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주도 안덕계곡에 분포하는 식물의 생활형에 관한 연구

        최영은 ( Choi Young-eun ),김창환 ( Kim Chang-hwan ),권용호 ( Kwon Yong-ho ),두하은 ( Doo Ha-eun ) 한국도서(섬)학회 2018 韓國島嶼硏究 Vol.30 No.2

        제주도 남제주군 안덕계곡에 분포하는 식물의 생활형 분석을 위해 생활형을 휴면형, 지하기관형, 산포기관형의 3개 유형으로 세분하여 분석하였다. 휴면형은 조사된 420종 중에서 지상식물이 87종, 20.71%로 가장 많은 식물이 분포하고 있으며, 반지중식물, 일년생식물이 각각 79종, 18.81%와 75종, 17.86%로 비슷한 분포비율을 보였다. 또한 지중식물이 66종, 15.71%, 미소지상식물이 54종, 12.86%로 비교적 많은 종이 분포하고 있었다. 지상식물이 분포하고 있는 곳의 하층식생은 상록관목들이 자라고 있기 때문에 미소지상식물의 분포비율도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일년생식물은 인위적 교란과 훼손지역 내에 침투한 외래종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 인간의 활동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착생식물과 수생식물 분포는 안덕계곡의 지형적 특징인 다양한 계곡 암벽의 모양 등이 반영된 결과이다. 수생식물은 안덕계곡의 하천길이가 길고 유량이 풍부하여 수계의 발달이 잘 되어있기 때문에 비교적 많은 수의 수생식물이 분포하였다. 1995년, 2004년, 2017년에 조사된 식물의 휴면형 분포비율을 보면 각각의 휴면형 유형의 종수는 증가했으나 휴면형 유형의 분포비율은 거의 유사한 비율을 보였다. 이것은 안덕계곡의 기후적 조건뿐만 아니라 지형적 조건이 크게 영향을 미친 결과로 보인다. 지하기관형은 단립식물(R5)의 비율이 236종, 56.19%로서 많은 종이 단립식물의 지하기관형을 가지고 있었다. R3유형은 58종 13.81%, R4는 32종 7.62%의 비율을 보였다. 인경, 구경, 괴경, 괴근을 갖는 유형과 근경이 지하로 수직으로 벋는 유형은 분포비율이 매우 낮았으나 다육근은 14종으로서 비교적 많은 수의 식물이 분포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안덕계곡의 하상과 곡벽의 용암류로 이루어진 암반 및 주상절리의 지형조건이 이들 유형의 식물 서식조건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산포기관형은 중력산포형이 168종, 40%로서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었다. 그 다음으로는 풍수산포형이 93종, 22.43%, 동물산포형이 91종, 21.67%의 분포비율을 보였다. 동물산포형, 풍수산포형 등의 분포비율은 지역적 특성 및 지리·지형적 특성을 반영하고 있는데 안덕계곡의 수직절벽이 계곡의 양안을 이루는 계곡의 특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analyze plant life forms of Andeok valley in Nam Jeju-gun(county) of Jeju Island by dividing the life forms into three categories:dormancy form, radicoid form, and disseminule form. Of the total 420 species surveyed, phanerophytes (P) of dormancy form were most prevalent as 87 taxa or 20.71% followed by hemicryptophytes (H) and therophytes (Th) with 79 taxa or 18.81% and 75 taxa or17.86%, respectively. In addition, geophytes (G) and nanophnerophytes (N) were relatively abundant with 66 taxa (15.71%) and 54 taxa (12.86%) respectively. Since evergreen shrub grows on the understory vegetation where P is distributed, the distribution of N was observed to have a fairly high proportion. Th is composed of species, which are introduced by anthropogenic disturbance and alien species invaded. In this context, human activities might affect the distribution of Th. The distribution ratio of chamaephytes (Ch) and hydatophytes (HH) reflects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Andeok valley, which has various shapes of cliffs. As the river length of Andeok valley is long and its stream flow is plentiful,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HH were distributed in the valley. As for the distribution of the plants surveyed in 1995, 2004, and 2017, the number of species of dormancy forms has been increased, while its distribution rate has shown asimilar proportion. This might b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both climate conditions and topographical features. Of propagation forms, R5(non-clonal growth) of radicoid from was predominant as 236 taxa (56.19%), followed by R3 (rthizomatous plants) and R4 (stoloniferous plants) with 58 taxa (13.81%) and 32 taxa (7.62%), respectively. Unlike the percentage of root types, which are bulb, corm, tuber and tuberous root, a fleshy root has a wide variety of plant species with 14 taxa. In terms of disseminule form, D4 (only by gravity) including 168 taxa (40%) was predominant, followed by D1 (disseminated by wind and water) including 93 taxa (22.43%) and D2 (by animals and man) containing 91 taxa (21.67%). The proportion of D1 and D2 reflects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geographical and geomorphological properties, which were influenced by a deep ravine of Andeok valle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