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젠더, 인식, 그리고 젠더폭력 : 트랜스(젠더)페미니즘을 모색하기 위한 메모, 네 번째

        루인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13 여성학논집 Vol.30 No.1

        이 논문은 비트랜스여성을 중심으로 논하는 기존의 젠더와 폭력의 관계를 트랜스(젠더)페미니즘 맥락에서 비판적으로 재독해한다. 이를 통해 젠더폭력이 젠더를 체화하는 과정일 뿐만 아니라 비트랜스페미니즘과 트랜스페미니즘의 접점을 모색할 중요한 토대임을 논증한다. 제2 물결 페미니즘은 섹스와 젠더를 구분하면서 여성이 겪는 억압을 생물학적 본질이 아니라 사회문화적 구성으로 설명했다. 섹스와 젠더를 구분하는 전략은 페미니즘 이론 및 운동에 중요한 도구가 되었고 현재도 인식론적 토대로 작동하고 있다. 하지만 일부 페미니즘은 섹스와 젠더의 관계, 생물학적 몸과 젠더 범주의 관계가 필연적이란 기존 규범을 문제 삼지 않았고, 여자로 태어난 사람이 여성이 된다는 인식을 당연시했다. 섹스와 젠더를 동일시하는 토대는, 섹스와 젠더의 ‘불일치’를 근거로 트랜스젠더에게 혐오 폭력을 가하는 가해자의 행위를 정당화하는 논리와 공명하다. 이것은 트랜스젠더 경험과 비트랜스젠더의 경험을 별개의 것으로 다루면서 발생한 문제기도 하다. 본 연구는 트랜스젠더의 젠더 경험과 비트랜스젠더의 젠더 경험이 교차한다는 인식에서 젠더 폭력을 여성에 대한 폭력이 아니라 젠더 규범을 몸에 각인시키는 실천으로 재해석한다. 젠더 폭력을 젠더 체화로 설명하는 작업은 젠더 경합과 아내폭력을 재해석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것은 mtf/트랜스여성이 겪는 폭력과 비트랜스여성이 겪는 폭력이 연속선상에 있음을 논하는 작업이며 트랜스젠더 연속체를 모색하는 과정이기도 하다. This article critically reviews existing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and violence that is non-transwomen centred. The aim is not only to argue that gendering violence is a process of embodying gender; it is also to adduce that gendering violence is the important basis for establishing the point of contact of transfeminism and non-transfeminism. Second wave feminism distinguished sex from gender and argued that women’s oppression is not innate but constructed by socio-cultural structures. The strategy for distinguishing between sex and gender became a major tool for feminist theories and movements, and it continues to serve as a feminist epistemological basis. Yet, feminism did not challenge the existing norm that establishes the necessary connection between sex and gender, and between biology and gender categories. Rather, it embraced the cognitive framework that considers a person who becomes a woman as someone who must have been born female. Thereupon, the sex/gender distinction, once utilised as a strategy for ending oppression, has become the basis of the defence of transphobic violent attackers. The problem emerges from the different theoretical treatments of transgender people’s gender experience and that of non-transgender people, as if these are two different subjects. With the recognition of the intersection of the trangender and non-transgender gender experiences, this research will reinterpret the concept of gender violence, not as violence against women but as the practice of burning gender norms themselves into the body. Through the reinterpretation of gender dysphoria and violence against wife/woman, gendering violence will therefore be interpreted as the process of gendering the body. This work will culminate in the argument that there is continuity between the violence experienced by mtf/transwomen and non-transwomen, and that there is also a process for establishing a transgender continuum

      • KCI등재후보

        캠프 트랜스

        루인(ruin S.M. Pae) 한국문화연구학회 2012 문화연구 Vol.1 No.1

        본 논문은 1960년부터 1989년까지 이태원에 살았던 트랜스젠더의 역사를 추적하고, 이를 통해 한국 역사에서 규범적 젠더와 비규범적 젠더가 생산되는 과정을 탐구한다. 이태원은 미군 부대의 기지촌으로서 1960년대 즈음부터 본격적으로 유흥과 상업지역으로 변모한다. 이태원 지역 트랜스젠더는 이태원의 공간 형성과 발달에 있어 역사적 궤를 같이 한다. 1960년대 이태원과 그 인근 지역엔 적잖은 트랜스젠더가 모여 들었고 초기 형태의 트랜스젠더 업소가 생겨났다. 1970년대엔 많은 트랜스젠더가 이태원에 살았음에도 한국 사회의 안보정국과 군사화의 영향으로 트랜스젠더 관련 기록 자체가 줄어들었다. 이는 군사화된 남성성 기획이 인간을 젠더 이분법으로 분명하게 구분하는 기술이었음을 역설한다. 1980년대 이태원은 경제적 호황을 누렸다. 하지만 에이즈가 보고되고 민주화 운동이 활발해지면서 트랜스젠더는 상당한 어려움을 겪는다. 이러한 역사 추적을 통해 본 연구는 역사적으로 누락된 존재인 트랜스젠더의 역사를 (재)구성하였다. 또한 지배 규범에서 재현하는 젠더의 역사는 비규범적 젠더 행위자를 의도적으로 누락하고, 누락을 통해 지배 질서를 유지하고 있음을 밝힌다. The follow thesis traces the history of transgender individuals in Itaewon during 1960 to 1989. It will examine the ways in which gender norms were constructed and how people outside these gender norms lived during this historical period. Itaewon was known as the military-based town since the Korean War. However, Itaewon began to transform into a red-light commercial district in the 1960s. There were only a few mtf(male-to-female) transgender gathered in Itaewon and nearby bars/clubs before the significant rise of the transgender population during the 1970s. However, due to the intensely widespread presence of the military regime, the records and documents of transgender people living in this area had dwindled. The dominating militarized ideology functioned as the way to police and reinforce the binary gender norms in Korean society. During the 1980s, Itaewon had reached an economic boom, while the first case of HIV was reported and the nation's democratization movement gained strength across the country. These social and political climates created structures that produced numerous challenges for many transgender individuals. The hegemonic order was maintained by the government, which deliberately excluded transgender people from finding their own agency and voices from various Korean historical perspectives. This paper sheds light to the existence of transgender individuals who were historically marginalized, which prevented them from constructing their own history.

      • KCI등재후보

        포착 불/가능한 몸

        루인 트랜스(ruin S.M. Pae) 한국문화연구학회 2013 문화연구 Vol.2 No.1

        이 연구는 페드로 알모도바르의 영화 <내가 사는 피부>(이하, <피부>)를 권력 관계의 전복 가능성과 인간 범주의 복잡성을 다룬 텍스트로 독해한다. 2011년 <피부>가 개봉되었을 때 많은 영화평론가는 외모로 변하지 않는 내적 본질을 다룬 영화로 독해했다. 하지만 이런 해석은 <피부> 도처에 있는 다양한 불안과 균열을 놓친다. 이것은 등장인물의 복잡한 상태를 단순하게만들 뿐만 아니라 영화 자체의 복잡한 구조를 단순하게 만든다. 나는 <피부>를 면밀하게 분석하는 작업을 통해 영화 주인공 베라/비센테(Vera/Vicente)의 정체성이 매우 복잡한 방식으로 구성되었음을 논증한다. 이를 위해 첫째, 로베르트(Robert Ledgard)와 베라/비센테의 권력 관계를 일방적 관계가 아니라 전복 가능성을 내재한 관계로 분석한다. 피상적으로 둘은 로베르트-지배, 베라/비센테-종속 관계지만 영화 곳곳에서 로베르트는 베라/비센테에게 종속된다. 둘의 관계는 지배-종속의 불안정하고 때때로 전복된 상태를 내재하고 이것은 둘 관계의 기본 토대다. 둘째, 베라/비센테의 행동을 분석하며 베라와 비센테는 어느 한 쪽이 주이며 다른 한 쪽은 부수적 존재가 아니라 분리할 수 없는 혼종적 존재임을 밝힌다. 셋째, 영화 속 마지막 발언의 의미가 내적 본질을 주장하는 것이 아님을 입증하고, 이를 통해 베라/비센테의 범주를 분명하게 포착할 수 없음을 논증한다. 이것은 베라/비센테의 특징일 뿐만 아니라 알모도바르의 영화 자체의 특징이기도 하다. This study reads The Skin I Live In directed by Pedro Almodóvar as a text, which deals with the possibility of subversion in power relation and the complexity of human categories. Back in 2011, when the film was screened, many critics thought the film was about the inherent essence, not affected by outward appearance. But this interpretation does not embrace the various instabilities & splits laid out in the film, and simplifies the complex states of the characters including the structure of the film itself. Thoroughly analyzing the film, The Skin, I argue that identities of the main character, Vera/Vicente, are complicatedly constituted. Firstly, the power relation between Robert Ledgard and Vera/Vicente is not one-sided but connotes the possibility of subversion. Superficially, their relation seems obvious; Robert as the master and Vera/Vicente as the subordinate. However, it is often witnessed that Robert is subordinate to Vera/Vicente throughout the film. Their relationship bears an unstable and subversive master-subordination state and this is what their relationship is built on. Secondly, through the behavioral analysis on Vera/Vicente, I argue that Vera/Vicente are inseparable hybrid beings; there is no such thing as the main or the minor between these two beings. Thirdly, I argue that the last line of the film does not indicate an inherent essence and that the category of Vera/Vicente is not clearly graspable. It is not only the feature of Vera/Vicente, but also of the films of the direct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