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ediatric Volitional Questionnaire의 국내적용을 위한 번역연구

        라대엽,장기연,공명자,이선욱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2018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Vol.16 No.3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Korean version of Pediatric Volitional Questionnaire (PVQ-K) using classical test theory. Methods : For the translation of Pediatric Volitional Questionnaire (PVQ), as recommended in the literature, four-stage translation method was used. For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Korean version of the Pediatric Volitional Questionnaire (PVQ-K),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content validity, and construct validity of the test using the known groups method and convergent and divergent methods were examined. For the recruitment of participants,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is used.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0 children with neuro-developmental disabilities hospitalized two different rehabilitations center and 10 children with typical development living in Daejeon, South Korea. All 20 participants were in aged from two to five years. Results : In terms of the content validity index, it was over 0.78, confirmed by nine experts of children development. PVQ-K successfully discriminated the scores of children with typical development from those with neurodevelopmental disabilities (p < .05). It is found that there is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achievement stage of PVQ-K and the Korean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for Infants & Children (K-DTS)(.652 ∼ .799 for subcategory, .706 for total scale). The internal consistency was .944 (Cronbach’s α). In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it was examined that how Korean children behave and respond in the environment, and how children’s volition was strengthened or weakened by the environment. Conclusion : The results propose that PVQ-K can be a useful occupation-focused measure. This study recommend further study on PVQ-K with larger samples combined with the item-response theory approach. 목적 : 본 연구는 아동용 작업의지 측정도구(Pediatric Volitional Questionnaire; PVQ)을 국내에서 사용하기 위해4단계 번역과정을 실시하고, 이에 따른 타당도 및 신뢰도검증, 질적 해석을 통한 국내 적용가능성 및 방향성의 사전연구를 실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자는 대전에 거주하고 있는 만 2세∼5세의 일반아동 10명과 신경발달장애 아동 10명으로 총 20명이대상이며, 편의 표본 추출법이 사용되었다. 번역과정은 번역, 역번역 검증, 이해도 검증 및 번역검증위원회 과정을거쳤다.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을 위해 내용타당도, 판별타당도, 수렴타당도, 내적일치도, 질적 해석을 진행하였다. 결과 : 내용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한 문항 적합도에서 .78이상의 결과가 나타났으며, 판별타당도에서 일반아동그룹의 총점이 통계적으로 높았다(p<.05). 수렴타당도는 한국판 아동용 작업의지 측정도구(Pediatric Volitional Questionnaire-Korean version; PVQ-K)의 성취영역과 한국 영유아 발달선별검사(Korean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for Infants & Children; K-DST)(하위 범주 간 상관관계 .652 ∼ .799, 총점 .706)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모든 항목에 대한 내적일치도(Cronbach’s α)는 .944로 나타났다. 질적 해석을 통해 아동이 환경에서 어떻게 행동하고 반응하는지 관찰하고 무엇에 의해 작업의지가 강화되거나 약화되는지를 알아보았다. 결론 : 본 연구는 한국판 아동용 작업의지 측정도구가 작업-초점 측정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초기 근거를 제공하며, 추후 문항반응 이론(item-response theory) 및 더 큰 표본을 통한 한국판 아동용 작업의지 측정도구의 추가 개발이필요하다.

      • KCI등재

        신경발달 장애 아동의 지하철 이용하기 작업에 대한 작업기반 중재의 적용

        라대엽,공명자,장기연 대한작업치료학회 2018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6 No.4

        Objective : This study implemented occupation-based practice as a group program for children withneuro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investigated the quality of occupational performance, performance andsatisfaction, and efficacy levels of the program. Methods : ADOC-S(Aid for Decision making in Occupation Choice-School) and COPM(Canadian OccupationalPerformance Measure) were used to establish common meaningful occupational goals for 10 children withneurodevelopmental disabilities. After occupational analysis of the ‘subway use’, the Performance Quality RatingScale(PQRS) were used to evaluate the quality of occupational performance. Occupation-based interventions wereimplemented by participants individually performing meaningful occupations in the most natural and real-lifeenvironments as possible. The trial consisted of 1 session of pre-intervention assessments, 8 sessions ofintervention, where a single session of 100 minutes is provided once a week. Post-intervention evaluation wasconducted over one session. Results : The quality of occupational performance by PQRS was 38.10 higher than before intervention. Theoccupation-based intervention as a group program used the maintain and modify(compensation, adaptation)approaches and acquisition model. In the early stages of intervention (1 to 4 sessions), the occupationalperformance was greatly improved. The performance level of COPM increased by 5.80 and the satisfaction levelwas increased by 7.00. In addition, high scores were found in program satisfaction through parental interview. Conclusion : The results of implementing occupation-based interventions to children with neurodevelopmentaldisabilities showed increase in quality of occupational performance,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along withpositive effects of satisfaction levels for the program. 목적 : 본 연구는 신경발달 장애 아동들에게 작업기반(occupation-based) 중재를 그룹 프로그램으로 적용하여 작업 수행의 질, 수행도 및 만족도,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신경발달 장애 아동 10명을 대상으로, ADOC-S(Aid for Decision making in OccupationChoice-School) 및 COPM(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을 사용하여, 모든 클라이언트에게 의미 있고 공통된 작업 목표를 수립 하였다. ‘지하철 이용’ 작업수행 분석한 후에 PQRS(Performance Quality Rating Scale)를 사용하여 작업수행의 질 변화를 조사하였다. 작업기반 중재는가장 자연스럽고 실제생활과 비슷한 상황에서 의미 있는 작업을 직접 수행하며 진행되었다. 실험은 사전평가 1회기, 중재기는 주 1회, 회기당 100분, 8주간, 총 8회기 진행되었고 사후 평가 1회기 실시되었다. 결과 : 작업수행의 질인 PQRS에서는 중재 전에 비해 중재 후 38.10의 증가를 보였다. 유지, 보상 및 적응접근을 적용하여 초기 회기(1~4회기)에 큰 증가율이 나타났다. COPM의 수행도는 중재 전에 비해5.80, 만족도는 7.00의 증가가 나타났다. 또한 보호자 인터뷰를 통한 프로그램 만족도에서 높은 점수가나타났다. 결론 : 작업기반 중재는 신경발달장애 아동의 작업수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방법이며, 수행도 및 만족도, 프로그램 만족도에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 KCI등재

        ADHD 아동을 위한 부모훈련 중재의 효과 연구 : 메타분석

        라대엽,박혜연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2020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Vol.18 No.1

        목적 :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의 증상을 완화시키는 데 있어 부모 훈련 중재(Parent Training Intervention)의 효과를 분석하고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그 근거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 2009년부터 2019년까지 10년간 해외 학술지에 게재된 문헌을 Proquest, Scopus 데이터베이스를 통하여 수집하였다. 검색용어는 (ADHD OR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Parent OR Mother OR Father) AND (Training OR Program OR Therapy OR Intervention) AND (Randomized OR Randomised OR Randomly)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질적 평가를 위해 PEDro척도를 활용 하였고, Comprehensive Meta-Analysis 3.0을 통해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1차 검색된 628개의 연구를 확인하였고, 최종 20개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ADHD 아동에 대한 부모 훈련 중재의 전체효과크기(0.431) 및 부모 대상 중재(0.391), 부모-아동 대상 중재(0.639)는 모두 중간 효과크기 로 나타났다. 부모 대상 중재는 ADHD 증상-과잉행동 및 충동성(0.921), 아동 행동(1.075), 아동 정서 (0.834)에서 큰 효과크기가 나타났으며, 부모-아동 대상 중재는 ADHD 증상-과잉행동 및 충동성(0.922), 아동 정서(1.335), 반항성 및 품행장애(2.555), 학교 기능 및 사회기술(0.990)에서 큰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이질성 검정 결과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 랜덤효과모형을 선택하였다. 결론 : 부모 훈련 중재가 ADHD 아동의 증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 수 있었다. 이는 작업치료사에게 임상적 근거를 제공하기 위한 근거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추후에는 국내실정에 맞는 부모 훈련 중재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parent training interventions in reducing the symptoms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and to provide a basis for the effects. Methods : We collected literature published in international academic journals from 2009 to 2019 through ProQuest and Scopus databases. The search key terms were (ADHD OR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Parent OR Mother OR Father) AND (Training OR Program OR Therapy OR Intervention) AND (Randomized OR Randomised OR Randomly). The PEDro scale was used to evaluate the quality of the studies, and a meta-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Comprehensive Meta-Analysis 3.0. Results : Of 628 studies that we reviewed, 20 were eligible for inclusion. of parental training interventions for children with ADHD appeared close to a medium effect size while parent-child interventions (0.639) appeared to have a medium to large effect size. Oppositional defiant behavior and conduct disorder (0.737) in children and children's emotions (0.679) appeared close to a large effect size. ADHD symptoms hyperactivity and impulsivity (0.590) and child behavior (0.521) appeared to be over a medium effect size. We chose a random-effects model since heterogeneity tests showed significant results. Conclusion : We were able to confirm the effects of parent training interventions on the symptoms of children with ADHD. This will be used as evidence to provide a clinical basis for occupational therapists. More research related to parental training interventions should be carried out to ensure better reporting in the future.

      • KCI등재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의 청각행동특성과 사회성과의 관계

        장기연,이헌주,김길순,라대엽,장애정,신숙연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2014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Vol.12 No.2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bout what autistic-spectrum disorder child’s relationship between the sensory process types, the auditory behavioral characteristic and sociality Methods : The study performed from May to June, 2014. Targeting 15 children diagnosed as the autistic spectrum disorder and other 11 children suspected as having the autistic spectrum disorder in their ages of full 2-14 years old. This study used the Auditory Behavioral Checklist, Ewha-Check List for Autistic Children, Social Maturity Scale, School Function Assessment and sensory profile. For the data analysis,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SPSS 18.0. Results : Fir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nsory process type and the auditory behavior, the preschool children and the school children showed some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hearing in the background noise and the communication, respectively. Second, the hearing in the background noise and the communication showed some meaningful relationship with sociality. Conclusion : The occupational therapists need to investigate effects of the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with sensory diet to improve sociality. 목적: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감각처리유형, 청각행동특성, 사회성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은 만 2~14세까지의 자폐스펙트럼장애로 진단 받거나 의심되는 아동 26명을 대상으로 2014년 5월부터 6월까지 실험하였다. 검사도구는 감각력검사, 청각행동특성검사, 이화자폐아동 행동발달평가검사, 사회성숙도검사, 학교기능검사를 사용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 18.0을 사용하였다. 결과 : 첫째, 감각처리는 청각행동특성에서 학령전 아동은 배경소음속듣기와 학령기 아동은 의사소통과 통계적으로 유의미 했다. 둘째, 배경소음속듣기와 의사소통은 아동의 사회성과 관련이 있었다. 결론 : 작업치료사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사회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감각통합치료를 지속적으로 적용,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