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PDC 모델에 따른 도서출판 현실과 미래에 관한 연구

        노병성(Roh Byung-Sung) 한국출판학회 2005 한국출판학연구 Vol.0 No.48

        본 연구는 현재 한국 출판산업을 점검할 수 있는 모델개발에 일차적인 연구목적을 두고 있으며, 개발된 모델을 통해 한국 출판산업의 현 상황을 점검하고 미래에 대한 예측적 관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 하에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의 도서출판환경을 적절하게 분석할 수 있는 모델은 무엇인가? 둘째, 이러한 분석 모델을 통해 현재 우리의 출판산업의 현황은 어떠한가? 셋째, 모델을 통해 본 우리의 출판산업의 미래는 어떠한가?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개발된 출판산업의 모델들을 비판적 관점에서 고찰하여, 우리의 실정에 적합한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 도서출판환경을 진단하고 아울러 미래에 대한 조심스런 제언을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모델은 'APDC 모델'이라 명명되었다. 이 모델의 주요 구성요인은 저자, 출판사, 유통, 소비자, 정부정책, 사회문화경제적 환경이다. 저자는 디지털 환경 아래서 점차 개념의 변화가 발생하고 있다. 출판사는 대형화와 소형화의 양극화가 진행 중이며, 향후 CP로의 전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유통 부문은 가상서점의 활성화, 위탁판매의 감소, 정보화 등이 진행될 것으로 보이며, 유통문제의 해결책으로 RFID의 도입 등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소비자는 전통적인 독자의 개념에서 탈피하여, 도서구매 패턴, 독서패턴 등의 변화가 예상된다. 정부의 정책은 가격정책 등을 통해 출판산업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바, 이에 관련된 각종 관련법규를 디지털 시대에 맞게 조정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향후 가칭 국가도서출판위원회 등을 설치하여 출판산업의 진흥을 도모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사회문화경제적 환경에서는 독서운동의 본격화가 제기되었으며, 공공도서관 정책의 내실화가 필요한 것으로 지적되었다. 본 연구는 모델제시와 아울러 현실점검과 미래에 대한 전망 등 거시적 관점을 주로 다룬 관계로 보다 상세한 분석을 결하고 있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APDC 모델은 향후 출판산업을 분석하는데 유용한 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되어 이에 대한 후속 연구를 기대해 본다. Korea society has a new media environment in 2000's. In 2005, DMB, IPTV has introduced to general audience, so user can watch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through cell-phone or other instrument. In this situation, it is very doubtful wether the book industry can survive or not. This is a starting point of study. Firstly, the aim of this study is build a new model of book industry and secondly examine the present and future of book industry depend on them. In this study, Roh's APDC Model will be introduced which is the frame of book industry. APDC Model is presented in figure1. In an aspect of author, there are many writers because of internet. But they are almost amateur. Digital technology changed the concept of author and blurred sender and reader. Book Industry(Publisher) is composed two groups, in other words, megers and small company. As Coser and Roh pointed such a phenomenon, the book industry divided two groups more deeply. Distribution systems in Korea are complex and in a situation of change, because of internet service. There are many problems in book logistics, but it will be solved if we develope RFID system. Now traditional readers are no longer a reader. They read a text through the internet, so they are user. The government policy has a radical power, especially in area of price. Korean book market has a retail price maintenance system, but this system has a many problems, so the government must revise the law. Media education must be emphasized in an aspect of social, culture environment. In the future, the digital technology will transform the concept of hypertext into hyper-view. Nobody knows the future of book industry at that time.

      • KCI등재

        최한기의 출판사상에 관한 연구

        노병성(Roh Byung-Sung) 한국출판학회 2007 한국출판학연구 Vol.0 No.53

        본 논문은 최한기의 저술이 출판학과 관련성을 갖고 있다는 전제 아래 그의 저술에서 나타난 출판사상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고에서는 출판사상을 출판의 제현상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에 대한 관점을 총괄하는 용어로 사용하였다. 따라서 출판사상 속에는 문자관, 저술관, 서적관, 출판현상에 대한 인식, 독서관 등 하위 구성요인을 내포한 것으로 규정하였다. 최한기에 의하면, 문자는“바로 언어를 통하는 표식(標識)”이다. 그는 문자를 모양과 의미로 구분하여 보았고, 이것이 모여서 언어와 연결된다고 보았으며, 그 기능으로는 기록성과 진리를 연구하는 수단, 정치와 교육의 수단으로 파악하였다. 최한기는 저술의 정실함은 신기를 얼마만큼 규명해내는 가에 의해서 결정된다고 보았다. 신기를 담고 있는 저술은 그것을 읽는 사람이 이를 깨달아 일상의 업무에서도 활용하게 되나, 신기를 가지고 있지 않은 저술은 저술 자체가 허망할 뿐 아니라 사무에도 쓸모가 없게 된다. 그래서 시무나 저술에서 신기를 미루어 밝힌 다면, 이들 모두가 올바르고 결과가 좋다고 한다. 최한기는 출판이 인간의 손으로 하는 사업 중에서 가장 큰 대업임을 강조하였다. 또한 최한기는 서적의 고귀함을 삼강오륜에 준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그는 세상의 만물 가운데서 사람이 가장 귀한 것은 오직 삼강오륜이 있기 때문만이 아니라 이를 전할 수 있는 서적을 가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고 있어 서적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그에 의하면, 서적은 기를 담고 있는 그릇이며, 기를 전달하는 매체이다. 최한기는 독서는 통해 고금을 통하고, 눈이 제규제촉 등 제 감각기관을 대신하는 것임을 주장하였다. 최한기는 독자가 수많은 책 중에서 어떠한 책을 어떻게 읽어야할 것인 가를 주목하였다. 여기서 그는 저자보다 독자가 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최한기는 자신의 사상의 핵심개념인‘기’와‘운화’등의 개념을 통해서 출판사상을 개념화 시키고 있다는 면에서 그 독창성을 보이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oi Han-Ki(1803-1877)"s thoughts of publishing which is reflected in his writings and his books. In here, the thoughts of publishing contains the view of characters, writings, books and readings. Choi Han-Ki was one of the greatest philosophers, who lived at the end of the Yi Dynasty, and nowadays many scholars are paying much attention to his unique thoughts. He developed his own "Ki" thoughts. "Ki", the main concept of Choi"s, is defined a lump of a living being which is moving because of self-cause. All the beings come from the gatherings and dispersing of "Ki". Human being also consists in "Ki". Choi Han-Ki thinks characters as a "signs of language" and combination of style and meaning. And he thinks characters as a means of recording the facts, finding tools of truth and thinks as a method of politics and education. He considered that the fineness of writings determined by delighting the "Ki". If the writings contains "Ki", the reader will find the "Ki" and then uses that "Ki" in every day working. Choi Han-Ki emphasized publishing as the greatest things of all in which human hands can do. He thinks books contains "Ki" and books are a kind of vessel of "Ki". To him, books are considered as a media of "Ki". Choi Han-Ki consists that reader can match the past and present through the reading and eyes are instead of sensory organ. He thinks that the most important things in reading is the selecting the books and how to read that. He emphasized that reader has an important than writer in publishing. Choi Han-Ki conceptualized his thoughts about publishing through the concept of "Ki" and it is his uniqueness of thoughts.

      • KCI등재

        정조의 출판사상에 관한 연구

        노병성(Roh, Byung Sung) 한국출판학회 2021 한국출판학연구 Vol.47 No.5

        본 연구는 정조의 <홍재전서>에 나타난 그의 출판사상을 탐구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수행되었다. 여기서 출판사상이란 ‘문자 중심의 메시지 표현과 관계된 일체의 인간행위에 관한 관점’이라 정의하였다. 이에 따라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첫째, 정조의 저술관은 무엇인가 둘째, 정조의 서적관은 무엇인가 셋째, 정조의 독서관은 무엇인가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정조의 저술관에서 그는 문자를 통해서 백성을 다스리고 국가를 경영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둘째, 그의 서적관은 책은 국가발전을 위해 기여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그는 서적이 유학 정신을 백성들에게 심어주는 수단이어야 한다는 관점을 가지고 있었다. 셋째, 정조의 독서관은 경건 주의적 독서관이라 말할 수 있다. 경건주의는 서적을 대하는 태도로부터 나온다. 정조에 따르면 성인의 말씀이 실려 있는 책을 읽는 자세는 바른 자세와 바른 정신으로 해야 한다. 특히 경전을 흐트러진 자세로 읽는 행위는 경전을 업신여기는 행위로 생각했고, 이는 다시 성인의 말씀을 업신여기는 불경스런 행위라고 보았다. This paper is to explore King Jungjo’s thoughts on publishing. In this paper, the thought of publishing is defined as ‘point of view about letter centered message publishing’. To get this aim, this paper is based on ‘HongJae Junso’, which is the book about King Jungjo. This study sets 3 topics. 1) What is King Jungjo’s viewpoint about writing? 2) What is King Jungjo’s viewpoint about books? 3) What is King Jungjo’s viewpoint about reading? King Jungjo has an instrumental viewpoint of publishing and devotionalism in books and reading. He thought letters could govern the people and manage the nation. Books must be the tools for development of dynasty. And books must deliver the thought of Confucianism to the people. So he prohibits novel’s reading. Devotionalism emphasized the correct posture and spirit in reading the books. Instrumental viewpoint of publishing and devotionalism in books and reading led ‘Munche banjung’. It’s a kind of control over the novel style writing. Also, it led to prohibition of the import of Chines books.

      • KCI등재후보

        주자의 독서관에 관한 고찰

        노병성(Roh Byung-Sung) 한국출판학회 2006 한국출판학연구 Vol.0 No.51

        본 논고는 주자의 독서관을 살핌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따라 주자의 독서에 대한 근본적인 사유 즉 독서의 본질은 무엇인가, 주자가 생각하는 책의 선택과 독서의 자세는 무엇인가, 주자의 독서방법은 무엇인가 등을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고에서는 주자의 『주자어류』에 산재되어 있는 주자의 독서에 관한 언급을 재정리하고 재해석함으로써 그의 독서관을 고찰하고자 했다. 주자에게 있어 독서는 일종의 자기 수양의 실천적 과정이다. 독서를 위해서는 책의 선택이 매우 중요한 과제가 되는데, 주자에 의하면, 다양한 책을 이리 저리로 읽는 것을 경계하고, 경서를 기본으로 읽고 이를 완전히 소화한 다음 다른 서적을 읽을 것을 권하고 있다.독서를 하려면 허심과 평심의 자세가 되어 있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주자는 책을 읽을 때 투철함과 철저함을 기본으로 할 것을 주장한다. 그러면서 그는 ‘상상적인 대화’를 통해 성현들의 의미를 되새김질 하여 나의 것을 만들 것을 요구한다. 책 속의 글을 액면 그대로 받아들일 것이 아니라 구절의 내면적 의미를 찾을 것을 주장하는 주자는 소위 ‘책의 갈라진 틈새’를 살피고 그 의미를 찾을 것을 요구한다. 현대적 의미의 행간읽기를 말하고 있는 것이다. 주자는 독서의 방법으로 순서점진, 숙독정사, 음독과 암송 등을 말한다. 총체적으로 본다면, 주자 독서론은 마음의 독서를 강조하는 것이다. 마음은 독서의 출발점이고 독서의 과정이며 독서의 종착점이다. This paper is a study on Chu Ja’s Thoughts of Reading. The main questions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essence of Chu Ja’s thoughts of reading? 2) Which is the best way of selecting the book, in the case of Chu Ja? 3) What is the methodology of reading a book ? In order to answer these questions, this article use the way of rearrangement of Chu Ja’s axioms and writings. In Chu ja, the reading a book is not only a behavior of getting a knowledges but also a kind of practice of self- train. He dose not agree reading a many kinds of books. It only permitted after reading a basic book of Confucianism. He argued careful reading of Chinese classics and then reading other books. He suggested the way of reading. Fist, to proceed orderly and gradually. Second, to read deeply and think specifically. Third, to empty the mind fully. Forth, have an imaginary conversations with author. Fifth, to read between the lines. He also asserted to read aloud and commit to memory by repeated reading. He emphasized the mind in reading. The practice of mind, in other word self-train, is an aim of reading and it’s a starting point of reading a book.

      • 한국 출판의 영미권 진출을 위한 전략 연구

        노병성(Roh Byung-Sung) 한국출판학회 2004 한국출판학연구 Vol.0 No.46

        There are two axioms - ""Trade follows the book""and ""Books can be our best ambassadors"". It all emphasize the importance of book exporting. Now these day, the book become a cultural industry, especially in the digital era. Book exports has two functions in social environment. The one is economic function, and the other is cultural function. Through the economic function, the company make added-values and the cultural function makes the understanding the other culture and management of cultural conflict. So exporting the book contribute to wold peace. The characteristics of U.S.A book industry is idiosyncratic, individualistic and complex. U.S book sales totaled $ 26,874,100,000 in 2002, a 5.5 percent increase 2001, according to figures just released by the Association of American Publishers(AAP). Top 5 export destinations for book are Canada, UK, Japan, Austrailia, Mexico(Korea -> 8th). Top 5 import source of books are China, UK, Canada, Hongkong, Singapore(Korea->10th). The statistics of Korean book exports are as follows: In these situation , we must analyze our environment by SWOT. The results of SWOT are as follows: There are some kinds of strategies about book exporting, but in this paper we developed strategic model. That are as follows: Book exporting is very important in an aspects of culture and economics. Especially book exporting to U.S.A and UK is very important because there are the gateway to the global book market.

      • KCI등재

        ‘출판’의 개념 변화에 관한 고찰

        노병성(Roh, Byung-Sung) 한국출판학회 2010 한국출판학연구 Vol.36 No.2

        본 논문은 출판의 개념이 디지털 시대에 다변화하고 있다는 문제 상황에서 역사적으로 출판의 개념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가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고, 미디어 컨버전스 시대에 출판의 개념을 어떻게 정의 내릴 것인가에 초점을 두었다. 아날로그 시대의 출판 개념의 특징은 대체로 1909년 출판법의 범주에서 크게 벗어나고 있지 않았다는 점, 출판의 개념 정의에서 인쇄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는 점, 출판의 영역은 도서나 서적 그리고 잡지에 국한되는 경향을 보였고 신문은 이에서 제외되었다는 점 등이라 할 수 있다. 디지털 시대의 출판개념의 특징은, 출판을 개념화하는데 있어서 인쇄의 개념이 생략되거나 부가적으로 이용되고 있다는 점, 콘텐츠 등의 개념이 활용되고 있다는 점, ‘출판’이란 용어와 ‘Publishing'이란 용어가 동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점, 출판과 타 산업 혹은 타 매체와의 경계가 흐려지고 있다는 점, 출판의 영역이 확대되는 광의의 출판개념이 등장하고 있다는 점으로 요약될 수 있다. 아날로그와 디지털 출판을 포괄하는 출판 개념은 이들 양자 간의 현상적 특성을 추상화 한 아이디어야 하며, 이를 통하여 현상을 분류하고 이론화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런 점에서 출판을 개념화 하면, 출판이란 독자나 이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전제로 인간의 정신적 소산물인 콘텐츠를 인쇄, 전자적 패키지화 또는 서버 적재 등의 방법을 통해 공중의 접근권을 확보하려는 일련의 과정이나 행위라 말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efinition of publishing in the era of media convergence and to examine how the conceptualization has been changed in diverse societies and in the digital era. The Copyright Act of 1909 defines the characteristics of analogue publication. The law emphasize the importance of printing and tends to apply to all texts, books, and magazines with the exception of newspapers. The uniqueness of publishing in the digital era is that the printing is omitted or used secondarily. The terms publishing(Korean) and ‘Publishing’(English) are used interchangeably. Boundaries between the publishing and other communication systems are blurred. Furthermore, Publishing as a macro concept is broadened and prompted by new ranges of media formats. The integrative definition of the analogue and digital publishing encompass abstract ideas, and can de contextualized and theorized as a part of the social and technological phenomena which lie at the junture of the analogue and digital publishing. In conclusion, the concept of publishing are the series of acts or processes to get a public access via developing electronic packages, loading contents to the servers, web publishing, and distributing personal and social acquaintances to general public under the premise of the communication with readers and consumers.

      • KCI등재

        18세기 조선지식인의 독서방법에 관한 고찰

        노병성(Roh Byung-Sung) 한국출판학회 2007 한국출판학연구 Vol.0 No.52

        본 연구는 18세기 조선 지식인들의 독서방법을 고찰할 것을 연구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18세기 조선시대의 출판문화의 조건을 살펴보고, 다음으로 조선 지식인들의 독서방법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양하게 산재해 있는 당시의 독서와 출판관련 문헌들을 탐구하여 그 의미를 부여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18세기는 출판문화가 생산의 측면에서 보나, 유통의 측면에서 보나 이전에 비해서 모두 활발하게 전개되었는데, 이는 독자의 도서수용이 원활했음을 말해 주는 것임과 동시에 독자의 독서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사회적인 여건이 조성되어 있음을 말해준다. 조정에서는 성리학을 중심으로 출판문화를 융성케 했으며, 민간인들 사이에서는 사가판(私家板)과 방각본(坊刻本) 등이 나타나기 시작하여 독자적인 출판문화를 형성해가고 있었다. 서적의 유통은 반사(頒賜), 역관(譯官), 서쾌(書?), 서사(書肆), 세책(貰冊), 노점상 등을 통해 이루어졌다. 18세기 조선 지식인은 성리학적 전통의 고수와 증가하는 새로운 지식사이에 인식적 갈등을 겪게 되었고, 이는 전통적인 독서관을 따르려는 경향과 다른 한편으로는 전통적인 독서방법으로는 늘어나는 지식을 섭렵할 수 없다는 판단 아래 새로운 독서방법을 개발하게 하는 문화적 압력으로 작용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로 인해 18세기 지식인들은 전통적인 독서방법의 고수와 새로운 독서방법을 혼재해서 사용했을 가능성이 농후하다. 따라서 당시 지식인들은 전통적인 독서방법을 계승하는 한편 증가하는 지식의 획득과 정보의 선택을 위해서 새로운 독서방법을 개발하게 되었는데, 이에는 음독에서 묵독으로 이행하는 간서의 독서법, 해득한 것이 있으면 잊지 않기 위해서 빨리 써 두었던 질서의 독서법, 책을 읽으면서 중요한 부분이나, 필요한 부분을 메모하여 일종의 독서카드를 만드는 초서의 독서법 등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ain the reading methodology of the intellectuals in the 18th century of the Chosun dynasty. In order to do this research, I had to study the way publishing businesses worked and also learning about the reading methodology of the Chosun dynasty. In order to accomplish this goal, I focused more on the various reading habits and publishing strategies of the Chosun dynasty. In the 18th Century of the Chosun Dynasty, publishing business were very active in production and trade. That means readers at this time were demanding more published books. Books became an important aspect of their culture. The Government also supported increase of the reading of books. In addition to this, civilians were starting to publish reading materials independently for their own personal reasons. For example, rather than publishing a book at a company, they did it at home through a usage of a wooden board. They sold their books through many official stores and street peddlers. Scholars in Confusionism who were more traditional in their thinking supported old ways of methodology. On the contrary, the elites felt that these conservative modes would not meet up to their present expectations of reading methodology. Therefore, they were developing their own methods of reading skills. Within this reading culture, they were using two different reading methods ; tradition mode of reading habits and more practical ways of reading methods. While practicing the more traditional way, they at the same time used the practical ways to obtain new knowledge and updated information. The new technical ways of reading styles were developed evolved from vocal reading to silent reading. In order to not forget important information, they started taking memos and collecting information through noted index cards.

      • KCI등재

        아날로그와 디지털 텍스트의 독서 패러다임에 관한 고찰

        노병성(Roh Byung-Sung) 한국출판학회 2008 한국출판학연구 Vol.34 No.1

        한 시대의 읽기에 대한 독자의 공통된 태도, 인식, 패턴, 관습, 사고, 가치관 그리고 관념 등이 총체적으로 결합된 틀 혹은 개념의 집합체를 독서의 패러다임이라고 규정한 본고에서는 독서의 패러다임의 변화에 주목하면서, 디지털 텍스트의 독서는 아날로그 텍스트 독서와 어떠한 차이를 보이고, 이로부터 파생되는 특징은 무엇인가를 파악하는 것을 주된 연구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먼저 “아날로그 텍스트 독서의 패러다임은 무엇인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으며, 다음으로 “디지털 텍스트의 독서패러다임은 무엇인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디지털 텍스트의 독서패러다임은 보다 세분화하여 하이퍼텍스트시대와 최근 UCC등의 등장에 따른 하이퍼 픽처시대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아날로그 텍스트의 독서 패러다임은 1) 해석과 비판적 성찰을 근간으로 하는 독서 2) 묵독 중심 독서 3) 선형적 독서 4) 상상력 5) 내면화의 독서이다. 하이퍼 텍스트의 독서 패러다임은 1) 탈중심적 독서 2) 유목적 독서 3) 파편화된 독서 4) 비선형적 독서 5) 독자중심의 독서 6) 끝나지 않은 독서 7) 송수신자로서의 독자로 이루어진 독서이다. 하이퍼 픽처의 독서 패러다임은 1) 문자 읽기의 축소 2) 저자의 죽음 3) 공유와 개방의 독서 4) 집단성 5) 독서를 통한 문화계층의 양극화로 이루어진 패러다임이다. 아날로그 텍스트의 독서 패러다임과 디지털 텍스트 독서의 패러다임 조화를 위해서는 이들 간의 변증적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reading paradigm in digital era. In this paper, reading paradigm is defined it as “a philosophical and theoretical framework of a scientific school or discipline within which theories, laws, and generalizations and the experiments performed in support of them are formulated in reading”. The main questions in this study are “what is a analog paradigm in reading?” and “With what concepts do constitute the digital reading paradigm?”. In this paper, digital paradigms are separated two kinds of sub-paradigms, the one is hyper-text paradigm and the other is hyper-picture paradigm. The analog paradigm of reading has a characteristics as follows; 1) Reading as an interpretation and self-reflection 2) Silence reading 3) Linear reading 4) Imagination 5) Reading for the interior The hyper-text paradigm in reading has a characteristics as follows; 1) Decentralized reading 2) Nomadic reading 3) Fragmented reading 4) Non-linear reading 5) Reader centralized reading 6) Endless reading 7) Reader as prosumer The hyper-picture paradigm in reading has a characteristics as follows; 1) Reduction in reading letters 2) Death of author 3) Reading as an openness and sharing 4) Reading as a collective intelligence 5) Polarization of cultural class in reading In other to overcome a weak point of analog and digital paradigm in reading, there must be a dialectical combination of reading paradig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