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음악전공 대학생의 진로정체감 발달과정연구

        남지연 한국청소년학회 2016 청소년학연구 Vol.23 No.12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cess of career identity development in undergraduate music major students based on a grounded theory. In order to recruit the data, 14 participants, senior undergraduate students who were, highly interested in career identity, interviewed after dividing into three focus groups. The result from the data, 55 concepts, 19 sub-categories, and 8 categories were induced. The core category appeared as ‘Career identity formation as a profession after giving new significance to the music.’According to selective coding, participants’ career identity is processing in 5 steps and the contents are following: acknowledgement of lack of capacity stage, frustration towards reality stage, re-motivation stage, re-career exploration and leaping stage, and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stage. This study refers to the process of career identity development in classical music majors in University. Moreover, this study indicates the importance of counseling approach in order to build career identity in music students. 본 연구는 음악전공생 대학생의 진로정체감 발달과정을 근거이론적 연구방법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에 대한 자료수집은 클래식 음악을 전공하는 4학년 대학생 중 진로정체감에 관심 있는 14명을 대상으로 3개의 focus group으로 나누어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분석결과, 55개의 개념과 19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8개의 범주가 도출되었으며 이에 대한 핵심범주는 ‘음악에 대한 새로운 의미부여로 인한 전문가적 주체성 형성’임이 밝혀졌다. 선택코딩에 근거한 연구 참여자들의 진로정체성은 총 5단계에 걸쳐 진행되었는데 각 단계는 전문가적 역량부족 인식단계, 현실에 대한 좌절단계 재동기 유발단계, 진로재탐색 및 도약단계, 전문가적 정체감 형성단계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클래식음악을 전공하는 대학생들의 진로정체감 발달과정을 다루고 있다. 또한 그들의 진로정체감 형성을 돕기 위한 상담학적 접근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음식점 원산지표시제에 관한 중요도-만족도 분석

        남지연,홍완수,Nam, Ji-Yeon,Hong, Wan-Soo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15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3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for country-of-origin labeling at restaurants. There is a growing concern over food safety as well as interest in the country-of-origin for food ingredients served at restaurants. In this study,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for the labeling of country-of-origin at restaurants,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12 attribute items, and the importance was scored higher than the performance in all items. Also,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for the attributes of the country-of-origin labeling showed that 'supportive government policies', 'system of controls for violation of the country-of-origin labeling', and 'penalty for violation of the country-of-origin labeling' are included in the second quadrant, which has a high level of importance but a low level of performance.

      • KCI등재

        실감형 미디어를 활용한 학습 콘텐츠 개발 방향 : 학습이론과 콘텐츠 유형분석을 중심으로

        남지연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3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83 No.-

        The rapid development of immersive content utilizing technologies such as virtual reality (VR), augmented reality (AR), and mixed reality (MR) is emerging as a powerful tool to transform traditional learning methods in the classroom and enhance learners' educational experienc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examples of immersive content created for learning and suggest factors to consider in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ontent for learning. To provide a framework for analyzing immersive content practices for education, this study is divided into three phases. First, it explores relevant learning theories to help design and implement immersive content in educational settings, and second, it examines the types of immersive content created for learning purposes. Finally, by analyzing the case of immersive content for learning, this study identifies the elements needed to create learning content and suggests the direction of future content creation by analyzing the case of immersive content for learning. In conclusion, the growing number of complex types of immersive content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the interactions between types and the different pedagogical approaches that can be used to maximize educational impact. This study aims to propose an immersive content approach for educators, researchers, and content creators to harness the potential of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technologies to improve learning outcomes for K-12 students.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그리고 혼합현실(MR)과 같은 기술을 활용한 실감형 콘텐츠의 급속한 발전은 교육 현장에서의 전통적인 학습 방법을 변화시키고 학습자의 교육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강력한 도구로 부상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학습을 위해 제작된 실감형 콘텐츠의 사례를 살펴보고 학습을 위한 콘텐츠 설계 및 구현에서 고려해야 할 요소 제안을 목표로 한다. 교육을 위한 실감형 콘텐츠 사례를 분석하는 틀을 마련하고자 본 연구는 세 가지 단계로 나누어 살펴본다. 첫째, 교육 환경에서 몰입형 콘텐츠를 설계하고 구현하는 데 도움이 되는 관련 학습 이론을 살펴보고 둘째, 학습 목적으로 제작된 실감형 콘텐츠의 유형을 조사한다. 마지막으로 학습을 위한 실감형 콘텐츠 사례 분석을 통해 학습 콘텐츠 제작에 필요한 요소를 파악하고 향후 콘텐츠 제작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결론적으로, 점차 확대되고 있는 복합적인 유형의 실감형 콘텐츠는 유형 간의 상호 작용 그리고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적 접근 방식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본 연구는 교육자, 연구자 및 콘텐츠 제작자를 위해 가상 및 증강 현실 기술의 잠재력을 활용하여 초-중-고등학생의 학습 성과를 개선할 수 있는 실감형 콘텐츠 접근 방식을 제안한다.

      • KCI등재

        쇼핑 플랫폼의 유료 멤버십 개발을 위한 제언: Amazon, Alibaba, Rakuten 멤버십 벤치마킹 사례 연구

        남지연,나종연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0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8 No.11

        Paid membership is a useful marketing method that can acquire long-term customers. This study benchmarked representative overseas memberships, Amazon Prime, Alibaba 88 Membership, and Rakuten Super Point, so that domestic shopping platform companies can refer to launch the paid membership. The membership services have in common: economic benefits, convenient experiences, and discriminatory treatment. Domestic companies should set the core customer value they want to deliver to consumers and organize the benefits so that paid membership can be operated from a long-term perspective. This study has a high practical contribution and it is necessary to conduct an empirical analysis of experts and a customer user survey in the future. 유료 멤버십은 지속적 거래를 통해 장기 고객을 확보할 수 있는 유용한 마케팅 방법이다. 본 연구는 국내 쇼핑 플랫폼 기업들이 신규로 유료 멤버십을 출시하거나, 운영중인 멤버십을 개선하고자 할 때 참고할 수 있도록, 해외의 대표적 멤버십인 Amazon Prime, Alibaba 88 멤버십, Rakuten Super Point를 벤치마킹하였다. 3가지 멤버십 서비스의 공통점은 경제적 이익, 편리한 경험, 차별적 대우 제공이었으며, 이커머스를 넘어서 소비 생활 전반을 장악한 거대 서비스 기업이 되었다는 점이 특징이었다. 국내 기업은 3가지 공통점 외에 소비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핵심 고객 가치를 정하고 장기적 관점에서 유료 멤버십이 운영될 수 있도록 혜택을 구성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실무적 관점의 기여도가 높은 연구로, 추후 유료 멤버십 전문가 대상의 실증분석 및 고객 사용자 조사가 필요하다.

      • KCI등재

        뉴미디어 콘텐츠의 스마트 교육 적용사례 분석 -외적표상과 국내·외 디지털교과서 사례를 중심으로-

        남지연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3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82 No.-

        Today, whe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a major issue worldwid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s also changing rapidly. The key trend in the current education industry is to successfully lead educational innovation by developing educational content using technology, and digital textbooks are at the center of this change. This study analyzes digital textbooks, which are essential elements in the transition to future smart education, and examines cases of using new media learning contents. First,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textbooks, we examine the differences in external representation characteristics between book-type textbooks and digital textbooks. Next, we examine how the types, functions, and features of the presentation method of external representation are recognized by users. Finally, through cases of digital textbooks at home and abroad, we investigate the direction in which smart education is currently proceeding. In order for digital textbooks to be effectively used in the field,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digital textbooks and explore practical use cases before the technical part. Only then will it be possible to develop content tailored to the needs of learners. Textbook and external representation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is to find factors that can affect content satisfaction in digital textbooks, and domestic and foreign cases analyze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to develop learning contents that are currently actively underway. This study proposes the direction of new media learning content development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digital textbooks and smart education. 전세계적으로 4차 산업혁명이 주요이슈인 오늘날 교육환경도 마찬가지로 급변하고 있다. 현재 교육산업에서 핵심트렌드는 기술을 활용한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여 교육혁신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내는 것이며 이변화의 중심에는 디지털교과서가 있다. 본 연구는 미래 스마트 교육으로의 전환에서 필수적 요소인 디지털교과서를 분석하고 뉴미디어 학습콘텐츠 활용 사례를 살펴본다. 먼저 교과서의 변화를 이해하기 위해 서책형교과서와 디지털교과서의 외적표상특징 차이를 살펴본다. 그 다음으로는 외적표상의 종류, 기능 그리고제시방법의 특징들이 사용자들에게 어떻게 인식되는지 알아본다. 마지막으로는 국내외 디지털교과서 사례들을 통해 현재 스마트 교육이 어떤 방향성으로 진행되고 있는지 조사한다. 디지털교과서가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기술적인 부분 이전에 디지털교과서의 특성 및 기능을 이해하고 실질적 활용사례들 탐구 해야한다. 그래야만 학습자의 필요에 맞춘 콘텐츠 개발이 가능할 것이다. 교과서 및 외적표상특징분류는 디지털교과서 콘텐츠 만족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찾기 위함이며, 국내외 사례들은 현재 활발히 진행중인 학습 콘텐츠 개발에 활용 가능한 정보를 분석한다. 본 연구는 디지털교과서와 스마트 교육의 현주소를 분석하여 뉴미디어 학습 콘텐츠 개발의 방향성을 제안한다.

      • 논문 구두 발표 : D. 과학수업과 모델, 윤리 ; D-04 : 낮과 밤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공간 표상 특징

        남지연,양일호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4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Vol.66 No.-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의 낮과 밤에 대한 공간 표상이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의 수행을 위해 낮과 밤에 대한 공간 표상을 알아보는 검사도구, 공간 표상 발달을 알아보는 검사도구를 구성하였다. 개발된 두 가지 검사도구는 초등학교 4, 5, 6학년 263명 학생들에게 투입되었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 귀납적으로 유형과 수준을 범주화하여 분석틀을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우주 기반 관점으로 살펴 본 ``낮과 밤이 생기는 원인에 대한 공간 표상``에 대해서, 학생들은 빛에 대한 언급 없이 지구의 자전으로만 설명하거나, 지구의 공전, 거리, 달, 구름을 언급해서 설명하는 등 8가지 유형이 나타났다. 지구 기반 관점으로 살펴본 ``지구본 위 낮과 밤의 경계에서 바라본 하늘에 대한 공간 표상``에 대해서, 노을, 명암, 해와 달, 해가 지는 모습, 달이 뜨는 모습, 구름, 낮이나 밤중 하나, 지구본 등 10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초등 학생들의 낮과 밤에 대한 공간 표상은 교육과정의 영향으로 학년에 따라 공간 표상 유형에는 차이가 났으나, 성별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다. 초등학생들은 공간 표상 발달 검사도구에 대해 발달 단계에 따라 표상하는 방법의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발달 수준은 학년별, 성별 차이보다는 검사도구 과제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낮과 밤에 대한 공간 표상 유형이 실제의 모습과 가까운 유형일수록 공간 발달 단계 점수 평균이 높아지는 결과를 보여, 낮과 밤에 대한 공간 표상과 투영적, 유클리드 공간 관계 체계의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관객의 자기 해석 수준이 VR 콘텐츠 관람에 미치는 영향

        남지연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2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9 No.-

        Recently, new media technology is being used in various fields, and it is also being actively used in the field of art. Understanding audience satisfaction is important in industries such as arts institutions where the primary objective is to provide an experience to the audience. This study examines the difference in the audience's attitude when viewing artworks to which virtual reality technology is applied (vs. general painting works), and examines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audience's disposition through self-construal theory. In the experimen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confirme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in the audience's attitude by using artworks produced with VR technology (vs. general painting) as stimuli. In addition, independent audiences tended to prefer VR artworks that can interpret works independently, while those with interdependent audience prefers the traditional viewing method, where they can visit the museum and appreciate the work through a bond with other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confirmed the difference in satisfaction according to self-construal in viewing art works using new technology. 최근 뉴미디어 기술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예술분야에서도 적극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관객에게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주요 목적인 예술기관과 같은 산업에서 관객의 만족도에 대한 이해는 중요하다. 본 연구는 가상현실 기술이 적용된 미술작품(vs.일반적인 회화작품)을 감상할 때 관객의 태도차이를 검증하고, 관객의 성향에 따른 차이를 자기 해석이론을 통해 살펴본다. 실험에서는 VR기술로 제작된 예술작품과 일반회화작품을 자극물로 사용하여 관객의 태도차이를 살펴본 결과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관객성향차이의 분석결과 독립적인관객은 작품을 자기 주도적으로 해석 할 수 있는 가상현실 작품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났으며, 상호의존적 성향의관객은 전시관을 방문하여 타인과 유대관계를 통해 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전통적인 관람 방식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새로운 기술을 활용한 예술 작품 관람에 있어 관객의 자기해석에 따른 만족도 차이를확인 하였다는 것에 의의를 갖는다.

      • KCI등재

        연주불안을 경험하는 음악전공대학생의 심리적 현상

        남지연,한재희 한국상담학회 2017 상담학연구 Vol.1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psychological phenomenon of music students who are suffering from music performance anxiety based on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 A total of 7 students with high anxiety score were finally selected from 48 students who are attending undergraduate and graduate schools in Seoul and Daejeon and suffering from music performance anxiety. After analyzing the data, five factors were elicited from the phenomenological results of music students with performance anxiety experiences. First, participants have main physiological symptoms such as trembling and sweating their hands and feet, changing body temperature, cardiac compression. Second, emotionally, participants with performance anxiety have negative shame and guilty feelings. Third, marked anticipatory anxiety may also occur far in advance of upcoming social or public situations which leads to actual or perceived poor performance because of participants’ irrational beliefs towards the perfectionism. Fourth, these symptoms represent being aware of the discrepancy between their high standards and their actual selves. As a result, when the individual perceives a discrepancy between the ideal and the actual self, performance anxiety occurs. Negative evaluation of the audience gaze brings the participants’ fear. Fifth, participants try to overcome their difficulties even if they have many symptoms and reasons to fail. They try to allow them to face with their own barriers that they make a chance to leap through critical situation. This study has the meaning of discussing music performance anxiety with music major students based on psychoanalysis and existential theory. 본 연구는 Colaizzi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바탕으로 음악전공 대학생들의 연주불안 경험과정에서 나타나는 심리적 현상에서 나타나는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과 대전의 음악전공 대학생과 대학원생 48명 가운데 연주불안을 호소하는 학생 중 불안지수가 높은 7명을 선별하였다. 연구 분석결과 본 연구 참여자들의 연주불안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결과는 크게 5가지로 정리되었다. 첫째, 신체적으로는 손의 떨림이나 발한, 체온변화 및 심장의 압박을 호소하였으며. 둘째, 정서적으로는 수치심과 죄책감이라는 부정적 정서를 경험하였다. 셋째, 실수 없는 완벽함에 대한 비합리적 신념을 가지고 있는 동시에 실수할 것에 대한 과도한 염려를 함으로써 결국 실수를 하는 악순환을 반복하고 있었다. 넷째, 이러한 증상들을 유발하는 근본적 원인은 이상적 자아와 현실적 자아 사이에서 느껴지는 괴리감으로 나타났는데, 이 때 평가적 요소로써 작용하는 관객의 시선은 연주자들에게 두려움의 대상이 되었다. 다섯째, 많은 증상과 원인적 요인에도 불구하고 음악전공생들은 자신들의 한계상황을 도약의 기회로 삼아 음악에 새로운 가치와 의미를 부여하고 자신만의 고유한 극복방안을 모색하려는 노력을 보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연주불안에 대한 심리적 현상의 결과를 정신분석과 실존심리학을 바탕으로 논의한 것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대학생 대상 도슨트 프로그램의 창의·인성 교육적 가치 고찰: ASYAAF SAM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남지연,강주희 한국조형교육학회 2015 造形敎育 Vol.0 No.54

        Higher education can be considered the last chance of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which has been highlighted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However, despite social and collegiate necessity, the satisfaction level of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is quite low.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suggest a docent program as a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For this, we analyzed the ASYAAF SAM Program in such a case. ASYAAF is an art Festival for asian students and young artists where shows thousand of art works made by 450 young artists under 30 years of age. SAM in this exhibition means undergraduate volunteers who perform their duties as a docent or an art dealer. The outcomes of this study are as below. First, students have obtained some creative ideas and will of realization. Second, reinterpreting the works and communicating with visitors stirred the creativity. Third, They have more responsibility. Lastly, students have got improving communicative competence. It should be emphasized the university's own education of creativity, increased high quality activities and set up an information network in which students can find data easily in order to compensate these defects as above. I look forward to reviving up the study on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at the university level. 본 연구는 ASYAAF SAM프로그램 사례 분석을 통해서 대학생 대상 도슨트 프로그램의창의·인성교육적 가치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대학 수준의 창의·인성교육의 개념 및 의의를 정의하고, 대학생 대상 도슨트 프로그램의 의미와 현황을 살펴본 후, ASYAAF SAM프로그램 운영 사례 분석을 통해서 대학생 대상 도슨트 프로그램의 창의·인성교육적 가치와 활용방안을 제안하였다. ASYAAF SAM프로그램 운영 사례 분석을 위해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과 프로그램 운영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인터뷰, 참여관찰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도슨트 프로그램이 창의성과 인성 신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현재 대학생의 도슨트 프로그램 참여기회가 제한적이고, 이에 수반되어야 하는교육을 운영할 인프라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도슨트 프로그램의 교육적 가치 제고를 통해다양화된 도슨트 프로그램 개발 및 활성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체험중심의 창의·인성 역량강화 교양교육 - 융합적 접근 수업사례

        남지연 한국교양교육학회 2020 교양교육연구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Case study about new perspectives on Convergence education in Liberal Arts and its application. During 15 weeks, these two courses, 「Music and Psychology」 and 「Music Therapy」 are new that they are purpose of providing students convergent perspectives such as music, psychology, and philosophy. Ultimately, students were able to adapt self-understanding and introspection through Music experience for intensity of creativity and personality competencies. Students reported that their competencies increased after a lecture compared to before a lecture, self-understanding and introspection are the most positive effect among many other competencies. Providing many activities was increasing creativity and personality competency through video production and 1 on 1 peer training therapy session and positive resources. Moreover, this new attempt reported the value of a high class. This study provides a new paradigm for creative personality education from a convergence perspective through music, psychology, and philosophy. 본 연구는 융합교양교육에 대한 새로운 관점제시와 그에 대한 적용사례에 대한 것이다. 본 연구는 15주 동안의 「음악과 심리」 와 「음악치료」 관련 수업으로 두 강좌 모두 신설 교과목으로 학생들에게 음악, 심리학, 그리고 철학적 관점의 융합콘텐츠 제공을 목표로 하였다. 궁극적으로 학생들은 음악체험을 기반으로한 다양한 창의적, 인성강화를 위한 자기이해와 성찰을 일상생활에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연구결과 학생들은 강의 전에 비해 강의 후 자신의 역량이 증가됨을 보고하였고, 그 중 자기이해와 성찰능력에 가장 긍정적 영향력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창의성과 인성 증진 및 자신의 실제 삶에서의 지지자원 리소스 구축을 위해 동영상 제작과 1:1 동료면담기반 치료세션 등의 다양한 활동을 시도하였고 이로 인한 높은 수업의 가치성을 보고하였다. 본 연구는 음악과 심리학, 그리고 철학을 연계한 융합적 관점의 교양교육 사례로서 창의·인성교육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