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석재(碩齋) 윤행임(尹行恁)의 "의리(義理)" 중심 역학관(易學觀)과 "사서(四書)" 활용 양상 -「경사강의(經史講義)_『역(易)』[계묘(癸卯)(1783)]」,「신호수필(薪湖隨筆)_『역(易)』,「계사전(繫辭傳)」」을 중심으로-

        남윤덕 ( Yoon Deok Nam ) 한국한문학회 2016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61

        『周易』은 윤행임의 경학관을 살필 수 있는 핵심 키워드 중 하나이다. 정조와 함께참여한 ‘經史講義’에서 윤행임은 『周易本義』와 『易傳[程傳]』을 바탕으로 역학의 논리를 습득하였고, 자신의 「薪湖隨筆_『易』ㆍ「繫辭傳」」에서 더욱 완성시켜 나갔다. 정조에 의해 처음 시도되었고, 윤행임이 참여했던 계묘년(1783) ‘경사강의_ 역 ’은 총 4번에 걸친 『주역』 강의 가운데 가장 많은 분량을 할애하여 『역』전체를 세세하게 다루었다. 윤행임이 역학에 남다른 열정을 보인 이유도 계묘년 ‘경사강의’가 하나의 큰 계기가 되어서였다. 경사강의 당시 정조는 비교적 ‘義理易學’에 비중을 두었다. 윤행임의 학문은 정조와 함께 했던 기간 동안 큰 발전을 이룩하였고, 그 당시 정조로부터 받은 학문적 영향이 고스란히 『신호수필』로 이어졌다. 경사강의를 통해 전수받은 ‘의리’ 중심의 『주역』해석방식은 윤행임의 역학관에 영향을 주어 윤행임이 ‘의리역학’을 긍정하게 하는 결과를 낳았다. 윤행임의 『주역』 해석은 『본의』와 『정전』을 충실히 따르는 전제하에 程朱와 논리를 달리한 기타 易說들을 비교분석, 경계하고 비판하며 正學인 주자학을 지키고 보완하려하였다. 윤행임은 ‘象數易學’을 긍정하면서도 잘 못 이해하여 사리에 맞지 않거나, 占筮에 치우친 편협한 曲儒들의 ‘상수역학’은 반대하며, 이를 바로잡아 절충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윤행임은 林栗, 吳澄, 邱富國, 胡仲虎의 주장에 대해선 비판적인 견해를 보였다. 이는 『본의』와 『역전』을 따르지 않고 『역』을 해석하려는 학자들에 대해 자신의 입장을 명확히 한 것이다. 한편 윤행임은 경전해석에 있어서 『역』의 관계성을 중시하며, ‘四書’ 활용 방식을 통해 ‘의리’ 중심 『역』 해석을 완성해 나갔다. 특히 『대학』ㆍ『중용』이 『주역』에 근원하고있다는 주장은 윤행임 『역』 해석의 큰 특징을 이룬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윤행임의 ‘의리역학’은 정조시대 『주역』해석방식의 한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易學史的 의의가 있다. 윤행임의 ‘의리’ 중심 역학관은 어디까지나 폐단에 빠지기 쉬운 ‘상수역학’의 경계를 통해 주자의 ‘兼治象義’ 역학관을 보완하고, 더욱 더 완성된 주자학의 보수성 짙은 체계를 세워 그 기준을 잡고자 했던 정조와 그의 意志가 만들어낸 부산물이었던 것이다. 『The Book of Changes』is one of the core key-words to study Yoon Hang Im``s view of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He learned the logic of Ichingxue at ``KyungSa-Lecture`` that he joined with King Jeong-Jo based on 『The Book of Changes-BenYi』and 『Iching- Chuan』 and he kept completing it in his 「Shin-ho-essay_『Iching』ㆍ『Xi-Ci- Zhuan』」 < KyungSa-Lecture_『Iching』 > dated 1783 (Jeong-Jo tried to do for the first time and Yoon Haeng-Im joined in) was treated too much detailedly at the most volume among total four 『The Book of Changes』 lectures. And then, this was a big opportunity that Yoon Haeng-Im specially showed his passion to 『Iching』. Jeong-Jo gave respectively weight to < Yili-Ichingxue > at that KyungSa- Lecture. Yoon Haeng-Im``s literature came into remarkable development during the period being with Jeong-Jo and academic influence from Jeong-Jo directly lead to 「Shin-ho-essay」 The way of ``Yili``-oriented interpretation about 『The Book of Changes』 (that was handed down from KyungSa-Lecture) influenced the viewpoint of Yoon Haeng-Im``s Ichingxue and after all, it let Yoon Haeng-Im being positive to ``Yili-Ichingxue``. under the premise to faithfully follow 『The Book of Changes-BenYi』 and 『Iching-Chuan』, Yoon Haeng-Im``s interpretation about 『The Book of Changes』 was to compare, analyze and criticize the other logic of Ichingxue logically different from CheongㆍZhu at the same time and keep and complement Zhuxi as right science. Yoon Haeng-Im was positive about ``Xiangshu- Ichingxue`` at the same time and was against ``Xiangshu-Ichingxue`` of the scholars who was unreasonable or one-sided to book on divination. And he emphasized to compromise them by putting things right. Yoon Haeng-Im showed his critical view on the opinions of Lim-ryul, Oh-jing, Gu bu-guk and Ho joong-ho. this means that Yoon Haeng-Im made his position clear against the scholars who tried to interpret 『The Book of Changes』 without following 『The Book of Changes-BenYi』 and 『Iching-Chuan』. On the other hand, he completed interpretation about ``Yili`` oriented 『Iching』 through the way of using ``The Four Books`` that are chinese classic texts: Great Learning, Doctrine of the Mean, Analects & Mencius. especially, his insistence that Dae-Hak & Jung-Yong were grounded on 『The Book of Changes』 is a notable distinction. In conclusion, this Yoon Haeng-Im``s ``Yili-Ichingxue`` has great historical significance on the point to show a paradigm of the interpretation method about 『The Book of Changes』 during the era of King Jeong-Jo. Yoon Haeng-Im``s ``Yili``-oriented viewpoint of Ichingxue was a residual product from Jeong-Jo``s and Yoon``s strong will that was to correct the standard by setting up conservative system of the perfectly completed orthodox Neo-Confucianism as well as to complement the viewpoint of Zhuxi``s ``Gyeom-Chi-Sang-Yi`` Ichingxue through the boundary of ``Xiangshu- Ichingxue``, easily prone to negative effects.

      • KCI등재

        석재(碩齋) 윤행임(尹行恁)의 육왕학(陸王學) 비판에 대한 인식형성 배경과 그 목적

        남윤덕 ( Yoon Deok Nam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4 동방학지 Vol.167 No.-

        석재(碩齋) 윤행임(尹行恁)(1762~1801)은 정조(正祖) 시대를 대표하는 문인 중 한 사람이다. 그는 경(京)·향(鄕)의 학풍이 다양하게 진행되는 가운데 가학(家學)으로 내려온 한원진(韓元震)의 호론적(湖論的) 학풍을 계승하였다. 특히 윤행임은 주자학 내부에서 논란이 된 호락논쟁(湖洛論爭)에서 호론의 입장을 견지한 반면 洛論의 입장은 비판하는 경향을 보인다. 윤행임의 육왕학 비판의 주된 목적은 주자학 내부에서 벌어진 호락논쟁에 대하여 호론으로의 체제정립을 위한 것이었으며, 그 방법적 수단으로 육왕학 비판을 활용한 것이다. 이는 기존의 주자학자들의 육왕학 비판에 대한 일반적인 입장과는 차이를 보인다. 육왕학 비판에 대한 윤행임의 인식형성은 한원진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윤행임은 육왕학의 대표적 학자인 陸九淵과 王守仁 그리고 왕수인의 제자인 왕간(王艮), 안균(顔鈞) 등의 ‘존덕성(尊德性)’, ‘미발이발(未發已發)’, ‘심즉리(心卽理)’, ‘치량지(致良知)’, ‘불교적(佛敎的) 논리’를 비판하고, 이러한 양명좌파에 대한 학설을 통해 호락논(湖洛論)의 ‘미발심체(未發心體)의 순선(純善)과 유선악(有善惡)의 문제’·‘성범동이(聖凡同異) 문제’에 대하여 육왕학적 논리를 결부시켜 낙론을 강하게 비판하였다. 윤행임의 낙론비판은 호론의 정통성을 확립하고 육왕학 같은 외부의 적보다 주자학 내부의 논리가 자칫 육왕학의 논리로 들어가 주자학 내에서의 분열을 초래할 여지에서 기인한 것이다. 윤행임의 이 같은 육왕학 비판은 18세기 후반 중앙학계에서의 주자학과 육왕학 간의 일반적 비판논리와는 또 다른 특징을 보여주고 있어 당대 학술과 사상사의 일면을 이해하는 좋은 지침이 될 것이다. Suk-Jae Yoon Haeng-Im (碩齋 尹行恁, 1762~1801) was a literary man who lived during King Jeong-jo`s era. While a range of academic traditions of Kyung·Hang (that is, Seoul & local area) were ongoing, he succeeded the academic tradition of Han Won Jin`s (韓元震, 1682~1751) Orthodox Neo-Confucianism style, as handed down from family study. Specifically, Yoon Haeng-Im held the position of Ho Theory in the Horak debates, which was a controversial issue within orthodox Neo-Confucianism. However, he tends to criticize Nak Theory. His main purpose in his criticism of the study of Lu-Wang regards the use of the method for establishing a system of Ho Theory against the Horak debates that arose within orthodox Neo-Confucianism. This shows the difference from their general position about the existing orthodox Neo-Confucianism scholars` criticisms of the study of Lu-Wang. Yoon Haeng-Im`s formation of a critical cognizance against the study of Lu-Wang was influenced by Han Won Jin. Yoon Haeng-Im criticisms included the concepts of ``honoring the moral nature``, ``not yet an issue of feeling and thought [Wei-fa], already expressive of feeling and thought [Yi-fa]``, ``Sim is Li`` and ``Chi-Liangzhi``, and Buddhism; Lu Jiu-yuan and Wang Shou-ren were typical scholars of the study of Lu-Wang and were Wang Shou-ren`s disciples (Wang Gen & Yan jun and others, who were disciples). They insisted on this view, and through their theory about the left-wingers of Yang-ming, Yoon Haeng-Im expressed strong criticism of Nak Theory, including references to an "unaroused mind itself and the pure good of Horak debates" and the problems of good and bad and Seong-Beom Dongyi together with the use of the logic of the study of Lu-Wang style. His criticism of Nak Theory led to divisions within orthodox Neo-Confucianism itself more with regard to the inside logic of orthodox Neo-Confucianism than to any outside enemy (such as the study of Lu-Wang). This filtered into the study of Lu-Wang. The utilization of his criticism of the study of Lu-Wang to crack down on orthodox Neo-Confucianism shows another side of its characteristics, compared to the logic of the general criticism between orthodox Neo-Confucianism and the study of Lu-Wang in the central academic world in the late 18th century. Therefore, the results here can serve as a good guideline with which to understand the scholarship and the history of ideas of those times.

      • KCI등재

        일반논문 : 석재(碩齋) 윤행임(尹行恁)의 "호락논쟁(湖洛論爭)"에 대한 입장과 분별의 논리

        남윤덕 ( Yoon Deok Nam ) 한국사상사학회 2014 韓國思想史學 Vol.0 No.48

        본고에서는 18세기 후반 조선후기를 주 무대로 활동한 석재 윤행임의 사상론에 대하여 기존 연구사에서 논란이 되었던 호락논쟁의 입장을 재정립하고, 이 같은 윤행임의 사상관을 통해 나타난 분별의 논리와 ‘화이관’의 상관관계를 함께 규명해 보았다. 윤행임은 가문 대대로의 대명의리적 ‘화이관’과 한원진으로 대표되는 호론적 사상론에 큰 영향을 받았다. 윤행임은 호락논쟁에 있어 중립적이거나 낙론으로의 입장전환 없이 호론의 논리를 끝까지 고수하였다. 윤행임은 ‘인물성이론’을 바탕으로 『중용』의 ‘천명지위성장’과 『맹자』의 ‘생지위성장’을 이해하였으며, 이는 결국 호론과 낙론에 대한 긍정과 부정으로 이어졌다. 윤행임은 또한 ‘인물성동이의 문제’·‘미발심체의 순선과 유선악의문제’·‘성범동이의 문제’에 있어 낙론을 불교와 양명학적 논리로 결부시켜 비판하는 모습까지 보인다. 이것은 한원진의 낙론비판 논리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18세기 후반 주자학 내부에서 호론으로의 사상정립과 주자학적 체제안정을 위한 불교와 양명학의 비판적 활용의 한 특징적인 면모를 보여준다. 이 같은 사상적 논리의 연장선상에서 윤행임은 ‘화이대분별’의 호론적 사상론에 입각한 철저한 ‘화이관’의 모습을 통해 호론적 주자학풍의 보수성 짙은 조선후기 사상사의 일면을 제시하였던 것이다. This thesis is to redefine the position of Ho-rak debates which was controversial in the existing history of studies about the theory of Suk-Jae Yoon Haeng-Im who was active in the late Joseon Dynasty as his main stage. And at the same time, it is to closely research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ogic of discrimination’ and ‘the View of China-Barbarians’ shown throughoutYoon Haeng-Im``s thought. He was greatly influenced by the ancestral ‘Daemyeong Euiri’ of ‘View of China-Barbarians’ and Ho Theory (main representative : Han Won-Jin). He remained neutral or stood the logic of Ho Theory to the end without changing his position to Nak Theory. He understood ‘The chapter for call of Heaven’s decree’ of 『The Doctrine of the Mean』 and ‘The chapter of Life is to be seen as nature’ of 『Mencius』 based on ‘the theory that human nature and animal nature are difference’ and it finally continued to the positive and the negative for Ho Theory and Nak Theory. Relating Nak Theory with the logics of Buddhism and The doctrines of Wang Yang-ming, he also showed his criticism on ‘the problems of the Similarity or the difference between Human Nature and Animal Nature’, ‘Not yet concrete phase of mind pure good and ‘Good-Evil’. This is influenced by the logic of criticism about Nak Theory and shows one special aspectof the critical utilization of Buddhism and The doctrines of Wang Yang-ming to establish the idea of Ho Theory in orthodox Neo-Confucianism in the late 18 century as well as tostabilize the system of orthodox Neo-Confucianism. In line with this ideological logic, Yoon Haeng-Im``s suggested one side of ideological history on the late Joseon Dynasty which was strongly conservative through the attitude of ‘the View of China-Barbarians’, strictly predicated on Ho Theory of ‘China-Barbarians big discrimination’.

      • KCI등재

        碩齋 尹行恁의 『薪湖隨筆』經史類 해석에 나타난 『易』활용양상 연구 : 『禮記』・『左傳』・『通鑑節要』해석을 중심으로

        남윤덕(Nam, Yoon-deok) 대동한문학회 2021 大東漢文學 Vol.68 No.-

        윤행임 역학의 근간을 이루는 학문체계는 주자학이다. 윤행임은 주자의 역학 가운데 『역』의 의리적 해석방식에 초점을 맞추어 經史類를 풀이해 나갔다. 이것은 정조와 함께한 「經史講義_ 易 」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그는 『禮記』・『左傳』・『通鑑節要』에 나오는 특정 단어나 구절들을 『역』에 대입시켜 그 연원을 비교적 상세하고 명확하게 풀이함과 동시에 의심이 가는 부분은 자신의 생각을 가감없이 피력하였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사실은 경사류가 『역』과 상응한다는 實證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특별한 의미가 있다. 윤행임의 이 같은 해석방식은 경사강의에서 습득한 역학을 확장한 것이며, 윤행임 경사류 해석의 중요한 특징으로 자리 잡았다. 윤행임의 의리역중심 경사류 해석방식은 한 학자・문인의 삶과 학문・사상 전반을 아우르는 핵심 요결이다. 이는 당시 18세기 후반 학술사의 일면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하나의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나아가 오늘날 경학을 연구하는 학자들이 참고할 만한 기준점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위상을 확인할 수 있겠다. The academic system that Neo-Confucian forms the basis of Yoon Haeng-im’s The study of I Ching . Yoon Haeng-im’s analyzed to the Confucian Classics and Histories by focusing on the Yi-li interpretation method among The study of 『I Ching』 of the Chu Hsi’s. This was influenced by the 「lecture on the Confucian Classics and histories 『I Ching』」with King Jeongjo’s. He substitutes certain words or phrases from 『Liji』・『Zuozhuan』・『Tongjianjieyao』to explain the origins in a relatively detailed and clear way, while at the same time, In the part where was suspicious, He expressed his thoughts without any hesitation. As a result, this fact has a special meaning in that it shows the empirical evidence that the Confucian Classics and histories the inclined current corresponds to the 『I Ching』. This analysis method of Yoon Haeng-im’s is an expanded of the 「lecture on the Confucian Classics and histories」 learned in the course, and it has become an important feature of the analysis of Yoon Haeng-im’s. Yoon Haeng-im’s Yi-li-I the central Confucian Classics and Histories interpretation method is a key point that encompasses the life, study, and thought of a scholar and writer. The significance of this can be found in that it shows an aspect of the academic history of the late 18th century, and furthermore, its status can be confirmed in that it provided a reference point for scholars studying of Confucian classics today.

      • KCI등재

        碩齋 尹行恁의 『方是閒輯』(上) 연구

        南潤德 ( Nam Yoon-deok ) 동방한문학회 2021 東方漢文學 Vol.- No.89

        尹行恁이 저술한 『方是閒輯』은 그의 문학적 성향에 대하여 살펴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가 작품 속에서 다루었던 다양한 계층들에 대한 동향이나 성장을 이해하고 나아가 시대적 상황을 살펴보는데 유용한 詩話史的 가치를 가지고 있다. 한편, 본고에서는 석재 후손의 소장본을 통해 지금까지 논란이 되어왔던 『海上淸云全』이 『방시한집』의 다른 이름이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방시한집『은 개별 일화가 각기 제목을 갖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게 된다. 그 종류도 인명, 직업, 시 그리고 내용을 고려하여 넣은 제목 등 비교적 다양하게 붙여져 있다. 『방시한집』은 일화류, 품평류 기사가 주류를 이루는 것이 특징이다. 일화류의 경우 윤행임 본인이 직접 경험한 이야기도 있지만, 친구나 어떤 이에게 듣고 기록한 것으로 독자의 관심과 흥미를 끌만한 신이한 이야기를 위주로 하였다. 품평류에서는 작가와 작가의 작품에 대한 평가를 직접 하거나 아니면 다른 사람이 품평한 내용을 그대로 가져와 동조하기도 하였다. 『방시한집』의 품평류는 시화에 담긴 시구가 끝날 때마다 평을 하거나, 문장 중간에 평을 한 경우, 시화 전체의 마지막에 총평 형식으로 간략한 詩評을 기술해 놓은 것이 특징인데, 대부분은 시화의 마지막에 품평을 가하여 시에 대한 윤행임 자신의 생각과 느낀 점을 사실감 있게 표현하였다. 『방시한집』에서는 ‘시교’의 교육적 효과도 나타나고 있으며, 그 중심에는 ‘충절’의식이 자리하고 있다. 또한 여항인에 대한 남다른 관심도 엿볼 수 있다. 18세기 후반은 사회ㆍ신분제도 등 다방면에 걸쳐 많은 변동이 있었으며, 庶族과 中人 그리고 賤民 등의 하층민이 성장하던 시대였다. 윤행임은 여항인들과의 학문적 교유를 통해 신분의 귀천보다는 재능 있는 인재에 대한 소통을 우선시하였으며, 윤행임의 이와 같은 생각은 중인, 천민 등 하층민에 대한 관심으로까지 확대되어 나타났다. 『방시한집『은 그러한 윤행임의 의지를 반영한 결과물이라 할 수 있겠다. The 『Bang-Si-Han-Jib』 written by Yoon Haeng-im’s not only allows us to examine his literary tendencies, but also has a historical value for poetry anecdotes that is useful for understanding the trends and growth of the various classes he dealt with in his works, and further examining the circumstances of the times. Meanwhile, In this paper, through the collection of Suk-Jae's descendants, it was revealed that the controversial 『Hae-Sang-Cheong- Un-Jeon』 is another name for 『Bang-Si-Han-Jib』. 『Bang-Si-Han-Jib』 draws attention to the fact that each anecdote has a title. The types are also relatively diverse, such as names of people, occupations, poems, and titles that take the content into consideration. The characteristic of 『Bang-Si-Han-Jib』 is that anecdotal and Ratings articles are the mainstream. In the case of anecdotes, there are stories that Yoon Haeng-im’s has personally experienced, but mainly novel stories that can attract and interest readers by hearing and writing from friends or someone. In the evaluation of the author and the author's work, the evaluation was done directly, or the contents of the evaluation by others were taken as it is and sympathized. The characteristic of 『Bang-Si-Han-Jib』 poetry is that it is written at the end of every poem in a poem, or in the middle of a sentence, a brief poem is written in the form of a general review at the end of the entire poem. By giving an evaluation to the poem, Yoon Haeng-im’s realistically expressed her thoughts and feelings about poetry. In 『Bang-Si-Han-Jib』, the educational effect of ‘Education of Poetry’ is also shown, and ‘loyalty’ is at the center of it. also see the extraordinary interest in female porters. The latter half of the 18th century saw many changes in various fields such as society and the social status system, and it was an era in which the lower classes such as the middle class and the middle class grew up. Yoon Haeng-im’s prioritized communication with talented people rather than nobles of status through academic exchanges with female porters, and Yoon Haeng-im’s thoughts like this extended to interest in the lower classes, such as middle-class and low-class people. It can be said that the 『Bang-Si-Han-Jib』 is the result of reflecting the will of such a sexual act.

      • KCI등재

        正祖代 學術動向을 통해 본 尹行恁의「薪湖隨筆_『中庸』」 解釋의 特徵과 그 의미

        남윤덕 ( Yoon Deok Nam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4 大東文化硏究 Vol.86 No.-

        18세기 후반 正祖代에는 주자학, 양명학, 고증학 등 여러 방면에서 학문 활동이 비교적 활발하게 이루어졌던 시기였다. 尹行恁은 正祖의 寵臣으로 주자학과 관련 하여 조예가 깊었던 인물이다. 그는 韓元震의 학풍을 계승하였으며, 정조가 추구했 던 ‘漢宋折衷論’과 궤를 같이하였다. 그의 경학가적 면모는 「薪湖隨筆」에서 보다 뚜렷이 나타난다. 윤행임의 「신호수필_『중용』은 단순히 『중용』해석에서만 그친 것이 아니라 주자학을 위협하는 학문들에 대응하고, 자신의 학문체계인 주자학의 미비 점을 보완하며 더욱 발전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윤행임은 『중용』해석의 방법 적 측면에서 『대학』과 『주역』을 대입시키는 등 전형적인 ‘以經證經’의 고증적 방식을 택한다. 그러나 이것은 어디까지나 고증학 자체를 수용한 것은 아니며, 다만 그 공부방식의 일부를 활용한 형태로 주자의 『중용장구』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주자 학을 더욱 공고히 하는 데 초점을 맞춘 것이다. 한편 내용적 측면에서는 陸·王學 을 비판하고, 주자학 가운데 湖論 계열의 ‘人物性異論’을 주장하였다. 윤행임은 기본적으로 주자학을 제외한 나머지 학설들에 대하여 비판적인 입장을 가지고 있었으며, 그 오류를 지적하여 주자학의 당위성을 확보하려는 편에 서서 18세기 후반 조 선학계 내의 주자학에 대한 입지를 다져나갔다. 윤행임의·신호수필_『중용』은 조선후기 학계의 학술동향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자료적 가치를 지니며, 아울러 18세 기 후반 조선후기 학술사의 한 국면을 조명하는 좋은 지침이 될 것이다. Literature activities such as orthodox Neo-Confucianism, the doctrines of Wang Yang-ming, Bibliographical Study of chinese Classics etc were flourished in many ways in the late 18th century of king Jeongjo`s era. Yoon, Haeng-Im who was a favorite with the king Jeongjo had a profound knowledge of orthodox Neo-Confucianism. he succeeded to Han, Won-Jin`s academic traditions and then was in the same cycle as Eclecticism between Han and Sung`s academic methods that King Jeongjo pursued. 「Shin-ho-essay」 shows his style of the literature for the Confucian classics more clearly. 「Shin-ho-essay_Jung-yong」focused on not only interpretation of Jungyong but also the defense against the literatures that menaced orthodox Neo-Confucianism. in addition it had also the purposes to complement the insufficiency of orthodox Neo-Confucianism and improve it more. When it comes to his interpretation way, he adopted ‘Verified Chinese Classics with themselves’ that is kind of the typical method of the methodology of historical research by mainly using Dae-hak and the Book of Changes. however, it was not to adopt Bibliographical Study of chinese Classics itself but to focus on solidifying orthodox Neo-Confucianism more with systematic analysis of Zhu Ja`s Jung-yong-jang-gu. meanwhile, in the side of its contents, he criticized Lu·Wang study fairly and insisted on the theory of Ho department`s The theory that human nature an animal nature are difference in the orthodox Neo-Confucianism. basically, he was on the critical position on the other theories except orthodox Neo- Confucianism and tried to consolidate his position in orthodox Neo- Confucianism within the Kingdom of Joseon`s academic world by pointing out their mistakes in order to justify the orthodox Neo-Confucianism in the late 18 century. 「Shin-ho-essay_Jung-yong 」 is worth important research materials to understand the trend of academic areas in the late Joseon era. Besides, it will be the good direction to illustrate and capture the side of aspects of the academic history in the late 18th century.

      • KCI등재

        정재(定齋) 류치명(柳致明)의 『관서유록(關西遊錄)』에 나타난 지역 형상화 양상과 그 의미

        남윤덕 ( Nam Yoon-deok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20 漢文古典硏究 Vol.40 No.1

        柳致明의 『關西遊錄』은 관서지역 내 누정과 명승지를 유람하고 그에 대한 感評을 기록한 일차적인 유록의 성격과 평안도지역에 대한 사회, 정치, 경제, 문화 등 다방면에서 그 정황 관계를 살펴 그에 대한 정보를 직간접적으로 제공하는 등의 현실 인식도 반영하고 있다. 『관서유록』은 역사 기술을 통해 그 사료적 가치성도 충분히 보여주고 있다. 이는 역사와 문학이 결합된 모습으로 사실감 있게 드러난다. 류치명은 묘향산의 유래, 동방에 문명을 전파한 기자, 황성, 송나라 휘종과 흠종, 그리고 오랑캐의 오국성 등 그 옛날 역사적 사실 묘사에서 북방지역의 역사인식과 소중화 의식이라는 조선 유학자의 사상을 가감 없이 문학적으로 형상화하였다. 또한 관서지역의 대표 누정이나 강학공간을 소개하며, 그에 대한 소회와 감정을 진솔하고 담담한 어조로 표현해 내기도 했다. 류치명의 『관서유록』은 단순한 유람에 대한 기술이 아닌 유학자로서 관서지역을 제대로 이해하고, 자기성찰의 시간도 갖는 등 여러 의미와 의도에서 그 문학적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겠다. Ryu Chi-myeong's 『Kwanseo Yurok』 examines the situation and relationship in various aspects such as social,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aspects of Pyeongan-do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imary Yurok, which records the impressions and excitement of the ridges and scenic spots in the Kansai region. It also reflects reality perception, such as directly or indirectly. 『Gwanseo Yurok』 shows the historical value through historical technology. This is revealed realistically through the combination of history and literature. Ryu Chi-myeong is the ideological figure of the Joseon Confucian, who is the origin of Myohyangsan, Gija who spread civilization in the East, Hwangseong, Song Dynasty, Huijong and Heumjong, and Orangka's Ogukseong. Revealed without adjustment. In addition, introduced representative gangs and Kanghak spaces in the Kwanseo region, and expressed his regrets and feelings in a sincere and calm tone. Ryu Chi-myung's 『Kwanseo Yurok』 can be recognized as a literary value in various meanings and intentions, such as knowing the government office area properly and taking time for self-reflection as a wooden building, not a description of a simple go sightsee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