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봉황음(鳳凰吟) 복원(復原)을 위한 정간보(井間譜) 해석(解釋) 연구(硏究)

        남상숙 ( Nam Sang-suk ) 무용역사기록학회 2009 한국무용사학 Vol.10 No.-

        처용무 반주음악인 봉황음은『세종실록악보』와『대악후보』에 같은 리듬형태로 남아있다. 봉황음의 복원을 위해 정간 시가의 해석은 필수적이다. 이혜구의 “정간=일정한 시간단위”라는 견해에 대한 최초의 반론이 콘디트(1977)에 의해서 제기되었고, 이어서 홍정수와 전인평이 다른 해석을 내놓았다. 본고에서는 홍정수의 견해와 최근에 발표된 문숙희의 정간해석만을 검토하였다. 콘디트와 전인평의 해석은 이혜구에 의하여 충분히 문제점이 지적되었고 이에 대한 반론이 제기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홍정수와 문숙희의 정간해석으로 고악보의 복원연주가 불가능한 근거는 그들이 제시한 리듬형은 고악보에 나타난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는 점이다. 더구나 문숙희의 “악곡마다 정간해석이 달라진다”는 주장은 고악보의 복원연주를 더욱 어렵게 하고 정간보의 가치를 의심하게 한다. 정간은 일정한 시간단위를 나타낸다는 견해의 근거로 가곡악보를 고찰하였다. 1572년의 『금합자보』의 만대엽부터 『대악후보』의 만대엽, 『삼죽금보』의 가곡, 현행의 가곡보가 모두 16정간 6대강보에 기보되어 있다. 『삼죽금보』의 가곡 악보는 장고점의 위치도 현행과 일치한다. 이 일관된 형태의 가곡악보는 현재 1정간 1박 형식으로 연주되고 있다. 정간은 일정한 시간단위를 나타낸다는 견해의 또 다른 근거로 종묘제례악의 가사배자법을 살펴보았다. 모든 곡에 있어서 가사 한 글자가 갖는 정간의 수는 전체적으로 일정한 규칙이 적용되었다. 각 정간이 갖는 의미가 일정하지 않다면 이런 가사배자법은 탄생하지 않았을 것으로 확신한다. Bonghwangeum music, an accompaniment music for the Cheoyongmu dance, remains a same type of rhythms in Musical Notes of King Sejong Annals and Daeakhubo (7-volume books of musical notes dating back to the Joseon Dynasty). It is necessary to interpret the note value of Jeonggan (squares of old Korean mensural notation) in order to restore Bonghwangeum. When Yi Hye-gu`s presented a view that Jeonggan is a certain time unit, the first counterargument was offered in 1977 by Condit, followed by Hong Jeong-su and Jeon In-pyeong who presented different interpretations thereof. In this study, examined were only Hong Jeong-su`s viewpoints and the recent interpretation by Mun Suk-hui, because problems surrounding the interpretation of Jeonggan by Condit and Jeong In-pyeong were sufficiently discussed by Yi Hye-gu, and also a counterargument was made. A replaying of the ancient musical notes based on the interpretation of Jeonggan by Hong Jeong-su and Mun Suk-hui is impossible, because their proposed rhythms constitute only part of those appearing in the ancient musical notes. Moreover, Mun Suk-hui`s argument that the interpretation of Jeonggan varies according to music makes it more difficult to restore and play the ancient musical notes. This may also lead one to suspect the value of the Jeongganbo musical notation method. In this study, the musical notes of the ancient songs were examined on the basis of the view that Jeonggan is a certain time unit. All musical notes were written in the 16 Jeongan and 6 Gangbo (musical pieces), from Mandaeyeop of Geumhapjabo musical notes of 1572, to Mandaeyeop of Daeakhubo, songs of Samjukgeumbo musical notes, and the current musical notes of songs. With regard to the musical notes of songs in Samjukgeumbo, the location of beating or striking the drum is consistent with that of the current music. The consistent types of musical notes of songs today are played under the principle that one Jeonggan means one beat. To verify another foundation for the view that Jeonggan is a certain time unit, Gasa Baejabeop (a rule of positioning the characters of lyrics regularly in a music) of Jongmyo Jeryeak (Royal Ancestral Shrine Music) was examined. In all musical pieces, the number of Jeonggan that a character of lyrics has is decided overall under certain rules. If each Jeonggan had not a consistent meaning, such rules would not have been created.

      • 『대악후보』와 『속악원보』의 영산회상 연구

        남상숙(Nam Sang-Suk) 한국전통음악학회 2005 한국전통음악학 Vol.- No.6

        영산회상은 고악보 자료가 많이 남아 있는 관계로 많은 학자들의 연구가 축적되어 온 분야이다. 그런데 『대악후보』와 『속악원보』의 영산회상은 여러 학자들을 혼란스럽게 해왔다. 똑 같은 악보를 놓고 해석은 제각기이다. 예를 들면 속악원보 영산회상이 어느 시기의 음악인가에 대해서 오용록은 대악후보 이전의 악보로 해석했고 황준연은 1892년 당시에 실제 연주되던 악곡으로 추정하였다. 관악영산회상의 상령산의 선행선율을 찾는 작업에서도 오용록은 대악후보 영산회상의 제2선율이 관악영산회상 상령산의 선행선율이라고 주장하였고, 황준연은 제1선율이 현전의 관악영산회상 상령산으로 이어졌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대악후보의 제2선율에 대한 해석도 오용록은 계면조의 변질로 宮이 下一로 음이 낮아진 것이라고 주장했고 황준연은 평조회상의 초기형태로 보았다. 이와 같이 『대악후보』와 『속악원보』의 영산회상에 대한 연구결과가 공통점이 없는 이유는 이 두 악보는 실제로 연주한 음악을 기록한 것이 아니라 전통음악의 원형을 없애려는 특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이다. 『대악후보』의 수록곡 중 유일하게 4ㆍ2ㆍ4 정간보에 기록된 영산회상의 악보의 판형은 『대악후보』의 나머지 악보와는 체제가 전혀 다르고 『속악원보』의 지편악보와 일치하는 사실로부터 『대악후보』 영산회상은 『속악원보』 편찬시에 끼워 넣은 것임을 짐작할 수 있다. 한국음악사에 4ㆍ2ㆍ4 정간보는 공식적으로 존재한 적이 없었던 것이다. 음양논리를 갖춘 한국 고유의 3ㆍ2ㆍ3 정간보를 없애기 위해 『속악 원보』 지편의 4ㆍ2ㆍ4 정간보를 만들었다. 『대악후보』에 4ㆍ2ㆍ4 정간보의 영산회상을 후대에 끼워 넣은 것은 4ㆍ2ㆍ4 정간보의 근거로 위장하기 위한 것임을 짐작하기는 어렵지 않다. 본래의 3ㆍ2ㆍ3 정간보를 없애고 4ㆍ2ㆍ4 정간보를 끼워 넣은 사실만으로도 『대악후보』 영산회상의 허구성과 4ㆍ2ㆍ4 정간보를 만든 목적이 3ㆍ2ㆍ3 정간보를 없애는 데 있음을 충분히 입증할 수 있다고 하겠다. 『속악원보』 지편의 4ㆍ2ㆍ4 정간보를 거치면서 신편의 3ㆍ2ㆍ3 정간보는 완전히 의미를 잃어버리고, 결국 3ㆍ2ㆍ3 정간보는 사라지게 된 사실이 바로 그 증거이다. 4ㆍ2ㆍ4 정간보가 허구이듯이 4ㆍ2ㆍ4 정간보에 기록된 『대악후보』와 『속악원보』의 영산회상은 허구이다. Various interpretations on the Yeongsanhoesang in Daeakhubo (大樂後譜, 1759) and Sokakwonbo (俗樂源譜) has been made. The reason why the interpretations on the same music are so different is in that Yeongsanhoesang in Daeakhubo and Sokaktwonbo have many problems. One of the problems is that Yeongsanhoesang was written in six great net-rope notation made up of 20 squares (divided into 4-2-4-4-2-4). All the other pieces in Daeakhubo were written in the same six great net-rope notation made up of 16 squares as that used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世祖, 1455-1468). Recently it was found that Yeongsanhoesang in Daeakhubo turned out to be a fake that had been inserted much later days. Yeongsanhoesang in Daeakhubo has two melody lines. The first melody was a copy of the Yeongsanhoesang in Hangeumsinbo(韓琴新譜, 1724). The duration of each tone of the original melody might be changed by using the mensural notation. The scores in Hangeumsinbo do not show the duration. Through the analysis and the comparison of the two melodies, it was proved that there is no relationship between them. The second line that has no similarity with the first was full of skips without any possible reasons. Several different opinions that had been made on the second melody proved to be wrong. The original Yeongsanhoesang score in Daeakhubo disappeared and a forgery was inserted. The forgery was of the same six great net-rope notation made up of 20 squares as that of Sokakwonbo. Both Sokakwonbo and Yeongsanhoesang in Daeakhubo were written at the same time by the same people on the same purpose. The fact that the wood block printed notation they used are just same proves it. The notation of 20 squares was made to get rid of Korean traditional six great net-rope notation made up of 3-2-3-3-2-3 squares that was made on the basis of Yin-yang theory. The six great net-rope notation made up of 4-2-4-4-2-4 squares is a concoction and consequently the music written in the 4-2-4-4-2-4 square notation is also one. The Yeongsanhoesang in Daeakhubo and Sokakwonbo were written in the 4-2-4-4-2-4 square notation.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