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초등학생의 학교생활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및 학교변인 탐색

        남궁지영,김양분 한국교육학회 2015 敎育學硏究 Vol.53 No.2

        This study explored the factors which affected elementary students' happiness in school life by a two-level HLM model using the data from the first wave year(5th grade) of 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2013. As results of analysis, parents’ academic support as family characteristics was related with elementary students’ happiness in school life, and for student characteristics, the factors which were closely related to students’ academic abilities such as academic achievement, creative thinking ability, self-management skills, reading enjoyment degree, class attitude, class concentration had positive effects on the students’ happiness in school life. In addition, students’ positive self-image, relationships with friends, teachers, and parents, sense of community related with personality, after-school activity participation, and class president experience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happiness in school life. Also, the students in schools having good class atmosphere, teachers showing educational enthusiasm, invigorated career education, safe environment without school violence, and located in cities seemed to be much happier in school life. Based on these results, several policy implications were suggested.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종단연구2013 코호트의 1차년도(초등학교 5학년) 데이터를 활용하여 초등학생의 학교생활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2수준 다층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가정 특성으로는 부모의 학업적 지원 정도가 초등학생의 학교생활 행복감과 관련이 있었으며, 학생 특성으로는 학업성취 수준, 창의적 사고 능력, 자기관리능력, 독서향유정도, 수업태도, 수업집중도 등과 같이 학생의 학업능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변인들과 학생의 긍정적 자아상 및 친구, 교사, 부모와의 관계, 인성과 관련이 있는 공동체 의식, 그리고 방과후학교 참여 및 학급임원 활동 경험이 학생들의 학교생활 행복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수업분위기가 좋은 학교, 교사들이 교육적 열의를 가지고 있는 학교, 진로교육이 활성화되어 있는 학교, 학교폭력 없는 안전한 학교, 도시 소재 학교의 학생들이 학교생활을 통해 더 큰 행복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해방 후 한국 유아교육학사 연구

        남궁지영 한국교육사학회 2001 한국교육사학 Vol.23 No.2

        1945년 해방 당시 한국의 유치원은 39(남북한 합은 144)개원에 9,269명의 원아만이 있었다. 그 후 2001년 현재 유치원 수 8,407개원에 원아수 545,142(교육통계연보, 2001)으로 발전하였다. 이렇게 발전된 배경에는 교육의 기회균등 사상의 발전은 물론 경제적, 제도적 발전에 힘입은 바 크다. 또한 한국의 유치원 교육의 발전 배경은 유아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한 국민수준의 향상과 함께 정부의 시책 강화가 큰 열확을 하였음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여기서는 해방 후 한국의 유아교육에 관한 연구 경향과 특징을 학사적 관점에서 시론적ㅇ m로 고찰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역시 합리적이고 지속적인 연구의 뒷받침은 유아교육 발전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해방 후 한국의 유아교육에 관한 학사적 연구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자료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첫째, 해방 후 유아교육 관련 석·박사학위 논문을 조사, 연구하였. 80년대 초를 기점으로 유아교육 관련 학위논문이 급증하였는데, 그것은 5공화국이 새마을 유아원을 정책적으로 크게 지원한 것과 관련이 있었다. 이때 대통령 영부인 이순자가 유아교육기관에 깊숙이 관여했었다. 그 후 지속적인 증가 현상을 가져왔다. 둘째, 유아교육학회(한국교육학회 내)의 창립 이후 보다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유아교육 학회지 「유아교육연구」와 한국교육학회의 「교육학연구」를 통해서 많은 논문이 발표되었다. 셋째, 유아교육 연구는 한국교육개발원 또는 한국행동과학연구소에서 주로 정부의 연구비를 지원받아 수행되어 왔다. 역시 1980년을 기점으로 많은 연구와 보고서가 나타나고 있다. 넷째, 유아교육에 관한 실질적 연구가 1993년부터 교육부 정책 연구 주제로 수행되고 있었는데, 유아교육 장·단기 발전 방안, 교육비 산출 연구, 공립유치원 모형 개발 등의 주제가 대대적으로 연구, 보고된 바 있다. 해방후 한국 유아교육 관련 연구의 주제는 ①유아교육의 필요성에 관한연구,②유아교육과정에 관한 연구,③유아교육정책과 제도에 관한 연구,④유아교육 확대와 진흥을 위한 연구,⑤유아의 특징과 발달에 관한 연구 등이 석·박사학위 논문, 학회 및 연구소를 통한 연구, 교육부의 직접 지원에 의한 연구 등으로 이루어져 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2000년 이후 현재까지 한국 유아교육계의 최대 관심사는 “유아교육법”의 연내 제정에 있다. 유아교육법이 명실상부한 교육법으로 확립되어 유아교육의 공교육화를 보다 시급히 실천하고, 교육의 질을 보장하기 위한 시설과 교사의 자격을 상향조정하기 위해서는 유아교육법의 제정이 시급하기 때문이다. 2000년 11월 13일자 한국교육신문은 사설을 통하여 “정부는 말로만 교육입국을 부르짖지 말고, 유아교육에도 실질적으로 투자와 육성책을 강화하여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정부는 당장 유아교육법을 제정하라”고 주장하고 있다. 따라서 유아교육에 관한 연구 동향은 지금까지의 학술적 주제와 함께 제도와 정책 강화 방안에 관한 연구가 추가되어 나타날 것으로 예측된다.

      • KCI등재

        대학생의 학습성과 요인 분석: 재수경험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남궁지영,박희진 한국교육정치학회 2018 敎育政治學硏究 Vol.25 No.4

        This study analyzes academic achievements of repeaters of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in comparison with students without that experiences adopting the 6th survey data(2010), 7th survey data(2011), and 9th survey data(2014) of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05(KELS2005). The results show that repeaters of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tended to show lower levels of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higher frequency of misbehaviors. However, when factors related to individual and family backgrounds and experiences on campus are controlled, the academic achievement of repeaters did not show differences from those did not repeat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Some policy implications ware drawn based on the findings such as to raise the quality of repeaters’ college experiences, academic behavior, and ultimately their academic achievement.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종단연구2005 코호트의 6차년도(2010년), 7차년도(2011년), 9차년도(2014년) 데이터를 활용하여 대입 재수경험이 대학에서의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기초분석 결과, 대입에서 재수경험이 있는 대학생은 비경험 대학생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학습성과를 보였으며, 일부 대학생활 경험(대학생활 적응, 수업태도) 및 수업 외 활동 경험(취업준비활동) 측면에서도 미흡한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개인 및 대학배경, 대학생활 경험, 대학수업 및 수업 외 활동 경험이 동일한 조건에서는 재수 경험 여부에 따른 학습성과의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재수 경험 여부에 따른 학습성과의 차이가 대부분 개인 및 대학배경 요인과 대학생활, 대학수업 및 수업 외 활동 경험으로 설명된다고 볼 수 있다. 즉, 대입에서 재수경험을 한 학생의 경우, 재수경험이 없는 학생들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의 학업성취를 보이는데, 이는 일정부분 재수경험이 있는 학생들의 대학생활, 수업, 수업 외 활동 경험의 질과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 재수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양질의 대학생활을 경험하고 이를 학습성과로 이어갈 수 있도록 대학생활 적응 및 수업태도 개선 지원, 취업준비 활동 장려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수학 성취도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급별 특성 비교 분석

        남궁지영(Jiyoung Namkung),김위정(Wuijeong Kim) 한국교육평가학회 2014 교육평가연구 Vol.27 No.1

        이 연구는 「학교 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 연구」에서 수집한 초ㆍ중ㆍ고 1-3주기 자료를 활용하여, 학교급별로 수학 성취도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 특성이 어떻게 다른지를 비교ㆍ분석하였다. 1-3주기 자료를 유사종단자료로 구성하여 3수준 다층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고정효과 모형 분석을 통하여 학교과정 변인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초ㆍ중ㆍ고 모두 수학 성취도 분산의 대부분을 학생간 분산이 차지하였지만, 학교급이 올라갈수록 학교수준 분산이 증가하였다. 둘째, 모든 학교급에서 학교평균 SES와 지역규모의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학교급이 올라갈수록 그 효과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과정 변인으로는 초등학교의 경우 교사 성취압력과 교사 자율성이, 중학교에서는 교사열의가, 고등학교에서의 교사 성취압력과 열의가 성취도 향상에 긍정적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교정책과 관련해서는 평가결과활용이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 유의한 긍정적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급이 올라갈수록 학교배경의 효과가 커지며, 모든 학교급에서 교사 변인이 중요하되, 효과가 발휘되는 방식에서 차이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paper examines how school characteristics affecting students' math achievement differ amo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using 1st-3rd cycles of「Analysis on the Actual Status and Quality of School education」data. 3 level multi-layer model of student-time-school and panel fixed-effects model are performed. Results of analysis show that school level variance tend to increase as school level goes up while most of math achievement variance are attributed to between-students variance in all school levels. Second, school mean SES and area size have significant effect in all school levels and the effect tend to increase as school level goes up. Third, teachers' achievement pressure and autonomy in elementary school, teachers' enthusiasm in middle school, teachers' achievement pressure and enthusiasm in high school have positive effect on math achievement among school process variables. Fourth, application of evaluation results have positive effect in middle and high school related with school polic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effects of school background increase as school level goes up and teacher variables are important in all school levels while the way teacher variables affect students' achievement differs depending on school levels.

      • KCI등재

        중학교 교육활동의 실태 분석 연구

        남궁지영(Namgung, Jee-yeong),황지희(Hwang, Ji-hee),김양분(Kim, Yang-boon)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07 미래교육학연구 Vol.20 No.2

        이 연구는 지역 규모와 학교의 설립 유형에 따른 중학교 교육활동의 실태를 파악하고, 3년 주기인 2004년도와 2007년도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그 변화 경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교육활동의 실태는 학급 풍토, 학습 심리적 배경, 수업, 학습 활동, 학교생활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학급 풍토 중 교사의 사기와 열의 수준은 2004년에 비하여 낮아졌으나, 교사의 자율성, 교사의 성취 압력, 교사의 지원, 수업 분위기는 전반적으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학습 심리적 배경으로서 교과목에 대한 흥미 및 자아개념은 전반적으로 소폭 낮아졌으며, 자아존중감은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2004년과 비교하여 보면, 학생들의 학교 수업태도, 수업 집중 시간, 수업 이해 정도 모두 낮아진 경향을 보였다. 학교 생활의 실태로서 중학교 학생들의 비행ㆍ일탈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중학교 교육활동 개선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The specific goals of this study are to identify the qualitative level status and of middle school education in Korea by area population and school establishment type, to analyze the degree of influence qualitative indicators of school education exert on the outcome of school education, and to ultimately compare the findings with those derived from the study conducted in 2004. The conclusion on the qualitative status of middle school education in Korea derived from this study is as follows : In the domain of educational activities composed of such variables as school environment, learning and psychological background, instructional and learning activities, school life,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e achievement-focused leadership of school principals in the area of school environment has in general improved, as have the degree of autonomy, pressure for achievement, teachers' support for students, and classroom atmosphere compared to 2004. However, indicators of morale and enthusiasm of teachers have deteriorated over the same period. In the domain of learning and psychological background, student interest in curriculum and self-concept has declined slightly, whereas their self-esteem has improved slightly over 2004. Student attitude, concentration, and level of understanding in class have declined since 2004. In the domain of school life, delinquency of middle school students was rarely observed.

      • KCI등재

        자유학기제 참여와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중학생의 학업성취 변화 분석

        김양분,남궁지영,박경호 한국교육개발원 2019 한국교육 Vol.46 No.1

        Purpose: In this study, the purpose was to analyze whether or not participation in the free-semester system and the socio-economic status of families affects levels of academic achievement as students are promoted from elementary school to middle school. Design/methodology/data/approach: We used the 1st and 2nd year data from the 5th to 6th grade in elementary schools and the 3rd and 4rh year data from 1st and 2nd grade in middle schools of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13』 and we employed the DID method and fixed effect model of panel analysis. Findings/Results: 1)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free-semester system displayed higher growth in terms of achievement in Korean, English and Mathematics during their 1st year of middle school compared to their 5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lso showed higher achievement growth in Korean and English during their 2nd year in middle school. 2) The association between the socio-economic status of families and academic achievement growth within students h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for the study of Korean, but for study of English, the greatest level of, significance was found relative to the other subjects. In Math, significance rose starting from 5th grade and consecutively onto higher years. And other student and school factors associated with students’academic achievement change were found as well. Value: This study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free-semester system and socio-economic status have association with academic achievement change.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 진급함에 따라 자유학기제 참여와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학업성취도의 발달 수준에 변화를 가져왔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한국교육종단연구2013』 1~4차년도(초등학교 5학년~중학교 2학년) 데이터를 활용하여, 이중차분법과 패널분석의 고정효과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2015년에 자유학기제에 참여한 학생이 참여하지 않은 학생에 비해 2013년 대비 2015년과 2016년에 국어, 영어 학업성취도가 더 높게 향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과의 경우는 2013년 대비 2015년의 학업성취도 향상이 더 높고, 2013년 대비 2016년은 차이가 있지 않은 결과를 보였다. 학생의 개인 내 성취도의 성장에 대한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의 관련성은 국어과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영어과의 경우 초등학교 6학년 시기에 가장 높고, 수학과의 경우 초등학교 5학년부터 학년이 오름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두 변인 외에도 학업성취도의 변화와 관련 있는 학생 및 학교요인이 발견되었다.

      • KCI등재

        만15세 한국 학생의 수학적 소양 관련 배경 변수들의 효과 추정

        김주아,남궁지영,강상진 한국수학교육학회 2004 수학교육 Vol.43 No.2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chool and student background variables on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analyzing Korean data from the OECD's 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PISA) which had been administered in 2000. Th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responses of 2,769 students(1,545 boys and 1,221 girls).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were that 5.5% of process variables was accounted for by student variables and 0.3% of process variables was accounted for by school variables. So we try to find many other process variables which effect math achievements.

      • KCI등재

        재수 결정 요인 및 수능성적 향상과 상위대학 입학 성과 분석

        김양분,남궁지영,김난옥 한국교육학회 2014 敎育學硏究 Vol.52 No.2

        본 연구는 한국교육종단연구2005 데이터를 사용하여 대입 재수생의 재수 결정 요인 및 수능등급 향상과 상위대학 입학 성과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재수의 결정에는 개인의 성별, 부모의 SES, 학생의 교육포부 수준, 고3 때의 내신성적, 사교육참여, 자기주도학습시간, 출신고의 평준화 여부가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며, 고3 시기 교내 진로교육 경험은 관계가 없었다. 재수의 성과를 수능 향상도 측면과 대학진학 성공 여부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재수생은 전반적으로 고3 시기에 비해 수능등급이 평균 0.75등급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고3 시기 수능성적이 좋지 않았거나 고3 내신성적이 좋았던 학생일수록 재수 이후 수능성적이 더욱 향상되고 대학진학 성공도 거둘 가능성이 높았으며, 내신성적 등 배경 특성이 동일한 경우 수능성적이 낮았던 학생이 재수를 통해 수능성적을 만회함으로써 대학진학에 성공하는 경우가 많았다. 재수기간 중 절제된 음주나 높은 학문적 자아개념은 재수생의 수능성적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으며, 재수시기에 종합반 학원을 수강하고, 자기주도적 학습시간을 많이 투자하는 경우 수능성적 향상 및 대학진학 성공을 거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교 학교 특성과 관련하여 특목고 출신 여부만 재수생의 수능 향상도와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 순수재수생 여부는 모형에 따라 다른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재수 결정 요인과 성과 분석을 통하여 대입 재수생 해소를 위한 정책적 방안과 향후 연구의 방향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to analyze what factors that make students repeat the college entrance exam, and the result of repeating using the KELS 2005 dataset. The results show that the decision on repeating the college entrance exam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gender, socioeconomic status, educational aspiration, school records in 12th grade, private tutoring particip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time of students. And students who are graduated from the equalized high schools are more likely to choose repeat than who did not. But career education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on deciding repeating. The results also show that comparing to 12th grade of CSAT(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the rate of repeaters is improved 0.75 rates in average. The lower repeaters had school grade or the CSAT in 12th grade, the higher they are likely to have a rate and enter upper colleges. When repeaters have same school grade or background traits, repeaters who have a lower rate in CSAT tend to enter upper colleges by improving CSAT score. When repeaters restrain from drinking alcohol or have higher academic self-concept during repeating, it positively affects to improve the CSAT. When they went to private institutions and took "all subjects" course for CSAT and had lots of self-directed learning time, they are more likely to improve the score and enter more prestigious colleges. With regarding to the effect of types of graduated high school, special-purpose high school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improvement in CSAT score. The effects of pure-repeaters are not consistently shown by the models. The recommendations were discussed,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also proposed.

      • KCI우수등재

        중학생의 교육성과에 따른 잠재계층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김정아,남궁지영 한국교육학회 2018 敎育學硏究 Vol.56 No.1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연구2013 코호트 1∼4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중 학교 2학년 학생을 교육성과에 따라 잠재계층으로 분류하고, 잠재계층별 교육성과의 변화 추이(초등 학교 5학년∼중학교 2학년)와 잠재계층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잠재프로파일분석 (Latent Profile Analysis)을 통해 학생들은 교육성과(학업성취도, 진로성숙도, 학교생활 행복, 인성) 수준에 따라 3개의 잠재계층으로 분류되었다. 첫 번째 계층은 전체의 23.3%를 차지하며, 학업성취도, 진로성숙도, 학교생활 행복, 인성 모두 다른 집단에 비해 높았고(우수집단), 두 번째 계층은 전체의 과 반수(55.0%)를 차지하며, 교육성과가 모두 중간 수준이었으며(양호집단), 마지막 세 번째 계층은 전체 의 21.7%를 차지하며, 모든 영역에 있어 교육성과 수준이 낮았다(부진집단). 우수집단과 양호집단 간 에 학업성취도의 차이가 비교적 적다는 점을 제외하면, 세 집단간 교육성과의 차이는 뚜렷하게 상, 중, 하로 구분되었다.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인성 수준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전반적으로 향상되는 반면, 학교생활 행복 및 진로성숙도 수준은 점점 낮아졌다. 한편, 잠재계층별 교육성과의 격차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확대되었는데, 우수한 성과를 내는 학생들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점 더 높은 성과를 내었고, 성과가 부진한 학생들은 점점 더 낮은 성과를 내어, 이들 간의 교육격차는 점점 더 확대되었다. 잠재계층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을수록 학생들 은 부진집단에 속할 확률이 더 높았다. 그리고 학생들이 부진집단에 속할 확률은 학생의 성별, 교육포 부수준, 신체 자아개념, 사회 자아개념, 가족 자아개념, 학업무기력, 휴대전화 중독 등의 학생 개인 특 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 측면이 상당했다. 다시 말해, 남학생일수록, 학생의 교육포부수준이 낮고, 신체 자아개념, 사회 자아개념, 가족자아개념이 낮으며, 학업무기력과 휴대전화중독 수준이 높을수록 부진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학생의 개인특성 뿐만 아니라, 학교에서의 교육활동의 부진함 역시 학생 들이 교육성과 부진집단에 속할 확률을 높였는데, 교사들의 수업의 대한 열의가 낮고 교사와의 관계가 원만하지 못한 학생일수록, 협력적 학습태도 수준이 낮고, 학생회/학급 자치활동 및 동아리활동에 참 여하지 않는 학생일수록 교육성과 수준이 낮은 부진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한편, 우수집단에 속할 확률을 예측하는 것은 부진집단에 속할 확률을 예측하는 것과 정확히 정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latent classes depending on 2nd year middle school students’ educational outcomes and to test determinants of the classes.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drawn from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13 of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latent classes according to their academic achievement, career maturity, happiness in school life and level of character. Three groups were distinctively classified into higher outcomes (advanced group), intermediate outcomes (average group) and lower outcomes (weak group) in all areas. Results obtained by analyzing determinants of the latent classes depending on the educational outcomes indicated that students who came from lower-class families showed higher possibility of being included in the weak group. More male students, and students who had lower ambition for education, lower self-concept regarding their physical aspect, families and society, higher learning helplessness and cell phone addiction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weak group. Poor participation in school activities also increased the possibility of students belonging in the weak group. Moreover, those who learned from teachers with low passion for instruction, or had poor relationships with teachers, or low capacity of collaborative learning, or low participation in student council or club activities were also more likely to be part of the weak group, with low educational outcomes. On the other hand, predicting the possibility of being included in the advanced group proved to be the exact opposite of the weak 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