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피케티의 『21세기 자본』의 주요 쟁점들과 한국사회에서 지니는 함의

        남종석,정승안 동양사회사상학회 2017 사회사상과 문화 Vol.20 No.4

        본 논문의 목적은 『21세기 자본』의 의의를 지난 몇 년간의 논쟁적 맥락 속에서 재고찰 하는 것이다. 필자들은 신고전파적 맥락에서 제기되는 피케티의 주장에 대한 비판을 검토하고 이에 대한 답변을 통해 피케티 저작이 갖는 의미를 새롭게 정리하고자 했다. 첫째 필자들은 피케티의 핵심적인 주장이 경제에 대한 제도적 개입 없이 시장원리가 작동한다면 자본주의 하에서 불평등은 필연적으로 증대할 수밖에 없음을 주장한 것이라 판단한다. 그러므로 자본주의 하에서 제도적 수정을 통해 불평등이 완화될 수 있다는 비판자들의 주장은 피케티의 주장과 다르지 않음을 지적했다. 둘째 피케티의 독특함은 신고전파 경제모형을 통해 신고전파 경제학이 일반화시킨 통념에 도전하고 있다는 점에 있다. 신고전파는 계급간 분배의 조화와 자본주의의 균형성장에 주목해서 논한다. 반면 피케티는 신고전파 거시생산함수와 자본축적론에 근거하여 자본주의 하에서 불평등의 필연성을 논한다. 피케티는 정부의 제도적 개입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자본주의는 더 극단적인 불평등이 올 것이라 예상한다. 셋째 피케티는 자본소득분배율이 상승하는 이유가 대체탄력성이 1보다 크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필자들은 역사적 데이터가 보여주는 바는 자본소득분배율이 상승하는 기간이 존재하는 반면 일정하게 유지되는 기간도 존재함을 지적했다. 피케티 자신의 입장이 역사적 데이터에 더 조응하기 위해서는 계급간 힘 관계와 경제적 정세를 결합시켜 분석함으로써 더 큰 설득력 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필자들은 피케티의 『21세기 자본』이 한국 사회를 분석하는데 많은 시사점이 있음을 주장하고 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rethinking the implication of the ‘Capital in the 21st Century’ by Thomas Piketty on the context of controversies for past few years. The essay contemplates Piketty's arguments by examining criticism especially from the Neo-Classical perspectives. First, the essay basically grasps the Piketty’s main argument that, if the principle of the market is working without adequate institutional intervention, inequality would be inevitably increased. On this context, this essay suggests that critics' claim that the inequality can be alleviated through institutional correction is, paradoxically, corresponds to what Piketty pointed. Hence, the essay attempted to point that the criticism that the inequality can be reduced through the institutional intervention under the Capitalism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Piketty’s argument. Second, Piketty plays a key role in challenging the dominant paradigm, which has been generalized by Neo-Classical school, by utilising Neo-Classical economic model. Whilst Neo-Classical apologists have put emphasis on the Balance of Distribution between classes and the Balanced Growth of Capitalism, Piketty has highlighted inevitable inequality and the limitation of growth in Capitalism based on the Neo-Classical Macro Production Function and The Accumulation of Capital. Therefore, he expects that, if no institutional intervention is executed, the system will cause more extreme inequality. Third, Piketty argued that the main reason causing the increase of Labour Income Share is that Elasticity of Substitution is always higher than 1. However, as historical evidence has showed, there is a period that Labour Income Share was stagnated whilst it was increased. Thus, in order for Piketty’s analysis to align more with historical observation, a power relation between classes and economic trends should be considered. Consequently, the Piketty’s text of ‘Capital in the 21st Century’ seizes considerable significance in an alyzing Korean society.

      • KCI등재

        부마민주항쟁에 있어서 부산지역 경제적 배경

        남종석,원동필 동양사회사상학회 2019 사회사상과 문화 Vol.22 No.1

        Pusan-Masan democratic resistance clearly shows the factor of ‘urban uprising’ during the whole process of general civil resistance. Especially, pro-active collaboration amongst urban lower classes and violence are still throw questions on its economic background. Precedent literatures have tried to seek the main reasons of massive participation of urban lower classes from economic crisis and paradox of industrialisation. However, this research aims to re-consider economic backgrounds of Pusan-Masan democratic resistance in a different perspectiv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tried to criticize precedent literatures which understand economic situation in 1979 and economic crisis era started 1980 in continuity and point this as the economic background of the democratic resistance. On this context, the year of 1979 and 1980 which recorded negative economic growth need to be strictly differentiated. Second, looking at the economic situation in Pusan in 1970, the light industry seized comparative advantage in South Korea, and no evidences have been found that Pusan’s economic situation was more seriously aggravated than other regions during the period of industrial upgrading to heavy industry since mid 1970s, in terms of the rate of industrial growth in Pusan, the rate of wage increase, the rate of unemployment. Third, the research emphasised that Pusan democratic resistance in 1979 has strong correlation with the economic fragility of urban lower classes during the final phase of economic boom. According to the observations, constant population growth, insufficient urban infrastructure, housing crisis caused by soaring price of land and lease, sense of incompatibility stimulated by Invertedness of Tax and intensified social inequality played significant role as the material conditions to stimulate the democratic resistance in Pusan. Consequently, it is analysed that the economic fragility of urban lower classes played main role on that Pusan-Masan Democratic Resistance showed its violence and explosive spread in short period. 부마민주항쟁은 시민항쟁의 진행과정에서 도시봉기적인 요소가 뚜렷이나타났다. 항쟁과정에서 도시하층민들의 적극적인 결합과 그 격렬함은 부마민중항쟁의 경제적 배경에 대한 관심을 갖도록 한다. 선행연구들에서는도시 하층민들의 봉기 참여를 경제위기와 중공업화의 모순에서 찾았다. 이와 달리 필자는 부마민주항쟁의 경제적 배경을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 첫째, 선행연구들에서 1980년을 경과하며 본격적으로 진행된 경제위기국면과 1979년 경제적 국면을 연속적인 것으로 전제하고 이를 부산 시민들의 봉기의 경제적 배경으로 분석하는 것에 대해 비판했다. 본고는1979년의 상황과 1980년 음의 성장 국면을 구별해야 함을 제시했다. 둘째, 1970년대 당대의 관점에서 보자면 경공업이 한국의 비교우위 산업이었고, 1970년대 중반 이후 중공업화가 본격적으로 진행되는 국면에서도부산산업의 성장률, 임금상승률, 실업률 모든 지표에서 다른 지역에 비해 더 악화되는 증거는 없었음을 보였다. 셋째, 본 논문에서 우리는 1979 년 부산 민중의 저항은 경기호황 마지막 국면에서 빚어진 도시 하층민의 삶의 위기와 관련되어 있음을 강조했다. 지속적인 인구증가, 부실한도시 하부구조, 지가 폭등과 전세 값 폭등으로 인한 주거 위기, 불평등의 심화와 조세의 역진성으로 인한 위화감 등이 부산시민들의 저항을촉발하기에 충분한 물질적 조건이었다. 부마항쟁이 짧은 기간 폭발적으로 진행된 배경에는 도시하층민의 삶의 위기가 크게 작용한 것이다.

      • KCI등재

        임금상승의 노동생산성 효과 및 고용 효과: 20인 이하 기업을 중심으로

        남종석,이근기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8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9 No.2

        For the past years, there have been considerable number of controversies regarding the possibilities of job-loss and management crisis which can be caused by the minimum wage increase. In terms of the topic, preceding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in the ligh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wage increase and employment. However, this research aimed to develop this issue by analysing how the labour productivity can be affected by rate of wage increase. The research attempted to answer this issue by proving past literatures which have claimed that the high increase rate of wage can promote the participation of workers and improve the labour productivity through the financial data of small enterprisers. The Observation demonstrated following results: First, the high wage increase showed high correlation with labour productivity of small enterprises. Estimated figures on both past and this terms showed positive definiteness, this results have been consistently observed not only from the estimations by industries - Manufacturing industry, service industry, construction industry – but also from the detailed estimations by size of enterprises. Second, the result showed that the increase of capital intensity enhanced labour productivity also in the small enterprises. The increase of wage can stimulate the productivity of small enterprisers, by promoting effort of employees and by increasing capital intensity. Considering current situation that oversupply of individual proprietors and small enterprisers reinforces the low productivity of those business places, the rate of wage increase can be positively evaluated as the cause which enhances productivity of small enterprisers besides its negative impact which reduces employment. 높은 최저임금 상승률로 인해 많은 소상공인 기업의 일자리 감소와 경영위기에 대한논의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20인 이하 기업을 대상으로 임금상승률이 노동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이와 관련된 논의를 확장하고자 했다. 본 연구에서는 임금상승률이 높아질수록 종업원들의 노력유인을 높이고 노동절약적인 설비투자를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율성 임금이론 및 편향적 기술진보 이론을 소기업 재무데이터를 통해 실증하고자 했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임금상승률이 높을수록 기업의 노동생산성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와 당기 모두 추정치는 양의 값을 나타내었다. 제조업, 서비스업, 건설업으로 구별한 산업별 추정뿐만 아니라 기업규모를 세분한 추정에서도 결과는 다르지 않았다. 둘째 20인 이하 기업에서도 자본집약도의증가는 노동생산성을 높이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임금상승은 한편으로 종업원들의 노력유인을 증가시키고 다른 한편으로는 자본집약도를 상승시킴으로써 노동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본 연구는 임금상승이 고용을 감소시키는 부정적인 결과만을 낳는 것이 아니라 소상공인의 생산성을 높이는 데에 기여할 것임을 추론하게 한다.

      • KCI등재

        유형자산투자가 중소기업 수익에 미치는 영향 : 대기업 중소기업 간 거래관계를 중심으로

        남종석,박진솔 한국자료분석학회 2018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0 No.2

        This research analyzes the impact of supplier network on tangible asset profit of small-medium sized companies. The research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ly, estimation of tangible asset investment of profit of independent small-medium sized companies and cooperative suppliers showed a clear procedure as follows: independent companies > primary supplier > secondary supplier. The profit from investing tangible assets of independent companies was larger than that of cooperative companies. This supports the hypothesis that several parts of profit move onto the higher supplier stage under the cost plus pricing policy. Secondly, a considerable difference of investment amount between cooperative companies and non-cooperative companies has not been observed. From these observations it can be inferred that, although conglomerates possess the investment profit of small-medium sized enterprises, they do not suppress the growth of small firms. The results drawn by this research strongly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for institutional efforts in order to constitute sustainable industrial environment in which quasi-rent created by small and medium sized companies can be vested in them. 본 연구는 대중소기업 거래관계 하에서 중소기업의 유형자산투자가 수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거래관계에서 관습적으로 이뤄지는 단가인하 등으로 인해 협력중소기업이 창출한 수익이 거래단계의 상층으로 이전된다는 주장이 제기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비용연동가격제 가설을 검증함으로써 이를 실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대기업에 납품하지 않는 비협력중소기업의 유형자산투자에 대한 수익의 반응계수를 표준으로 삼아 이를 협력중소기업의 그것과 비교하였다. 유형자산투자에 대한 수익의 반응계수에서 비협력기업이 협력기업의 그것보다 컸으며 1차 협력기업이 2차 협력기업보다 더 컸다. 이는 비용연동가격제 하에서 협력기업이 창출하는 수익의 일부가 거래단계의 상층부로 이동함으로써 나타나는 결과로 추정된다. 유형자산투자에 대한 수익의 반응계수에서 비협력기업의 그것이 협력기업의 그것보다 컸지만 유형자산 투자량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대기업 중소기업간 거래관계 하에서 대기업이 중소기업 수익의 일부를 영유하지만 중소기업의 성장을 억제하지는 않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더불어 본 연구의 결과는 대기업 중소기업간 거래관계에서의 불공정성을 개선할 필요성을 뒷받침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