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7세기 湖南 在野知識人, 金萬英(1624~1671)의 생애와 經世論

        노춘수 조선시대사학회 2023 朝鮮時代史學報 Vol.- No.106

        본 논문에서는 17세기 全羅道 羅州의 在野知識人이었던 金萬英(1624~1671)의 생애와 經世論을 살폈다. 김만영의 생애는 壬辰倭亂(1592)과 仁祖反正(1623)의 여파, 丁卯胡亂(1627), 丙子胡亂(1636), 己亥禮訟(1659) 등 조선의 정치ㆍ사회적 격변과 궤를 같이 하고 있다. 김만영은 朴淳家ㆍ羅士沈家ㆍ高敬命家ㆍ李後白家 등 호남의 문벌 가문들과의 척연 및 사승관계를 형성하고 있었고, 학문ㆍ사회적 좌표 또한 花潭ㆍ南冥學의 영향권 속에 자리하고 있었다. 특히 호남에 다녀 온 관찰사ㆍ어사로 다녀 온 元斗杓ㆍ閔鼎重ㆍ南九萬 등은 김만영의 학문적 성취에 대해 注視했던 대표적인 인물들이었고, 尹拯 또한 그를 호남을 대표하는 遺逸로 평가했다. 重臣들의 褒啓는 김만영에게 內侍敎官ㆍ洗馬ㆍ司勇 등의 관함이 내려지는 것으로 이어졌고, 김만영은 <感天恩>을 통해 자신을 인정해 준 국왕에 대한 忠心을 절절하게 표현했다. 이를 계기로 환경과 인적 교유에도 일정한 변화가 감지되었고, 학문의 실천성[用]에 대해서도 깊게 고민하는 김만영의 모습이 포착되었다. 김만영의 ≪經世通典≫도 이러한 맥락에서 저술된 것으로 이해했다. 여기에는 국가 운영에 대한 김만영의 여러 주장들이 소상하게 수록되어 있다. 물론 그의 경세론이 정책으로써 입안되지는 못했지만, ‘17세기 湖南’이라는 시간과 공간 그리고 ‘김만영’이라는 인간이 경험한 사회ㆍ학문적 변화가 농축된 저술이라는 점에서 일정한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paper, the life and Administration theory of Kim Man-young(1624-1671), a field intellectual in Naju in the 17th century, were examined. Kim Man-young's life is in line with Joseon's political and social upheavals, including the aftermath of the Imjin-War(壬辰倭亂, 1592) and the Injo Rebellion(仁祖反正, 1623), Jeongmyo-Horan(丁卯胡亂, 1627), Byeongja-Horan(丙子胡亂, 1636), and Kihae Ye-song(己亥禮訟, 1659). He formed a close relationship with Honam's noble families, such as Park-soon ga(朴淳家), Na-sachim ga(羅士忱家), Go-gyeongmyeong ga(高敬命家), Lee-hubaek ga(李後白家), and formed a marriage and masters-pupils relationship through it. In particular, Won Doo-pyo(元斗杓), Min Jeong-jung(閔鼎重), and Nam Gu-man(南九萬), who have been to Honam as observers and envoys were representative figures who observed Kim Man-young's academic achievements, and Yoon Jeung(尹拯) also evaluated him as a representative shadow intellectual of Honam. The praise of the vassals led to Kim Man-young being given office. Kim Man-young expressed his loyalty to the king and the court who recognized him through poetry(感天恩). As a result, a certain change in environment and social intercourse was detected. This change was to consider the practice of the academic career. It was understood that Kim Man-young's ≪Gyeongse-Tongjeon≫(經世通典) was also written in this context. It contains in detail Kim Man-young's various arguments for state management. Although his theory of economic affairs did not have a policy effect, it could be given a certain meaning in that it contains the time and space of “17th century Honam” and the human change of “Kim Man-young”.

      • KCI등재

        崔奎瑞의 생애와 정치활동

        노춘수 조선시대사학회 2022 朝鮮時代史學報 Vol.- No.102

        본 논문에서는 숙종대 소론계 관료였던 崔奎瑞의 생애와 정치활동을 살폈다. 최규서의 생애는 숙종대 老․少 分岐와 換局, 경종대 忠逆是非, 영조대 戊申亂 등 조선후기 정치 지형의 격변과 궤를 같이 했음에도 충분한 규명이 이뤄지지 못했다. 최규서는 세종대 집현전 학사로 활동했던 崔萬理의 10세손이며, 선조~인조대 三唐詩人으로 명망을 떨친 崔慶昌의 玄孫이다. 본문은 먼저 최규서의 가계를 살피고, 회고록인 <病後漫錄>을 통해 修學期의 인적 교유망을 확인했다. 큰 틀에서는 서인의 정파성을 표방하고 있었지만, 소론의 경향성을 내재하고 있었음을 확인했다. 3장에서는 숙종대 최규서의 정치활동을 규명했다. 회니시비 당시 최규서는 羅良佐 및 조정의 소론계 관료를 옹호하면서 소론의 색목을 견지하기 시작했다. 한편 숙종의 過言은 최규서로 하여금 정치적 운신의 폭을 좁혔고 1699년(숙종 25)에 예조판서를 끝으로 宦路에서 退去했다. 최규서가 남긴 기록과 名士들의 평론을 통해 出處에 대한 분석을 시도했다. 또한 경종대 충역시비에서 견지했던 중립적 태도는 保身策이자, 金一鏡으로 대별되는 峻少 세력과의 정치적 遊離를 내포하고 있음을 규명했다. 마지막으로 영조대 최규서의 정치적 역할을 살펴보았다. 최규서는 ‘戊申亂 최초 고변’을 통해 반란의 事體를 양성화시켰다. 이는 소론 내부에서 최규서가 가지는 정치적 비중을 재확인한 계기였고, 死後 贈諡 논의에서도 쟁점적인 행적으로 논의되었다. 또한 정조대 英祖廟庭 配享功臣으로 선정된 것은 ‘영조-최규서’의 정치적 유대관계를 국가적으로 提高․認准한 것이었다.

      • KCI등재

        海原君 李健의 流配를 통해 본 조선후기 宗親의 존재 양상

        노춘수 한국서원학회 2023 한국서원학보 Vol.17 No.-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examine the exile of the Joseon Dynasty in terms of political, life, and cultural history through the examples of Inseong-gun Lee Gong(仁城君 李珙), and Haewon-gun Lee Geon(海原君 李健). First, in this paper, the family relationship of Lee-geon and the cause of his exile were examined. The so-called Lee Geon family was professing for a Nam-In[Cheong-nam] in a large framework, He also formed a marriage relationship with King Yeongjo's queen's family and politically important families. Lee Gong is the seventh child of a concubine of King Seonjo, and his mother is Jeong Bin(靜嬪閔氏). During the King Seonjo, engineers were in charge of all affairs of the royal family and were seen taking the lead in major political issues(癸丑獄事, 戊午庭請). After Injo-banjeong(仁祖反正), Lee Gong became politically disadvantaged. Even though King Injo wanted to protect him, he exiled Lee Gong to Jindo island(珍島) at the strong demands of many of his vassals. Public opinion continued to punish Lee Gong, and after four months of exile, King Injo ordered Lee Gong to commit suicide. After Lee Gong's death, his third son Lee Geon was exiled to Jeju island(濟 州) along with his eldest brother Haepyeong-gun Lee Gil(海平君 李佶) and his second brother Haean-gun Lee Eok(海安君 李億). What is noteworthy is that Lee Geon's eight years of exile in Jeju and his actions in the evacuation(The Manchu War in 1636) after being moved to Yangyang(襄陽) are recorded. Although previous research has provided some insight into Lee Geon's experiences at the time of his exile, it is judged to have the limitation of not providing a comprehensive view of Lee Geon's exile. Accordingly, in this paper, we closely examined the circumstances and reality of his exile, focusing on Lee Geon's records(<濟襄日錄>・<濟州⾵⼟記>・<道路⾏程記>), based on the political situation between Gwanghaegun and King Injo. Although Lee Geon is a character with inherent special characteristics as a royal, the 10 years of exile he experienced clearly shows the turbulence experienced by a person who lived between Gwanghaegun and Injo. This is why Lee Geon's exile must be analyzed in various contexts, including politics, life, and culture. 본고에서는 海原君 李健의 流配를 통해 조선후기 宗親의 존재 양상을 살펴보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먼저 본고에서는 이건의 家系와 流配 경위를 살폈다. 이건家 는 큰 틀에서 南人[淸南]을 표방하고 있었고, 外戚 혹은 相門[大丘徐氏 徐文道家・ 光州盧氏 盧守愼家・同福吳氏 吳端家・靑松沈氏 沈之源家・海州崔氏 崔奎瑞家]과도 혼맥을 형성하고 있었다. 이건의 生父인 仁城君 李珙은 宣祖의 庶7子로 어머니는 靜嬪閔氏이다. 宣祖代 이공은 宗室의 제반 要務를 관장했고, 癸丑獄事(1613)와 戊午庭請(1618) 당시에는 종실을 대표하여 ‘廢母殺弟’를 극력 주창한 인물이었다. 仁祖反正(1623) 이후 이공은 정치적 守勢 국면에 맞닥뜨렸다. 특히 인조 초반의 여러 獄事에서 이공이 거론되었지만, 인조는 숙부 이공을 철저하게 비호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그러나 이공을 둘러싼 治罪 政論이 반정 이후 5년 동안 지속되었고, 인조 또한 政務를 볼 수 없는 상황으로 치닫게 되면서, 이공에게 自決을 명했고 이공은 1628년(인조6) 5월 두 번째 유배지였던 珍島에서 자결했다. 이공이 자결한 이후, 그의 3남 이건은 伯兄 海平君 李佶・仲兄 海安君 李億과 함께 濟州로 出置되었다. 주목할 부분은 이건이 경험한 8년의 제주 유배생활과 襄陽移配 이후에 겪었던 避亂[丙子胡亂] 여정이 기록으로 남아있다는 것이다. 선행연구를 통해 유배 당시 이건의 聞見에 대해서는 일정한 규명이 이뤄졌지만, 이건의 유배를 전체적으로 조망하지 못한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고 판단된다. 이에 본고에서는 光海君~仁祖代 정치상을 바탕으로 이건의 <濟襄日錄>・<濟州風土記> 등을 중심으로 유배 경위와 실상을 면밀히 검토하고자 했다. 이건은 ‘종친’이라는 특수성을 내재하고 있는 인물이지만, 인조반정 이후 정치적 곡절을 겪었던 이들에 국한해서는 일정한 보편성을 가지는 인물로 생각된다. 이건의 유배가 정치・생활・문화 등 다양한 맥락에서 분석되어야 하는 이유도 여기에있는 것이다.

      • 이동로봇의 실시간 궤적제어

        석진환,오세봉,노춘수,한성현 한국공작기계학회 2009 한국공작기계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09 No.-

        This paper Proposes the travelling technique which is safe considerations in the collision of the obstacle in hidden range of vision information with character and in this research obstacle escape suddenly and fixed quantity in course Plans Division collision evasion control are applied. The course plan law range of vision if security from creates the course which is the possibility of moving quickly does as a favor, the speed control technique restricts the maximum speed from the foul territory and travelling which is safe possibly.

      • 이동로봇의 장애물회피 주행기술개발

        이우송,오세봉,노춘수,안용근 한국공작기계학회 2008 한국공작기계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08 No.-

        This paper Proposes the travelling technique which is safe considerations in the collision of the obstacle in hidden range of vision information with character and in this research obstacle escape suddenly and fixed quantity in course Plans Division collision evasion control are applied. The course plan law range of vision if security from creates the course which is the possibility of moving quickly does as a favor, the speed control technique restricts the maximum speed from the foul territory and travelling which is safe possibly.

      • 이동로봇의 음성인식기반 무인 원격제어

        김윤구(Wn-Goo Kim),노춘수(Chun-Su Roh),박세진(Se-Jin Park),한성현(Sung-Hyun Han) 한국생산제조학회 2006 한국공작기계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06 No.-

        In this paper it is presented a new approach to the design of cruise control system of a mobile robot with two drive wheel. The proposed control scheme uses a Gaussian function as a unit function in the fuzzy neural network, and back propagation algorithm to train the fuzzy neural network controller in the framework of the specialized learning architecture. It is proposed a learning controller consisting of two neural network-fuzzy based on independent reasoning and a connection net with fixed weights to simply the neural networks-fuzzy.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controller is shown by performing the computer simulation for trajectory tracking of the speed and azimuth of a mobile robot driven by two independent whee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