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리포트 문서 제작양식을 활용한 주거자립훈련이 지적장애성인의 화장실 청소기술에 미치는 효과

        도명애,김영준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5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4 No.2

        본 연구는 리포트 문서 제작양식을 활용한 주거자립훈련이 지적장애성인의 화장실 청소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특수학교를 졸업한 이후 비고용의 상태로 가정 내에 머물면서 부모에게 의존하고 혼자 고립된 생활 일과를 지속하는 지적장애성인 세 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실험 환경은 연구 대상들이 실제로 거주하고 있는 가정 내의 화장실(평가 환경)과 방(중재 환경)으로 구성되었고,실험 설계는 단일대상 연구의 기법 중 한 가지인 대상자간 중다간헐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다. 독립변인인 주거자립 훈련에서 활용된 리포트 문서 제작양식은 연구 대상들이 개별적으로 활용하는 공간인 방에 위치한 컴퓨터를 활용하는 것으로 전개되었으며, 컴퓨터 내의 한글문서, 사진파일,프린트기를 통합적으로 활용하는 절차로 역시 이루어졌다. 연구 대상들은 컴퓨터를 통해 리포트 문서를 제작하는 데에 있어 한글문서의 글자쓰기와 표 그리기,사진 파일을 복사하여 한글문서의 표에 붙이기,작업한 한글문서를 컴퓨터 내의 바탕화면 파일에 저장하여 프린트하기,출력된 리포트 문서를 클리어 파일로 파일청하기의 절차를 수행하였다. 또한,본 연구는 연구 대상들의 리포트 문서 제작과정에 대한 반응촉진으로 구성된 지침서 역시 중재요소로 활용하였다 종속변인(목표행동)인 화장실 청소기술은 총 10가지 단계로 과제분석되었다. 연구 결과,연구 대상들은 중재프로그램을 통해 화장실 청소기술을 효과적으로 습득 및 유지한 것으로 나타 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residental independence training using report document format on bathroom cleaning skill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three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taying at home as unemployed after graduating from special high school and continuing isolated daily activities dependent on parents were selected as subjects of this study. The experimental environment comprised of bathroom (evaluation environment) and bedroom (intervention environment) in the actual residence of subjects. For the experimental design,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was used as one of single-subject design research techniques. Report document format, an independent variable used in residential independence training, involved the use of personal computer available in the bedrooms of subjects. The procedure included combined use of Korean word processor, image file and printer on PC. While preparing for report document on PC, subjects performed typing of letters and drawing of a table on Korean word processor, copying and attachment of an image file into the table on Korean word processor, saving the created document as a file on the desktop, printing the document, and filing the printed document as clear file. In addition, a guideline lor facilitating response of subjects to the report document making process was also used as an intervention factor. Task analysis was performed on bathroom cleaning skill as a dependent variable (target behavior) in 10 steps. As a result, subjects were found to effectively acquire and maintain bathroom cleaning skill through the intervention program.

      • 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대처방식

        도명애 한국특수교육학회 2010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10 No.-

        본 연구는 유치원에서 일반학급과 통합학급을 담당하고 있는 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대처방식을 구체적으로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부산시, 대구시, 울산시, 경북,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210개 기관의 유치원교사 40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그들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식을 밝히면서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식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정도는 교사 모두에게 평균이상으로 높다. 직무스트레스를 비교 분석하면 학부모와의 관계에서 가장 높은 스트레스 수준을 보이고, 교사 자신의 내적 갈등, 스트레스의 신체적 증상, 영유아행동, 시간 관리상의 어려움, 행정적 관리자와의 관계, 스트레스의 심리/정서적 증상, 교사 상호간의 관계 순으로 나타났다. 1) 교사의 배경 변인별 직무스트레스에 있어서, 연령변인은 교사의 연령이 낮을수록 스트레스 수준이 높고, 종교변인은 종교가 있는 교사보다 종교가 없는 교사에게 직무스트레스 수준이 약간 높다. 교육경력 변인에서 유치원 교사는 5~10년 경력에서 가장 높고, 연수경험 변인은 연수경험이 없는 교사에게서 직무 스트레스 수준이 높다. 2) 유아의 배경 변인별 및 교육 환경에서는 유아의 발달정도가 경도, 유아수가 3명, 학급유형은 통합학급교사 모두에게 학부모와의 관계에서 높게 나타났고, 통합학급 교사에게 교사내적 갈등, 학부모와의 관계, 스트레스로 인한 신체적 증상에서 유발되는 직무스트레스 수준이 높다. 둘째. 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식 수준이 교사 모두에게 높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소망적사고 추구, 정서 완화적 지지 추구, 문제 중심적 대처, 정서 완화적 대처 순으로 나타났다. 1) 교사의 배경 변인별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식에서 연령변인은 40대에서 정서 완화적 대처이고, 20대에서 문제중심적 대처에서 높게 나타났다. 종교변인은 종교가 없는 교사 모두에게 문제 중심적 대처이고, 종교가 있는 교사는 사회적 지지 추구와 소망적사고 추구가 높게 나타났다. 경력변인에 있어서 교사는 정서 완화적 대처에서 높게 나타났고, 특수교육관련 연수경험에서는 연수에 참여한 교사 모두에게 정서 완화적 대처가 높게 나타났다. 2) 유아의 배경 변인별 및 교육환경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식에서, 발달지체 중도인 유아에게 교사는 정서 완화적 대처에서 높게 나타났고, 발달지체를 가진 영유아수 3명 이상의 통합학급 교사에게서 정서 완화적 대처가 높게 나타났다. 학급유형에서는 통합학급을 담당하는 교사에게 정서 완화적 대처에서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식간의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대처방식 하위영역에 있어서, 문제 중심적 대처에서는 교사 상호간의 관계, 사회적 지지 추구에서는 신체적 증상, 정서 완화적 대처 및 소망적사고 추구에서는 학부모와의 관계에서 정적 상관관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 제시된 유치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식에 대한 기준은 유치원에서 실행하기 위한 기준 항목중심으로, 교사를 위해 실천사항을 구조화하여 제시하였다. 이 연구가 유치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식에 기초자료가 되기를 바라며, 교사의 정신건강과 삶의 질적 향상위한 포괄적인 정보가 될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식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 개별적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연구 동향 분석 : 초등학생 대상 국내연구를 중심으로

        도명애,서석진,이수진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구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018 정서 학습장애아교육 학술발표회 Vol.2018 No.1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개별적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국내 실험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2000년부터 2017년까지 발표된 논문 중에서 등재지, 등재후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총 24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분석 범주는 연도, 학술지, 연구설계, 대상자 장애유형, 중재방법, 중재목표의 6가지 범주로 하였는데 이에 따른 결과를 표로 만들어 제시하였다.

      • KCI등재

        유아교육교사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대처방식

        도명애,유현숙 한국정서ㆍ행동장애아교육학회 2011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7 No.2

        이 연구는 유아교육교사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대처방식을 구체적으로 비교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부산시, 대구시, 울산시, 경북,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420개 기관의 유아교육교사 8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유아교육교사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대처방식은 소망적 사고 추구, 정서 완화적 추구, 문제 중심적 대처, 정서 완화적 대처 순으로 나타났다. 1) 유아교육교사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대처방식에서 연령변인은 어린이집교사는 40대에서 정서 완화적 대처, 유치원 교사는 20대에서 문제 중심적 대처에서 높게 나타났고, 종교변인은 종교가 없는 교사 모두에게 문제 중심적 대처, 종교가 있는 어린이집 교사는 소망적 사고 추구, 유치원 교사는 사회적 지지 추구와 소망적 사고 추구가 높게 나타났다. 경력변인에 있어서, 10년 이상 어린이집교사는 사회적 지지 추구 대처, 유치원 교사는 정서 완화적 대처에서 높게 나타났고, 특수교육관련 연수경험에서는 연수에 참여한 유아교육교사 모두에게 정서 완화적 대처가 높게 나타났다. 2) 유아배경 및 교육 환경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대처방식에서, 발달지체 중도인 영유아에게 어린이집교사는 사회적 지지 추구, 유치원교사는 정서 완화적 대처에서 높게 나타났고, 발달지체를 가진 영유아수 3명 이상의 통합학급 교사에게서 정서 완화적 대처가 높게 나타났다. 학급 유형에서는 통합학급을 담당하는 어린이집 교사에게 소망적사고 추구, 유치원 교사에게 정서 완화적 대처에서 높게 나타났고, 기관유형에서는 어린이집 일반 학급교사에게 정서 완화적 대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가 유아교육교사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대처방식에 기초자료가 되기를 바라며, 유아교육교사의 정신건강과 삶의 질적 향상위한 포괄적인 정보가 될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식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concrete investigation into the job stress and the coping strategies of the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800 teachers from 420 early childhood educational facilities in the Cities of Busan, Daegu, Ulsan and the Provinces of Kyungbuk and Kyungnam.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ope with the job stress with high skill, which appeared as wishful thinking, emotional relievable seeking, problem-centered coping strategy, and emotional relievable coping strategy. The teachers of the day care center in their 40's highly take emotional relievable strategies, while those in their 20's of the kindergarten cope with the job stress problem-centered. Teachers with no religion handle their job stress with problem-centered strategies, while those with religion in day care centers pursue wishful thinking, and in kindergarten, social support seeking strategy and wishful thinking strategy. The day care center teachers within 10 year above experiences seek social support highly, while kindergarten teachers take emotional relievable strategies, which also show high to all those who practiced special educational program. According to the variable study of the child's background and educational environment, the day care center teachers highly seek social support, while the kindergarten teachers take emotional relievable strategies. Teachers with more than 3 disabled children take emotional relievable strategies in both of the day care centers and the kindergartens. The day care teachers in integrated classes take wishful thinking strategies, while the kindergarten teachers seek emotional relievable strategies. The variables by the types of educational facilities showed the highest coping strategies in emotional relieving among the teachers in regular classes. The study can provide foundational resources to problem-solving concerning the job stress and the coping strategies, and the more future research with various job stress and the coping strategies accordingly is to be required for more informational and specific knowledge in the field.

      • KCI등재

        통합학급과 일반학급 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식

        도명애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0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ccomplish a concrete investigation into the job stress and the coping strategies of the teachers in integrated class and in general clas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00 teachers from 210 early childhood educational facilities in the Cities of Busan, Daegu, Ulsan and the Provinces of Kyungbuk and Kyungnam to explain the job stress and the coping strategies, and therefore, to analyze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two.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job stress level is high above the average to all the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analysis shows the highest level of job stress in the teachers' inner self-conflicts, relationship with the parents, following the relationships with parents, physical symptoms from the stress, constraints of time management, child's behavior, the relationship with managerial administrator, symptoms of physical/emotional stress out and mutual relationship with teachers. Secondly, the level of coping strategies with the job stress is high to all the teachers in integrated class and in general clas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of which the strategies appeared to be wishful thinking, emotional relievable seeking, social support seeking strategy and problem-centered coping strategy. Thirdly, there is high correlations between the job stress of the teachers and their coping strategies in integrated class and in general clas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study indicates the highes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mutual teachers' relationships and problem-centered coping strategy, the symptoms of physical stress and social support seeking strategies, and finally the relationships with the parents and wishful thinking strategies. 본 연구는 통합학급과 일반학급을 담당하고 있는 유치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대처방식을 구체적으로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부산시, 대구시, 울산시, 경북, 경남 지역을 중심으로 210개 기관의 유치원 교사 400명으로, 그들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식을 밝히면서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식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학급과 일반학급 유치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정도는 모두에게 평균이상으로 높다. 직무스트레스를 비교분석하면 교사자신의 내적갈등에서 가장 높은 스트레스 수준을 보이고, 학부모와의 관계에서 스트레스의 신체적 증상, 시간관리상의 어려움, 유아행동, 행정관리자와의 관계, 스트레스 심리/정서적 증상, 교사 상호간의 관계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통합학급과 일반학급 유치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식 수준이 교사 모두에게 높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소망적사고 추구, 정서 완화적 지지 추구, 사회적 지지추구, 문제 중심적 대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통합학급과 일반학급 유치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식 간의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대처방식 하위 영역에 있어서, 문제 중심적 대처에서는 교사 상호간의 관계, 사회적 지지 추구에서는 신체적 증상, 정서 완화적 대처 및 소망적사고 추구에서는 학부모와의 관계에서 정적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 KCI등재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국내 학술지 연구 동향

        도명애(Do Myung Ae),서석진(Seo Seok Jin),박채진(Park Chae 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자료수집과 분석은 2017년 9월부터 11월까지 두 달 동안 이루어졌다. 분석 논문은 총 104편이었고, 학술 분야, 연구방법, 스마트폰 중독을 발생시키는 원인, 스마트폰 중독으로 인해 발생하 는 결과를 분석 변인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은 사회과학 분야에서 가장 많이 연구되었고, 양적연구가 101편으로 가장 많았는데 그 중에서 조사연구가 92.3%를 차지하고 있었다. 둘째, 스마트폰 중독을 발생 시키는 원인은 개인 정서 및 행동 관련 요인에서 낮은 자기 통제력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스마트폰 중독으로 인한 결과는 개인 관련 요인의 비율이 가장 높았는데 그 중에서 우울 발생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를 제시한 후,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으로 융복합 연구, 스마트폰 중독 중재 실험연구, 스마트폰 중독 조기진단 연구, 스마트폰 중독 치료를 위한 다중체계적 접근 연구 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research trends on a university student’s addiction to Smartphone. Data collection & analysis were done for two months from September until November, 2017. The number of the papers for analysis was 104 in total, and this study set the academic area, research method, cause of addiction to Smartphone, and effect of addiction to Smartphone as analysis variable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university student’s addiction to Smartphone was found to be researched the most in social science field, and quantitative researches were found to be the most with 101 papers, among which a survey research accounted for 92.3%. Second, concerning the cause of addiction to Smartphone, low self-control was found to be the most in personal emotion and behavior-related factors. Concerning the effect of addiction to Smartphone, the proportion of individual-related factors was found to be the highest, among which the occurrence of depression was found to be the most. After presenting the research results as above, this study presented the convergence research, Smartphone-addiction intervention experimental research, Smartphone addiction early diagnosis research, and multi-systematic approach research for Smartphone addiction therapy, etc. as a proposal for follow-up researches.

      • KCI등재

        역할놀이가 자폐성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및 놀이참여에 미치는 영향

        도명애 ( Myung Ae Do ),김성애 ( Sung Ae Kim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07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교육환경에서 역할놀이가 일반유아와 자폐성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자발적 놀이 참여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병원에서 자폐성 진단을 받은 유아 3명과 일반 유아17명 대상으로 역할놀이를 AB실험으로 실시하였다. 실험기간은 총 29회로 기초선 기간 1주에 1회씩 4주 동안 4회기, 중재기간은 1주에 3회식 7주 동안 21회기, 그리고 3주 동안 휴식기를 가진 후 유지기간은 1주에 1회씩 4주 동안 4회기 실시한 실험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통합 환경에서 역할놀이가 자폐성 유아 3명 모두 기초선 단계에서 보이지 않았던 사회적 상호작용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로 통합 환경에서 역할 놀이가 자폐성 유아의 놀이참여에 효과적이었다. 이상의 내용을 정리해 보면 본 연구는 통합된 환경에서의 역할놀이가 자폐성 유아와 일반유아와 긍정적 사회적 상호작용과 놀이참여에 미치는 효과가 중재 기간이 끝난 후에도 계속 유지되거나 더 증가함을 볼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로 자폐성 유아와 일반유아와 통합 환경에서 역할놀이 교육이 아주 중요함을 느끼며 다양한 놀이를 통한 통합교육의 기회를 계속 확대되어야겠다. This is research sought to determine whether it produced an affirmative effect to allow autistic young children with defects in developing sociability where both they and ordinary children did role-playing in a combined educational environment, to provide them with opportunities to have social interaction. Joining this research were three children diagnosed with autism as well as 17 ordinary children. AB experimental design was used to allow autistic and ordinary children to do role-playing. The basic phase had four sessions during a 4-week period, the arbitration period had a total of 21 sessions during a 7-week period with each week having three sessions, and then a three-week repose period was given before having a 4--week maintenance phase with 4 sessions. The research came out with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three autistic children enhanced affirmative interaction, and reduced negative interaction, through role playing in a combined environment. Second, role-playing in an combined environment had an affirmative effect on three autistic children. These research results indicated that role-playing among autistic and ordinary children in a combined environment can enhance interaction among them and serve as an effective play program. The research likewise found that if autistic children are guided on effective role-playing programs fitting their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in a combined environment, this can serve as an alternative measure to enhance social interaction between autistic and ordinary children.

      • 긍정적 행동지원 연구 동향

        도명애(Myung Ae Do),서석진(Seok Jin Seo),이수진(Soo Jin Lee) 한국특수교육학회 2019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

        본 연구는 유아 및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된 긍정적 행동지원 관련 국내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여, 이후의 긍정적 행동지원 실행에 관한 전망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2003년부터 2018년까지 국내의 등재후보 학술지 및 등재학술지에 게재된 76편의 연구들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기준은 긍정적 행동지원 동향을 분석한 선행연구들을 참고한 후, 결정하였다. 분석 기준은 연도, 학술지, 대상자 장애 유형, 대상자 연령, 대상자 수, 대상자 성별, 연구 설계 형태, 중재환경, 기능평가 방법, 중재방법, 행동유형, 이렇게 11가지로 하였다. 이 11가지 기준에 따라 연구동향을 분석한 후, 그에 따른 결과 및 논의 사항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단계적 점검 훈련이 지적장애인의 청소기술에 미치는 효과

        김영준,도명애 한국자폐학회 2015 자폐성 장애연구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tepwise monitoring training for each daily task on cleaning skills of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three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maintaining work life as part-time production workers after graduating from majoring course of special school were selected as subjects. The experimental environment consisted of spaces used by the subjects for each daily task such as living room and veranda at home, employee lounge at work, and bedroom at home. The experimental design used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as one of single subject research techniques. Stepwise monitoring training for each daily task, an independent variable, was organized into three steps of application and method by classifying daily tasks of the subjects into three types. An instructor performed an intervention procedure by conducting lectures at home and work of the subjects. In the monitoring training step 1, monitoring was done on ecological environment, drawing picture, and sentence statement through task analysis table. In the monitoring training step 2, monitoring activities were linked to pocket notebook data created in the step 1. Also in the monitoring training step 3, final monitoring activities were linked to pocket notebook data created in the step 2. The target behavior of cleaning skills is an ability of the subjects to clean living room at home using a vacuum cleaner and spin mop dry cleaner.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found to effectively acquire, maintain and generalize the target behavior through the intervention program. Lastly in this study, implications of functional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were discussed and suggested. 본 연구는 단계적 점검 훈련이 지적장애인들의 청소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특수학교 전공과 졸업 이후 생산직 파트타임으로 직장생활을 유지하고 있는 지적장애인 세 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실험 환경은 연구 대상들이 생활일과별로 활용하는 공간인 가정 내 거실 및 베란다, 사업체 내 직원 휴게실, 가정 내 방으로 구성되었으며, 실험 설계는 단일대상연구의 한 가지 기법인 대상자간 중다간헐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다. 독립변인인 단계적 점검 훈련은 연구 대상들의 생활일과를 3가지로 분류하여 점검훈련의 적용 형태와 방법을 3가지의 단계로 구성하였다. 교수자가 연구 대상들이 생활하는 가정과 사업체를 방문하는 수업 방식으로 중재의 절차가 실시되었다. 1단계 점검훈련에서는 생태학적 환경 점검, 그림 그리기 점검, 과제분석표의 점검을 통한 문장 진술이 구성되었고, 2단계 점검훈련에서는 1단계에서 제작한 수첩 자료와 연계한 점검활동이 구성되었다. 또한, 3단계 점검훈련에서는 2단계에서 제작한 수첩 자료와 연계한 마무리 점검활동이 구성되었다. 목표행동은 연구 대상들이 실제로 거주하는 가정 내의 거실을 진공청소기와 회전 밀대 탈수 청소기로 청소하는 기술이다. 연구 결과, 연구 대상들은 중재프로그램을 통하여 목표행동을 효과적으로 습득하고 유지 및 일반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는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의 기능적 관계가 기능적으로 시사하는 바를 중심으로 논의 및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