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코메니우스의 교사상 연구

        노상우(Sang Woo Ro),신병준(Byung Jun Shin) 한독교육학회 2003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8 No.2

        코메니우스에게 교육의 존재 근거는 기독교적인 하나님이다. 그의 교육의 방향은 하나님에게로 귀결되고, 학교의 지식은 하나님, 자연, 인간의 상호 관계성에서 획득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그는 교육의 내용을 인간의 유기적인 속성과 자연사물과의 관계에서 분석하고 있다. 코메니우스의 교사상의 전제인 인간관은 자연의 모든 사물들을 알 수 있는 합리적 존재로서, 자기 자신과 자연의 모든 사물들을 제어할 수 있는 모든 피조물들의 지배자로서, 하나님의 형상을 입은 존재이다. 인간이 합리적 존재라는 것은 자연세계를 구성하고 있는 모든 사물들을 분별하며 숙고할 수 있는 ‘지성’, 다른 생명체들의 외적 내적 행위와 움직임과의 관계에서 조화와 자유를 보장하는 ‘덕성’, 그리고 하나님의 형상을 입은 인간은 인간의 원형인 창조주의 전지전능을 표현하는 ‘경건’을 소유하고 있다고 보았다. 코메니우스는 17세기 전통적이고 형식적인 교육이 비효율적임을 지적하며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과학적 관찰과 연구에 입각한 새 교수법을 창안하여 현대교육의 기반을 형성하였고, 비능률적이고 단편적인 교수법과 강제적이고 폭력적인 교사로부터 학생들이 보호를 받으며 학습할 수 있는 구체적인 교사상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교사는 자연 세계의 모든 사물들의 관계와 존재 이유를 과학정신에 근거한 합리적 탐구와 분석에 의하여 발견한 자연의 원리와 과학적 방법, 직관을 교수방법으로 삼고 있다. 코메니우스는 이와 같은 교육사상, 교육내용, 교수방법을 통해 청소년들에게 교육함으로써 세계변혁을 이룰 수 있다는 확신을 가진 ‘세계의 교사(teacher of nations)’였다. 본고는 이러한 코메니우스의 교사상을 기독교적인 측면과 전인교육적 측면, 그리고 교수방법적 측면에서 탐구하고 있다. For Comenius, the foundation for the existence of this world is the Christian God. He understood that, as the systematical world, this world was created by God and so was moved by God, and then the direction of such movement resulted in God. On the interrelation among God, nature, and human beings, he regarded nature as “the school for the wisdoms of God”, so he recognized that human beings could learn the diverse knowledge in the school of nature. According to him, the human reason for the insight into this world was presented by God in order to identify the world of God, so that such human reason could not be separated from the religious belief. As the basis of Comenius’ educational philosophy, his views of religion, human being, and nature were closely related to the Protestant theological view of the world. Also, Comenius analyzed the contents of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human organic attributes and structures. He understood human beings from the theological viewpoint, so he had been deeply interested in the correlation between human original attributes and education. He recognized human beings as the rational beings, who could know all the things of nature, and as the rulers of all creatures, who could control human beings themselves and all the things of nature, and as the beings, who resembled the shape of God. According to him, here, that human beings are rational beings, means that they have their own “intelligence”, which can discern and deliberate all the things of the natural world. And that human beings control all the other creatures, means that human beings possess their own “morality”, which can guarantee harmony and liberty through their rational competence in relation to themselves, others, or even the external and internal actions and movements of other creatures. And also, that human beings resemble the shape of God, means that they contain their own “piety”, which can express the omniscience and omnipotence of the Creator as the archetype of human beings. Then, Comenius criticized the traditional and formal education of those days as inefficient. In order to improve such inefficient education, he created his new teaching method based on scientific observations and researches, so he established the basis of modern education. With firm confidence in this new teaching method, he presented his concrete learning theory, which could protect his students from inefficient and fragmentary teaching methods, and from compulsory and violent teachers. The characteristics of his teaching method focused on the principle of nature, the scientific method, and the method of intuition, which could discover the relations and the reason of being in all the things of the natural world through the rational inquiry and analysis based on scientific spirits. Therefore, he was the teacher of nations, who had confidence that he could reform the world by educating his adolescents through such educational philosophy, educational contents, and teaching method.

      • KCI등재

        학업중단 청소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전략

        노상우(Ro Sang Woo) 한독교육학회 2004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9 No.2

        매년 6-7만 여명의 중고생들이 학업을 중단하고 있다. 학업중단 청소년의 문제는 현재와 같은 교과교육과 생활지도만으로는 그 해결이 불가능하다. 무엇보다도 이들의 문제해결능력을 높이고 삶의 진취적 태도를 재생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준비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학업중단 상황에 처해 있는 학생들을 선도하는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중 하나의 가능한 시안을 다음과 같이 논의하였다. 첫째, 학업중단 청소년의 현황을 교육부 통계를 통해서 확인하고, 둘째,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원인을 진단하였다. 셋째, 학업중단 청소년을 위한 실천가능한 교육프로그램을 예시하고, 넷째, 이를 구체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실천전략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학업중단 학생들이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갖고 주체적으로 학교생활을 할 수 있는 수련프로그램 개발하고 운영할 수 있는 학교내 전담부서를 설치할 것을 주장하였다. 이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 현직교사를 전문가로 재연수시켜 정규교육과정 이외 재량활동시간이나 특별활동시간 등을 별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행재정적 지원을 해야 할 것임을 제언하였다. Jaehrlich verlassen etwa ueber sechzig Tausend Schueler ihre Schulen in Korea. Dieses Problem kann mit dem gegenwaertigen wissenzentrierten Unterricht und der Unterweisung nicht geloest werden. Vor allem muss die Schule das Programm fuer das ‘Aussteigen aus der Schule’ vorbereiten, um die ihre problem-loesende Faehigkeit zu erhoeben und den Aussteigern das positive Lebensverhaeltnis anzubieten. Die vorliegende Arbeit legen einen Entwuerf von den mehreren Programme fuer die ‘Aussteigen aus der Schule’ vor. Dafuer bearbeiten wir zuerst mit der Statistik des koreanischen Erziehungsministeriums die gegenwaertigen Lage des ‘Aussteigens aus der Schule’. Zweitens analysieren wir die Faktoren des ‘Aussteigens aus der Schule’. Drittens legen wir einen problem-loesenden Entwurf und die Anwendungsstrategie vor. Dabei betonen wir darueber, dass eine dafuer verantwortliche Abteilung und Personal in der Schule festgesetzt werden muss, die das Programm entwickeln und damit beschaeftigen kann. Insbesondere behaupten wir, dass die Lehrer fuer die effektive Beschaeftigung mit dem in der vorliegenden Arbeit entfalteten Programm neu trainiert werden muessen.

      • KCI등재

        Buber와 Levinas의 ‘관계의 철학’에 내포된 교육적 함의

        노상우(Ro Sang woo),권희숙(Kwon Hee sook) 한독교육학회 2010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15 No.2

        본고는 Buber와 Levinas의 철학적 특징을 살펴보고, 이들의 관계철학에 대한 공통점을 논의한 뒤, 이것에 내포된 교육적 시사점은 무엇인가를 밝히고 있다. Buber와 Levinas는 모두 너(타자)에 대한 응답을 통해 나(주체)를 구현해간다는 관계성의 존재론적 성격과 윤리학적 성격을 새롭게 고찰하고 있다. Buber와 Levinas로부터 발견할 수 있는 교육적 인간상은 인격적, 윤리적 인간성의 회복이다. Buber는 ‘나중심’의 이기적인 ‘나-그것’의 세계는 ‘결의’, ‘전환’에 의해 인격적인 ‘나-너’의 관계의 세계에 들어설 수 있다고 말하며 이를 위한 나(주체)의 ‘끊임없이 되풀이 되는 결의’를 강조하고 있다. Levinas 역시 자신의 철학이 타자와의 관계를 통한 ‘주체성의 변호’라고 주장하면서 타자를 응대하는 책임의 주체만이 진정한 윤리적 주체가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교육적 인간상은 ‘나-너의 관계’에(Buber), ‘주체-타자의 관계’에(Levinas) 토대를 두고 있다. ‘나-너의 관계’는 ‘나’의 전환‘을 이끌어내는 주체의 결의에 의해 성립가능하고, 주체-타자의 관계는 타자를 환대하는 주체의 책임에 의해 성립가능하다. 여기서 교육학적 과제는 어떻게 인격적-윤리적 자아형성이 가능한 결의와 책임을 촉진할 수 있느냐 이다. 이 연구는 이상과 같은 점들을 논의하면서 주체중심의 교육철학을 관계철학을 통해서 재해석하는 작업을 시도하고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first, to analyze the Buber s philosoph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You’ and ‘I-It’, secondly, to know what the characteristics on alterity of ‘the other’ by Levinas are, and the third, to research what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relationship philosophy are in the educational fields. Both Buber and Levinas have brought the phenomenological insight in our educational fields, the universal theory as a relationship philosophy to realize ‘I (subject)’ through ‘You(the other)’ approaching in the existential and ethical areas. Educational human type from them is to restore the respectful and ethical personality to survive as a responsible subject. Buber emphasizes ‘the ceaselessly repeating resolution’ entering a relationship of ‘I-You’ through ‘resolution’ and ‘change’. Levinas also asserts his philosophy as ‘the defense for subject’ through the relationship and only ‘the subject’ who are responsible for ‘the other’ can be called a true ethical subject. The birth of this ethical subject requires the ethical change as well as ethical recognition. That is, a major variable in the successful relationship of ‘I-You’ is in the subject s resolution caused by ‘subject’s chang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 and the other depends on the responsibility of subject showing hospitality to ‘the other’. The pedagogic tasks lies on how the resolution and responsibility making personal ethical subject possible can be increased. This study tries to reinterprete ‘Subjectivity - centered’ pedagogical paradigm based on relationship philosophy with all described above.

      • KCI등재

        유럽학교의 지속가능발달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분석

        노상우(Ro, Sang-Woo),황혜연(Hwang, Hey-Yeon) 한독교육학회 2013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18 No.1

        본고의 목적은 최근 큰 관심을 끌고 있는 지속가능발달교육이 유럽 학교들에서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그것이 한국 학교교육에 어떤 점을 시사하고 있는가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지속가능발달교육을 전 세계적으로 주도하고 있는 유네스코의 유럽 협동학교 중 독일, 프랑스, 핀란드, 스페인,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 포르투갈에 소재한 학교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가 분석한 결과 이미 선진국화된 유럽은 경제영역과 사회영역보다는 환경영역에 교육프로그램이 집중되어 있다. 먼저 환경영역에서, 잉글랜드는 재생 가능한 에너지, 자연자원, 기후변화, 지속가능한 도시화, 생물의 다 양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고, 스코틀랜드와 프랑스는 재생 가능한 에너지, 자연자원에, 독일과 핀란드는 재생 가능한 에너지와 기후변화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경제영역에서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는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가난 감소 프로그램을 진행했고, 사회영역에서는 포르투갈이 평화와 평등, 문화의 다양성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한국의 학생들도 단지 지속가능발전에 관한 지식학습만이 아닌 관련 지식 생산을 위한 참여자로서 각각의 영역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을 직접 만들어 적용하고 스스로 평가하는 능동적 실천이 요구된다. 또한 환경영역에서 뿐만 아니라 바람직한 소비-생산을 위한 경제 영역 및 공정한 사회실현과 다문화 존중과 같은 정치사회영역에서의 프로그램이 더 확대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지속가능한 발달을 위한 교육과정 개혁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o exercise ESD in schools located in Europe currently attracting attention and think over the purpose. This study analyzed ASPnet leading ESD, which are located in Germany, France, Finland, Spain, England/Scotland, Portugal. ESD, conceptualized by UNESCO, is extensively carried out the programs dividing Social sector, Environmental Sector, and Economic Sector. Environmental sector includes natural resources, renewable energy, climate change, biodiversity, sustainable food production, sustainable village/city. Economic sector includes sustainable production and consumption, poverty reduction. And Social sector includes peace and equity, cultural diversity. This study analyze ESD of schools in Europe setting on the basis of these sectors. The conclusions are following: Europe regarding as developed countries focuses on Environmental sector. First in Environmental sector, England focuses on renewable energy, natural resources, climate change, sustainable village/city, and biodiversity. Scotland and France focus on renewable energy and natural resources. And Germany and Finland focus on renewable energy and climate change program. In Economic sector, England/Scotland is making progress program related with sustainable production and consumption and poverty reduction. And in Social sector, Portugal is making progress related with peace and equity and cultural diversity. Though these results, students in Korea are required spontaneous practice which makes programs dissolved each sector, applies and evaluates their values as participant for production of related knowledge, just not as learner for ESD. Also It is needed to be extended to programs in Economic sector for desired production and consumption and in Political-social sector such as realization of fair society and respect of cultural diversity, not only in Environmental Sector. For these, curriculum innovation for ESD will be required.

      • KCI등재

        노마디즘에 나타난 교육인간상 탐구

        노상우(Ro, Sang-Woo),송혜린(Song, Hye-Rin)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4 敎育思想硏究 Vol.28 No.1

        본 연구는 들뢰즈와 가타리가 제시한 노마디즘의 철학적 사유가 어떤 교육적 인간상을 내포하고 있는가를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노마디즘에 내포된 인간관의 특징을 살펴보고, 둘째 그러한 인간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적 과제는 무엇인가를 알아본다. 이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들뢰즈와 가타리는 '선분'이라는 개념을 통해 근대성의 특징을 '이항성', '통일성', '초코드화'로 보고 이것의 문제를 비판한다. 근대는 지배적인 질서가 요구하는 규범이나 규칙에 스스로를 동일시하는 메커니즘을 형성하게 되며, 교육에서도 그 사회가 지향하는 이념과 규범을 내면화한 표준화된 인간상을 전제한다. 노마디즘은 이러한 인간상을 극복하고자 한다. 둘째, 노마디즘적 인간은 이미 고정되거나 주어진 틀에 가두어 지는 것을 거부하고, 타고난 잠재성에 따라 끊임없이 자신을 변형하고 다른 무엇이 되고자 하는 욕망을 실현하는 존재이다. 셋째, 노마디즘에 바탕을 둔 교육적 인간상은 낯선 곳에서 새로운 나를 발견하고, 무엇이든 접속과 소통을 통하여 배우고 탐구하는 '탈주적-유목적 인간형'이다. 또한 자신을 둘러싼 타자들과의 적극적인 교류를 통해 신체적 감각을 활동시켜 새로운 자기생성과 자기변혁을 추구하는 사람이다. 이상과 같은 논의는 어떤 초월적인 규정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로운 삶의 관계에 기반한 탈근대교육을 연구하는 데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what kind of the ideal of an educated person the philosophical thought of Nomadism, which Deleuze and Guattari suggested, contains. Two subjects for this are to examine humanity connoted Nomadism and to look into what is the educational aim to cultivate such human.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 Deleuze and Guattari point out the character of modernity as binomical properties, unity, surcodage. The problems of this is to form mechanism identifying itself to the standards and the rules which the dominant order in modern age requires. And it premise the standardized man internalized the ideology and social norms which the society aim for in education. Second, the type of man in Nomadism, as creator of itself, refuses to be confined in the frame fixed and given. And the man in Nomadism is the being who has the purpose to fulfil the desire which translates itself constantly at the born potential and wants to become new something. Third, the man which the Education wants to realize in the life of Namadism is to find new self at an unfamiliar place. And it is being who learns through the connection with something and communication and does research on something. Also, it is the being which lets physical sense act constantly and makes new things and creates through active interchange with the another person surrounding itsel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study about the post-modern education based on the relationship of free life which is not bound by transcendent rule.

      • KCI등재

        주류문화의 비판적 논점과 타자존중의 다문화교육 - 레비나스의 타자성의 철학을 중심으로 -

        노상우(Ro Sang Woo),황혜연(Whang Hey Yeon),이진복(Lee,Jin Bok) 교육종합연구원 2022 교육종합연구 Vol.20 No.1

        다문화사회가 보편화되고 있는 상황 속에서 다문화교육의 본질을 이해하기 위한 철학적 접근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먼저 주류 문화중심의 동화주의적 시각, 포스트 식민주의 성격의 문제, 신자유주의적 세계시민주의의 한계에 대한 비판적 문제제기를 국내외 연구들을 통해 살펴보았다. 두 번째는 주류문화로부터 배제되고 소외되고 있는 소수문화에 대한 존중과 배려를 주창하는 레비나스의 타자성의 철학을 통해 타자존중의 교육원리를 제시하고 그것의 다문화 교육의 철학적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타자존중의 다문화교육의 구체적인 실천방안으로 대화적 교육방식과 책임의 교육원리, 그리고 타자 지향적 다문화교사상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다문화교육에 대한 철학적 접근을 통해 그동안 축적되어 온 다문화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새롭게 검토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In a situation where a multicultural society is becoming more common, a philosophical approach is required to understand the nature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we first looked at raising critical issues about the assimilationist perspective centered on mainstream culture in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the problem of postcolonialism, and the limitations of neoliberal global citizenship. The second was to present the educational principle of respect for others through Levinas’philosophy of others, advocating respect and consideration for minority cultures excluded and alienated from mainstream culture, and to explore the philosophical possibil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finally as a concrete practical way of multicultural education with respect for others, the educational principles of conversational education method, the principle of responsibility education, and the multicultural teachers’ model oriented toward others were presented. This study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newly review the contents and method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at have been accumulated through a philosophical approach to multicultural education.

      • 청소년 자살문제와 죽음준비교육

        노상우 ( Sang Woo Ro ) 경희대학교 교육발전연구원(구 교육문제연구소) 2010 慶熙大學校 敎育問題硏究所 論文集 Vol.26 No.1

        이 연구의 목적은 급증하는 청소년 자살문제의 교육학적 해결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여기에서는 첫째, 우리나라 청소년 자살현황을 각종 통계자료와 자살 실행자의 유서 분석을 통해 청소년 자살 유형과 원인을 파악하도록 한다. 둘째, 청소년 자살이라는 문제에 직면해서 과연 죽음이란 무엇인가를 알아보도록 한다. 셋째, 이를 토대로 청소년 죽음준비교육의 개념과 목적 그리고 그 내용을 제시하도록 한다. 청소년 자살의 중요한 원인은 입시부담으로 인한 ``성적``요인, 가족내부의 갈등이나 대화단절, 이성문제 그리고 낮은 자존감 문제 등으로 밝혀지고 있다. 자살을 실행한 자들의 유서를 분석해 보면 그들은 심각한 내면의 고통과 폐쇄적 삶 그리고 매우 편협적인 사고방식과 인지적 왜곡현상이 뚜렷하였다. 죽음의 개념 논의에서는 특히 하이데거의 죽음개념을 통해 비본래적인 삶에서 본래적인 삶으로의 절대 전환을 가져올 수 있다는 철학적 사유를 분석하였다. 또 죽음의 계기인 고통은 현재적 삶을 초월하여 새로운 삶의 의지로 승화될 수 있음을 밝혔다. 또한 죽음이라는 사건은 시들어가는 생명을 다시 일깨우고, 의식을 회복하고, 새로운 의미를 찾는 죽음준비교육을 성립시킨다는 것을 논의하였다. 끝으로 죽음준비교육은 청소년들로 하여금 삶의 긍정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부정적인 면까지 노출시키면서 자기성장을 촉진할 수 있도록 돕는 것임을 설명하였다. 그리고 삶의 유한성을 깨닫고 현재 주어진 시간에 보다 의미있게 살라는 역설의 교육개념임을 알아보았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일상적인 삶 속에서 학생 스스로 죽음을 경험하는 소극적 태도보다는 정규교육과정에서 의도적인 교육주제로 삼아 청소년의 자아성찰과 자아성장을 이끌어줄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problems of the adolescent suicides increasing radically in light of an education in school. In order to conduct this, the first is to estimate the kinds and reasons behind the adolescent suicides, based on ``Statistics Korea`` and examination of wills from suicides. The second is to explore the topic of ``what the mortal is confronting the matter of the adolescent suicides.`` The third is to suggest the concept, purpose, and content of a ``death-preparing education`` for adolescent based on the former discussion. The primary reasons for the adolescent suicides engage in the pressure from pursuing the higher education and score, the family factors, such as conflicts or lack of communication in family members, dating issues, and low self-esteem. According to suicides` wills, it was conspicuous that they had suffered from serious internal confusion, an anti-social life style, a narrow mind set, and a distorted perception. With a discourse about the concept of death, Heidegger`s philosophy about mortals is presented, which the non-primordial life could be absolutely transformed to the primordial life. Moreover the pain, which is a cause of death, could be channeled into a new faith of life, by transcending a present-dominant life style. It`s discussed that the incident of being mortal makes people to prepare their own death, which revitalizes waning beings, restores consciousness, and completes the ``death-preparing education`` finding a new meaning of their own lives. Lastly, ``death-preparing education`` is exposing both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lives to adolescent, which helps them enhance self-maturity themselves. This study identifies that ``death-preparing education`` evokes the idea of finitude of life and it would be the paradoxical concept making better concentration on present. In conclusion, this study argues that official education system has to guide adolescent toward death making this topic as educational subjects intentionally, rather than posing a defensive attitude, which makes them experience death individuall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