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아이트래커를 활용한 건설업 경험에 따른 안전위험요인 인지 성과분석

        남지현 ( Nam Jihyun ),문준부 ( Mun Junbu ),윤성민 ( Yun Sungmin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3 한국건축시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3 No.1

        Due to recent enhance of safety law and regulations in construction sites, safety inspectors have been more required in construction sites. However, most of them are novice for safety inspection which have not enough experience and skill. Therefore, the novice safety inspector’s performance on hazard recognition needs to be improved for effective safety management. The performance of safety inspection is influenced by the inspector’s experience and background because the inspection is usually conducted by the inspector’s eyes. Therefore, there is a difference in safety inspection performance between novice and experienced safety manager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gap of risk perception between novice and experienced safety managers using quantitative visual data. For this objective, this study conducted eye tracking experiments for novice and experienced group to evaluate cognitive performance of safety risk factors. The results provides the level of safety awareness based on their experience in construction safety.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a lack of the number of samples used in this study and did not consider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If these limitations are supplemented in future research, it can be used to develop safety education contents for novice safety managers.

      • KCI우수등재

        장애인의 주거복지 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앤더슨 모형을 중심으로 -

        남지현(Nam JiHyun) 한국사회복지학회 2021 한국사회복지학 Vol.7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의 주거복지 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17년 장애인실태조사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총 1,100명을 대상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성별, 연령, 거주지역, 혼인여부, ADL, 차별경험, 정보접근성, 주택 성능, 주택 점유형태, 주택 소유자가 주거복지 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그동안 수행되지 않았던 저소득 장애인의 주거복지 서비스 이용 요인을 검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이와 함께 저소득 장애인의 주거 선택권 강조, 비장애인 중심의 주거복지 서비스의 탈피 등의 실천적·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use of housing welfare servic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n a total of 1,100 low-income disabled people using data from the 2017 Survey on the Disabl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gender, age, residential area, marital status, ADL,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information accessibility, housing performance, housing occupancy type, and homeowners had an effect on the use of housing welfare services.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verified the factors of low-income people with disabilities’s use of housing welfare services, In addition, practical and policy suggestions were made, such as emphasizing the housing options of low-income disabled people, and breaking away from non-disabled-centered housing welfare services.

      • KCI등재

        백희나 판타지 그림책의 환상성 연구

        남지현(Nam Jihyun)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16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1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nges of Baek Heena’s fantasy picturebooks. Baek Heena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Korean picturebook authors. Above all, her picturebooks are highly evalutated in terms of the fantastic imagination acquired in the everyday life’s events. This study explored four works classified as fantasy such as Gu ReumPang [The Cloud Bread], Dalshavet [Moon Sherbet], Jangsu-Tang Sunyenim [The Angel of Jangsu-Tang] and Isanghan Umma [Strange Mom]. First, this study investigate the characterics of subject to perform the fantasy and the nature of fantasy world. The fantasy subjects and fantasy world in Gu ReumPang, Dalshavet are similar with those of the folklore. On the other hand, the fantasy world in Jangsu-Tang Sunyenim is impied secondary world and the fantasy world in Isanghan Umma is secondary world. And the fantasy subjects of Jangsu-Tang Sunyenim, Isanghan Umma are mainly the person who came from the secondary world. Second, this study investigate the desires realized in the narratives. The desires in Gu ReumPang, Dalshavet are altruistic ones. And the desires in Jangsu-Tang Sunyenim are the subjects’ inner desire, which have the more complex and interactive aspects. In the contrary, the desires in Isanghan Umma is the care in the level of basic needs rather than the desire.

      • 시선추적기술을 활용한 건설분야 육안점검 고도화 기술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남지현 ( Nam Jihyun ),임종록 ( Lim Jonglok ),박찬영 ( Park Chan Young ),윤성민 ( Yun Sungmin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1 한국건축시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1 No.1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many of the inspection activities have been conducted by experts’ eyes. The inspection performance of this kind of method is highly influenced by experience and knowledge of the expert. The experts who have fluent experience may show better inspection performance than the novice. The problem is the deficiency of experts in the near future due to the acceleration of retirement of the aging expert. Eye-tracking technology can be a solution to effectively educate the novice through transferring the knowledge of an expert and to advance the inspection activities using experts' eyes. This study, as an initial step to suggest the solution, (1) figured out the state of the art of eye-tracking technology, (2) reviewed the previous research to improve the inspection in construction using experts' eye, (3) explored the potential of the application area of eye-tracking technology, and (4) established the framework to develop the advanced inspection method in two application area which are construction site safety management and infrastructure performance measurement.

      • KCI등재

        책 읽어주기 과정에서 나타나는 아동의 서사 수용 양상

        남지현 ( Nam Jihyun ) 한국독서학회 2017 독서연구 Vol.0 No.42

        이 연구는 책 읽어주기 과정에서 아동이 서사 텍스트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며 어떤 전략을 사용하여 수용하는가를 통해 아동의 서사능력을 구체화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두 학급의 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단편 동화 「나를 데리러 온 고양이 부부」의 책 읽어주기와 간단한 문학토의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기술하였다. 수업 결과 두 학급의 아동은 판타지 장르의 초현실적 설정에 대한 의구심을 나타내고 서사의 갑작스러운 결말에 대해 불만을 표시하고 뒷이야기를 이어쓰려는 강한 동기를 나타냈다. 아동은 판타지 장르의 설정을 논리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서사의 빈틈을 채우거나 시공간의 특징에 주목하였다. 이를 동화라는 장르 규범의 하나로 이해하려는 시도도 이루어졌다. 서사의 갑작스러운 결말은 아동이 추구하는 결말과의 불균형을 야기했고 그로 인해 이어질 내용을 생각하도록 동기유발 되었다. 그 결과 기존 결말을 강화하는 유형, 거부하는 유형, 이 둘을 절충하는 유형의 결말이 제출되었다. 아동 독자는 그러한 뒷이야기 이어쓰기를 통해 서사에 대한 자신의 기대와 예측을 투사하였다. 이때 텍스트가 제공하는 정보의 부족이 아동의 적극적인 참여를 자극하는 동인이 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pecify the narrative competence of the child through how the child responds to the narrative text and how to use the strategy in narrative acceptanc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ad a short story fairy tale “Cat Couple Picking Me Up” and a brief literary discussion for 6th grade children in two classes and describe the result. The children in the two classes showed strong suspicions about the surreal setting of the fantasy genre, complained about the sudden ending of the narrative, and had a strong motivation to pursue the following story. In order to logically understand the setting of the fantasy genre, the child filled the gaps of the narrative or noticed the characteristics of chronotope. An attempt was made to understand this as one of the genre norms of fairy tales. The sudden ending of the narrative led to an imbalance with the ending that the child pursued and motivated him to think about what to do. As a result, the type of ending the existing ending, the type of denial, the end of the type of compromise between the two was submitted. Child readers projected their expectations and predictions about narrative through such following story writing. The lack of information provided by the text is the motivation for th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child.

      • KCI등재

        독거 시각장애인이 인식하는 공공임대아파트 공간의 의미 : 사회적 공간 이론을 중심으로

        전지혜(Jeon JiHye),남지현(Nam JiHyun)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21 한국장애인복지학 Vol.51 No.5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space of public rental apartments perceived by the visually impaired living alone through social spatial theory and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 environment of public rental apartments. Subject analysis was applied to intentionally sampling, and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by recruiting 7 blind people living alone who were willing to actively express their opinions about the environment of public rental apartmen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oor public rental apartment environment was created around the non-disabled, limiting the daily life experience of the blind and visually impaired living alone, and was disconnected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due to poor accessibility. Because of this, the blind people living alone were experiencing both external and internal isolation. However, the visually impaired living alone felt grateful for the space to be independent and the continued support for housing management, and were in solidarity with the residents to create a better living environment. In addition, they were actively using welfare institutions located near public rental apartments to request the support they needed. In the future, it was found that public rental apartments should change their role as a space where they can exercise their sense of belonging and authority with resident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e change of public rental apartment policy, the application of a universal design perspective, encouraging the visually impaired to participate in housing management, and the necessity of organizing residents. 본 연구는 독거시각장애인이 인식하는 공공임대아파트의 공간을 사회적 공간이론을 통해 살펴보고 공공임대아파트의 환경 개선 방안을 제안하고자 수행되었다. 주제분석을 적용하여, 의도적 표집을 진행하였으며, 공공임대아파트 환경에 대해 적극적으로 의견을 표출할 의사가 있는 독거 시각장애인 7명을 모집하여 개별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열악한 공공임대아파트 환경은 비장애인 중심으로 조성되어 있어 독거 시각장애인의 일상생활 경험을 제한하고 있었고, 접근성이 좋지 않아 외부환경과 단절되어있었다. 이로 인해 독거 시각장애인들은 외부, 내부의 고립을 동시에 경험하고 있었다. 그러나 독거 시각장애인들은 독립할 수 있는 공간이 있다는 것과 지속적인 주거 관리 지원에 감사함을 느끼며, 더 좋은 주거 환경을 만들기 위하여 주민과 연대하고 있었다. 또한 공공임대아파트 주변에 위치한 복지기관들을 적극적으로 이용하여 자신에게 필요한 지원들을 요구하고 있었다. 향후 공공임대아파트가 주민들과의 소속감, 권한을 행사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 역할이 변해야 함을 발견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임대아파트 정책의 변화, 유니버설 디자인 관점의 적용, 시각장애인의 주거 관리 참여의 독려, 주민조직화의 필요성들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초등수학교육에서 인공지능 활용의 실제 - 초등수학 수업지원시스템 ‘똑똑! 수학탐험대’를 중심으로-

        장혜원 ( Chang Hyewon ),남지현 ( Nam Jihyun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한국초등교육 Vol.31 No.특별호

        오늘날 인공지능은 우리 사회 전반에서 키워드가 되었고, 교육 분야도 예외가 아니라 인공지능의 교육적 활용은 미래 교육의 대비에서 필수적인 논의라 하겠다. 본 연구는 국내 공교육 최초의 인공지능 활용 초등수학 수업지원시스템인 ‘똑똑! 수학탐험대’를 분석하고, 수학교육에서 인공지능 활용이 지향해야 할 방향에 대해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똑똑! 수학탐험대’의 이해 및 현장 적합성 탐색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똑똑! 수학탐험대’는 학습 측면과 관리 측면에 해당하는 양 기능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며, 탑재된 콘텐츠는 활용 주체에 따라 교사 주도적 활용 콘텐츠와 학생의 자율적 활용 콘텐츠로 구별할 수 있었다. 특히 ‘교과활동’ 및 ‘평가’ 콘텐츠의 경우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의 단원 및 차시에 따라 구성되어 있어 교실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인공지능 추천활동’은 학생의 진단 활동 결과를 기반으로 학생의 수준을 진단, 분석하여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학습 데이터를 축적하고 축적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학생 개인의 수준에 적합한 맞춤형 학습을 제공할 것이 기대된다. 한편, ‘똑똑! 수학탐험대’의 현장 적합성을 파악하고자 활용 경험이 있는 교사 3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내용은 ‘똑똑! 수학탐험대’의 활용 정도, 콘텐츠 활용, 시스템의 전반적인 활용에 관한 것이다. 면담 분석 결과, 주로 각차시에서 학습한 개념이나 원리를 익히고 적용하는 시간에 교과서의 보조교재로서의 활용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이 사용한 콘텐츠는 ‘교과활동’이며, 가장 효과적인 콘텐츠로 ‘평가’, ‘교구’, ‘교과활동’을 꼽았다. 시스템의 가장 큰 장점으로 학생들이 흥미롭게 참여한다는 점, 수업시간 내내 학습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들었다. 그러나 단순한 형태로 반복되는 콘텐츠, 복잡한 회원 가입 절차, 불안정한 시스템 등의 단점도 발견되어 보완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똑똑! 수학탐험대’가 효과적인 수업 보조도구로 개선될 가능성을 제안하였다. 또한, 이를 위해 물리적 환경 구축 및 적극적 교사 연수가 필수적이며, 학교 현장의 실질적 요구인 평가와의 연계방안에 대한 고려 또한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Nowadays, artificial intelligence(AI) has become a keyword in our society, and the educational use of AI requires essential discussions in preparation for future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analyze "Knock-knock! Math Expedition," the first AI based elementary mathematics class support system in Korea, and discuss where to the use of AI in math education. To this end, the main focus is on understanding the system "Knock-knock! Math Expedition" and exploring its suitability to school. "Knock-knock! Math Expedition" contains the functions in relation to both the learning and its management, and also the contents both teacher-led and students-driven.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math activity" and "evaluation" contents, their organization according to the textbooks unde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can be useful in the classroom. In addition, “AI Recommendation Activity” diagnoses students' levels based on the results of their activities, which are expected to accumulate learning data and provide adaptive learning suitable for each student’s level. In order to figure out its suitability to school,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three teachers who had experience in using the system. The interview was about the method and frequency of utilization of "Knock-knock! Math Expedition", the use of contents, and the overall utilization of the system. The interview analysis showed that the frequency of use as auxiliary tools is high, the most used content was “math activity”, and the most effective contents were “evaluation”, “teaching instrument” and “math activity”. The biggest advantage of the system was students’ spontaneous participation. However, shortcomings such as repetition of simple exercises, complexity of membership procedures, and unstable systems were also found.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the needs and possibility for improvement of the "Knock-knock! Math Expedition" as an effective teaching aid.

      • KCI등재

        근로장애인의 소득과 건강상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소극적 여가활동 및 적극적 여가활동의 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전지혜(Jihye Jeon),남지현(Jihyun Nam)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4

        한국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 관련된 연구는 다수 진행되었으나 근로장애인에 초점을 두지 않았으며, 장애인의 여가활동을 적극적, 소극적 유형으로 구분하여 살펴본 연구는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근로장애인의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소득 및 건강상태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소극적 여가활동과 적극적 여가활동의 다중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2017년 장애인실태조사에 응답한 근로장애인 1,417명의 자료를 분석하였고, SPSS Macro 프로그램인 PROCESS(ver.3.4)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소득과 건강상태가 높을수록 근로장애인의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득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와 건강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적극적 여가활동과 소극적 여가활동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근로장애인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방안으로 소득 및 건강증진을 위한 정책적 노력과 함께 근로장애인을 위한 다양한 여가활동의 개발 및 확산 노력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Many studies related to the life satisfaction of disabled people in Korea were conducted. However, no studies focused on the working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leisure activities of the disabled people by dividing them into active and passive type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income and health status on life satisfaction of working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analyzed the multi-mediating effects of passive and active leisure activities to suggest ways to increase life satisfaction of working people with disabilities. Data of 1,417 working disabled who responded to the 2017 survey on disabled people were analyzed, and SPSS Macro program PROCESS (ver.3.4) was used.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higher the income and health status, the higher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working disabled. Both passive and active leisure activitie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artial multi-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come and life satisfaction and between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examined the need to develop and spread various leisure activities for the working disabled and policy efforts for income and health promotion to increase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working disabled.

      • KCI등재

        국내에서 시행한 소아청소년 비만 중재의 효과: 기존 메타분석 활용

        김설혜 ( Seolhye Kim ),성은주 ( Eunju Sung ),남지현 ( Jihyun Nam ),유선미 ( Sunmi Yoo ) 대한보건협회 2020 대한보건연구 Vol.46 No.1

        연구목적: 소아비만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심각한 보건의료문제 중의 하나이며, 한국도 예외는 아니다. 본 논문은 소아비만 예방 프로그램의 연구 및 개발에 앞서 그동안 국내에서 시행된 소아 및 청소년 대상의 비만 중재연구를 대상으로 한 메타분석을 모아 서술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비만 중재 효과의 근거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소아 및 청소년의 학교 기반 비만 예방 중재 또는 프로그램을 다룬 메타분석과 체계적 종설을 찾기 위해 2019년 4월까지 국내 전자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였다. 연구대상으로 포함된 논문의 기준은 다음과 같았다. 1) 비만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중재연구를 이용한 체계적 종설이나 메타분석일 것, 2) 2세 이상 18세 미만의 소아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일 것, 3) 국내에서 시행된 연구일 것. 연구에 포함된 메타분석의 주요 결과, 연구의 장점 및 단점, 시사점을 요약하고 효과적인 비만중재 연구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주요결과: 최종적으로 8편의 메타분석 논문이 연구에 포함되었다. 8편의 논문 중 6편의 연구에서 비만 중재는 유의한 BMI 개선효과를 보였다. 운동에 식사, 행동 수정, 부모 교육 등 다른 방법을 복합한 경우 중재효과가 큰 것으로 보이나 결과가 일정하지는 않았다. 운동 중재는 중-고강도의 유산소운동을 30분-1시간 지속하고 주당 3-4회 이상 실시할 때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기존의 메타분석에 포함된 중재연구들은 30명 미만의 소규모 집단을 대상으로 6개월 미만의 기간 동안 지속된 단기간의 중재였으며 대부분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유사실험설계에 따른 중재연구로 근거의 강도가 낮은 편이었다. 결론: 국내에서 출간된 연구의 근거수준이 미약하여 소아 청소년 비만관리를 위한 효과적인 중재프로그램의 특징을 파악하기는 어려웠다. 적절한 연구방법에 따라 계획된 비만예방 및 중재 연구를 시행하고 그 결과를 종합하는 메타분석이 다시 이루어져야 한다. Purpose: We aim to evaluate the effect of interventions for pediatric obesity in an evidence-based manner by reviewing existing meta-analyses in Korea. Methods: Korean electronic databases were searched for articles published until April 2019. Inclusion criteria were as follows: (1) systematic reviews or meta-analyses concerning the intervention of obesity; (2) children or adolescents (between 2 and 18 years of age) as subjects; (3) articles published in Korean. Each study was evaluated via the Assessment of Multiple Systematic Reviews for quality assessment. We conducted a qualitative analysis to evaluate the strengths, limitations, implications of each study. Results: Our final analysis included 8 meta-analyses. Main intervention was exercise primarily in the school environment and resulted in moderate improvement of body mass index of subjects in 6 studies (75%). Multidimensional approach of exercise and diet, behavior, parental involvement seemed to be effective, but the results were inconsistent.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s with medium to high intensity, lasting 30 minutes to 1 hour, 3-4 times per week were effective. However, evidence from the current study was insufficient due to the low quality of included studies; most of them were conducted with small numbers of participants less than 30 people during a short period of less than 6 months with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Conclusion: Insufficient evidence from existing meta-analyses of intervention studies has made it difficult to characterize effective interventional programs for the management of childhood obesity. Large, well-designed intervention studies are needed to provide an evidence-based intervention for pediatric obesity before future meta-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