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궁내막암 환자의 임상병리학적 예후인자에 따른 생존율 분석

        노재홍(Jae Hong Noh),이지수(Ji Soo Lee),이용승(Yong Seung Lee),이수호(Soo Ho Lee),최중섭(Joong Sub Choi),김영아(Young A Kim),박창수(Chang Soo Park),김병기(Byoung Gie Kim),이제호(Je Ho Lee),배덕수(Duk Soo Bae) 대한산부인과학회 200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5 No.10

        목적 : 자궁내막암 환자의 임상병리학적 양상을 확인하고 예후인자에 따른 생존율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1995년 1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자궁내막암으로 진단 및 치료받은 111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통하여 연령, FIGO 수술적 병기, 세포 유형, 종양의 크기, 세포분화도, 자궁근층 침윤정도, 그리고 림프절 전이를 확인하였으며, 환자의 생존 여부는 마지막 병원 방문과 전화 연락을 통하여 조사하여 각각의 예후인자에 따른 생존율을 구하였다. 결과 : 자궁내막암의 중앙 연령은 52세였으며, 연령별 분포는 21세부터 79세까지였다. 임상 병기별 분포는 Ⅰ기가 84예 (82.0%), Ⅱ기가 16예 (8.1%), Ⅲ기가 10예 (9.0%), Ⅳ기가 1예 (0.9%)였다. 치료 방법은 전체 환자 111명 모두 수술적 치료가 시행되었으며, 수술 후 방사선 치료 60예 (54.1%), 수술 후 항암요법 5예 (4.5%)에서 시행되었다. 세포분화도 1이 73예 (65.7%), 2가 19예 (17.1%), 3이 14예 (12.6%)로 나타났으며, 침윤정도는 자궁내막에만 국한되어 있었던 경우가 37예 (33.3%), 1/2 이하인 경우가 47예 (42.3%), 1/2 이상이 26예 (24.3%)를 나타냈고, 림프절 전이는 6예 (5.4%)가 있었다. 전체 자궁내막암 환자 111예의 5년 무병생존울은 86.5%, 5년 생존율은 87.8%였다. FIGO 수술적 병기에 따른 무병 생존율 및 5년 생존율은 각각 제 1기가 92.8%, 93.3%, 제 2기가 80.0%, 80.0%, 제 3기가 57.1%, 85.7%였으며, 그 외에 발생연령, 림프-혈관 침범 유무, 자궁근층의 침범 정도, 림프절 전이 유무, 그리고 C-erb-B2 발현 여부가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 인자였다. 그러나 수술 전 CA-125상승, 자궁경부 세포진 검사 결과, 에스트로겐 수용체나 프로제스테론 수용체의 유무, p53 유전자 유무는 생존율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FIGO 병기 제 Ib기와 제Ic기에서 보조적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 군은 재발 위험 인자를 가진 군이라는 것을 고려한다면 비슷한 생존율을 나타낸 것은 수술 후 방사선 치료가 재발 방지에 효과적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고 할 수 있겠다. 결론 : 이상의 결과에서 FIGO 수술적 병기, 세포분화도, 자궁근층 침범정도, 림프-혈관 침범 유무, 림프절 전이, 연령, C-erb-B2의 발현은 자궁내막암 환자에 미치는 유사한 인자라고 추정되었다. Objectiv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and prognostic factors of uterine endometrial cancer affecting survival of the patients. Methods : Form Jan. 1995 to Dec. 2001, medical records including operation record and pathologic reports of 111 patients with histologically proven endometrial cancer at Samsung Medical Center were reviewed. The survival of patients was determined by description of last follow up date in medical records or phone calls. Results : The median age of all patients was 52 years and the most common presenting symptom was abnormal vaginal bleeding (74.0%). Histologic type of endometrioid adenocarcinoma was the most common (90%) type of all endometrial cancers. The grades were classified into G1 (65.7%), G2 (17.1%), G3 (12.6%) and unknown (4.5%). The FIGO surgical stage was also classified into stage I (75.7%), stage Ⅱ (14.4%), stage Ⅲ (9.0%), and stage Ⅳ (0.9%). All patients were treated by primary surgery and postoperative adjuvant therapy including radiation therapy (54.1%), chemotherapy (4.5%) was applied. The overall 5-year disease free survival rate (DFSR) was 86.5% and overall 5-year survival rate was 87.8%. The age (p=0.04), grade (p=0.04), myometrial invasion (p=0.047), FIGO surgical stage (p=0.0067), lymph node metastasis (p=0.0001), lymphovascular space invasion (p=0.01) and C-erb B2 (p=0.04) wer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by univariate analysis. Conclusion : The age, grade, myometrial invasion, FIGO surgical stage, lymph node metastasis, lymphovascular space invasion and C-erb B2 wer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of uterine endometrial cancer affecting survival of the patients.

      • KCI등재

        악성 난소갑상선종 1 예

        노재홍(Jae Hong Noh),박창수(Chang Soo Park),김병기(Byoung Gie Kim),이제호(Je Ho Lee),배덕수(Duk Soo Bae),오상윤(Sang Yun Oh),최철훈(Chel Hun Choi),이유영(Ui Young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200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5 No.10

        Struma Ovarii is a teratoma with thyroid tissue as the predominant (>50%) constituent. It is rare, representing about 2% of all teratomas, and its malignant transformation, less than 5% of struma ovarii. Presenting symptoms are not specific, therefore pre-operative diagnosis of malignant struma ovarii is difficult and most diagnosis of malignant struma ovaii is determined by post-operative histologic findings. Because of the rarity of malignant struma ovarii, there is considerable confusion concerning diagnosis and management. A postmenopausal woman presented with pelvic mass and lower abdominal pain and explo-laparotomy was performed. Then, pathologic report was identified as malignant struma ovarii. We report a case of malignant struma ovarii with brief review of literature

      • KCI등재

        임신 제 3삼분기에서 태아 대장 성장의 초음파 측정에 관한 연구: 전향적 종적 연구

        노재홍 ( Jae Hong Noh ),서영훈 ( Young Hoon Suh ),홍준석 ( Joon Seok Hong ),박교훈 ( Kyo Hoon Park ),박중신 ( Joong Shin Park ),전종관 ( Jong Kwan Jun ),윤보현 ( Bo Hyun Yoon ),신희철 ( Hee Chul Syn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9 No.11

        목적: 정상 단태임신 28주에서 40주까지 태아 횡행결장 외지름의 정상역을 확립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본 연구는 제 1 삼분기 이전에 처음 산전진찰을 받은 38명의 정상 단태 임산부를 대상으로 전향적 종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통상적 산전진찰 일정에 따라 임신 28주부터 임신 36주까지 매 2주마다, 그 이후 분만까지 매 1주마다 지속적으로 태아의 횡행결장 지름을 복부 초음파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통계적 분석을 위하여 선형 회귀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38명의 정상 임신부에게서 횡행결장 지름은 총 201개가 측정되었다. 임신 28주에서 40주까지 횡행결장 외지름을 평균, 95% 신뢰구간, 범위를 구하여 외지름의 정상역을 제시하였다. 38명의 각 임신부에서 측정된 대장 지름 중 무작위로 한 개의 값을 선택하여 선형 회귀 분석을 시행한 결과 임신 주수 (GA)와 횡행결장 지름 (TCD) (TCD=0.499 × GA - 0.5504 , R2=0.65; p<0.0001)은 직선적 성장 방정식을 나타내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임신 28주부터 40주까지 임신 주수에 따른 태아 횡행결장 외지름에 대한 정상역과 회귀 방정식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태아 횡행결장 외지름의 정상 성장에 관한 자료를 제공함과 동시에 태아 대장의 이상 여부를 발견하는데 매우 유용한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 normal range for the outer diameter of the fetal transverse colon from 28 to 40 weeks` gestation. Methods: This prospective longitudinal study enrolled 38 consecutive women with uncomplicated singleton gestations during their first trimester of pregnancy. Ultrasound for serial measurements of the fetal transverse colon diameter were performed at intervals of 2 weeks from 28 weeks to 36 weeks and then weekly until delivery. Linear regression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A total of 201 transverse colon diameters were measured in all 38 fetuses. The normal range for the outer diameter of the transverse colon from 28 to 40 weeks` gestation was presented as mean, 95% confidence interval of the mean and range. A linear growth function was observed between gestational age (GA) and transverse colon diameter (TCD) (TCD=0.499×GA - 0.5504, r2=0.65; p<0.0001). Conclusion: We have presented a table of normal range and a regression formula for outer diameter of the fetal transverse colon from 28 to 40 weeks` gestation. These data may serve as reference values in the detection of abnormalities of the fetal colon.

      • KCI등재

        상피성 난소암 진단에 있어서 Tissue Polypeptide Specific Antigen (TPS)과 CA 125의 임상적 유효성에 관한 연구

        노재홍 ( Jae Hong No ),서상수 ( Sang Soo Seo ),김용범 ( Yong Bum Kim ),김재원 ( Jae Won Kim ),박노현 ( Noh Hyun Park ),송용상 ( Yong Sang Song ),강순범 ( Soon Beom Kang ),이효표 ( Hyo Pyo Lee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5 No.12

        목적 : 상피성 난소암을 진단하는데 있어 혈중 TPS 측정의 유용성을 CA 125와 비교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 및 방법 : 199년 1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난소 종양으로 개복 수술을 시행한 환자 93명으로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중 51명은 경계성 종양 27명을 포함한 51명의 상피성 난소암 환자였으며 42명은 양성 난소 종양 환자였다. 모든 환자에서 수술 전에 채혈한 혈액을 이용하여 혈중 TPS 및 CA 125의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후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and compare the usefulness of the serum levels of tissue polypeptide specific antigen (TPS) and CA 125 for the diagnosis of epithelial ovarian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 A total of 93 patients were

      • KCI등재

        자궁내 태아사망에 관한 임상적 고찰

        노재홍 ( Jae Hong Noh ),이선주 ( Sun Joo Lee ),노정래 ( Cheong Rae Roh ),서용수 ( Yong Soo Seo ),황종대 ( Jong Dae Whang ),김영아 ( Young A Kim ),양순하 ( Soon Ha Yang ),김종화 ( Jong Hwa Kim ) 대한주산의학회 2002 大韓周産醫學會雜誌 Vol.13 No.1

        Objective:To evaluate the causes, methods of delivery, and maternal complications in cases of fetal death in utero(FDIU) at Samsung Medical Center. Methods:There were 92 cases of FDIU among 25,195 deliveries at Samsung Medical Center during 7 years from 1994 to 2001. In these cases, perinatal autopsy and placental biopsy was performed in 35 and 71 cases, respectively. All the clinical informations were obtained by reviewing medical records retrospectively. Results:The overall incidence of FDIU was 0.37%. Most of FDIU occurred in 25 to 29 years old group(43.5%). Recurrence rate of FDIU was 3.3%. Most of FDIU were low birth weight(79.3%) and preterm(79.6%). The modes of delivery were induced labor(68.5%), laparotomy(18.5%), and the spontaneous delivery(13.0%). The causes of FDIU were chorioamnionitis(15.2%), placental abruption(14.1%), severe preeclampsia(11.9%), congenital and chromosomal anomaly(6.5%), but it was unexplained in 27.2%. There were 25 cases with maternal complications and the most common complications were intra-/postpartum fever(18.5%), postpartum hemorrhage(8.7%) and DIC(8.7%). Conclusion:The causes of FDIU could not be determined in only about 1/4 cases at Samsung Medical Center. Since FDIU recurred in 3.3%, thorough studies including perinatal autopsy and chromosomal study must be made on stillborn infants and placenta to determine the recurrent causes.

      • KCI등재

        태아 안와 지표의 정상역 설정에 관한 연구: 전향적 종적연구

        서영훈 ( Young Hoon Suh ),박교훈 ( Kyo Hoon Park ),홍준석 ( Joon Seok Hong ),노재홍 ( Jae Hong Noh ),성효숙 ( Hye Sook Seong ),전종관 ( Jong Kwan Jun ),윤보현 ( Bo Hyun Yoon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9 No.10

        목적: 정상 단태임신에서 태아 안와 지름과 외안와 지름의 각 임신 주수별 정상역을 확립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본 연구는 임신 12주 이전에 처음 산전 진찰을 받은 41명의 정상 단태 임산부를 대상으로 전향적 종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통상적 산전 진찰 스케줄에 따라 임신 28주까지 매 4주마다, 임신 28주부터 임신 36주까지 매 2주마다, 그 이후 분만까지 매 1주마다 지속적으로 안와 지름과 외안와 지름을 복부 초음파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통계적 분석을 위하여 선형 회귀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안와 지름은 총 331회 측정되었고 외안와 지름은 총 298회 측정되었다. 각 임신 주수별로 측정된 안와 지름과 외안와 지름의 평균, 95% 신뢰구간, 백분위수를 구하여 임신 주수별 안와 지름과 외안와 지름의 정상역을 제시하였다. 41명의 각 임신부에서 측정된 안와 지름과 외안와 지름 각각에서 무작위로 한 개의 값을 선택하여 선형 회귀 분석을 시행한 결과 임신 주수 (GA)와 안와 지름 (Y=0.654×GA-0.856; r2=0.948; p<0.0001) 및 외안와 지름 (Y=1.679×GA+0.510; r2=0.942; p<0.0001)은 직선적 성장 방정식을 나타내었다. 또한 안와 지름 (OD)과 외안와 지름 사이에도 유의한 직선적 성장 방정식을 나타내었다 (Y=2.451×OD+4.840; r2=0.906; p<0.0001). 결론: 본 연구자는 임신 주수에 따른 안와 지름과 외안와 지름에 대한 정상역과 회귀 방정식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태아 안와의 정상 성장에 관한 자료를 제공함과 동시에 비정상 태아 안와의 가능성이 높은 임산부에서 태아 안와 구조물을 평가하는데 매우 유용한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reference ranges for the fetal orbital diameters (OD) and outer orbital diameters at 16 to 38 weeks` gestation. Methods: This prospective longitudinal study enrolled 41 consecutive women with uncomplicated singleton gestations during their first trimester of pregnancy. Serial measurements of the fetal orbits by ultrasound examination were performed at intervals of 4 weeks until 28 weeks, and then every 2 weeks until 36 weeks, and weekly thereafter. Linear regression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A total of 331 fetal orbital diameters and 298 outer orbital diameters were measured. The reference ranges for orbital diameters and outer orbital diameters were presented as mean, 95% confidence interval of the mean and percentiles. A linear growth function was observed between gestational age (GA), orbital diameter (Y=0.654×GA - 0.856; r2=0.948; p<0.0001) and outer orbital diameter (Y=1.679×GA+0.510; r2=0.942; p<0.0001). Significant correlation was also found between orbital diameter and outer orbital diameter (Y=2.451×OD+4.840; r2=0.906; p<0.0001). Conclusion: We have presented percentile tables and regression formulas for fetal orbital diameters and outer orbital diameters. These results provide normative data of the growth of the fetal orbit and may be useful in assessing fetal orbital architecture in patients at risk of ocular abnormalities.

      • SCIESCOPUSKCI등재

        자궁 경부에 발생한 유리모양 세포암 1 예

        김정식,배덕수,노재홍,이제호 대한부인종양 콜포스코피학회 2000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11 No.2

        Glassy cell carcinoma (GCC) of the uterine cervix is a rare and highly malignant tumor, accounting for only 1%~2% of all cervical carcinomas. It is typically composed of malignant cells having a moderate amount of cytoplasm with $quot; ground glass $quot; appearance, distinct cell membranes that stain with eosin or periodic acid-Schiff, and large nuclei with prominent nucleoli. Since its original description in 1956 by Glucletmann and Cherry, 200 - 250 cases of GCC of the uterine cervix have been listed in the literature. We report here the clinicopathological study of one case of glassy cell carcinoma with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