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베체트병 환자에서 발생한 특발성 혈소판 감소증

        현영 ( Hyun Young Shin ),효정 ( Hyo Jung Nam ),송주경 ( Ju Kyoung Song ),강성욱 ( Seong Wook Kang ),이상옥 ( Sang Ok Lee ),신동혁 ( Dong Hyuk Sheen ),임미경 ( Mi Kyoung Lim ),심승철 ( Seung Cheol Shim ) 대한류마티스학회 2005 대한류마티스학회지 Vol.12 No.2

        In Behcet`s disease, thrombocytopenia has rarely been reported in association with the hemolytic uremic syndrome, thrombotic thrombocytopenic purpura or in association with cyclosporine or chlorambucil in the treatment of ocular inflammatory disease and meningoencephalitis. In this paper we report a case of thrombocytopenia in a 33-year-old female with Behcet`s disease who has taken no medications for three years. After history taking, physical examination, routine laboratory and bone marrow examination, we diagnosed her case as idiopathic thrombocytopenic purpura (ITP). She recovered with high dose steroid treatment.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having ITP in a patient with Behcet`s disease.

      • KCI등재후보

        Size and eye fleck patterns in the sexes of Kamchatka Oystercatcher Haematopus ostralegus osculans

        Hyun-Young Nam(남현영),Seung-Yeon Lee(이승연),Mi-Gyeong Jeon(전미경),Chang-Yong Choi(최창용),Sook-Young Cho(조숙영),Kyung-Gyu Lee(이경규),In-Kyu Kim(김인규),Dal-Ho Kim(김달호),Young-Soo Kwon(권영수) 한국조류학회II 2018 한국조류학회지 Vol.25 No.1

        성판별은 환경변화에 따른 개체군의 영속성을 예측하기 위해서 기초적으로 진행하는 과정이다. Haematopus 속의 검은머리물떼새류에서 크기와 홍채의 반점 패턴은 성별에 따라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준위협종에 해당하는 검은머리물떼새 아종(Haematopus ostralegus osculans)에서 비번식시기에 기존에 알려진 특징들이 성별을 구분하는 기준이 될 수 있는지를 검정하기 위해, 봄철 북상시기에 중간기착하는 검은머리물떼새의 신체 각 부위의 측정자료를 수집하고 홍채의 반점패턴을 촬영하여 성염색체 분석을 통해 얻은 성별 정보와 비교하였다. 검은머리물떼새류에서 알려진 일반적인 특징과 달리, 본 연구에서는 신체 각 부위의 크기나 홍채의 반점 패턴 모두 성별에 따른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해당 아종에서 형태적 특징에 따른 성판별에 대한 구체적 정보를 얻기 위해서 서로 다른 시기, 또는 다른 개체군을 대상으로 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Sex identification is essential to predict perpetuity of the population in a changing environment. Size and eye fleck patterns are known as indicators of sex identification in oystercatchers in the genus Haematopus. We collected information on biometrics and eye fleck patterns of the near-threatened Kamchatka Oystercatcher Haematopus ostralegus osculans at a stopover site in Korea during a northward migration season, to test whether these characteristics are reliable factors for sex identification in this subspecies. Unlike the common prediction, neither body size nor eye fleck pattern was related to sex in our study population. More detailed information on size and eye fleck pattern in different seasons and populations will facilitate studies on their ecology and conservation of this little-known subspecies.

      • KCI등재후보

        직박구리(Microscelis amaurotis)가 광나무(Ligustrum japonicum) 발아에 미치는 영향

        조숙영(Sook-Young Cho),남현영(Hyun-Young Nam),최창용(Chang-Yong Choi),채희영(Hee-Young Chae) 한국조류학회II 2011 한국조류학회지 Vol.18 No.3

        광나무(Ligustrum japonicum)는 우리나라 서·남해안 및 도서지방에 분포하는 상록활엽수로 열매의 결실기는 10월부터 이듬해 1월까지이다. 이 시기에는 조류의 먹이로 이용될 수 있는 과실이 드물어 광나무 열매가 추운 겨울동안 관찰되는 새들에게 중요한 먹이자원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전남 홍도에서 겨울철 열매를 맺는 광나무와 이를 이용하는 조류의 상호작용을 파악하기 위해 2009년 12월 하순부터 2010년 1월 초순까지 광나무 열매를 섭식하는 조류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또한 조류에 의한 섭식활동이 광나무 종자의 발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2010년 1월부터 7월까지 180일간 종자의 발아여부 및 시기를 파악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광나무 열매를 섭식하는 조류는 직박구리(Microscelis amaurotis) 1종만이 관찰되었으며 인위적으로 과육을 제거한 종자와 직박구리의 소화기관을 통과한 종자는 자연상태 그대로 파종된 열매와 비교하여 발아율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발아시기는 크게 단축되었다. 결국 광나무는 먹이자원이 부족한 겨울철 직박구리에게 먹이를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직박구리는 광나무 종자의 발아시기를 단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박구리가 열매를 섭취하고 이동하여 종자를 산포시킴으로써 광나무 군락의 종내 경쟁을 줄이고 새로운 곳에서 정착할 수 있는 기회도 줄 것으로 판단된다. 조류와 식물 간의 이러한 상호작용은 서로에게 이익을 주며 더 나아가 도서지역의 산림보전 및 자연 복원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Ligustrum japonicum is a broad-leaved evergreen tree distributed in southern and western parts of Korea. The fruiting season of L. japonicum is a winter between October and January when foods for animals are generally scarce; hence the species may be an importance source of foods for birds wintering in these areas. We aimed to understand interactions between winter-fruiting trees and birds: (1) identification of avian species consuming L. japonicum fruits and (2) the effect of fruit ingestion by birds on its seed germination. We monitored avian species consuming the fruits and carried out germination experiments with seeds in different conditions from December 2009 to July 2010 on Hong-do Island Korea. The Brown-eared Bulbul (Microscelis amaurotis) was the only observed species that consumed the fruits of L. japonicum during the period. Pulp and coat-removed seeds and ingested seeds by bulbuls were germinated significantly earlier than intact seeds. However germination rates of the three groups were not different.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bird ingestion of L. japonicum fruits helps earlier germination or farther dispersal of its seeds so that the tree may be advantageous in intraspecific competition in the community and have the increased opportunity to generate new colonies. Understanding symbiotic interactions between birds and plants on a small remote island may give a clue for future restoration of damaged vegetations on islands in Korea

      • KCI등재

        어린 대륙검은지빠귀(Turdus mandarinus)의 봄철 이동 사례

        최창용(Chang-Yong Choi),남현영(Hyun-Young Nam),박세영(Se-Young Park),강화연(Hwa-Yeon Kang) 한국조류학회 2020 한국조류학회지 Vol.27 No.2

        대륙검은지빠귀(Turdus mandarinus)는 중국의 중남부에 연중 서식하는 텃새이나, 국내에서도 서해안의 도서지역을 중심으로 봄과 가을에 이동하는 소수 개체가 관찰된다. 특히 봄철에 관찰되는 개체는 일반적으로 중국의 남동부 번식지에서 우리나라로 분산하여 도래하는 개체들로 추정되어 왔다. 전북 군산시의 어청도에서 포획한 1년생 수컷에 소형 추적장치(3.9 g)를 부착하여 2020년 4월 26일부터 5월 13일까지 대륙검은지빠귀의 중간기착 및 이동 특성을 분석한 결과, 이 어린 새는 당초 예상과는 달리 국내로 유입되는 것이 아니라 서쪽으로 이동하여 중국 내 번식기 분포지(산둥성 린이시)로 돌아가는 개체임이 확인되었다. 또 서해안 도서지역에서 중간기착하는 대륙검은지빠귀는 좁은 면적(0.4 ha) 내에서 최소 10일 이상 체류했으며, 서해를 건널 때에는 야간에 시속 52 km/h 이상의 속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사례가 어린 개체에 대한 1회의 추적 사례임을 감안할 때, 향후 서해안을 통과하는 다양한 산새류의 이동특성과 중간기착지 이용, 기상과의 관련성 등을 파악하기 위한 지속적인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The Chinese Blackbird (Turdus mandarinus) is a resident species occurring in southern China, but a few individuals are observed in spring and autumn migration seasons on stopover islands along the west coast of Korea. The blackbirds observed in spring are often believed as migrants dispersing from their main breeding range in southeastern China to the Korean Peninsula. To test this hypothesis, we captured a young male in the first summer plumage and deployed a small telemetry device (3.9 g) on the bird at Eocheong Island in Gunsan City, the Republic of Korea. According to the revealed stopover and migration behaviors from 26 April to 13 May 2020, the young blackbird was a westward migrant returning to its breeding range (Linyi City, Shandong Province) in China, not an immigrating bird into Korea. The telemetry data also suggested that the blackbird stayed in a small home range (0.4 ha) over 10 days on the stopover island in Korea and that it crossed over the Yellow Sea by an overnight flight with a migration speed of >52 km/h. This is an anecdotal report from a single bird, but more studies will help bridge our knowledge gaps on the migration and stopover behaviors of Asian songbirds and the effects of weather conditions on their sea-crossing migration over the Yellow Sea.

      • KCI등재
      • 검은꼬리사막딱새(Oenanthe deserti)의 국내 최초 기록

        최창용(Chang-Yong Choi),남현영(Hyun-Young Nam) 한국조류학회II 2008 한국조류학회지 Vol.15 No.1

        2008년 1월 26일 경상북도 포항시 장기면 양포항 인근(N 35˚ 52' 37", E 129˚ 31' 07")에서 검은꼬리사막딱새(Oenanthe deserti) 1개체를 확인하였으며, 이는 국내 첫 관찰기록에 해당한다. 관찰된 개체는 l년생 겨울깃의 어린 수컷이었으며, 몸집의 크기나 깃털의 특징, 각 아종의 분포 등을 고려할 때 Oenanthe deserti atrogularis에 해당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On 26 January 2008, one young male of the Desert Wheatear (Oenanthe deserti) was observed at Yangpo harbor (N 35˚ 52' 37", E 129˚ 31' 07'), Janggi-myeon, Pohang, Gyeongbuk Province, and this is the first record of this species for the Korean peninsula. The wheatear was in 1st winter plumage and was possibly the Oenanthe deserti atrogularis based on size, plumage and distribution of subspecies.

      • KCI등재후보

        기름에 오염된 바다쇠오리가 홍도에 서식하는 매의 겨울철 먹이에서 차지하는 비율

        최창용(Chang-Yong Choi),남현영(Hyun-Young Nam),빙기창(Gi-Chang Bing) 한국조류학회II 2010 한국조류학회지 Vol.17 No.2

        매(Falco peregrinus)의 먹이에 대한 자료는 전 세계적으로 오랫동안 축적되어 왔으나, 우리나라 해안에 서식하는 매의 겨울철 먹이에 대한 정보는 부족한 실정이다. 전남 홍도에서 월동하는 매 한 쌍의 먹이를 파악하기 위해 2009년 12월부터 2010년 2월까지 주요 먹이터 3곳을 매주 방문하여 먹이 흔적을 수거하였다. 확인된 총 7종 25개체의 먹이 중에서 해양성 조류가 상당한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특히 바다쇠오리(Synthliboramphus antiquus)는 빈도(64%)와 생물량(55%) 모두에서 홍도에서 월동하는 매에게 가장 중요한 먹이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포식된 16개체의 바다쇠오리 중에서 15개체(94%)가 기름에 오염된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번 조사를 통해 매의 겨울철 먹이에서 기름에 오염된 바다쇠오리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다는 사실이 확인되었으나, 이런 현상이 쉽게 포획할 수 있는 먹이가 증가하는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인지 또는 독성 오염원에 노출될 가능성을 증가시킴으로써 부정적인 역할을 할 것인지를 파악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이 결과는 해상의 기름 유출 사고가 매에게 일정 수준의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의미하며, 또 기름에 오염된 해양성 조류는 기름 유출에 의한 직접적인 피해뿐만 아니라 맹금류의 포식압에 더 크게 노출될 가능성도 함께 보여준다. The diet of the Peregrine Falcon (Falco peregrinus) has been well documented around the world for many decades, but there is little information on its winter diets on the Korean coasts. Three main perches of one sedentary pair of Korean Peregrine Falcons were visited every week and prey remains were collected to document their winter diet from December 2009 to February 2010 on Hongdo Island, Republic of Korea. As a result, a total of 25 prey remains from seven avian species were identified, and the bulk of the prey consisted of seabirds. In particular, the Ancient Murrelet (Synthliboramphus antiquus) was the most important winter prey for the pair on Hongdo, both in frequency (64%) and in biomass (55%). However, 15 of the 16 murrelets collected (94%) were contaminated by spilled oil. This result indicates that oil-affected Ancient Murrelets are probably easy prey targets for Peregrine Falcons, and that oil spill incidents may increase the predation rates of seabirds by raptor species. 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eregrine Falcon can be affected by oil spill incidents to some extent. However, at this point, it is difficult to identify whether the high proportion of oil-affected Ancient Murrelets in their winter diets is beneficial for the Peregrines due to increased prey availability, or harmful due to the increase in toxic contaminant exposure of the falcons.

      • KCI등재후보

        Migration and Habitat Use of Breeding Blue Rock Thrushes on Hongdo Island, Korea

        Chang-Yong Choi(최창용),Hyun-Young Nam(남현영),Il-Jae Won(원일재),Gi-Chang Bing(빙기창),Sook-Young Cho(조숙영),Gil-Pyo Hong(홍길표),Hee-Young Chae(채희영) 한국조류학회II 2011 한국조류학회지 Vol.18 No.1

        바다직박구리(Monticola solitarius)는 주로 우리나라의 해안에 분포하는 텃새로 알려져 있으나, 이동 및 서식지 이용에 대한 정보는 빈약한 실정이다. 국내에서 번식하는 개체군의 이동 경향과 서식지 이용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5년부터 2009년까지 전남 홍도에서 가락지 부착 조사, 일일관찰 조사, 세력권 도시법 등을 실시하였다. 대만에서의 가락지 회수 기록과 일일 출현 양상이 월별로 차이를 보이는 점 등을 고려할 때, 바다직박구리는 계절에 따른 이동성을 보였으나 서식지 충실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지역에서의 번식 밀도와 평균 세력권의 크기는 각각 7.7-9.2쌍/㎢ 및 2.87±1.01㏊ (범위: 1.73-4.54㏊)였으며, 지역 및 세력권 수준의 공간 규모에서 서식지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였다. 조사한 총 7개의 서식지 유형 중에서 해수면을 회피하는 반면 식생이 없고 기반이 단단한 암벽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타 서식지 유형에 대해서는 뚜렷한 선호도가 확인되지 않았다. 이런 서식지 선호도를 감안할 때 바다직박구리가 주로 해안에 분포하는 주요 원인은 조간대와 같이 해안에 발달한 서식지 유형에 유인되는 것이 아니라 선호하는 서식지의 유형이 내륙에서 잘 발달되지 않은 경관적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바다직박구리의 서식지 선호도와 분포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분석하기 위해 향후 3차원적인 공간 이용과 섭식 행동, 먹이 등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The Blue Rock Thrush (Monticola solitarius) is distributed along the Korean coast, but its migratory and breeding habits are poorly known. To determine migratory patterns and ㏊bitat use of the Korean population, bird ringing, daily counts, and territory mapping were conducted on Hongdo Island, Korea from 2005 to 2009. Significant monthly c㏊nges in daily occurrence along with an international ring recovery suggested the presence of migratory habits, but ringed birds showed weak site fidelity to the study area. Breeding densities and mean territory size were of 7.7-9.2 pairs/㎢ and 2.87±1.01㏊ (range: 1.73-4.54㏊) in the study area. Breeding pairs did not select habitats randomly on regional and territorial scales. Among the seven habitat types assessed, sea surface areas were avoided, and rocky cliffs without vegetation and with hard substrates were preferred. No other significant differences in habitat preference were detected. Considering this habitat preference, we suggest that the coastal distribution of M. solitarius in Korea may be related to landscape traits limiting the occurrence of precipitous cliffs in inland areas rather than related to a preference for coastal habitat types, such as intertidal areas. Further studies, including three-dimensional space use, foraging behavior and diet are needed to refine our knowledge of habitat preference and distribution in the Blue Rock Thrus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