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인의 농산물 농약 오염 불안도 연구 -2008년도 사회조사를 바탕으로-

        남은경,차은실,최영철,이원진,Nam, Eun-Kyung,Cha, Eun-Shil,Choi, Yeong-Chull,Lee, Won-Jin 한국환경보건학회 2011 한국환경보건학회지 Vol.37 No.4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level of risk perception related to pesticide contamination of food products and associated sociodemographic factors, as well as investigate the association with environmental pollution preventive behaviors. Methods: Based on data from Social Survey conducted in 2008 among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of the population 15 years or older, we estimated proportions and 95% confidence intervals of the risk perception of pesticide contamination of food products.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analyze the effects of sociodemographic status on risk perception. Results: Among respondents, those who feel anxious about the risks of pesticide contamination of domestic food products accounted for 40.4%, whereas the proportion rose to 87.0% with imported food products. These numbers showed that levels of anxiety about the pesticide contamination of imported food products were ranked at the top, and those for domestic products were at the bottom of the list of all environmental pollutants examined in the survey. Significantly related factors to anxiety about pesticide contamination of food products included women, the 40-50 age group, university graduates, married, non-manual employment, having school-aged children, and owning one's own home. The population attempting to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showed higher levels of anxiety about pesticide contamination of food products than did those who were not taking such steps. Conclusion: Compared to other forms of environmental pollution, Koreans show the highest levels of anxiety about pesticide contamination of imported food produc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ppropriate regulations and transparent risk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about the safety of imported food.

      • KCI등재
      • KCI등재

        한시 속에 나타난 고구려 여성 -조선후기 「해동악부」에 나타난 고구려 여성 형상과 그 의미를 중심으로

        남은경 ( Eun Kyung Nam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9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18

        본 연구논문은 최근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고구려의 역사와 인물`에 대한 연구 범위 속에 들어간다. 그러나 본 연구는 `여성학적 관점`으로 그 간 연구 대상에서 소외되었던 `고구려 여성`에 주목하여, 고구려 여성이 문학작품에서 어떻게 형상화되고 평가되었는가를 구체적으로 살피고, 이들 형상화의 현대적인 의미를 찾으려고 한다. 고구려의 역사와 인물에 대해 고려시대의 김부식이 「삼국사기」를 기술하였으나, 그 이후 많은 문인학자들이 고구려의 역사적 인물을 소재로 하여 다양한 시작품을 창작하였다. 이들 작품 속에서 고구려의 인물들은 생생하게 형상화되고 시인에 의해 찬양되거나 비판되는데, 이러한 인물 형상화와 평가는 당대 및 후대의 독자들의 뇌리에 강한 인상을 남기고, 이상적 인간관을 구성하는데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므로 남성 문인들이 작품을 창작하면서 고구려의 여성인물을 어떻게 형상화하고, 또 어떻게 평가했는가를 살펴보면 과거 남성 문인들이 가졌던 고구려 역사에 대한 평가와 이상적인 여성관을 알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 중 특히 조선조 남성문인들이 외면하거나 부정적으로 평가했던 고구려의 여성인물의 모습은 현대적인 관점에서는 역으로 긍정적으로 새롭게 평가될 만한 여지가 있음을 확인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고구려 역사를 찬란한 우리 민족의 역사로 평가함을 전제로 하여, 그 역사 속에서 보이는 고구려 여성의 다양한 모습을 도출하여, 과거의 전통적 여성상을 재고하는데 기여하는 바 있을 것을 기대해본다. 즉 고구려 여성의 형상은 한국의 전통적인 여성상과는 다른 면모들을 보이기에, 한국 여성의 자아정체성 수립과 기존의 보수적 여성관을 변화시키는데 일조할 것이기 때문이다. 문학작품 속에 형상화된 고구려의 여성 인물들은 다음과 같은 면모를 갖고 있다. 첫째, 고구려 여성은 혼인에 있어서 자신의 선택과 자신의 애정을 중시하였다. 둘째, 고구려 여성은 남성과 다름없는 권력 장악의 욕구를 보이며, 정치권력 획득 및 유지를 위한 적극적 공세를 했다. 셋째, 타인의 결정에 따르기보다는 자신의 주관에 따라 당당하게 의견을 개진하고 그 뜻을 관철하였다. 넷째, 아내의 경우 남편을 둘러싸고 쟁총하며 질투하는 모습을 나타내며, 이러한 감정을 드러냄을 꺼리지 있지 않다. 결론적으로 볼 때, 고구려 시대의 많은 여성들은 외적 상황에 그대로 순종하기 보다는 적극적으로 자기 생각을 표현하고 상황을 주도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여성 형상의 배경에는 고구려 및 고려 시대 여성들의 지위와 능력이 남성과 동등하게 인정되었기에 여성 행동에 대한 규제 및 강한 터부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조선시대에 이르게 되면 남성문인들은 비순종적이고, 주동적인 삶을 살았던 고구려 여성인물에 대해 부정적 평가를 하고, 심지어 `악녀`의 부류로 비판하고 있다. 이는 남성중심주의 시각, 특히 조선조의 남존여비적 유교 관점에 따라 고구려 여성이 평가 절하되어짐을 알 수 있다. 이렇듯 고구려 여성에 대한 평가는 시대적 가치관에 따라 다르다. 그러므로 현대적 관점에서 이들 고구려여성에 대해 관심을 갖고 재평가할 필요가 있다. There are several things about Goguryeo women revealed in poems. First, Goguryeo women valued much of their choice and love when getting married. Second, they showed desire for power equal to men and actively worked to hold and keep power. Third, they boldly expressed their subjective opinions and carried them out. Fourth, they acknowledged that they fought each other to secure their husband. In conclusion, many women in Goguryeo era were not obedience under given circumstance. They did not adjust themselves to given fate, but tried to change their own destiny. Such voluntary and active appearance of Goguryeo women were not seen as misdeed until Goryeo era. Women in Goguryeo and Goryeo had equal status their abilities were also equally recognized as men more than in Joseon era. Therefore, there seemed to have no taboo to judge women`s behavior in those eras. However, male scholars in Joseon era criticized Goguryeo women who were not obedient but lived autonomous life. They even contempt the women by categorizing them as `wicked women.` Male-oriented perspective, especially the view point of Joseon Dynasty era devaluated women in the past. Therefore, we should have a new standpoint on those women in modern perspective.

      • KCI등재후보

        한ㆍ중 고전문학 속의 여성 이미지 비교

        남은경(Nam Eun kyung)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5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10

        본 논문은 같은 유교권 국가였으면서도 상당히 다른 중국과 한국의 여성 인식을 고찰하기 위해 시도된 것이다. 이를 위해 『검협도전(劒俠圖傳)』의 여성협객을 중심으로 양국 고전문학 속의 여성을 비교해 살펴보았다. 비교 결과 중국 문학 속에서는 특히 유교적 규범을 초월한 여성 협객의 모습이 주목되었다. 이들 중국의 여성 협객은 뛰어난 육체적 능력과 솔직한 개인감정의 표현, 과감한 행동들로 여성이 남성과 동등한 인격체임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비해서 우리나라 문학 속의 여성 영웅은 한국적 특징을 가진다. 그녀들이 영웅적 행위를 통해 결국 얻어내는 것은 유교이데올로기 속에서의 충(忠)과 효(孝)의 확인이 된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남편이란 존재는 한국 여성영웅들에게 없어서는 안 되는 존재로 상정되어 있다. 또 한국의 여성영웅은 여성의 본래 모습 그대로 나오지 못하고 많은 경우 '여화위남(女化爲男)'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또한 복수를 실천하는 여성의 경우 전생애를 걸기에 비장한 분위기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중국의 여성 협객들이 복수를 삶의 한 과정으로 여기고, 복수를 성취한 후에는 자유롭게 어디론가 떠나는 것과는 다른 양상이다. 이러한 양국의 차이는 사상적 전통에 기인하는 것으로서, 중국에서는 유교와 더불어 도교, 불교가 함께 생활 속에서 숨쉬고 있었기에 여성의 다양한 모습이 꽃피울 수 있었다. 도교에서는 신체의 수련을 중요시하므로 무술과 관련이 깊고, 또 유교의 강고한 수직 질서만을 인정하지 않기에 중국의 여성은 보다 자유로울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이에 비해 우리나라에서는 오로지 유교의 영향 아래서 여성이 있었기에 남자의 옷을 입어야 밖에서 움직일 수 있고, 또 비극적 여성영웅이 되었다. 이러한 양국의 차이는 문학 뿐 아니라 후대 사회에서도 보인다. 중국 사회에서는 여성의 능력이 남성과 상당히 동등하게 인정되는 것에 비해 우리나라에서는 그렇지 못했다. 그러나 이제는 우리 사회도 변하고 있고, 강인한 여성에 대한 찬미가 다양한 형태로 보이고 있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여성에 대한 사회 인식이 보다 더 긍정적으로 변화하리라 기대해본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make a comparison between the two different kinds of images of women in Korean and Chinese societies, both of which have been substantially changed with the lapse of time despite of their common Confucian traditions. The comparison was tried to be made by analyzing the images of women heros in literature of the two countries, with priority given to Jian Xia Tu Zhuan(劒俠圖傳, Illustrated Stories of Gallant Sword-women) of the Chinese side. It was found that many diverse characters of women have appeared in Chinese novels and that those of sword-women who transcended Confucian morality and standards were especially worthy of note: They showed an excessively cold-blooded side of personality but succeeded in demonstrating that woman was the same human being equal to man by proving their excellent physical capabilities and candid expression of their own feelings and their pattern of their determined action. In contrast, the images of women heros in Korean literatures have shown their peculiar characteristics: What they finally achieved by their heroic action was the affirmation of their loyalty and filial piety in the matrix of Confucian ideology. Above all, the existences of their husbands were supposed to be indispensable to Korean women heros. Korean women heros who lived under Confucian rule in the traditional society could hardly behave in natural way in their daily life and in most cases could not help showing up their devotion to their husbands. A woman taking revenge must stake risk of her all life and so the story always went in a tragic and solemn way. However, Chinese sword-women took revenge as a process of life and, after having taken revenge, would go away freely to remote places, a quite different way of life from those of their Korean counterpart. Such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came from those of their ideological and cultural tradition. In China Taosim and Buddhism, along with Confucianism, were rooted in the life of peoples, and diverse types of women could come into being. Taoism, which attaches a great importance to physical training, has had a close connection with Wushu, a Chinese traditional military arts. Defying Confucian vertical social order, Chinese women could be freer than their Korean counterpart. In Korea, women could only behave themselves in the solid frame of Confucian order, and so, only being dressed in man's attires they could undergo social activities. Naturally there could appear only tragic women heros in Korea. It is interesting that such differences existed not only in traditional literatures but also affect later in real life. While in China. the status of man and woman at home and in social life is equal, but in Korea the social recognition of woman is different with those of man. However, women in Korea are now changing, and admiration of tough women can be seen frequently in various forms. It is now greatly urged that with this as a momentum the social recognition of woman in Korea would rapidly change for more positive direction.

      • KCI등재

        東溟 鄭斗卿의 도교사상과 문학

        Nam Eun-kyung(남은경) 한국도교문화학회 2001 道敎文化硏究 Vol.15 No.-

        Chung Du-kyung, one of the greatest men of literature of the 17th century's Korea, is famous for demonstrating his literary works of "manly spirit", and showed a stream of the Taoist ideas in the nation's intellectual world of those days, as well. A descendent of Chung Ryum, whose nom de plume is Bukchang, Chung Du-kyung had a different intellectual tendency from other writers at that time through the influence of his family. To him the Taoism is understood as the equal value with the Confucian and Buddhist ideas. The Taoism, he thought, seeks a relative value compared with the Confucius' view of absolute ones and made possible of liberal thinking free from the Confucian moral obligations and formalities which had become rigid because of "Civility Discussion". Furthermore, it awakens the nationalistic pride from the flunkyism toward China and made him recognize of the importance of military strength in the social trend of the literary indulgence to the neglect of martial arts at that time. For Chung Du-kyung the Taoism is important not as a method of seeking a long life and immortality but as a lesson for finding of a way of living for participation at the society and for retirement from it at a proper time to preserve his own integrity. His reading of Taoist classics and his experience at the society gave him an affluent nutrition for deciding the contents, forms, and materials for his literary works. His favorite militaristic materials for his novels like "swords" and "chivalrous men" and themes, along with his Taoistic tendency, were used as a satire of the problems in then turbulent times before and after the Manchu invasion of Korea in 1636. His Taoistic ideas reveals a cross section of open thinking trend beyond the Confucianism by intellectuals of the times and become an element for making him a writer of marked individuality in the mid-Chosun dynasty period.

      • KCI등재

        조선중기 독서경향과 『전국책(戰國策)』

        남은경(Nam Eun-kyung) 대동한문학회 2007 大東漢文學 Vol.26 No.-

          약육강식의 시대 속에서 생존을 위한 제후국들 간의 각축을 가감 없이 기록하여 보여주고 있으며, 그 권모술수의 내용으로 인해 많은 비난을 받았던 책이 『전국책(戰國策)』이다.<BR>  본고는 조선중기의 문인지식인들이 궤휼(詭譎)의 책 『전국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어떻게 읽었으며, 또 어떠한 영향을 받았을지를 추적해 보고자 하는 마음에서 시도되었다.<BR>  『조선왕조실록』의 기록을 통해 시강원에서는 『전국책』을 임금을 위한 수업 내용으로 다루지 않았다. 그러나 여러 차례 『전국책』을 수입해 간행한 것을 보면 그 책이 필요한 것이라 암묵적으로 인정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신하로서 조정에서 어떤 주장을 할 때는 『전국책』의 내용이 논리주장의 근거로 이용되곤 했다. 그러나 이에 대한 독서는 기본적으로 문인지식인들에게 그다지 권장되지 않았다. 그 이유는 조선시대 문인지식인들은 공맹(孔孟) 사상을 기본으로 하였기 때문이다. 특히 16세기 사림파 문인들이 성리학(性理學)에 심취하여 독서하고 이것이 문단의 대세를 이루었다.<BR>  조선중기라 할 16세기 말, 17세기초부터는 “문필진한(文必秦漢)”을 주장하는 의고주의(擬古主義) 문풍의 유행과 함께 진한(秦漢) 시대의 산문에 관심이 쏠리면서 『전국책』이 거론되기 시작한다. 그러나 이 책에 대한 독서는 『전국책』의 내용으로 인해 모든 문인들의 지지를 받지는 못했다. 『전국책』에 대해 호감을 가졌던 인물들은 의고주의 문학사조의 영향에 있던 인물들임과 동시에 사상적 자유로움을 가졌던 인물들로 한정된다. 유몽인(柳夢寅), 장유(張維), 정두경(鄭斗卿)로 대표되는 이들 문인들의 전국책 에 대한 관심은 현실세계에 대한 문학적 표현에 더 신경 쓰게 만들었고, 역사와 문학, 비유와 우언 등의 적절한 사용에 대해 관심을 갖게 했다. 그리하여 이들의 문학은 조선중기 문풍의 독특한 특징을 이루게 된다.   The Book of Warring States, Jeon-Guk-Chaek(戰國策), shows well the struggle among the states of feudal lords without addition or subtraction for survival in an era of the law of the jungle and was blamed for the contents of trickery contained in it.<BR>  This study attempts to trace what the literary men and intellectuals of the middl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thought, read and were influenced by the Book of Warring States.<BR>  Accordingly to Joseonwangjosillok, or The True Record of the Josseon Dynasty, Sigangwon or the Bureau of Education for the Royal Family, did not use the Book or Warring States as a teaching material in the classes for the Kings. But the fact that the Book of Warring States was imported and published shows that the book was tacitly recognized as necessary. Moreover, the contents of the Book of Warring States were cited to support the logical basis for the contention of the vassals in the royal court. However, the reading of the book was not recommended basically for the men of literature or intellectuals, the reason being that they mainly believed and used the thoughts of Confucius and Mencius. Especially, the clique of Sarimpa, the force that led and ruled the society and the politics during th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admired Sung Confucianism, the doctrines of Chu-tz, and read related books forming the mainstream of the literary circles.<BR>  During the middl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from the late 16C to the early 17C, the Book of Warring States began to be mentioned with the popularity of the throwback trend that insisted on returning to the "Literature of Chen and Han Dynasties of China." But the reading of the book was not supported by all men of literature due to its contents. Those who favored the Book of Warring States are limited to the people who were under the influence of throwback literary trend with liberal thinking such as Mong-In Yu(柳夢寅), Yu Jang(張維)and Du-Gyeong Jeong (鄭斗卿). Their interest in the Book of Warring States made them pay more attention to the literary expressions about the real world and be interested in appropriate usage of history, literature, metaphor and apologue and as a result created a unique characteristic of the literature during the middl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 KCI등재
      • KCI등재

        논문 : 심관창화록(瀋관唱和錄)?의 체제와 내용

        남은경 ( Eun Kyung Nam ) 온지학회 2012 溫知論叢 Vol.0 No.30

        심관창화록?은 병자호란의 패전 후 조선 왕자가 끌려가 머물던 중국심양(瀋陽)의 관소 심관(瀋관)에서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 관리들이 서로 주고받으며 쓴 창화(唱和) 시집이다. 세자시강원은 세자의 학문과 인격수양 관련 교육을 담당하기 위해 만든 기관으로, 당대의 뛰어난 인재들이 시강원 관리가 되었다. 중국 심양에서의 8년간의 억류 생활 동안많은 관리들이 심관에 머물며 세자를 교육하고 수행했는데, 1642년 같이 봉직했던 시강원 관리 6인들은 그들의 생활을 시 작품으로 남겨놓았다. 한 치 앞을 가늠하기 어려운 인질 생활 속에서 육체적, 정신적으로 겪는 고통을 문학이라는 방법으로 이겨나갔던 것이다. 그들은 30대부터 60대의 나이로 연령층이 다양했으나, 나이를 잊은 망년지우를 맺고 함께 술자리를 열어 시 창작에 골몰했던 것이다. 이들 시강원관리들은 소현세자와 봉림대군의 심양에서의 생활을 ?심양장계(瀋陽狀啓)?를 통해 조선조정에 보고하였고, ?심양일기(瀋陽日記)?를 통해 기록해두었다. 이러한 산문 기록이 그들의 공적인 업무의 일환으로 만들어진 것이라면, ?심관창화록?은 그들의 내면세계를 솔직하게 쓴 것으로, 280여수의 창화시 속에서 시대적 위기상황 속 공인으로서의 임무를 잊지 않으려 다짐했고, 육체적 고통과 귀향 하고픈 솔직한 욕구를 표현하였다. 또한 벼슬아치로서 어떤 것도 할 수 없는 무기력한 모습에 대한 자괴감을 느끼며, 술과 문학을 통해 서로를 위로하며 현실을 이겨 나가려고 하였다. 심관창 화록은 병자호란 후 심양에서의 관리의 생활과 내면세계를 보여주는 귀한 역사 자료이며, 동시에 문학 창작 활동이 작가에게 치료적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자료이기에 문학치료 방면에서도 관심을 가질 자료라 하겠다. "Simgwan-Changhwarok(瀋관唱和錄)" is the poetical works written in the form of Changhe?Shi(唱和詩) by the officials of Saejasigangsiwon(世子侍講院) at Shimgwan(瀋관), the lodge for officials in Shimyang(瀋陽) where the prince from Korea who were taken after the Korea`s defeat in the Manchu war. Saejasigangsiwon(世子侍講院) was made to build up the personality of the prince and the talented of the time became the officials on Sigangwon. During the detainment of the prince for 8 years, many officials stayed at Shimgwan(瀋관) to educate the prince, and 6 officials of Saejasigangsiwon(世子侍講院) who served the purpose in 1642 wrote the poems about their living. They could overcome their physical and mental pain while they were living as hostages without foreseeing their immediate future in different ways. Their ages ranged from 30s to 60s but they became the friends without minding the age gap and buried themselves in writing poems through wine party. They reported the life of the Prince, So Hyeon and Bongrim Daegoon to the court of Chosun through "Shimynagjanggye(瀋陽狀啓)" and recorded in "Diary of Shimyang(瀋陽)". These prosaic were made as a part of their works, whereas "Simgwan-Changhwarok(瀋관唱和錄)" described their inner world frankly. In 280 Changhe?Shi(唱和詩), they made a resolution not to forget their official duties in crisis situations and expressed their physical pain and their longing to return home. Also, they, feeling the shame because they couldn`t do anything as public officials, tried to escape from the reality through wine and literature. "Simgwan-Changhwarok(瀋관唱和錄)" is very precious historical documents that show the inner world and the lives of the public officials in Shimyang and it also shows the therapeutic effect of literary creative activity on writers. Thus it is worthwhile paying attention to that in the aspect of literary therapy.

      • KCI등재

        투고논문 : 『마법천자문』과 어린이 한자교육

        남은경 ( Eun Kyung Nam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1 한문교육논집 Vol.36 No.-

        2003년 11월에 처음 출간된 『마법천자문』 만화 시리즈는 밀리언셀러로 히트를 쳤고, 그 후 계속 출간되어 1,200만부의 판매부수를 올렸다. 이 책은 출판물 분야의 각종 상을 수상하며 다양한 관련 출판물을 만들어내었고, 각종 행사와 공연 이벤트를 만들어내었다. 『마법천자문』 신드롬은 한자 교육에 대한 우리 한국사회의 이중적인 태도를 보여주고 있다. 어린이 한자 교육에 대해 학부모들은 개인적으로 뜨거운 관심을 보여주는데, 이와는 반대로 공교육인 중고등학교에서 교과로서의 한문은 점차 그 자리가 축소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이중적인 한자 교육에 대한 태도 속에, 과연 우리나라에서 한문, 한자교육은 어떻게 이루어지는 것이 좋을까?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제안을 한다. 첫째, 한자한문 교육이 앞으로 중고등 수업에서 축소된다면, 초등학교 교육과정 중에 넣어 체계적으로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어린이 한자 교육을 위해서는 『마법천자문』처럼 다양한 에듀테인먼트 방식에 대한 도입을 고려해야 한다. 셋째, 동양 한문 고전에 대한 유익하고 재미있는 책을 적극적으로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것들이 실현된다면 한국 사회에서 한자는 국어의 일부로서 효과적으로 교육될 것이며, 이를 통해 우리 어린이들은 앞으로 보다 더 풍부한 언어생활과 문화생활을 향유할 수 있을 것이다. The cartoon book series of 『Magic Thousand-Character Classic』 which published in November, 2003 became a big hit as a million seller and was sold 12,000,000. This book was awarded from a variety of prizes. As a result, lots of related publications, performances and events were produced. A 『Magic Thousand -Character Classic』 syndrome shows our twofold attitude regarding education of children chinese characters in Korean society. Regarding children education of this, parents show a keen interest but on the contrary, chinese characters`s places are reduced in public education field such as middle and high school. With this twofold education situation, how can th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would be developed for children? This dissertation suggests as follows: First, Chinese character subject should be scheduled in elementary school if it is reduced in middle and high school. Second, diverse edutainment methods`s introduction such as 『Magic Thousand -Character Classic』 should be considered for children chinese character education. Third, useful and interesting books about oriental and chinese character class are needed to be developed. As some parts of Korean, Chinese characters are effectively educated in Korean society and through this, children will enjoy richer language and cultural life, if the above are realiz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