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재직 여성의 고용유지 및 경력개발 장벽에 대한 질적 연구

        노경란(Kyungran Roh) 협성대학교 교양학연구소 2022 교양학연구 Vol.9 No.2

        이 연구는 재직 여성의 고용유지 및 경력개발 장벽을 규명하고, 이 장벽을 완화할 수 있는 실천적 방안을 제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재직 여성을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실시하고 질적 자료를 분석하여 여성의 고용유지 및 경력개발 장벽을 도출하였다. 이에 기초하여 여성의 고용유지 및 경력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지원 방안을 제시한 결과 다음과 같다. 우선 교육훈련 측면에서 경제활동의 주체로서 여성의 중요성 인식 개선, 직장 내 관계형성능력과 협업능력의 제고 (특히 일 중심의 긍정적 관계형성능력), 직장 내 갈등 관계 해결 및 회복탄력성 제고 관련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경력개발 측면에서 보면 여성의 고용유지를 위한 지원이 일회성에 머물거나 경력단절과 같은 특정 시점에 집중되기보다 전체 경력생애에 걸쳐 단계별로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직업 진입기, 경력형성기, 경력향상기, 경력재진입기 등으로 단계를 구분하여 맞춤형 지원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find out barriers to employment retention and career development for incumbent women, and to suggest practical measures to alleviate these barriers. In order to achieve thi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incumbent female workers and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to derive barriers to women's employment retention and career development. A support plan was proposed to promote women's employment retention and career development based on this. On the one hand, these support programs were needed in terms of education and training: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women as the main agents of economic activity, relationship-forming ability and collaboration skills in the workplace, resolving conflicts in the workplace and improving resilience. On the other hand, career development services throughout the life are required in terms of career development. In this study, customized supports were suggested by dividing the stages into career entry phase, career formation phase, career improvement phase, and career re-entry phase.

      • KCI등재

        북한이탈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필요한 교육요구분석

        노경란 ( Kyungran Roh ),허선주 ( Sunjoo Hur )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2021 통일연구 Vol.25 No.2

        이 연구의 목적은 북한이탈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력 향상을 지원하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작업으로 북한이탈대학생의 대학생할적응에 필요한 교육요구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북한이탈대학생의 대학생활 지원 실무 경험 또는 북한이탈대학생 관련 연구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 15명을 델파이패널로 구성하여 교육요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북한이탈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필요한 교육요구는 대학생활 이해, 전공 기반 진로개발, 남한사회 이해 기반 적응 기술, 대학생으로서의 마인드, 대학생으로서 갖추어야 하는 기초역량(한국사, 영어, 컴퓨터활용 등), 대학생으로서 갖추어야 하는 학업역량 등으로 영역이 구분되었다. 둘째, 북한이탈대학생의 교육요구에 대한 중요도, 교육요구도, 교육요구의 우선순위를 분석한 결과 최소 두 가지 이상의 준거에서 우선순위가 높은 교육요구들을 반영하여 교육프로그램(안)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이 연구는 전통적인 대학(4년제, 전문대학)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교육요구를 분석하였기 때문에 평생학습사회의 도래와 함께 변화하고 있는 고등교육생태계에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ducational needs of North Korean defector college students (NK students) to adapt to college as a basic step in order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that support to improve college life adaptability of North Korean defectors.. To achieve this purpose, a Delphi panel composed of 15 experts with practical experience in supporting NK students’ university life or research experience related to NK students was formed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four rounds. As a result, firstly, the educational needs of NK students are related to understanding college life, career development based on majors, adaptation skills based on understanding South Korean society, mind as a college student, and basic competencies (Korean history, English, computer skill, etc.), and the academic competency that university students must have. Secondly, the educational program(draft) was presented by reflecting the high-priority education needs in at least two criteria(criteria: importance, degree of needs, and priority). Lastly,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generalizing the research results in the higher education ecosystem, which is changing with the advent of the lifelong learning society, because it analyzed the educational needs based on the experience at a traditional university (four-year system, junior college).

      • KCI등재
      • KCI등재

        성인 발달장애인 평생교육프로그램 강사 참여 경험에 대한 연구: 예비특수교사를 대상으로

        노경란(Kyungran Roh),허선주(Sunjoo Hur)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22 한국교육문제연구 Vol.40 No.4

        이 연구는 성인기 발달장애인 대상의 평생교육프로그램에서 강사로 참여한 예비특수교사의 경험을 Kolb의 경험학습모형에 기초하여 분석하는데 목적을 둔다. 예비특수교사 10명을 대상으로 집단면접조사를 실시하여 획득한 질적 자료에 대하여 계속비교분석법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교육 분야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방법으로 예비특수교사에게 강사 참여 기회를 제공하는 것과 같은 경험학습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특수교사가 평생교육프로그램에 강사로서 참여하면서 경험하는 과정을 분석한 결과 Kolb의 경험학습모형이 변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Kolb가 제시한 각 경험학습단계가 동등하게 중요한 것이 아니라 반성적 성찰 단계가 특히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이론적․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xperience of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participated as instructors in a lifelong education program provided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ased on Kolbs experiential learning model. For this purpos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experiential learning such as providing an opportunity to participate as instructors was found to be effective as an educational method, for training the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in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Kolbs experiential learning model was transform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ocess experienced by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s they participated as instructors in lifelong education program. Finally, it was shown that each experiential learning stage suggested by Kolb is not equally important, but the reflective observation stage is particularly important.

      • KCI등재

        여대 사범대학 교육학과생의 진로개발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노경란(Kyungran Roh),김민희(Minhee Kim),이은경(Eunkyoung Lee)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3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1 No.4

        이 연구는 여대 사범대학 교육학과생의 진로개발과정을 심층적으로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근거이론모형을 적용하여 14명의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면접조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여대 사범대학 교육학과생의 진로개발과정의 인과관계를 구체적으로 도출하였다. 둘째, 가설적 정형화 과정을 토대로 여대 사범대학 교육학과생의 진로개발 순환고리론을 가설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여대 사범대학에 재학하는 교육학과생은 여성, 사범대학생이라는 이유를 넘어서서 교육학과의 전공 특수성 때문에 진로장벽을 인식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둘째, 여대 사범대학 교육학과생이 긍정적인 진로개발과정을 전개해 나갈 수 있도록 학과 차원의 진로지도 노력과 구체적인 프로그램 개발 및 계열화가 필요하다. 끝으로 이 연구에서 나타나는 교육학과생의 진로장벽에 근거를 두었을 때 학생의 진로개발이라는 측면에서 교육학과의 역할 및 기능에 대한 체계적인 검토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oroughly the career development process of undergraduates who major in education. To accomplish this purpose, a qualitative research design was planned and the collected data from 14 interviewees were analyzed using a Grounded Theory Method. The results of analyses and the causal relationship in the career development process of undergraduates who major in education were schematized. Also, this study suggested the Circulating Loop Theory, which consists of a positive loop and a negative loop.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several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regarding strategies to facilitate the career development process of undergraduates who major in education.

      • KCI등재

        청소년 직업카드를 활용한 학교 진로교육 수업의 효과성 분석

        노경란(Roh, Kyungran),서현주(Seo, Hyunju)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8 교육연구 Vol.71 No.-

        이 연구는 학교에 기반하여 청소년을 대상으로 제공된 전문기관 보급형 직업카드와 교육프로그램을 활용한 수업의 효과를 중학생과 고등학생 비교의 관점에서 분석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하여 2개 중⋅고등학교를 추출, 실험집단(중: 36명, 고: 26명)을 대상으로 3차시(3주)의 직업카드 활용 수업을 진행한 후 통제집단(중:37명, 고: 26명)과 비교분석하였다. 기초기술통계 분석 결과, 진로성숙도, 진로결정수준, 진로정체감 등에서 고등학생은 중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달리 진로결정효능감에 있어서는 중학생과 고등학생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직업카드 활용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중학생의 경우 직업카드를 활용한 교육적 개입이 진로성숙도,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 진로정체감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으로 작용하였다. 이와 달리 고등학생의 경우 직업카드를 활용한 수업 참여 후 진로정체감에서는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으나 진로성숙도,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에서는 긍정적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론적 논의와 실천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ffect of using the commercial vocational cards for youths which has been developed by career professional organization. To accomplish this purpose, pretest-posttest design was employed to compare the change of experimental group(62 students) after attending 3 hours career class with that of control group(63 students). The results show that high school students are higher than middle school students in terms of career maturity, career identity, and career decision level, while two groups do not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career self-efficacy. On the one hand, to use vocational cards in the classroom for middle school students is effective in improving career maturity, career self-efficacy, career identity, and career decision level. On the other hand, a career education with vocational cards for high school students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to improve their career maturity, career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level except career identity.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suggested.

      • KCI등재후보

        예비 중등교사의 문화 대응적 교수 자기효능감이 다문화교수능력에 미치는 영향

        노경란(Kyungran Roh)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2 교육연구 Vol.53 No.-

        이 연구는 예비 중등교사의 문화 대응적 교수 자기효능감이 다문화교수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서울 소재 한 여자대학교의 사범대학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획득한 자료(유효표본:558개)에 대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집단 간 차이검증, 중다회귀분석 등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인종적으로 다수자 지배적인 예비 중등교사의 문화 대응적 교수 자기효능감 인식 수준이 높지 않으며, 특히 다문화 가정 학생 특성 파악 및 활용에 대한 자신감이 낮았다. 둘째, 현 시점의 예비 중등교사들에게서 다문화교수능력에 대한 자기평가 시 전체적으로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있으나 문화적 편견에 대한 인식과 영향 파악 능력이 부족다고 평가하는 특성이 발견되었다. 셋째, 다문화 관련 교육과정의 계열성 개발과 다문화 교육 환경에의 직접 경험 환경 제공이 예비 중등교사 양성에서 필요하다. 넷째, 예비 중등교사의 다문화교수능력 관련 인식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변인으로 다문화 환경에의 노출 또는 참여 경험이 도출되었다. 다섯째, 예비 중등교사의 문화 대응적 교수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다문화교수능력에 대한 자기평가도 긍정적이었으며 그 역도 가능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예비 중등교사의 다문화교수능력 개발을 위한 이론적 ⋅ 실천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ffects of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culturally responsive teaching self-efficacy on the multicultural teaching ability.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data(Valid respondents: 558) from the survey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al sofrware(Ver. 18.0) for Descriptives, Frequencies, T-Tesr,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 probability level of p< .05 was set for aU tests of statistical significance. As a result, first,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are low self-efficacious in their ability to teach in a culturally diverse environment. Second,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are prone to evaluate themselves positively on multicultural teaching ability. Third, the sequential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related curriculum and opportunities of firsthand experiences are important for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Forth, the exposure/participation in a culturally diverse environment is one of significant factors to effect on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multicultural teaching ability. Fifth, the more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are self-efficacious, the more they evaluate their multicultural teaching ability positively.

      • KCI등재

        고등학생의 진로교육 참여특성이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학교 진로교육과 진로사교육을 중심으로

        노경란(Roh, Kyungran),허선주(Hur, Sunjoo) 한국진로교육학회 2021 진로교육연구 Vol.34 No.2

        이 연구는 고등학생의 진로교육 참여 형태를 학교교육과 사교육으로 구분하여 고등학생의 진로교육 참여특성이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서 ‘2019년 초·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고등학생용)’ 자료를 활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고등학생의 성별 특성, 재학 중인 학교의 규모와 소재지가 진로개발역량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 진로교육에 참여시, 양적으로만 다수의 진로활동에 참여하기보다 만족할 수 있는 진로활동과 진로체험에 참여할수록 고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에서 제공되는 진로교육에 추가로 외부 기관을 활용하여 진로사교육에 참여하면 고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진로사교육 참여시, 양적으로만 다수의 진로활동에 참여하기보다 만족할 수 있는 진로활동과 진로체험에 참여할수록 고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 of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ion characteristics in career education on their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focusing on school education sector and private education sector. To achieve this purpose, KRIVET’s The Career Education Status Survey Panel in 2019(for high school students) was used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ly, gender, school size, location of school effect on high school students’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regardless of participation characteristics in career education. Secondly, not more quantity of participation but more satisfied with career education activities and experiences, their level of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is higher in school education sector. Thirdly, the participation in private career education in addition to school career education enhances their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Lastly, in private education sector also, not more quantity of participation but more satisfied with career education activities and experiences, their level of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is higher.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career education were suggested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