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컬러심리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정서안정에 미치는 효과
노인숙,전순영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9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5 No.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group art therapy using color psychology on the employment stress and emotional st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Selecting total 18 volunteers hoping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as people seeking for employment among male & female students in their 3rd-4th year of B University in A City, they were randomly arranged like nine students in an experimental group and another nine students in a control group. From May 31st to August 2nd 2017, total 12 sessions of group art therapy using color psychology were provided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90 minutes/each session and 1-2 times a week. For the analysis of results, the pre/post measurements of employment stress scale, Person In The Rain Test, and emotional stability scale were quantitatively/qualitatively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like below. First, the group art therapy using color psychology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changes in the employment stress of the experimental group. In the results of quantitatively/qualitatively analyzing Person In the Rain (PITR) Test of employment stress, all the stress, coping resource, and coping abilit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Second, the group art therapy using color psychology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changes in the emotional stabil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Thus, the group art therapy using color psychology had effects on the decrease of employment stress and the improvement of emotional st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본 연구는 컬러심리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대학생의취업스트레스와 정서안정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A시의 B대학교 3∼4학년 남, 녀 재학생들 중 취업을 준비하고 있고 프로그램에 참여를 희망한 자들로 총 18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 9명과 통제집단 9명으로 무선으로 배치하였다. 연구기간은 2017년 5월 31일부터 8월 2일까지 실험집단에 한해서 주 1∼2회 90분씩 총 12회기의 컬러심리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진행되었다. 결과분석을 위하여 취업스트레스 척도와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 정서안정 척도를 사전, 사후로 측정한 결과를 양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컬러심리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실험집단의 취업스트레스 변화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취업스트레스의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를 양적으로 분석한 결과 스트레스, 대처자원, 대처능력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둘째, 컬러심리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실험집단의 정서안정 변화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컬러심리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정서안정에 효과가 있었다.
흡연 대학생과 비흡연 대학생의 심폐지구력, 에너지대사 및 호흡기능에 관한 비교 연구
노인숙,양대중 대한스포츠물리치료학회 2021 정형스포츠물리치료학회지 Vol.17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ardiopulmonary endurance, the energy metabolismand of breathing function in male smoker and nonsmoker in college after graded load exercise using lowercycle ergometer and respiratory measurement device. Methods: For 38 smoker male college students and nonsmoker male college students, an graded load exercisewas performed with the use of lower cycle ergometer by increasing 20 watts every 2 minute using ERS 2.0system and respiratory measurement device for the cardiopulmonary function, energy metabolism andbreathing function. Results: Smoker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ximum oxygen intake, ventilation per minute, andheart rate in cardiopulmonary endurance, a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dy metabolic rate, maximum energyconsumption, and anaerobic threshold in energy metabolism. For respiratory function, there was a differencebetween inhalation pressure and inhalation speed while there was no difference in respiratory function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smoking negatively would affect aerobic fitness factors includingcardiopulmonary endurance and energy metabolism and long-term smoking is expected to aggravatefunctional factors in male smoking students in the future.
노인의 노르딕 걷기운동 참여가 늙어감에 대한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노인숙,송미승 다문화건강학회 2022 다문화건강학회지 Vol.12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involved in the influence of the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in the Nordic walking exercise on their happiness in aging.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71 people over the age of 65 living in the Chonnam District G. Statistical analysis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he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rough the SPSS/WIN 24.0 software. Results: The mean scores of happiness related to aging and participation in Nordic walking exercise were 3.06±.018 and 3.15±.22 respectively. The Nordic walking exercis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happiness related to aging (r=.30, p<.05).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happiness related to aging score was high among the elderly who participated in the Nordic walking exercise, which is being offered as part of the community integrated health promotion project. We suggest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health activity programs by conducting continuous research on various variables. These programs can be implemented for the elderly in each residential area and will encourage their practical use by the local community.
노인숙,김화선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level of sexual consciousness and sexual attitude of female college students, and to the difference between sexuality and sexuality based on sexual education experience and the effect of sexuality on sexuality.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level of sexual consciousness and sexuality of female college students, secondly, is there a difference between sexual consciousness and sexuality based on sexual education experience, and thirdly, sexuality affects sexuality. The analysis methods used frequenc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and regression analysis,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female college student's sexual consciousness was at a moderate level, and her sexuality was at a rather high. Differences in sex education experience were high in the level of sexual awareness and attitudes of experienced groups, but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the sexual consciousness of female college studen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exuality.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change of sexual consciousness was important in order to have a positive attitude of female college students, and the importance of gender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times was recognized and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s was proposed. 본 연구의 목적은 여대생들의 성의식과 성태도의 수준을 파악하고, 성교육 경험에 따른 성의식과 성태도의 차이 및 성의식이 성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대생의 성의식과 성태도 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성교육 경험에 따른 성의식과 성태도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성의식이 성태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신뢰도 분석, T-test, 회귀분석을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대생의 성의식은 중간수준이었고, 성태도는 다소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성교육 경험에 따른 차이는 경험이 있는 집단의 성의식과 성태도의 수준이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다. 셋째, 여대생들의 성의식은 성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를 통해 여대생의 긍정적 성태도를 갖추기 위해서는 성의식의 변화가 중요함을 확인하였으며, 시대에 부합하는 성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제안하였다.
소방공무원의 외상사건 경험, 외상 후 스트레스와 직무 만족 관계
노인숙 한국융합과학회 2020 한국융합과학회지 Vol.9 No.3
Purpose: The effects of fire officials' experience of trauma incidents and post-traumatic stress on job satisfaction were confirmed. Methods: A self-reported survey was conducted with 196 firefighters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2.0. Results: Firefighters' experience of trauma incident was 4.81±0.26, high level, 30.6%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was high risk group, and job satisfaction was 3.52±0.04. In the difference test, the more trauma experience, the lower job satisfaction, and the higher risk group of post-traumatic stress was lower than the lower risk group. In the correlation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raumatic event experience and job satisfaction, a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and job satisfaction than low risk group, The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were trauma event experience and post-traumatic stress, and total explanatory power was 26.7%.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identify various factors that affect post-traumatic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fire officials and to develop stress management and psychological stability support programs that can be applied in actual field. 연구목적: 소방공무원의 외상사건 경험 및 외상 후 스트레스가 직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연구방법: 소방공무원 196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 연구로 SPSS 22.0로 통계분석하였다. 결과: 소방공무원의 외상사건 경험은 4.81±0.26점으로 높은 수준, 외상후스트레스 장애 정도는 30.6%가 고위험군이었고 직무만족은 3.52±0.04점으로 보통 이상 수준이었다. 차이검증에서 외상사건 경험이 많을수록 직무 만족도가 저하되었고, 외상 후 스트레스 고위험군이 저위험군보다 직무 만족도가 낮았다. 상관성 결과에서는 외상사건 경험과 직무만족에 유의한 수준의 부적 상관성이 있었고, 외상 후 스트레스 고위험군이 저위험군보다 직무만족간 유의미한 정적 상관성이 있었다. 직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외상사건 경험과 외상 후 스트레스로 확인되었으며, 총 설명력이 26.7%이었다. 결론: 소방공무원의 외상사건 경험이 외상 후 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파악하고 실제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스트레스 관리 및 심리안정지원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북한이탈주민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건강증진 행위의 관계: 사회적 지지, 지각된 유익성 및 장애성 매개효과
노인숙,정종희 한국융합과학회 2020 한국융합과학회지 Vol.9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건강증진 행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 지각된 유익성 및 장애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연구 방법: 북한이탈주민 131명으로 대상으로 건강증진 행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이고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은 SPSS 22.0과 SPSS Macro를 사용하여 각 변인들의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주요 변수의 기술통계에서 사회적 지지, 문화적응 스트레스, 지각된 유익성, 장애성, 건강증진 행위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상관성에서는 문화적응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지각된 유익성과 정적 상관성, 건강증진 행위와 지각된 장애성은 부적상관성이 나타났다. 매개효과 검증에서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건강증진 행위에 사회적 지지와 지각된 장애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북한이탈주민들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건강증진 행위를 높이기 위해 지지자원의 확보와 건강과 관련된 장애성을 완화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Purpose: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perceived benefits and disability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Accultural stress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North Korean refugees. Metho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among 131 North Korean refugees, and conducted a self-report questionnaire. Mediating effect was analyzed. Results: In the statistics of the main variables, social support, Accultural stress, perceived benefit, disability,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were highest. In correlation, cultural adaptation stress, social support, perceived benefit and static correlation,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perceived disability were negatively correlated. In the mediation effect verification, it was confirmed that social support and perceived disab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Conclusion: Efforts to secure support resources and mitigate health-related disabilities are required to reduce the Accultural stress among North Korean refugees and to promote health promotion.
노인숙,오진아 한국아동간호학회 2011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17 No.3
본 연구는 신생아 통증지식을 통증특성, 통증사정 및 관리, 약리학적 기전뿐만 아니라 통증관리에 대한 최신 지견을 추가한 통증척도, 약물적 비약물적 통증중재법 지식 등 폭넓게 알아보았으며 간호사의 신생아 통증관리 수행에 장애요인이 되는 의료진 요인, 간호조직 요인을 분석하였다. 특히 의료진 요인과 간호조직 요인을 분석하는 것은 통증관리가 단순히 통증지식이나 태도에 영향을 받는 것 이외에 병원환경의 인적 자원과 조직적인 측면까지를 포함하여 통증관리 수행의 장애요인을 파악하는 것으로서 보다 효율적인 신생아 통증관리를 위한 방안 모색을 위한 근거자료를 제공해 주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 신생아 통증관리 수행에 대한 간호사의 지식, 특히 통증에 대한 일반적 지식과 통증척도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였으며, 간호사들의 신생아 통증에 대한 지식부족은 통증관리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보다 적극적인 신생아 통증관리 수행을 위해서는 간호사들의 통증관리에 대한 지식 향상을 위한 교육이 강화되어야 하며, 특히 지식이 낮았던 영역에 대해 보다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의료진 장애요인이 신생아 통증관리 수행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약물처방 및 확인 절차를 보다 간소화하고 간호사의 판단으로 통증을 관리할 수 있는 영역을 확립할 필요성이 제기되며 이를 전담할 수 있는 신생아 전문간호사 양성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보다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의료진 간의 긴밀한 협조와 지속적인 의사소통을 통하여 보다 효율적인 통증관리를 위한 근본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