PE classes and perception of teacher feedback survey. Results of MANOVA indicated that students in female teacher classes were more interested, did more effort in class, and received more feedback related to performance and positive feedback than students in male teacher classes. According to students` gender, male students were more interested and did more effort in class than female students. Based on interaction effect, female students in female teacher PE classes had higher scores in all variables than students in male teacher PE classes.

      • KCI등재

        학부모의 마음을 사로잡는 SNS(밴드) 소통 경험에 대한 어느 초임 교사의 이야기: 사례 연구

        류민정(Min Jeong Lyu) 교육종합연구원 2023 교육종합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교사와 학부모의 원활한 소통과 긍정적인 인간관계 형성을 위해 SNS(밴드)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한 초임 교사의 경험과 과정을 이해하고, 그 속에 담겨있는 의미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질적 연구 방법의 사례 연구로 심층면담 및 SNS(밴드) 내용 등의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NS 활용 전 C교사의 교육관, 가치관 및 학부모와의 소통 중요성 등에 대한 교사의 생각을 이해할 수 있었다. 둘째 SNS(밴드)를 통한 학부모와의 소통 과정과 구체적인 경험 사례들을 살펴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학부모와의 소통 과정에서 발견할 수 있는 다양한 의미(학부모의 마음 알아가기, 나(교사)의 든든한 지원자는 바로 학부모, 아이와 부모의 끈끈함(관계) 만들어주기, 좀 더 나은 교사 되어가기)를 탐색할 수 있었다. 이 과정을 통해 교사와 학부모의 소통을 돕는 유용한 도구로서 SNS(밴드)의 가능성을 이해하고, 소통의 과정에서 발견되는 교사의 다양한 경험적 정보들을 공유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experience of a beginning physical education teacher for communicating process with parents in SNS(Naver Band). A case study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used. Data source contained In-depth interview and the contents of SNS (Naver Band) which a beginning teacher used. The stories and meanings of his experience in SNS were described in detail. First, we understood his education view and his thought about impotence and value of communication with parents before using SNS. Second, we could see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with parents in SNS and detailed cases of communication experience with parents in SNS. Last, we found various meanings for the communication process with parents in SNS; understanding parents’ mind, parents would be supports for teacher, making tighten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 and parents, being more developed teach in the future. Through the communication process, we tried to understand the possibility of SNS(band) as a useful instrument for the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teacher, and share teacher’s empirical information for communicating with parent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한국판 체육교사열정 척도(KPETES)의 구성 요인 및 타당성 검증

        류민정(Minjeong Lyu)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23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30 No.3

        본 연구는 학생들이 인식하는 체육교사의 열정 정도를 알아보는 교사열정 척도(Kunter, Frenzel, Nagy, Baumert, & Pekrun, 2011)의 한국판 구성 요인과 타당성을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총 812명의 중학생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문항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및 준거 타당도 검증을 통해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체육교사열정 척도(KPETES: Korean Physical Education Teacher enthusiasm Scale)는 총 10문항을 포함하는 2개의 요인구조(교과열정과 교수열정)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생들이 인식하는 체육교사의 열정은 체육수업 내적동기와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후 한국판 체육교사열정 척도의 국내 활용 가능성을 기대해볼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 enthusiasm Scale(KPETES) which was developed and validated by Kunter, Frenzel, Nagy, Baumert, and Pekrun(2011). 812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For the analysis of data, item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criterion related validity with SPSS and Amos programs.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two factors were extracted with 10 items (subject enthusiasm and teaching enthusiasm in physical education class). Teacher enthusiasm in physical education class is related with intrinsic motiva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 The Korean version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 enthusiasm Scale would be expected to use in Korea.

      • KCI등재

        창의·인성 교육을 실천하는 예비 체육교사의 “멀티 체육수업교재 만들기 프로젝트”에 대한 사례 연구

        류민정(Min Jeong Lyu)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5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2 No.2

        본 연구는 창의·인성 교육을 실천하는 예비 체육교사의 ‘멀티 체육수업교재 만들기 프로젝트’의 과정을 탐색하고 그 속에서 예비 교사들이 경험하는 다양한 의미를 찾아보기 위한 것이다. 질적 연구방법을 이용하여 온라인 카페, 수업후기, 동료평가지, 개방형 설문, 심층면담 등의 자료를 수집·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 교사들은 다음과 같은 경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체육수업교재 만들기에 대한 경험(준비, 개발단계)으로 새로운 배움에 대한 고통과 환희를 경험하였다. 교재 개발 초기, 중·고등학생들의 관심을 끌 수 있는 주제 선정으로 희노애락을 느낄 수 있었으며, 교재 개발을 위한 다양한 자료를 수집·정리하는 과정에서 자신감을 느끼고, 다양한 매체(파워포인트, 동영상)의 활용 능력을 키울 수 있었다. 또한 조원들 간의 의사소통 기회가 증가하여 서로를 알아가는 소통의 장을 경험하게 되었다. 둘째, 개발된 교재를 소개하는 그룹발표를 통해 발표의 두려움으로 떨리는 그 순간을 경험하면서도 스스로 전문가다운 자신감을 경험하게 되었다. 아울러 팀원들 간의 협동과 함께 하는 방법을 터득하며 함께 하는 어려움과 편안함을 알게 되었다. 셋째, 동료평가에 대한 경험으로 인해 타인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것에 대한 어려움과 동시에 타인을 평가하는 눈을 가지게 되었다고 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프로젝트와 관련된 다양한 선행연구들과 비교하여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s and meanings of the multi-teaching material project (Project-based Learning) in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 education(PETE). To collect dat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applied; on-line cafe data, class postscript, peer-evaluation, open-ended questionnaire, and interview. As a result, pre-service teacher in physical education experienced pain and joy of new learning in the development level of teaching materials. Second, in group presentation they overcame the fear of presentation and felt self-confidence in the group presentation. In addition, they improved presentation skill, attitude, and attention in the presentation, and learned collaboration and methods to solve particular problems with team members. Third, in peer evaluation level they had eyes to evaluate others’ good and bad points in the presentation. In the early stage, they were afraid of objectivity and fairness of peer evaluation. However, they made their standard and consistent evaluation for ot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