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Trust and Justice on Turnover Intention among Korean Public Servants

        Seung-Yong Rho(노승용) 한국공공관리학회 2010 한국공공관리학보 Vol.24 No.4

        This study focuses on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trust and justice on turnover intention among Korean public servants since little researches have paid attention on those factors in the research of turnover in public sector. Based on the theoretical review and previous researches, this study develops the causal model on turnover intention including organizational trust and justice. To test the model, structural equation model is applied to collected data from a questionnaire survey. The result shows that both organizational trust and justice have no direc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They, however, have indirec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through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an intermediate variable. Specifically, organizational trust including affective and cognitive trust rather than organizational justice has stronger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As a result, public organizations should try to improve organizational trust for effective management.

      • KCI등재

        전자 시민참여 이용자 만족도와 정부신뢰

        노승용(Seung-Yong Rho),김찬곤 한국공공관리학회 2007 한국공공관리학보 Vol.21 No.3

        이 연구에서는 구로구 “구청장에게 바란다” 사례를 통해 전자 시민참여의 이용 현황을 분석하고 그 만족도와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정책포럼 등 한정된 전자 시민참여 사례의 현황 분석과 활성화 방안 마련에 초점을 둔 기존의 전자 시민참여 연구들을 보다 확장하여 다양한 전자 시민참여 방법으로 그 분석을 확대하고 전자 시민참여의 이용자 만족도 분석은 물론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전자 시민참여가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전자 시민참여에 대한 이론적 논의의 체계화 및 정책적 시사점 도출에 연구의 목적과 의의가 있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자 시민참여에 대한 문헌을 분석한 후, 구로구 “구청장에게 바란다”의 도입 배경과 목적 및 그 동안의 운영현황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2006년 1월 1일-11월 30일 기간 동안 구로구 “구청장에게 바란다”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구청장에게 바란다”의 만족도를 측정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구청장에게 바란다”를 통한 민원해결의 만족도, “구청장에게 바란다” 이용의 편리성과 의사전달의 정확성 및 구청 웹사이트 활용 빈도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또한 “구청장에게 바란다”의 만족도는 구청신뢰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편리하고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시민 중심의 전자 시민참여 시스템의 모색과 더불어 이를 통해 시민과 접촉하는 공무원이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킴으로서 시민 대응성을 향상시켜야 전자 시민참여를 활성화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결과적으로 정부신뢰를 향상시킬 수 있다. This study describes the usage of digital citizen participation focusing on "Contact the Mayor" in Guro District,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analyzes users' satisfaction of digital citizen participation and its effects on trust in government. In particular, this study expands the scope of digital citizen participation in which previous studies paid attention to such limited cases of digital citizens participation as policy forums and analyzes users' satisfaction of digital citizen participation as well as its determinants and results. In order to obtain the purpose of this study, after reviewing literatures on digital citizen participation, this study figures out the background, purposes, and current status of "Contact the Mayor" in Guro District. Based on that, this study performs questionnaire survey and the objects are those who had an experience of using "Contact the Mayor" in Guro City between January 1 and November 30, 2006. The results show that satisfaction of solving civil petition, convenience of using "Contact the Mayor," accuracy of communication in "Contact the Mayor," and the frequency of using Government Web site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on the satisfaction of "Contact the Mayor" in Guro District. In addition, satisfaction of "Contact the Mayor" in Guro District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rust in government(Guro District). The results imply that governments need to develop citizen-centric digital citizen participation system which is convenient and easy to use and public servants' responsiveness in this system should be improved to provide high quality of public service.

      • KCI등재

        How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Public Deliberation

        노승용(Seung-Yong Rho)(魯昇龍) 한국국정관리학회 2012 현대사회와 행정 Vol.22 No.3

        This study focused on how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deliberative governance. In particular, this study figures out the factors affecting the effectiveness of deliberative governance, both off-line and online. In order to figure out current practices of deliberative governance and provide recommendations toward authentic deliberative governance in Korea, this study developed several characteristics of citizen-government deliberation.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categorized deliberative governance into three groups such as off-line and on-line deliberation provided by government and on-line deliberation provided by news groups. Also, this study develops 5 characteristics of deliberation common to three categories and two more characteristics only to off-line and on-line deliberation provided by government. Five characteristics are full and thorough discussion, a comfortable and convenient setting, a comfortable and convenient time, the level of respecting other participants’ opinions, and the impact of social status on the discussion process. Furthermore, two more characteristics include satisfaction with response by public officials and anequal opportunity to influence the discussion. This research figured out that rather than on-line deliberation provided by either government or news group, off-line deliberation provided by government is still effective. The results show that the effectiveness of off-line deliberation provided by government is the highest. In addition, full and thorough discussion is more possible in the off-line deliberation provided by government rather than on-line deliberation provided by either government or news group.

      • KCI등재

        공공기관 감사품질 제고를 위한 협력감사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노승용(Seung-Yong Rho),김보은(Bo Eun Kim) 한국정책과학학회 2016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20 No.2

        협력감사는 공공부문 자체감사의 실효성 증가를 위한 감사기법의 하나로써, 최근 협력적 거버넌스 행정환경 하에 공공기관에서도 이를 실현하고자 시도되어오고 있다. 이러한 협력감사는 자체감사가 가진 본질적인 한계인 ‘온정주의’로 인한 실효성 저하를 막고, 자체감사의 독립성과 전문성을 제고하고자 최근 많은 공공기관에서 그 활용을 논의하고 있다. 물론 아직까지 도입과 관련된 부작용이나 제도적인 한계로 인하여 도입이 활성화 되어 있지 않으나 자체감사의 독립성과 전문성에 대한 미비점을 보완하고 감사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그 효과성이 강조되고 있다. 다양한 감사기법을 통해 감사품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노력이 있는 만큼, 협력감사 역시 그 한 분야로서 실질적인 도입가능성과 활용을 위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첫째, 공공기관의 자체감사의 의의 및 우리나라 공공기관 자체감사 구조에 대해 논의하고, 둘째, 아직까지 이론적인 기반이 정리되지 않은 협력적 감사기법에 대한 유형 및 개념에 대한 이론적 정립을 시도하였다. 마지막으로 인터뷰를 통해 공공기관 내에서의 협력적 감사기법의 활용가능성 및 문제점 그리고 해결 방안 등에 대한 정성적 분석을 시도하고, 거시적으로 공공기관의 감사품질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자체감사의 객관성을 확보하고 전문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협력감사의 시행은 바람직하지만, 몇몇 유형에서 도입의 문제점도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협력감사기법의 활용을 위해서는 감사대상 업무와 기관의 특성을 고려하여 장기적 시각으로 적합한 협력감사유형을 활용해야 할 것이며, 문제점에 대한 지속적인 수정과 보완이 행해져야 할 것이다. Cooperative audit is one of the audit technique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self-audit in the public sector, and has been attempted at public institutions under the cooperative governance administration environment. The use of such cooperative audit has been discussed in many public sectors to prevent the decline of effectiveness due to ‘onjeongjuui,’ the most intrinsic limit of self-audit, and to improve the independence and professionality of self-audit. While, cooperative self-audit has not been actively adopted due to its side effects and institutional limits, its effectiveness is discussed as it can improve the weakness of independence and professionality that self-audit has as well as its quality; thus, there must been substantial research on the possibility of introducing cooperative audit from now on. To do so, first, this study discussed the meaning of self-audit in public institutions and the structure of self-audit in Korean public institutions. Second, the study attempted to establish a theoretical foundation of the concept and forms of cooperative audit technique which still does not have a proper theoretical base. Lastly, the paper conducted a qualitative analysis on the usability, problems, and solutions of cooperative audit technique in public institutions through interviews, and sought to propose a direction to improve the audit quality of public institutions. The research analysis showed that it would be desirable to implement cooperative audit as a means to ensure the objectivity of self-audit and increase professionality. The gradual adoption of cooperative audit with a long-term perspective instead of a short-term view as well as a continuous modifications on problems will overcome the limits of self-audit and improve its audit quality.

      • KCI등재

        Philanthropic Behavior and Trust in Government in Korea

        Seung-Yong Rho(魯昇龍) 한국국정관리학회 2007 현대사회와 행정 Vol.17 No.1

        사회를 건강하게 만들기 위해서 민주적 거버넌스에서 신뢰는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는 자선행위와 신뢰(정부신뢰, 비영리조직 신뢰, 사회 신뢰), 특히 사회자본 이론의 논리에 따라 자선행위와 정부신뢰 사이의 관계에 대한 모형을 개념화하였다. 개념모형을 평가하기 위하여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구조모형방정식을 이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에 따르면, 정부신뢰와 기부의향과는 부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신뢰와 비영리조직에 대한 신뢰가 자원봉사활동과 기부행위에 대한 의향을 증대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하여, 자원봉사활동의 경험과 기부행위의 경험은 미래의 자선행위 의향을 증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Trust matters in democratic governance to make society healthy. In this context, this study conceptualizes the model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hilanthropic behavior and trust including trust in government, trust in non-profit organization and social trust, in particular,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hilanthropic behavior and trust in government. Following the logic of social capital theory, this study constructs the conceptual mode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s used to evaluate the conceptual model and test hypotheses with a questionnaire survey in Seoul Metropolitan area in Korea. Based on the empirical data, this study shows that there is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rust in government and intent of charitable giving. Also, based on the analysis, both social trust and trust in non-profit organization have an important role to increase intent of both volunteering and charitable giving. In addition, experience of volunteering and charitable giving leads to increase intent in the future.

      • KCI등재

        The Impact of Citizen-Government Interaction on Trust in Government

        Seung-Yong Rho(노승용)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1 社會科學硏究 Vol.27 No.2

        현대 민주주의 국가들이 공통적으로 직면한 문제 가운데 하나는 “정부신뢰 적자”의 문제이다. 민주적 거버넌스에서 정부신뢰는 핵심적인 요소로서 그 동안 많은 학자들의 연구 대상이 되어 왔다. 특히 최근에는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이를 활용하여 정부신뢰를 높이기 위한 노력과 더불어 이에 대한 장밋빛 전망이 확산되어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는 전통적 시민ㆍ정부 상호작용과 디지털 시민ㆍ정부 상호작용이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문헌분석을 통해 시민ㆍ정부 상호작용을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누고 이러한 시민ㆍ정부 상호작용과 정부신뢰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개념적 분석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검정하기 위하여 781명의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경로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디지털 시민ㆍ정부 대화, 디지털 정보 제공, 디지털 서비스 제공, 전통적 심의 등의 변수가 95% 유의수준에서 정부신뢰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로계수를 통해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전통적 심의, 디지털 정보 제공, 디지털 시민ㆍ정부 대화, 디지털 서비스 제공 순으로 정부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정부신뢰와 관련한 이론적ㆍ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This study attempt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citizen-government interaction on trust in government. This study categorizes citizen-government interaction into such four types as accessibility, dialogue, transaction, and deliberation, and delineates the framework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uch citizen-government interaction and trust in government. Based on a questionnaire survey to collect data from citizens in Seoul, 781 valid instruments were utilized for the PATH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digital citizen-government dialogue, digital information transaction, digital service, traditional deliberation among citizen-government interaction variables have a positive effect on trust in government. In sum, the results support the conclusion that a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with dialogue and transaction in citizen-government interaction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a higher level of trust in government.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both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 KCI등재

        Public Administrators’ Attitudes on Digital Citizen Participation

        Seung-Yong Rho(魯昇龍) 한국지역정보화학회 2007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Vol.10 No.3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전자민주주의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지고 있다. 행정에 관한 정보를 시민에게 제공하는 것은 물론 정부의 정책결정과정에 시민이 참여하는 것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수준에서 전자시민참여가 행정의 민주화를 제고하는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이 연구는 전자시민참여에 대한 공무원의 인식과 태도, 즉 공무원은 정책과정에서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한 시민의 의견수렴이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그에 대응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공무원의 전자시민참여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파악보고 현재의 전자시민참여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23명의 공무원을 심층 면접하여 분석하였다. 거버넌스, 민주주의, 시민참여, 심의, 정보통신기술 등에 대한 문헌을 고찰한 후, 이 연구는 감시기능(watchdog function), 참여기능(participatory function), 문화기능(cultural function)으로 구성된 전자시민참여 기능 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분석하기 위한 다양한 질문을 통해 면접을 실시하였다. 면접 결과 감시와 참여의 기능은 발전의 단계에 들어서고 있지만 문화기능은 아직은 부족한 현실이라 하겠다. 면접 결과를 통해 전자시민참여는 절차적 민주주의를 강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또한 시민-정부 상호작용의 주요한 도구로 활용되고 있어 정부의 다양한 활동에 대한 감시의 기능은 어느 정도 의미를 지니고 있다. 더불어 시민들이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고 정부는 이를 고려하여 정책에 반영하는 등 참여의 기능도 어느 정도 활성화되어 가고는 있으나 공무원들은 시민의 제안과 정책에 대한 의견의 품질에 대해서는 그다지 긍정적이지 않다. 또한 정보격차의 문제로 인해 전자시민참여를 시민 전체의 의견으로 받아들이기에는 아직 한계가 있지만 한국의 정보통신기술의 인프라는 훌륭하게 구축되어 있고 발전하기 때문에 정보격차를 조만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공무원들은 여기고 있다. 나아가 전자시민참여에서 시민들이 사용하는 용어에 있어서도 긍정적인 평가만은 아니며 시민들이 사회적 합의에 다다르는 역량도 부족하다는 평가를 내리고 있어 전자시민참여가 문화기능 측면에서는 발전의 여지가 많다고 하겠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진정한 의미의 전자시민참여를 발전시키기 위하여 촉진자(facilitator)로서의 공무원의 역할 등을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Organizational Trust in Public Sector Organizations

        노승용(Rho Seung Yong) 한국국정관리학회 2005 현대사회와 행정 Vol.15 No.1

        Organizational trust is a critical concept in order to make organizations healthy and wise. The study conceptualizes behavioral model of organizational trust including organizational collaboration as a consequence and sharing perceptions and feelings, open communication. participation in organizational process, organizational justice, and individualistic/ collectivistic culture as antecedent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s used to evaluate the conceptual model and test hypotheses with a questionnaire survey in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n Korea. The results show that organizational trust is an influential factor to improve organizational collaboration. Also, open communication and organizational justice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among five antecedents of organizational trust. In addition, they can improve organizational collaboration through organizational trust. Moreover, open communication has direct effect on organizational collaboration.

      • Governance and Leadership

        Seung-Yong Rho(노승용) 한국공공정책학회 2010 공공정책연구 Vol.17 No.1

        그 동안의 리더십에 대한 연구는 리더의 자질과 행태 혹은 상황적 요소들에 대한 이슈에 그 초점을 맞추어 왔다. 리더십은 이러한 미시적 차원의 요소 뿐만 아니라 제도나 문화와 같은 거시적 차원의 요소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거시적 차원의 연구는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 연구는 제도로서의 거버넌스와 리더십의 관계를 분석하고 있다. 특히, 학교장의 리더십에 초점을 맞추어 계층제 거버넌스와 네트워크 거버넌스 상황에서 학교 장의 리더십이 어떻게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분석하고 있다. 이 연구는 거버넌스의 차이가 분석에 뚜렷하게 반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연구의 시간적 범위를 1990년대 초로 한정하였으며, 그 시기의 한국과 미국의 학교 거버넌스가 학교장 리더십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1990년대 초 한국에서의 계층제적 거버넌스는 학교장이 리더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제한적 요소가 되는 반면, 미국의 네트워크 거버넌스는 학교장이 리더로서의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데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010년의 상황에서 한국은 계층제 거버넌스에서 네트워크 거버넌스로 변화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의 분석이 앞으로 한국의 변화된 거버넌스 하에서 학교장 리더십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기여한다고 하겠다. Institutions as well as personal traits and behaviors have a strong influence on school leadership. Principal leadership is totally different in distinct governance. This paper discusses how the governance affects principal leadership, what relatively better school governance is, and what the principal leadership in the governance is. In the hierarchy like Korean school governance, principals have no autonomy to lead and manage school. They are not leaders but followers of the Department of Education in the central government. In the network like the U.S. school governance, however, principals have creative, visionary, and instructional leadership with strong autonomy in comparison with those in Korea. The network than the hierarchy as school governance is relatively better because of collaboration and learning among participants, improving social capital, and increasing trust on the government. Without improving school governance, the exemplary principals could not exist. As a broker in the network school governance, the principal should be visionary and transformative to manage the school.

      • KCI등재

        A Study on the Trust in Leader in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Rho Seung-Yong(노승용) 한국공공관리학회 2005 한국공공관리학보 Vol.19 No.1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조직관리는 현대 조직의 주된 목표이다. 이러한 조직의 효과성, 효율성, 그리고 경제성 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소들 가운데, 인적자원만큼 가장 기본적인 것은 없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성공적인 조직관리를 위한 상사와 부하간의 신뢰 모형을 제시하고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개인간 신뢰의 행태적 영향요인으로서 의사소통, 관대성(generosity), 공정성, 전문성, 그리고 참여 관리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더하여, 상사에 대한 신뢰를 공공조직과 민간조직간의 상사에 대한 신뢰와 그 영향요인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공정성이 상사에 대한 신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상사의 관대성이 신뢰와 긍정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다. 더불어, 의사소통과 참여관리가 상사에 대한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 변수 가운데, 전문성이 상사에 대한 신뢰에 가장 약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t-test 결과 공공부문보다는 민간부문에서 상사에 대한 신뢰와 그 영향요인들의 평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Successful management is a major goal of contemporary organizations. Among key factors that contribute to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efficiency, and economy, none is more basic than human capital. A major goal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 integrative model of interpersonal trust between leaders and subordinates for successful management. Specifically, this research is to discover and probe such behavioral determinants of interpersonal trust as open communication, generosity, fairness, expertise, and participatory management. In addition, trust in leader is comparatively analyzed between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The results show that fairness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to trust in leader among factors. In addition, leaders' generosity has positive relationship with trust in leader. Also, open communication and participatory management have positive impact on trust. Finally, expertise in leaders can affect trust in leaders. The t-test results show that the perceived level of trust in leaders and characteristics affecting trust in leaders are higher in private organizations than in public organiz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