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박남수 시의 디아스포라적 특성 고찰

        남기택(Nam, Gi-taek)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학논총 Vol.34 No.-

        본고는 미주지역 재미한인문학을 한민족 디아스포라문학의 한 형태로 간주하여 접근하였다. 디아스포라문학에 대해서는 다양한 범주 설정이 가능하다. 오늘날 디아스포라의 양상 자체가 폭넓게 확산되고 있는바 미주지역 이민과 그 문화적 부산물인 재미한인문학 역시 넓은 의미에서 한민족 디아스포라의 형태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박남수는 이주 이후에도 변함없이 생의 본질을 묻는 실존적 탐구를 지속하였다. 그 과정에서 디아스포라문학으로서의 가능성 역시 보여주었다. 재미한인문단의 실정과 그에 관계되는 박남수의 문학적 이력 자체는 박남수 시를 미주지역 디아스포라문학으로 읽는 데 있어 필수적인 전제가 된다. 이주 이후 박남수 시세계에는 인종과 공간의 다양한 경계 양상이 서로 충돌하고 있다. 이러한 다각도의 인종과 공간 지평은 결과적으로 한민족 디아스포라의 운명과 유비되면서 특유의 문학적 지평을 형성하게 된다. 무엇보다 디아스포라적 사건과 장소의 형상화 양상은 한민족 디아스포라문학의 관점에서 주요하게 조명되어야 한다. 박남수 시는 한민족 디아스포라와 이주민으로서의 정체성이 여전히 구성적인 것이라는 점을 반증하고 있다. 또한 박남수 시는 재미한인문학이 전유해야 할 문학적 주제나 정체된 문학장 메커니즘의 활성화 방안을 제공한다. 재미한인문학 연구는 국문학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시의적 의미를 지닌다. 재미한인문학장은 민족국가 단위로 설정되었던 한국문학의 외연을 확장하고, 민족공동체에 대한 탈근대적 사유를 가능케 하는 물리적 기제일 수 있다. 이처럼 박남수 시는 시인의 삶으로부터 시적 주제에 이르기까지 미주지역 디아스포라문학을 대표하는 실정적 의미를 지닌다. This paper analyzes the Park Nam-soo’s poetry in the States from the perspective of diaspora. The recent growth in the Korean literature’s publication abroad demands the perspective of diaspora in the States.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the various levels of meanings of the Park Nam-soo’s poetry published in light of the Korean diaspora. The topics of Park Nam-soo’s poetry are related to the experience of space and place, the search for the placeness. It is related to the hardship of the immigrant lives and the identity questions too. Sorrow or sadness is a key feature of the immigrant situation in which the experiences in the home countries still continue to influence the immigrants. Park Nam-soo’s poetry are related to the experience of diaspora: the hardship of the immigrant lives, the identity questions, and the search for the ethnicity. Diaspora involves not only the direct territorial immigration to another country, but also the systemic imposition of the alien’s culture. Diasporic event is a key feature of the immigrant situation in which the experiences in the ethnic ommunity still continue to influence the immigrants. Especially, LA Riots of 1992 is the main subject of this paper. Such event inevitably results from diaspora. The Korean-American poetry is characterized by the diasporic meaning of the social attitude. The Korean-American poetic literature involves the systemic imposition of the alien’s field of literature. It is characterized by the complex meaning of the space and place. Its typical examples are the poetic attributes which are the appropriate spirit of the immigrant lives and ethnic identity.

      • KCI등재

        영성의 시적 변주

        남기택(Nam, Gi-taek) 한국비평문학회 2014 批評文學 Vol.- No.52

        본고는 영성(spirituality)이 현대사회의 아포리아를 극복하고 미적 모더니티를 대체할 수 있는 주요한 사상적 범주라는 전제에서 출발하였다. 이러한 입장에서 영성이 지닌 문학사상적 의미와 현 단계 전유의 지점을 모색해 보았다. 영성에 관한 반성과 사유는 궁극적으로 영성이 지닌 고유한 의미와 미적 가치를 현재화하려는 시도의 일환일 수 있다. 영성과 종교적 상상력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는 모더니티가 이른 한계상황과 직접적으로 관련된다. 현대사회에 팽배해 있는 극단의 폐단들은 이성과 제도의 관점에서 더 이상 치유하기 힘든 구조적 속성을 지닌다. 자본주의의 질서 자체가 근본적으로 무한한 욕망에 근거한 규범이라는 차원에서 본질적인 모순을 내포한다. 문학을 포함한 문화 전반에 내재된 본성 역시 자본주의라는 제도의 성격을 벗어나지 못한다. 종교적 상상력은 또한 영지(靈知, gonosis)의 관점에서 보다 폭넓은 의미를 시사하고 있다. 영지 혹은 영지학(gnoseology)은 근대적 인식론이나 해석학을 넘어설 수 있는 실정적 방법론으로 주목되는 바이다. 영지는 일반적으로 영적 인식, 신비적 직관 등으로 이해되고 있다. 미뇰로는 영지학을 영지에 관한 담론으로, 영지를 억견(doxa)과 인식(episteme)을 모두 포함한 지식 일반으로 사용한다. 그는 ‘경계영지(border gnosis)’ 개념을 통해 근대/식민 세계체제의 내부 경계와 외부 경계 모두에서 나오는 지식 생산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수행하고자 한다. 비판적 영성 혹은 영지의 문학적 전유는 한국문학의 본질을 이해하고 미학적 대안을 구성하는 데 있어서도 유용한 판단을 제공하리라 본다. 이는 한국 현대문학의 형성과 전개 과정에서 실재했던 경향이기도 하거니와 현 단계 문학적 자기반성의 노력 속에서 부단히 실험되는 양상이기도 하다. 본고는 이에 대한 이론적 모색의 일환으로서 폭넓은 차원에서 영성의 시학적 가능성을 진단하고 대표적인 사례를 논증하였다. 그 결과 상상력과 영성의 관점에서 마종기와 손종호 시를, 실존과 종교적 상상력의 관점에서 유치환과 최인희 시를, 영지와 대안근대의 가능성 관점에서 김정환과 신동엽 시를 예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ed light on the meaning of spirituality and religious imagination. It can be referred to as problematic objects what shared converging and diverging points in looking into and understanding the problems of the modernity reflected in literature. This paper tries to apply the altermodernity and border thinking in broad sense to its works based on the efforts to study history in various lights. The spirit and works of religious imagination literature prove our centralized surroundings and the typical pattern of living in unreasonable modern times by performing effects. An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seeking both theoretical basis and practical methodology for studying religious literature. It can be emphasized that the study of gnosis need to focus on system and institutional aspect. It is also important that the study of spiritual literature should embrace perspective of transmodernity as well as modernity. For example, the poems of spirituality deals mainly with the meaning of God and human existence. Although God is seen as that of Christianity in poems, it doesn’t have any image of the Absolute, who can salvage humans. Without salvation, humans remain helpless beings. The God who has no power to salvage humans represents a secularized divinity. Paradoxically, secularized divinity is expressed as the sanctification of the secular. Negative perceptions on God lead to an introspection on the meaning of humans’s current life, as a result of which humans realize the true meaning of existence and get salvation. In spiritual poems, the existential image of sanctified nature and Mother Terra is evident. In addition, the meaning of will-power to overcome such helplessness most distinctively appear in spiritual poems. In so doing, religious imagination tries to provide an image not only of the absolute death, which is the limitation of the existence, but also of the real live of humans and altermodernity.

      • KCI등재

        미주지역 디아스포라 시문학의 양상

        남기택(Gi-taek, Nam) 어문연구학회 2011 어문연구 Vol.70 No.-

        1970-1980년대 미주지역 문단의 정립은 문학장의 본격적 작동, 이주 현실의 미학적 내재화 등 다양한 의미를 포함하는 중층적 사건이다. 그 결과 재미한인 시단은 지역을 중심으로 단체를 형성하고, 동인지 및 기관지 성격의 매체를 통해 활동이 지속되고 있다. 이는 그 자체로 재미한인 문단의 특성이자 구조적 한계로서의 양가적 의미를 지닌다. 『재미시인선집』(1975)은 재미 시단에서 활자 형태를 갖추고 본격 출판된 최초의 공동 시집이다. 『선집』은 미주지역 최초의 동인지 『지평선』(1973)의 동인 구성을 그대로 이어받고 있으며, 참여 시인들은 이후 재미한인 시단의 전개에 있어서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재미한인 디아스포라 시문학의 핵심적 요소는 이산에 대한 의식, 장소성의 전유 양상 등이라 할 수 있다. 『선집』을 포함한 정립기 재미한인 시문학 속에는 이중적 정체성에 대한 인식, 그에 연동되는 실존적 배경의 불안, 나아가 비판과 순응이 교착된 양가성 등이 부각된다. 또한 장소의 전유 양상과 관련해서는 전지구적 공간 배경, 이중적 장소성, 장소의 내면화 등이 특징적이다. 이들은 재미한인 디아스포라 시문학의 전형적인 내용과 형식을 구성하고 있다. 『선집』 등의 정립기 매체와 미주지역 디아스포라 한글 시문학은 한국문학의 외연을 확장하고 총량을 확정하는 데 있어서의 문학사적 의미를 지닌다. 이들 매체는 최대 이민국가인 미국에서 본격적 한인문단을 형성하는 단초가 된다. 근대문학 초기로부터 형성되는 한국시와 미국의 관계 계보에 있어서 1970년대의 공백을 잇고 있다는 점 역시 지역 단위를 넘어서는 문학사적 의의라 하겠다. This paper analyzes the Korean poetry in the States from the perspective of diaspora. The recent growth in the Korean literature’s publication abroad demands the perspective of diaspora in the States.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the various levels of meanings of the Korean poetry published in the States in light of the Korean diaspora. In particular, the paper focuses on JAEMISIINSEONJIP(『在美詩人選集』, 1975) and the Korean poetry in the 1970’s and 1980’s, the establishment period of the Korean-American field of literature. The formality of factionalism in that field sometimes entailed the aesthetic deficiency. The topics of Korean-American poetic literature are related to the experience of diaspora: the hardship of the immigrant lives, the identity questions, and the search for the placeness. Diaspora involves not only the direct territorial immigration to another country, but also the systemic imposition of the alien’s culture. Ambivalence is a key feature of the immigrant situation in which the experiences in the home countries still continue to influence the immigrants and at the same time are totally cut off. such ambivalence inevitably results from diaspora. The Korean-American poetry is characterized by the dual meaning of the spacial attitude. Its typical examples are the poetic attributes which are the appropriate spirit of the place.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전쟁과 강원지역문학

        남기택(Nam, Gi-Taek) 한국문학회 2010 韓國文學論叢 Vol.55 No.-

        한국전쟁기 강원지역에 존재한 대표적 문화매체로 『강원일보』가 있다. 준비위 격으로 만들어진 『彭吳通信』을 전신으로 하는 『강원일보』는 지역문학장 활성화를 위한 직간접적 계기를 마련한다. 그 밖에 『동방신문』, 『강릉일보』, 『동해일보』 등이 전쟁을 전후하여 지역의 문화매체로 기능한 바 있다. 더불어 『좁은문』, 『청포도』, 『보리밭』 등 개별지역 단위 동인활동이 한국전쟁기와 그 이후 강원지역문학장의 구조적 특징이라 하겠다. 작가로는 김동명, 최인희, 황금찬, 이성교, 박인환, 박기원, 진인탁, 김영준 등을 1950년대 지역문단의 주요 전거로 들었다. 강원지역은 전쟁의 직접적 영향을 받은 지정학적 공간으로서 문학을 포함한 문화계 전반의 황폐화를 피할 수 없었다. 이러한 사회학적 배경과 천혜의 자연환경이라는 자연적 조건은 문학 내용에 있어서 인생과 자연으로 일관되는 계기를 이루기도 한다. 그 결과 한국전쟁은 강원지역 문단에 두 가지 방향에서 정체성을 부여하고 있다. 첫째는 문단 자체의 비수월성이며, 둘째는 문학 내용의 순수서정화이다. 그 과정에서 고착화된 동인지문단은 이후에도 구조적 경향을 반복하면서 현단계 강원지역 문학장의 특징으로 이어지고 있다. 1950년대 강원지역문학장에 대한 재구는 한국문학의 총량을 더하고 기존 문학사를 보완하는 의미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ed light on the characteristic in Gangwon regional literature. Especially, this paper give attention to the Korean War. The Korean War was an escalation of border clashes between two rival Korean regimes, each of which was supported by external powers, with each trying to topple the other through political and conventional tactics. In the field of literature,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ways. Regional liturature study is a method that sets the goal at discussion for a regional reorganization. The important materials as target of regional literature study is media such as journal and organizations. The dominant media in Gangwon regional literature in 1950's is Gangwon-Illbo. And the literary coterie magazines in local area are worthy of notice. As long as the age of War goes on, Gangwon regional literature will have living present values. Fair value assessment of the regional literature can help rectify the unfair cultural structure and is a way to develop Korean literature itself.

      • KCI등재

        김유진 시 연구 - 생태시 지평과 『청포도』의 문학사회학

        남기택(Nam, Gi-taek) 문학과환경학회 2020 문학과 환경 Vol.19 No.4

        김유진(1926~1987)은 『현대문학』 1955년 6월호에서 1회 추천, 『현대문학』 1968년 9월호에서 2회 추천, 『현대문학』 1969년 2월호에서 천료한 시인이다. 김유진의 문단 활동은 1950년대 초반 ‘청포도동인회’로부터 비롯된다. 김유진은 황금찬, 최인희 등과 더불어 청포도동인회를 결성하고, 동인지 『청포도』를 한국전쟁기인 1952년과 1953년에 걸쳐 2호까지 발간하였다. 지극한 과작의 활동 경향으로 일관한 결과 생전에 상재한 시집은 『산계리(山溪里)』(1985)가 유일하며, 유고시집으로 『찬란한 봄맞이』(1995)가 간행되었다. 김유진 시에 대한 기존 논구로는 시인의 고향 지역에서 형성된 담론장에서 부분적인 접근이 파악되는 정도이다. 김유진 시세계가 지닌 의미와 문학사적 위상은 특히 관련 지역의 문학장에서 제도화되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김유진 시세계에 대한 학술적이고도 본격적인 분석 사례가 부족한 현실은 문제적 현황이 아닐 수 없다. 김유진의 전기 시세계는 지역적 특성인 자연의 소재에 주목하면서도 나름의 형식적 개성을 향한 문학적 자의식을 보여주고 있다. 전형적인 리리시즘의 성격을 지니는 동시에 지역과 장소성에 근간한 미의식적 기반 역시 김유진 전기 시세계의 특징적 요소이다. 이와 함께 김유진의 등단기 작품들은 절제된 언어로 정제된 이미지를 추구하기보다는 일상적인 어조로 화자의 성찰적 내면을 진술하는 양상이 주조를 이룬다. 김유진 후기 시세계를 관류하는 장소 상징은 일종의 시적 헤테로토피아를 지시한다. 김유진 시는 자신의 고향이나 강원권 천혜의 공간 요소를 이상적 장소로 전유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또 다른 중심 화소인 존재론적 비애가 지양된 결과이기도 하다. 고향 인근을 위시하여 강원권 자연이라는 근원적 장소는 그의 시세계에서 문학적 헤테로토피아에 유비되며, 이는 곧 김유진식 로컬리티의 구현 양상이자 생태시학의 지평이기도 하다. 김유진의 문학 활동은 청포도동인회 회원으로서 강릉을 위시하여 오늘날과 같은 강원 영동권 문단을 형성하는 데에 기여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문학사회학적 의미를 지닌다. 『청포도』의 존재는 일회적이고 우연한 일화가 아닌, 전후 강원권 문단을 형성하고 주된 성격을 구성하는 문학사적 사건이었다. Kim Yu-jin’s literary activities began in the early 1950s from the Cheongpodo literary coterie. Kim Yu-jin formed the Cheongpodo literary coterie along with Hwang Geum-chan and Choi In-hee, and published up to No. 2 during the Korean War in 1952 and 1953. As a result of being consistent with the trend of activities of extreme work, the only collection of poetry published during his lifetime was Sangye-ri , and Challanhan Bommaji was published as a collection of poetry. As for the existing arguments on Kim Yu-jin’s poem, a partial approach is understood in the discourse field formed in the poet’s hometown. The meaning and literary history of Kim Yu-jin’s poetry have been institutionalized, especially in the literary field in the relevant region. Nevertheless, the lack of an academic and full-fledged analysis of the poetic world of Kim Yu-jin is a problematic situation. Kim Yu-jin’s biographical poetry fully shows literary self-consciousness toward his own formal personality while paying attention to the subject matter of nature, which is a regional characteristic. At the same time, it has the characteristic of lyricism, and the aesthetic foundation based on regional and place is also a characteristic element of the poetic world in Kim Yu-jin’s early days. The symbol of Sangye-ri , that permeates the late poetry world of Kim Yu-jin indicates a kind of poetic heterotopia. The poem of Kim Yu-jin appropriates his hometown or the blessed space elements of the Gangwon region as an ideal place. The original place of nature in the Gangwon region, including the neighborhood of his hometown, is compared to literary heterotopia in his poems. Kim Yu-jin’s literary activities have an important literary and sociological meaning in that he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a literary group in the area of Gangwon, including Gangneung, as a member of the Cheongpodo literary coterie. The existence of Cheongpodo was not a one-time and accidental anecdote, but a literary historical event that formed the post-war period in the field of Gangwon regional literature and constituted the main character.

      • KCI등재후보

        정전의 이면, 김수영의 경우

        남기택(Nam, Gi-taek) 픽션과논픽션학회 2021 픽션과논픽션 Vol.3 No.1

        김수영은 비평과 창작 혹은 이론과 실천을 겸비한 한국 문학사의 상징적 존재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김수영 문학세계는 기본적 텍스트조차 제대로 복원되지 못한 실정에 놓여 있다. 대표적 예로 김수영이 발표했던 원래의 작품 형태나 출전 관련된 서지사항이 완전히 파악되지 못한 현실을 들 수 있다. 보다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으로써 그 정전의 위상을 복원해야 할 시점이라 하겠다. 이 글은 김수영 문학의 온전한 구성을 바라며 몇 가지 미완의 사례를 예시하였다. 그의 시세계는 <김수영 전집>을 비롯하여 육필시고까지 비교적 체계적으로 정리된 경우에 해당된다. 하지만 상당수 원문은 아직도 발표 당시의 형태나 출전을 확인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번역물의 경우에는 사정이 더욱 심각하다. 김수영 문학세계와 번역이 맺는 관계는 매우 긴밀하기에 엄밀한 복원이 필요하다. 현재 상재되어 있는 <시인의 거점>과 같은 번역집에도 오자와 부정확한 정보가 산견되기에 세밀한 교열을 통한 보완 작업이 요청된다. 산문 역시 재구성 필요성을 지닌다. <김이석의 죽음을 슬퍼하며>, <제 정신을 갖고 사는 사람은 없는가>, <정실비평은 자신의 손해> 등을 통해 일부 측면에서 보완해야 할 점을 밝혔다. 김수영 월평들은 당대 문학장을 재구하고 일급 평론가로서의 면모를 논증하기 위한 주요 근거에 해당한다. <현대시의 진퇴>, <진도 없는 기성들>, <새로운 포멀리스트들> 등을 예시하며 부기되어야 할 자료를 추가해 보았다. 김수영이라는 텍스트는 복잡한 층위를 구성하고 있기에 개별 연구로는 서지사항조차 확정하기 어렵다. 김수영 문학은 학제를 넘어서는 집단적 공동 연구를 통해 온전히 재구성될 필요가 있다. Kim Soo-young is a symbolic existence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that combines criticism and creation, or theory and practice. Nevertheless, even the basic texts of Kim Soo-young s literary world have not been properly restored. As a representative example, even the form of the original work published by Kim Soo-young or the information of the published magazine is not well understood. With a more organized and systematic approach, it is time to properly restore the status of the canon. This article hopes for the complete composition of Kim Soo-young s literature and exemplifies some incomplete cases. His poetry has not yet been established in the form or source of his poems at the time of publication. In the case of translations, the situation is even more serious. The relationship between Kim Soo-young s literature and translation is so close that a rigorous restoration is necessary. Incorrect letters and inaccurate information are also found in the currently produced translation works. Prose also needs to be reconstructed. Even just looking at some prose, it needs to be supplemented in various aspects. Kim Soo-young s monthly reviews are the main basis for reconstructing the literary field of the time and demonstrating the aspect of a top-notch critic. Some examples were exemplified and materials to be supported were added. The other side of the canon, such as Kim Soo-young s literature, consists of such a complex layer, so it is difficult to confirm even complete data through individual research. Kim Soo-young s literature needs to be completely reconstructed through collective joint research that goes beyond the academic realm.

      • KCI등재

        미주지역 디아스포라 시문학의 사건과 심상지리

        남기택(Nam, Gi-taek) 한국비평문학회 2015 批評文學 Vol.- No.58

        본고는 미주지역 시문학을 대상으로 디아스포라의 관점에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문학사회학적 입장에서 미주지역 시문학의 심상지리와 문학사적 사건의 형상화 양상을 주목하였다. 디아스포라 시문학의 문학사회학적 분석은 미주문학에 대한 기존의 소재주의적 접근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론에 해당된다. 구체적으로는 미주지역 재미한인 시단의 정립기 양상을 정리하고, 미주지역 디아스포라 시문학을 대표하는 작가들의 시세계에 주목하였다. 미주지역 한인문단은 선집 형태의 문집 발간과 더불어 본격적으로 출발한다. 이들 매체에 나타난 시인 분포는 이후 재민한인 문학장의 상징적 에콜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대표성을 지닌다. 재미한인 시단 형성기 대표 작가들의 작품에 나타난 장소성은 환상과 희망, 절망과 고통이 병존하는 중층적 양상으로 드러나고 있다. 또한 일종의 파노라마적 시선을 엿볼 수 있다. 이주의 경험은 장소의 중층성을 배태하였고, 그 과정에서 공간을 대하는 이중의 시선 혹은 파노라마적 관점이 자연스럽게 형성된 것이다. 그에 따라 재미한인 시편들의 심상지리는 장소가 지닌 다층적 의미에 자연스럽게 접목되고 있다. 한편 미주지역 디아스포라의 범주를 구성할 주요 사건에 대한 문학사회학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본고에서는 미국이민 100년의 역사적 과정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사건으로 1992년의 LA폭동을 들었다. 폭동의 경험은 재미한인 공동체에 대한 근본적 반성을 가져오는 충분한 계기였고, 시작품 속에서도 다양하게 반영되고 있다. LA폭동이 지닌 문학사회학적 의미는 이 사건이 과거의 특정 시점에 발생한 우연한 폭력 사태가 아니라 여전히 잠재되어 있는 인종과 지역 갈등의 구조적 요소라는 데에서 추론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재미한인 시문학의 문학적 장소와 사건 전유가 지향해야 할 하나의 입장을 도출할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Korean poetry in the States from the perspective of diaspora. The the present state in the Korean literature’s publication abroad demands the perspective of diaspora in the States.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various levels of meanings of the Korean poetry published in the States in light of the diaspora. This study focuses on the part of Korean poetry in the 1970’s and 1980’s, the establishment period of the Korean-American field of literature. The topics of Korean-American poetic literature are related to the experience of diaspora. Diaspora involves not only the direct territorial immigration to another country, but also the systemic imposition of the alien’s culture. Ambivalence or Placeness is a key feature of the unfamiliar situation. Such ambivalence or placeness inevitably results from diaspora. The Korean-American poetry is characterized by the dual meaning of the imaginative geography. Its typical examples are the poetic attributes which are the appropriate spirit of the place. And also the eye of panorama. The Korean-American poetic literature involves not only the direct territorial immigration to another country, but also the systemic imposition of the alien’s field of literature. It is characterized by the complex meaning of the space and place. Its typical examples are the poetic attributes which are the appropriate spirit of the social event. LA Riot is a typical example in field of literature.

      • KCI등재후보

        이성선 시 연구 -지역성의 관점을 중심으로-

        남기택 ( Gi Taek Nam ) 영주어문학회 2012 영주어문 Vol.23 No.-

        For about thirty years, Lee Seong-seon has written his poems through the reflection on nature. His poems carry locality: they demonstrate the fact that literature mirrors human lives. They also seek for the aesthetic values and the meaning of life through the spatial images, which are revealed in his view of literature. Lee`s poems show the various levels of the consciousness of the hometown. The hometown in his poems has the variation. This space, which is the place of his literary life and activities, forms the web of the essential meanings of his poems. Mt. Seorak and the East Sea repetitively appear as the two of the representative spatial images. Eco-poetry is characterized mainly by its eco-centrism, its humble appreciation of wildness, a skepticism toward hyper-rationality and over-reliance on technology, and others. In addition, we are repeatedly reminded of the theme hometown, looking into the ideal nature of his poems.As can be seen here, Lee`s sense of regional life is an ecosystem in itself. The eco-friendly life in the local area, the short-poems expressing the ``placeness``, and the formation of the field of regional literature emerge as the practical aspects. The locality is the significance of Lee`s poems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literature.

      • KCI등재

        이성선의 메타시학 양상

        남기택(Nam, Gi-Taek)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학논총 Vol.31 No.-

        이성선은 일생 동안 자신이 추구한 문학관을 생활과 시작이 일치되는 지점에서 실천한 시인이었다. 그는 자기반영적인 메타시 형태를 반복적으로 시도해 왔다. 이는 지극히 의도적인 시작의 경향이라 하겠다. 이성선 시는 시론과 세계관, 삶의 궤적간의 거리가 밀접한 텍스트에 해당되는 만큼 메타시에 대한 접근은 그 문학세계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주요한 방법론일 수 있다. 이성선은 서정적 자아의 반성적 시편들을 지속적으로 제작함으로써 에크리튀르로서의 시쓰기를 시도하였다. 또한 이성선은 메타시를 통해 자신의 문학관을 시적 구상태로 외화하고 있다. 자연과의 관계 모색을 자신의 시론으로 내세웠던 그이고 보면 메타시류에 빈번한 생태적 요소는 필연적 결과일 것이다. 또한 존재론적 사고에 천착하며 자신만의 형이상학적 시세계를 추구했던 것도 이성선 시세계의 특징이라 하겠다. 이 역시 자의식을 전경화하는 메타시류를 매개로 지속적으로 모색되고 있다. 그 밖에도 현실이나 지역에 대한 관심이 이성선 메타시의 변주 과정에서 드러나는 대표적 경향으로 파악된다. 이는 오토포엠으로서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주요 논거를 제공한다. 이성선의 메타시는 시장르가 지닌 형식미학의 서구적 공준을 재구하는 수단이자 동양시학의 연속성 문제를 시사하는 자생적 사례이기도 할 것이다. 전기 양식으로서의 진정성을 보여주는 작품들은 기존 시문학사의 보편적 전개와는 다른 수위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그가 남긴 개성적 메타시학의 수준은 한국 현대시사의 한 경지이자 경계를 구성하기에 충분하리라 본다. Lee Seong-seon has written his poems through the reflection on self and nature for about thirty years. His poems carry self-reflection. They demonstrate the fact that literature mirrors human lives. They also seek for the aesthetic values and the meaning of life through the spatial images, which are revealed in his view of literature. Lee’s poems show the various levels of the consciousness of metapoetry. Metapoetry text the writer of this text through the process of creation is revealed genre. Integrated reading and writing on the basis of understanding to read a write process should be linked. Lee Seong-seon’s metapoetry break down the boundaries between the writers and readers as one component of the decommissioning of the position of writers to the reader experience is expected to be a good opportunity. Lee’s sense of regional life is an ecosystem in itself. The eco-friendly life in the local area, the metapoetry expressing the self-conscious examination, and the formation of the field of regional literature emerge as the practical aspects. The self-reflective metapoetry is the significance of Lee’s poems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