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내 아동돌봄을 위한 학교와 가정의 협력적 관계에 관한 연구* 학교 안 돌봄 누가 책임져야 하는가

        라미영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2023 한국가족복지학 Vol.28 No.4

        Objective: It is time for our society to answer the basic question of ‘Who should be responsible for childcare in elementary school?’.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ases of elementary schools in three local governments that have solved the difficulties of child care management in elementary schools and have led specialized care operations in various ways to meet the needs of families. Methods: This applied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analyzes and confirms the childcare of elementary schools in three autonomous districts selected as cases through in-depth data collection including various information sources. Participants in the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six school officials and three care center workers in the school.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school-family cooperation was operated in a way that was tailored to regional conditions and circumstances. In terms of the collaborative relationship between members of the case school, there was an attempt to switch to a new method to improve the treatment of caregivers by establishing standards for hiring and deploying a caregiver. We found that the reduc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fter-school care work was directly affected.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applying a new method with the support of local governments for childcare, understanding various care provision and care work between personnel, and realizing “caring with” thought collaborative relationships with schools and families.

      • KCI등재

        학교사회복지사들이 표현하는 “일과 나”: 포토보이스(Photovoice) 방법론 적용

        이재희,라미영,방실,Karen Elizabeth Canape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2 학교사회복지 Vol.- No.23

        The roles of school social workers are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time given the worsening school violence and mental health problems among adolescents in Korea. school social workers experience job stress and unstable professional identities due to the lack of legal status for school social workers, which is expected to adversely affect not only their quality of life, but also their roles of taking care of students. This article organizes photos and narratives on the lived experiences of the 36 participants at a workshop led by the Korean Association of School Social Workers. The participants expressed and shared their experiences through photos and discussions using the Photovoice methodology under the theme of “work and myself” during the 2-day workshop. The main themes were 1. ‘School social work,’ its meanings and my inner strength; 2. Overwhelming work and job stress; 3. Identity confusion and burnout; 4. Torn between work and myself; 5. Quilt toward my family and children; and 6. Visions. The participants expressed their feelings and stories about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burnout, ambitions, and reality. The innovative methodology enabled the participants to actively express their experiences and share and support for each other. The article also discusses the ways to intervene in their professional challenges. 학교 폭력 및 청소년 정신 건강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는 현시점에서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학교사회복지사의 처우에 대한 법적 조치가 미흡한 상황에서 학교사회복지사들은 높은 직무스트레스와 직업정체성에 대한 회의를 경험하는 것으로 보이고, 이런 현상은 학교사회복지사들의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 뿐 아니라, 학교와 학생들을 위해 그들이 맡고 있는 다양한 돌봄의 역할에도 영향을 주게 된다. 본 논문은 학교사회복지사들이 질적연구방법의 하나인 포토보이스(Photovoice)를 이용하여, ‘일과 나’를 주제로 그룹 토의와 사진작업을 통해 본인의 생각과 경험을 표현하고 나누는 작업을 정리한 것이다. 한국학교사회복지사협회에서 주최한 워크숍에 참가한 36명의 학교사회복지사들이 1박2일 동안 소그룹 논의를 통해 ‘일과 나’에 대한 다양한 주제를 논의하고 사진을 찍어 표현 및 공유하였다. 참여자들이 가장 중요하게 다룬 주제들은 1. ‘학교사회복지’, 그 일의 의미와 내안의 힘 2. 과중한 업무와 직무 스트레스 3. 정체성 혼란과 소진 4. ‘일과 나’의 경계에서의 고민 5. 가족, 그리고 아이에 대한 죄책감 6. 앞으로의 비전이다. 이에 대해 참여자들은 학교현장에서 일을 하면서 느끼는 정체성 혼란, 소진 그리고 지속적으로 전문성을 유지하며 일을 하고 싶은 마음과 열악한 처우 및 여건 등에서 오는 현실적인 개인의 삶 사이에서 느끼는 갈등에 대해 그들의 내면의 이야기를 사진이라는 이미지를 통해 직접 표현할 수 있었다. 포토보이스라는 이색적 방법론을 통해 학교사회복지사들의 경험이 사진과 논의를 통해 적극적으로 표현되었고, 공유하는 과정을 통해 서로를 격려하고 지지하는 기회가 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교사회복지사들의 직업적 애환에 대한 대안과 모색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서비스 제공자가 인식하는 중도입국 청소년의 학교 적응 어려움에 관한 연구

        김민아,이재희,라미영,김기현 한국청소년학회 2014 청소년학연구 Vol.21 No.9

        This study seeks to deepen the knowledge of immigrant adolescents' experiences with school adjustments in Korea from the perspectives of service provider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wenty-seven service providers who deliver educational and social services for immigrant adolescents in various settings. Content analyses revealed 18 subthemes within 4 categories. Results indicate that the immigrant adolescents in Korea faced (1) personal difficulties in language and academic performance; (2) a lack of parent attention to educational and emotional disturbances related to immigration, and poverty in their families; (3) relational conflicts in peer interactions; and (4) a lack of teacher awareness about the issues facing immigrant students, and difficulty in school entry. This study helps increase understanding of school adjustments among immigrant adolescents and provides insight for developing policy and educational services for immigrant adolescents. 본 연구는 중도입국 청소년의 학교 적응 어려움을 서비스 제공자의 시각에서 파악하여 이들을 위한 교육지원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중도입국 청소년에게 교육 및 복지서비스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지원하고 있는 서비스 제공자 27명을 대상으로 개별면담을 실시하였고, 주제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개인, 가족, 또래관계, 학교 차원의 4가지의 영역에서 총 18개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첫째, 개인차원에서 중도입국 청소년은 언어 소통 및 학업 수행의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둘째, 가족차원에서 교육에 대한 부모들의 관심 부족, 이주경험으로 인한 정서적 어려움,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셋째, 또래관계 차원에서 갈등을 겪고 있었으며, 넷째, 학교차원에서 중도입국 학생에 대한 교사의 낮은 인식과 학교 진입의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중도입국 청소년이 학교에 잘 적응하기 위해서 학생과 학교가 협력하여 서로의 적응에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가 중도입국 청소년의 학교 적응에 대한 인식과 이해를 높이고 다문화청소년을 위한 교육 서비스 및 정책 개발에 기여하길 기대한다.

      • KCI등재

        Education as Prescription for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Compliance and Efficacy in Clinical Practice

        김미연,서성환,진상만,김세원,배지철,허규연,김성혜,라미영,조영연,이명식,이문규,김광원,김재현 대한당뇨병학회 2012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36 No.6

        Background: Diabetes self-management education has an important role in diabetes management. The efficacy of education has been proven in several randomized trials. However, the status of diabetes education programs in real Korean clinical practice has not yet been evaluated in terms of patient compliance with the education prescription.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clinical and laboratory data from all patients who were ordered to undergo diabetes education during 2009 at Samsung Medical Center, Seoul, Korea (n=2,291). After excluding ineligible subjects, 588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Results: Among the 588 patients, 433 received education. The overall compliance rate was 73.6%,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ubjects with a short duration or living in a rural area compared to those with a long duration (85.0% vs. 65.1%, respectively;P<0.001) or living in an urban area (78.2% vs. 70.4%, respectively; P=0.037). The hemoglobin A1c decreased greater in the compliant group (from 7.84±1.54 at baseline to 6.79±1.06 at 3 months and 6.97±1.20 at 12 months after prescription in the compliant group vs. from 7.74±1.25 to 7.14±1.02 and 7.24±1.24 in the non-compliant group; P=0.001). The decrease in hemoglobin A1c was greater in the subjects with a short duration (P=0.032). Conclusion: In our study a large percent of patients refuse to get education despite having a prescription from their physician. This refusal rate was higher in the patients with long-standing diabetes or in urban residence. Furthermore, education was more effective in patients with a short duration of diabetes in clinical practice.

      • KCI등재

        Lived Experiences and Visual Expressions from Immigrant Adolescents in Korea during their Early Adjustment

        Jae Hee Yi(이재희),Ki Hyun Kim(김기현),Mi Young Ra(라미영) 한국아동복지학회 2014 한국아동복지학 Vol.- No.45

        한국은 최근 이주민의 급격한 증가를 경험하고 있다. 이주민은 오랜 기간 단일민족 국가였던 한국에 낯선 경험이며 이주 아동은 더욱 낯설다. 한국의 다문화 중도입국 청소년은 최근 새롭게 증가하고 있는 이주 청소년의 한 유형으로 이들에 대해 알려진 것도 거의 없고 초기 적응을 위한 지원 정책도 아직은 개발단계이다. 본 연구는 포토보이스라는 방법을 통해 새롭게 등장한 한국의 다문화 중도입국 청소년들의 생생한 경험을 이들의 목소리와 이들이 만들어내는 시각적 이미지를 통해 탐색해 보았다. 두 달 동안 경기도 외국인 밀집지역에서 여섯 명의참여 청소년들과 총 육회기의 포토보이스를 실행했고 참여자들은 총 6개의 주제에 대해 사진을 찍고 내러티브를 만들었다. 참여자 스스로 정한 6개의 주제는 친구, 나의 하루, 문화, 사랑, 나, 그리고 나를 힘들게 하는 것과 힘나게 하는 것이 었다. 본 논문에는 참여 청소년들의 내러티브와 사진들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함의를 논하였다. 중도입국 청소년들은 학교에서 주변화 되기도 하고, 경쟁적이고 학업 위주의 한국 학교 시스템에서 학교 적응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청소년들은 여러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상당히 레질리언트한 모습을 보여줬는데 이들이 그리는 초기 적응의 모습을 바탕으로 초기 지원 프로그램 개발과 정책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Korea, historically a mono-ethnic country, has recently experienced a surging immigration. Due to the lack of policies as well as awareness toward immigrants, and especially immigrant children, they suffer challenges in settling down in the new country.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lived experiences of adolescent immigrants in Korea in words and visual images using Photovoice. Six sessions were conducted over two months in 2011 with six participants in Korea. The participants chose the following six themes to talk and take photos about: Friends, my daily life, culture, love, myself, and stress and energy sources. Select narratives and photo images are presented and discussed. Adolescent immigrants might be ostracized and pushed aside to the periphery in school. Lack of school policies and cultural shock resulting from fierce competition and intense curriculum in the Korean school systems seem to worsen their adjustment in school. Adolescent immigrants seem to be resilient despite all the challenges. Such strengths need to be considered in developing programs for them. Language training for this population and diversity training for teachers and administrators as well as students are urgently needed. Programs to prepare adolescent immigrants for their new host culture would be also essenti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