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오세암」 설화의 심층의미와 아동문화콘텐츠로의 변용에 관한 연구

        노제운 ( Je Un Noh ) 민족어문학회 2010 어문논집 Vol.- No.61

        이 논문은 「오세암」 설화의 심층의미를 분석하고, 설화에서 창작동화로, 다시 애니메이션으로의 변용과정을 거치면서 원화(原話) 혹은 원작의 본래의 의미가 어떻게 변화되었으며, 그것이 작품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를 탐색하기 위해 쓰였다. 설화에서는 `스님과 조카’, `어머니와 관세음보살’, 숫자 `5`와 `아이’, `눈’과 `암자’의 상징적 의미를 통해 다섯 살 배기 아이가 명승(名僧)인 스님과 분리되어 `성불(成佛)`하는 일련의 과정을 자아가 페르조나로부터 분리되어 ‘본연의 나’를 찾는 ‘자기실현’의 과정으로 해석하였다. 동화에서는 설화의 원형을 보존하면서도 ‘동화’라는 장르에 맞게 아이의 성격을 확고히 하여 스님과 대립구도를 형성함으로써 흥미를 유지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애니메이션에서는 ‘자기실현’에 ‘어머니’라는 또 하나의 지향점이 추가됨으로써 이야기의 흐름이 분산되었으며, ‘어머니와의 분리’를 전제로 성숙을 이루는 아동문학의 규범적인 서사구조가 구현되지 못한 것을 확인하였다. 선행연구와 비교할 때, 동화와 애니메이션이라는 두 변용물의 차이점을 스토리 비교에서 찾지 않고, 원 소스인 설화에 대한 심리적 접근을 통해 근원적인 이유를 탐색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이 논문의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This paper is written to analyse the deep meaning of the folk tale `Oseam`, to explore how the meaning of the original tale or work was changed through modification process from folk tale to children`s story and from children`s story to animation and to explore how the change affected the creative fairy tale and animation. In folk tale, through the symbolic meaning of `monk and nephew`, `mother and the Buddhist Goddess of Mercy`, number `5` and `child` and `snow` and `hermitage`, this paper interpreted the process `attaining Buddhahood` after five-year-old child is separated from monk as the one of `self-realization` that ego is separated from persona and searches `true self`. In fairy tale, this paper grasped that the fairy tale preserved the archtype of the folk tale, revealed the personality of child suitable to the genre `fairy tale` and maintained the interest in the conflicting design with monk. In animation, this paper confirmed that there was no inconsistency by adding another intention point `mother` to `self-realization` and that the canonical epic structure of children`s literature, namely maturity premised on `separation from mother` was not realized. Compared with the previous studies, the significances of this paper are that it didn`t find the difference of modification works such as the children`s story and the animation into the comparison of the story and investigated the deep reason by psychologically accessing to the original source `folk tale`.

      • KCI등재

        고전소설 「심청전」의 애니메이션 「왕후 심청」으로의 변용에 관한 고찰

        노제운(Noh Je-u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0 한국학연구 Vol.35 No.-

        이 글은 고전소설 「심청전」이 애니메이션 「왕후 심청」으로의 변용을 거치면서 원작의 의미와 가치가 어떻게 변화되었으며, 그것이 작품성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탐색하기 위해 쓰였다. 먼저, 고전소설 「심청전」에 대한 검토를 통해 ‘심봉사’는 정체성과 부성성(父性性)을 상실한 인물로서, ‘맹인잔치’와 ‘개안’은 심봉사로 표상되는 무지몽매한 세상에 대한 경종이자 깨우침으로 해석하고, 심청이 비천하고 무력한 소녀에서 숭고한 존재로 성숙하는 과정은 주인공이 애초의 불화의 대상보다 나은 존재가 됨으로써 약자의 승리를 드러내는 동화의 전형적인 패턴과 유사한 점이 있는 것으로 보았다. 이어, 애니메이션 「왕후 심청」에서는 심봉사가 ‘심학구’라는 긍정적 인물로 변형됨으로써 원작의 ‘심청 대 심봉사’라는 갈등의 축이 무너지고, 시종일관 완벽한 심청의 성격은 주인공에 대한 어린이 수용자의 ‘동일시’의 효과를 반감시켰으며, 심학구의 ‘개안(開眼)’이 아닌 심청의 ‘혼인’으로 대단원이 이뤄짐으로써 ‘개안’의 의미가 희석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또한, 심청이 ‘왕후’가 아닌 ‘세자비’가 되고 소극적 태도로 일관함으로써, 제목과 달리 원작의 위엄과 덕을 갖춘 국모(國母)로서의 왕후의 면모가 퇴색된 것을 확인하였다. 선행 연구와 비교할 때, 소설과 애니메이션의 단순 비교를 극복하고, 주요 향유층인 어린이를 고려하여 아동문학의 관점을 유지하면서 시나리오 작법상의 문제들을 원작과의 관계 속에서 구체적으로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이 논문의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This paper is written to analyse, through the modification into the animation 'Empress Chung' of the classical novel 'Shimchungjeon', how the meaning and value of its original work was changed and how the change influenced on its literary value. First of all, through the review about the novel 'Shimchungjeon', this paper verified the following points; 'Blind Shim' is a character who lost the identity and paternity. 'Feast for the blind' and 'Opening his eyes' are the alarm and enlightenment for the unenlightened world being symbolized as Blind Shim. The process, which Shimchung matured from the humble and helpless girl to the noble being, has similarities with the typical pattern of fairy tale that reveals the victory of the weak by being the better existence of main character than the object of disharmony. Subsequently, in the animation 'Empress Chung', this paper grasped that the axis of conflict like as 'Shimchung to Blind Shim' collapsed through the transformation into the positive character 'Shim Hakku' of Blind Shim, that the perfect personality of Shimchung from beginning to end detracted the 'identity' effect of children and that the meaning of 'Opening his eyes' waned because the grand finale came as the 'marriage' of Shimchung, not 'Opening his eyes' of Shim Hakku. Also, this paper confirmed that the appearance of Empress as the mother of the state having dignity and virtue faded away unlike the original work by being a princess, not Empress and with her consistent passive attitude. Compared with the previous studies, the significances of this paper are that it overcame simple comparison between novel and animation and examined concretely the problems of screenplay writing in a relationship with the original work through keeping the viewpoint of children's literature for the main enjoyment class, children.

      • KCI등재

        「나무꾼과 선녀」, 「우렁각시」 설화의 정신분석적 의미 비교연구

        노제운 ( Je Un Noh ) 민족어문학회 2008 어문논집 Vol.- No.57

        이 논문은 서사구조가 유사한 「나무꾼과 선녀」(수탉유래담)와 「우렁각시」(원혼형) 설화를 프로이트와 라깡의 정신분석적 시각으로 분석한 글이다. 이전의 연구들이 각 설화의 유형과 변이양상에 치우친 반면, 이 글은 작품자체에 집중하여 두 설화의 비교를 통해 각 이야기에 숨겨진 심층(深層)의 내밀한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각 이야기의 주인공과 어머니의 관계를 통해 두 주인공이 불행한 최후를 맞이할 수밖에 없었던 근본적인 이유를 이끌어 냈고, 두 주인공이 각각 ``벗은 몸``과 ``우렁이``로서 선녀와 우렁각시를 만난 점에 주목하여 두 주인공의 욕망의 성격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수탉``과 ``새``의 의미를 이들과 대조적인 관계에 있는 ``하늘``과 ``감사``(원님)와의 비교를 통해 파악하였으며, 동물로 퇴행하는 두 주인공들과 달리 ``벌거벗은 몸``에서 하늘의 ``선녀``가 되고, ``우렁``이에서 ``감사의 각시``가 되는 선녀와 우렁각시의 삶의 과정을 라깡의 ``주체화``의 개념을 통해 살펴보았다. 작품의 의미영역을 확장하고 해석에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이 논문의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This paper is to analyze folk tales ``The Woodcutter and the Fairy`` and ``The Periwinkle Bride``, which epic structures are similar, from the psychoanalytic view of Sigmund Freud and Jacques Lacan. While the previous studies lean to the type and transition aspects of each folk tale, this concentrates on the works themselves to explore the deep and secret meanings hidden in each story through comparison of two folk tales. This paper shows the fundamental reason why two main characters meet the unfortunate end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main characters and their Mothers in each story. Also, it examines the personality of desire of two main characters, taking notice of the fact which two main characters met the Fairy and the Periwinkle Bride in a state of ``undressed body`` and ``periwinkle``. In addition, this paper grasps the fundamental meaning of ``the rooster`` and ``the bird``, in comparison with ``the sky`` and ``the magistrate``. It looks around the life process of the Fairy and the Periwinkle, which the ``undressed body`` becomes ``the fairy`` of the heaven and ``the periwinkle`` becomes ``the bride of magistrate``, with the concept of subjectification of Lacan represented through ``spaltung``.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is to expand the meaning field of works and to offer the new viewpoint for their analysis.

      • KCI등재

        구복(求福)여행 설화의 불교적 의미 고찰

        노제운(Noh, Je-un) 한국언어문학회 2020 한국언어문학 Vol.113 No.-

        This study is the first study that aims to analyze the Buddhist meaning of ‘The Travel for Searching Happiness.’ Although in the folktale ‘the transcendental who manages the blessing’ and ‘the designation of the transcendental world as the destination of travel’, etc. strongly represent Buddhist features, the interpretation of the Buddhist perspective has only partially existed. The motive for the traveling is interpreted not as ‘penury’ but as ‘a state of suffering’, that is, not obtained even when trying hard to get something. As the characters whom the protagonist met while traveling are united into one, ‘the idea of equality’ of Buddhism and ‘yeon-gi-beop’ could be found. Regardless of class, gender, or age, all beings are experiencing the suffering, and the travel of the protagonist is interpreted as experiencing the whole world. ‘Chintamani’ is interpreted not as ‘property’ but as implementing that the protagonist became ‘a different level of existence.’ In addition, the meaning of the travel is understood as ‘go-jib’ being ‘myeol-do’, and the protagonist becoming from ‘beom-bu-jung-saeng’ to a ‘bosal.’ Also, as the protagonist conveys the Buddha s lessons to others in the state of absence of ego and solves everyone s suffering , the true meaning of bok(blessing) is interpreted as ‘mu-wi-bok’ from Geumganggyeong

      • KCI등재후보

        향가 『원왕생가』, 『찬기파랑가』와 만해(萬海) 한용운의 시(詩)에 나타난 '달'의 의미

        노제운 ( Noh, Je-Un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2 인문학연구 Vol.0 No.21

        이 글은 다양한 상징성이 함축되어 있는 ``달``이 우리의 고전문학과 현대문학에서 어떤 의미로 다뤄졌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고대`` 가요인 신라의 향가(鄕歌)와 ``현대`` 시(詩)인 만해 한용운의 시를 대상으로 하여 고대와 현대 작품에 나타난 ``달``의 의미를 비교적인 관점에서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때 향가의 경우에는 만해와 신분이 같은 승려들의 작품으로 한정하여 『원왕생가』와 『찬기파랑가』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작품의 접근방법은 융(C. G. Jung)의 ``분석심리학``적인 시각을 기본으로 하였다. 결과적으로, 만해의 시에 나타난 ``달``은 『원왕생가』의 ``아니마`` 라는 매개자로서의 이미지와 『찬기파랑가』의 차갑고 곧은 찬미의 대상으로서의 이미지를 포함하여 ``나``를 엿보고 ``나``에게 반응하는 인간적인 존재로, 또 화자를 필요로 하는 사랑하는 연인으로, 보다 다양하고 친근하며 구체적인 모습으로 표현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수 있었다. 또한, 향가와 비교할 때 달과 화자의 거리가 가깝게 설정되었으나, 화자의 적극적인 노력이 없이는 만날 수 없는, 가까이 있지만 쉽게 가까워질 수 없는 관계로 파악하였다. 또한 『찬기파랑가』에 나타난 따뜻하고 차가운 ``달``의 양면성이 만해의 시에서도 ``백옥(白玉)``과 같은 비유적인 사물을 통해 구체적으로 표현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작품 속에서 ``달``은 ``보름달``이 되기도 하고, ``그믐달``이 되기도 하며 ``반달``이 되기도 하지만, 실상 달은 그것 자체의 변화무쌍한 속성에도 불구하고 언제나 그대로이며, 고대와 현대 구분 없이 작품에 나타난 다양한 달의 이미지와 그에 따라 변화된 의미는 화자가 처한 상황과 태도에 따른 화자의 마음의 반영으로 파악하였다. This paper is written to examine how the meanings of the ``moon`` including the various symbolism are handled in our ancient and modern literatures, For this, this paper explores the meaning of ``moon``, seen in the ancient and modern works from the comparative viewpoints with the ``Traditional`` songs, the Hyangga of the Silla and the ``modern`` poetry, poems of Manhae Han Yong-un. In the case of Hyangga, it treats <Wonwangsaenga> and <Changiparanga>, only works of monks such as Manhae with the analysis object. The approach method to works is on the basis of the ``analytic-psychological`` view of Carl Gustav Jung. In conclusion, the ``moon`` in the poem of Manhae includes the image as mediator, ``Anima`` of <Wonwangsaenga> and the image as chilly, righteous and admirative object, <Changiparanga>. The moon in Manhae`s poem is also expressed as the more various and concrete thing; it is the familiar and humane being which peeps ``me`` and responds to me and it is the lover which requires me. Moreover, in comparison to Hyangga, the relation of the moon and the speaker is near, but never to meet without the active effort of the speaker, The ambivalence of the warm and cold ``moon`` is also expressed concretely through the metaphorical subject like as ``white jade`` in the poem of Manhae. While the ``moon`` becomes the ``full moon``, the ``dark moon`` and the ``half moon``, it always remains as it is in spite of the protean characters. Without distinction of the ancient and the modern, the various meanings of the moon in works are the reflection of his mind on the speaker`s situation and attitude.

      • KCI등재

        동화 「강아지똥」의 그림책으로의 변용에 따른 의미 변화 고찰

        노제운 ( Je Un Noh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12 동화와 번역 Vol.23 No.-

        이 논문은 한국 아동문학의 정전(正典)으로서의 위상을 갖고 있는 「강아지똥」에 대해, 그동안의 평가가 원작동화와 그림책에 구분 없이 적용되어 온 것에 문제점을 느끼고, 각 텍스트를 ``서사구조``, ``인물``, ``주제``의 측면에서 면밀히 분석해봄으로써 그 차이를 탐색하고, 이로 인해 원작의 의미와 가치가 그림책에서 어떻게 달라졌는가를 확인하기 위해 쓰였다. ``서사구조``의 경우, 그림책에서는 도입부의 중심 상황이 달라지고, 암시적 의미의 ``겨울``이 작품의 중반까지 표현되지 않았으며, 작품의 주제와 직결된 ``별밤``의 장면이 삭제되고, 이야기의 중요한 분기점이 되는 강아지똥의 ``겨울잠``도 생략되었고, 등장인물들이 강아지똥의 성격 변화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하는 등 작품의 입체적이고 극적인 요소들이 약화되거나 사라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물``의 경우는 원작에서 활달하고 적극적이며 성격의 발전을 보여준 강아지똥이 그림책에서는 시종일관 감상적이고 침체된 성격에서 나아가지 못하였고, 강아지똥과 가장 동일시되고 강아지똥에게 삶의 지표를 남긴 ``흙덩이``가 원작과 달리 특별한 존재로서의 위상을 갖지 못하였으며, ``참새``와 ``엄마`` 닭의 공격적이고 부정적인 성향이 약화됨으로써 극적인 효과가 반감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또한, 원작에서 ``꽃``은 강아지똥에게 ``별``과 동일한 것으로 민들레와의 결합이 서로의 간절한 요구에 의한 것인 반면, 그림책에서는 ``별``의 의미도 상실되고 민들레가 일방적으로 강아지똥에게 거름이 되어줄 것을 요구함으로써 원작에서 강아지똥의 꿈의 실현을 돕는 조력자로서의 민들레의 성격이 그림책에서는 전혀 다르게 변형된 것을 확인하였다. ``주제``의 경우, 원작에서는 세상에서 가장 하찮은 존재인 강아지똥이 성숙의 과정을 거쳐 역시 ``낮은`` 존재인 민들레와 결합함으로써 ``별``이 되는 꿈을 실현한다는 것이 이야기의 핵심이라면, 그림책에서는 ``꽃``과 ``별``이 무관한 관계가 되고 꽃을 피우는 주체가 강아지똥이 아닌 ``민들레``가 됨으로써 거름이 되는 강아지똥의 행위가 ``자기희생`` 정도의 의미에 머문 것으로 파악하였다. 선행 연구와 비교할 때, 부족하나마 이 글이 연구대상을 원작동화와 그림책으로 한정하여 두 텍스트를 집중적으로 비교 분석한 최초의 논문이며, 분석 결과를 근거로 원작의 본래의 의미가 그림책에서 어떻게 달라졌으며 무엇이 문제인가를 짚어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고 하겠다. This paper is to written to explore each difference through analyzing text from various angles like as ``epic structure``, ``character``, ``theme`` and to confirm how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original work by its difference are changed, after finding the problem that the evaluation about Doggy Poo as the core of the Korean children culture until now is applied without distinction of the original children`s story and the picture book. In case of ``epic structure``, this paper confirms that the stereoscopic and dramatic factors of the original work are mostly disappeared in the picture book. That is, the main situation of the introduction is changed, ``winter`` of a suggestive meaning is not expressed until the middle of the book and the scene ``a starlit night`` is edited out. Also the crucial junction of the story, the ``hibernation`` of Doggy Poo is omitted and characters do not affect the personality changes of Doggy Poo. In terms of ``character``, this paper examines some factors; Doggy Poo continues to maintain the emotional and depressed personality in the picture book, while Doggy Poo in the original work shows the development of outgoing and active personality. ``Clod``, which is closely identified with Doggy Poo and leaves the life index for it, does not have the status as the special being unlike the original work. The dramatic effect is diminishing by attenuating negative personalities of ``sparrow`` and ``mommy hen``. Moreover, while the ``flower`` for Doggy Poo in the original work is the same with ``star`` and the combination with dandelion is made by the earnest demand each other, the personality of dandelion as the helper of accomplishing the dream of Doggy Poo in the original work is completely transformed in the picture book because the meaning of the star in the picture book disappears and the dandelion asks for being manure to Doggy Poo unilaterally. In case of ``theme``, in the original work, the key point of the story is that the Doggy Poo, the trivial existence in the world, accomplishes the dream of being a ``star`` through the progress of maturity by combination with dandelion, the ``low`` existence, as well. On the other hand, this paper, in the picture book, grasped that the act of Doggy Poo to be the manure has only the meaning of ``self-sacrifice`` because ``flower`` becomes irrelevant to ``star`` and the dandelion, not Doggy Poo, becomes the subject to bloom. Compared with the previous studies, the significant meaning of this paper is the first one which confines the object of study to the original children`s story and the picture book, and then compares and analyses each text intensively. Another meaning is that it pinpoints how the primary meaning of the original work is changed in the picture book and what is the problem, through the detailed comparison.

      • KCI등재

        한국 전래동화의 원형(原形)과 변용에 관한 연구 -「콩쥐팥쥐」 이야기를 중심으로-

        노제운 ( Je Un Noh ) 민족어문학회 2009 어문논집 Vol.- No.59

        이 논문은 한국의 설화가 전래동화로 변용되는 과정에서 전달자의 지나친 각색으로 본래의 의미가 왜곡되고 축소되어 본연의 가치가 심하게 훼손된 것에 문제점을 느끼고, 그것의 심각성을 일깨우고 한국 설화의 올바른 변용문화 정착에 일조하기 위해 쓰여졌다. 첫 번째 작업으로 「콩쥐팥쥐」를 선택하여, 현전하는 모든 유화(類話)에 대한 면밀한 검토를 통해 기본적인 서사구조를 파악하고, 이를 1910년대부터 현재까지 발간된 23편의 전래동화와 비교하여 각각의 특징을 살펴보았으며, 또한 설화에 내재된 주요 의미 분석을 토대로 전래동화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다양한 변용의 요소들이 왜 문제가 되는지에 대한 궁극적인 이유를 탐색하였다. 이전의 연구와 비교할 때, 설화나 전래동화에서 가장 방대하고 다양한 자료를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주제의식이나 향토성 등의 관념적 이유를 들어 전래동화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것에서 나아가, 이면(裏面)에 함축된 주요 의미를 통해 변용이 문제가 되는 구체적인 이유를 추적하였다는 점에서 이 논문의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This paper is written to find the problems, which its original meaning of Korean folk tales has been distorted and reduced in the process of being modified into fairy tales by the extreme adaptation of a messenger and its natural value has been excessively damaged, to awaken the seriousness and to help establishing the right modification culture of Korean folk tales. As a first work, this paper selected `Kongji and Padji` and grasped the fundamental epic structure through the minute examination about all of similar tales. Also, this examined each features by comparing 23 volumes published from 1910`s until now. Besides, on the basis of analysing the important meanings in folk tales, this paper explored the ultimate reason why factors of various modification discovered commonly in fairy tales become the problems. Compared with the previous studies, the significances of this paper are that it adopted the most enormous and diverse materials as the object of study in folk tales and fairy tales and it sought the concrete reason why the modification would be the problem through the inside connotative meaning, not the abstract reasons like as subjective consciousness or folk incli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