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대수적 사고 함양을 위한 생성형 인공지능 기반 학습 튜터 개발 및 검증
남궁연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대수적 사고함양을위한생성형인공지능기반학습 튜터개발및검증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Large Language Model-Based AI Tutor for Fostering Algebraic Thinking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AI융합교육전공 남궁연 지도교수 서순식 최근 학교 현장에서 수학 학력 격차가 심화되고 있으며, 특히 대수 영역은 추상적 개념 이해가 필수적이고 오개념이 누적되기 쉬운 분야로 지적된다. 대수적 사고가 결손될 경우 초등수학에서 중등수학으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큰 어려움을 겪게 되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생성형 인공지능 기반 AI 튜터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먼저 GPTs, POE, AskUP, Mizou, wrtn 등 기존 챗봇 서비스를 분석한 결과, 수학 교육에 필수적인 LaTeX 수식 표현, 사진 업로드, 교사의 학습 모니터링 기능 등이 충분히 지원되지 않는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Python Flask와 JavaScript를 활용한 웹 기반 AI 튜터를 구현하고, GPT-4o-mini 모델과 MongoDB를 연동하여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특히 교사용 화면과 학생용 화면을 분리함으로써, 교사가 맞춤형 지침을 설정하고 학생별 대화를 모니터링·피드백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프로그램 검증을 위해서는 수학교육 전문가 3인과 고등학생 3인(상·중·하위권)을 대상으로 사용자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이들은 2주간 AI 튜터를 활용하여 대수 학습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실생활 연계 문제 제공, 단계적 힌트, 오류 분석 피드백 등 대수적 사고 함양에 유용한 주요 기능들이 효과적으로 작동함이 드러났다. 상위권 학생은 심화 문제와 개념 연계 설명이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고, 중위권 학생은 단계적 힌트를 통한 자기 주도적 학습 방식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하위권 학생은 자신의 수준에 맞춘 문제 제공을 통해 학습 의욕이 높아졌다고 응답하였으며, 모든 학생이 이미지 업로드 기능을 편리하게 활용했다. 다만 상·중위권 학생은 잘못된 풀이를 시도했을 때 AI 챗봇이 오류를 충분히 검토하지 않고 넘어가는 경우를 지적했으며, 중위권 학생은 교사가 대화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이 부담된다고 언급했다. 추가로 한 달간 55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시범 운영한 결과, 학생 1인당 월평균 0.17달러라는 낮은 비용으로도 원활한 운영이 가능하여 학교 현장에서의 경제적 도입 가능성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는 대수 영역에서의 학습 격차 해소와 자기 주도적 학습 역량 강화를 위해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멀티미디어 자료와의 연계, 대규모 실증 연구, 교사용 지원 기능의 추가 개발 등을 통해 프로그램의 활용성을 한층 더 높일 필요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학교 현장에서 보다 효과적이고 지속 가능한 AI 튜터 프로그램을 보급함으로써, 학생들의 수학 학습을 더욱 견고하게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주제어: 대수적 사고, 생성형 인공지능, AI 튜터, 고등학교 수학 교육, 맞춤형 학습
BODIPY-Based Electrochemiluminescent Probes for Rapid Detection of H2O2 and Glucose
Electrochemiluminescence (ECL) is a powerful analytical tool for point-of-care testing (POCT) of diagnostic biomarkers. Organic ECL emitters based on boron-dipyrromethene (BODIPY) have been developed but rarely applied to small-molecule detection. Herein, we report three BODIPY-based probes for detection of hydrogen peroxide (H2O2), one of the reactive oxygen species, and glucose which is the typical sign of various diseases such as diabetes. The diethyl-introduced probes exhibited enhanced ECL intensity in response to H2O2, which improved the sensitivity of detection. Moreover, fluorination near the recognition site, boronate pinacol ester, accelerated the detection speed. Our ECL probe 2F proved to be effective by the sensitive and selective detection, indicating the potential application into POCT. The applicability of 2F was further assured by the real sample experiment in which glucose present in human serum was precisely quantified. 전기화학발광은 현장진단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강력한 분석법이다. 지금까지 BODIPY를 기반으로 한 유기 전기화학발광체에 대한 보고가 많이 이루어졌지만, 이를 이용한 분자검출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활성산소종 중 하나인 과산화수소 BODIPY 프로브를 개발하여 당뇨 등의 질병 진단에 필수인 글루코오스 검출을 시행하였다. 프로브의 원활한 전기화학발광을 위해 알킬기를 도입해 라디칼 안정성을 높이고 반응기 옆에 불소 음이온을 도입함으로써 과산화수소 검출 속도를 향상시켰다. 결과적으로 개발된 BODIPY전기화학발광 프로브는 높은 감도와 선택성, 빠른 검출 속도를 보였으며, 실제 혈청 샘플 내의 글루코오스 농도를 정량하는 추가 실험을 통해 현장진단으로의 높은 활용 가능성을 증명하였다.
한국어교원의 다문화감수성이 다문화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남궁연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본 연구는 한국어교원을 대상으로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수효능감을 측정하여 이를 전반적으로 살펴보고, 한국어교원의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수효능감간의 상관관계와 다문화감수성이 다문화교수효능감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교원의 다문화감수성은 어떠한가? 둘째, 한국어교원의 다문화교수효능감은 어떠한가? 셋째, 한국어교원의 다문화감수성이 다문화교수효능감이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대학의 언어교육원과 평생교육원, 사회통합프로그램 운영기관과 초·중·고교, 다문화센터 등에서 국내 이주민에게 한국어 수업을 하고 있는 한국어교원 105명이다. 이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도구는 박창선(2015)의 다문화감수성 측정 도구와 최충옥, 모경환(2008)의 다문화교수효능감 측정 도구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를 위한 설문 조사는 모바일 구글 조사시스템을 활용하였으며,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프로그램, 통계분석을 위해 빈도분석, 집단 간 유의성 검증을 위한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감수성은 한국어교원의 연령이나 경력이 많아지면서 대체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한국어교원의 다문화감수성을 조사한 결과, 하위영역별로 자세히 살펴보면 다문화 존중, 다문화 배경지식, 다문화 수용성, 다문화 실천의지, 다문화 배타성, 다문화 상호작용 순으로 이어졌으며, 다문화 지식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는 한국어교원이 한국어 학습자인 국내 이주민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어서 그들의 문화와 그 차이를 존중하고 수용하는 태도가 높은 것으로 파악되나 그들의 개별적인 문화에 대한 지식과 상호작용에서의 만족도는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고 분석할 수 있다. 둘째, 다문화교수효능감은 연령이나 경력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연령 및 경력이 증가할수록 응답자들이 느끼는 자신의 다문화교수효능감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다문화교수효능감을 조사한 하위영역 중에서 인간관계 측면의 평균이 가장 높았으며, 학습자 배려 측면, 일반기능 측면, 수업기능 측면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어교원은 한국어 학습자인 국내 이주민과 수업에서 상호관계를 항상 형성하고 있어서 다문화교수효능감에 있어서 일반기능 측면과 수업기능 측면보다, 인간관계 측면과 학습자 배려 측면에서 다소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할 수 있다. 셋째, 한국어교원의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수효능감 간의 상관관계를 검증한 결과 상호 전체적으로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문화감수성이 높을수록 다문화교수효능감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어교원에게 있어서 다문화감수성의 하위영역 중 배경지식, 다문화존중, 실천의지, 다문화지식 등이 다문화교수효능감의 모든 영역과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다문화감수성이 다문화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다문화 배경지식과 다문화 지식이 다문화교수효능감의 하위영역에 가장 큰 영향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수효능감은 서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것을 고려한다면, 다문화교육적 관점에서 한국어교육의 수준과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한국어교원의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수효능감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외국인 한국어 교육생들의 출신 국가와 문화에 대한 이해력을 높일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한국어교원 간 정보교환과 다문화 교육역량 향상을 위한 학습조직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즉, 한국어 및 다문화 관련 교육경험이 많은 선배 한국어교원들과 경험이 부족하고 익숙하지 않은 한국어교원들이 소통하고 상호작용할 기회를 만들어야 한다. 다양한 연수 프로그램과 세미나 등을 통해 현장에서의 경험들을 상호 교환하고 습득할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주요어 : 한국어교원, 다문화감수성, 다문화교수효능감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multicultural sensibility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to examine Influence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on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The research questions set to achieve this goal are as follows. First, how is the multicultural sensitivity of Korean language teachers? Second, how is the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of Korean language teachers? Third, how is the effect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on the efficacy of Korean language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05 Korean language teachers who teach Korean language to Korean migrants at universities' language education centers, lifelong education centers, social integration program operating institutions, elementary・ middle・high schools, and multicultural centers. The measurement tool were modified and used for measuring the multicultural sensitivity of Park Chang-sun (2015) and the measuring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of Choi Chung-ok and Mo Gyeong-hwan (2008). The mobile Google survey system was used for the survey for this study, and SPSS program was uses for data analysis as like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analysis of varience(ANOVA) for group significance verific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measuring the influence of the independent variable on the dependent variabl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ulticultural sensitivity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as the age and experience of Korean language teachers. This is because Korean teachers are closely related to Korean immigrants who are Korean learners, and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y have a high attitude to respect and accept their culture and differences. Second, the effectiveness of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was found to be greatly influenced by age and experience. These results can be analyzed that as the age and experience increase, respondents' sense of efficacy in multicultural teaching increases. Among the sub-areas that surveyed the efficacy of Korean teachers, the average of human relations was the highest, followed by learner consideration, general function, and teaching function. It can be analyzed that Korean teachers seem to appear somewhat higher in terms of human relations and learner consideration than in terms of general function and teaching function in terms of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ulticultural sensibility and the efficacy of Korean language teachers, it was found that they we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The higher the multicultural sensitivity, the higher the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influence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on the efficacy of Korean language teachers, it can be analyzed that multicultural background knowledge and multicultural knowledge have the great influence on the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considering that multicultural sensibility and teaching efficacy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in order to improve the level and qual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multicultural sensibility and teaching efficacy for increasing effectivenes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supply educational programs that can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foreign countries and cultures of foreign Korean language learners. Third, it is necessary to vitalize learning organizations to exchange information between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improve multicultural language education capabilities.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opportunity to communicate and interact with senior Korean teachers who are experienced in Korea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and young Korean teachers who are inexperienced and unfamiliar with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way to exchange and acquire experiences in the field through various training programs and seminars. keyword : Korean language teachers, Multicultural sensitivity,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시멘트킬른더스트(CKD)로 충진한 아스팔트콘크리트의 거동특성에 관한연구
본 연구는 폐기물 시멘트킬른더스트(cement kiln dust: 이하 CKD약술함)를 아스팔트콘크리트의 기존 충진재인 석회석분의 대체 재료로서 개발 가능성 및 그 방안을 찾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일차적으로 아스팔트와 CKD의 상관성을 조사하였으며 나아가 콘크리트 골재 및 아스팔트가 혼합된 상태에서 충진재로서 CKD첨가에 따른 아스팔트콘크리트로서의 각종 물리ㆍ화학적 특성을 평가하고, 아울러 CKD가 충진제로 적용된 아스팔트콘크리트의 도로포장 파손의 원인인 소성변형, 균열 및 박리현상에 대한 거동특성을 조사하였다. CKD는 석회석분말에 비해 아스팔트 콘크리트 휠트랙킹 동적안정도가 2배 이상 증가 하였으며, Rutting depth 측정결과 역시, 침하량이40% 감소함으로서 내유동성이 우수하였다. Creep 시험에서도 CKD가 아스팔트콘크리트의 고온에서의 성능을 개선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KD함량변화에 수분저항성 증가의 영향은 10 hr 동안 박리시험 한 결과 석회석분말의 경우 100%의 아스팔트가 제거되나, CKD적용의 경우 80~90%가 박리됨으로서 우수하였으며, 아울러 Lottman Test 및 IMST시험결과에서도 수분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5℃에서 간접인장강도 및 Resilient Modulus 측정결과 균열에 대한 저항특성 역시 CKD함량 증가 시 크게 증가하여 균열에 저항력이 향상되었으며, CKD적용 아스팔트콘크리 혼합물은 초기 다짐율에서 동일 다짐에너지 대비 LS-HMA에 비해 4%이상 증가할 정도로 다짐특성이 향상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연구에 적용한 모든 CKD가 아스팔트콘크리트용 충진재로 사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기존의 석회석분에 비해 아스팔트 바인더의 개질효과를 발견할 수 있었으며, 아스팔트콘크리트의 성능을 월등히 개선시킴으로서 CKD가 아스팔트콘크리트 도로포장의 성능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and the applicability of Cement Kiln Dust(hereinafter referred to as CKD) as an alternative to limestone powders as asphalt concrete fillers. As a first step,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asphalt and CKD was investigated and the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asphalt concrete with CKD were evaluated varying the CKD contents. In addition, the failure factors of pavement such as plastic deformation, cracking and scaling were examined. Comparing to limestone applied asphalt concrete, the wheel tracking dynamic stability of CKD applied asphalt concrete showed more than doubled, and the rutting depth decreased 40% showing higher flow resistance. Similar tendency was shown in creep test that CKD would improve high temperature performance of asphalt concrete. Stripping test was conducted for 10 hours to evaluate the water resistance. The limestone applied asphalt concrete was completely stripped while CKD applied case was stripped 80 to 90%, which reveals that CKD improves the water resistance, and it was also proved by Lottman Test and IMST test. Indirect tensile strength and the resilient modulus were measured at 5℃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racking resistance greatly improved with the increase of CKD content. The CKD applied asphalt concrete showed up to 4% higher initial stage compacting rate than that of LS-HMA, in comparison with the same compacting energy. From the test results, it was observed that every CKD applied to this research can be utilized as the filler for asphalt concrete. It was also observed that CKD has a modifying effect for asphalt binder,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limestone. By dramatically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asphalt concrete, CKD might improve the commonness of pavements built by asphalt concrete.
형상 최적화된 다중 설계 전극의 전기화학적 분석 및 테잎 캐스팅 슬러리의 유변학적 분석을 통한 SOEC 성능 증대
본 연구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기반 수전해 전지(SOEC)의 성능 향상과 전 극 구조 최적화를 목표로 유변학적 및 전기화학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 다. 먼저, NiO-YSZ 테이프 캐스팅 슬러리의 유변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첨가제의 조성과 점도 거동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 최적화된 슬러리 제조 방법을 제시 하였다. 첨가제의 조합은 슬러리 내 입자 간 상호작용 및 응집체 형성에 직접적 으로 기여하며, 슬러리의 점탄성 거동과 소결체의 기계적 특성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SOEC 단전지 연구에서는 공기극과 연료극 구조를 체계적으로 변화시키며 전기 화학적 성능 변화를 분석하였다. Porous GDC, Dense GDC, AFL 3T, Co-casting, Multi-Tailored Electrode(MTE) 단전지의 I-V 특성, EIS, DRT 분석, 그리고 TLM 피팅을 통해 각 단전지의 전극 반응 및 저항 특성을 정량적으로 비교하였 다. Dense GDC 단전지에서는 GDC 치밀화를 통해 공기극 반응이 활성화되었으며, AFL 3T 단전지에서는 연료극 두께 증가로 가스 확산 저항이 크게 감소하였다. Co-casting 단전지는 연료극 구조를 최적화하여 연료극과 공기극 간의 시너지 효과로 전극 반응 효율을 크게 향상시켰고 MTE 단전지는 Co-casting, dense GDC 공정 및 SSC infiltration 공정을 병합하여 가장 우수한 성능을 나타냈으며, 750°C에서 EC 모드로 2.30 A/cm²의 높은 전류밀도를 기록하였다. MTE 단전지의 장기 안정성 평가에서는 1.5 A/cm² 전류밀도에서 72시간 동안 시간당 0.002 V의 열화율을 나타냈으며, 연료극에서 주요한 열화 거동이 나타나는 것을 DRT 및 TLM 피팅으로 확인하였다. 더불어 TEM-EDS 분석 및 연 료극-전해질 계면 산소 분압 분석을 통해, 연료극의 overpotential 증가로 인해 Ni migration가 야기됨으로써 단전지 성능 열화가 진행됨을 밝혀 내었다. This study comprehensively analyzed the rheological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to improve the performance and optimize the electrode structure of solid oxide electrolysis cells (SOECs) based on solid oxide fuel cells (SOFCs). First,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NiO-YSZ tape-casting slurry were investigated to establish the correlation between additive composition and viscosity behavior, providing an optimized slurry preparation method. It was confirmed that the combination of additives directly influences particle interactions and agglomerate formation within the slurry, affecting its viscoelastic behavior and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sintered body. In the SOEC single-cell study, the electrochemical performance was systematically analyzed by varying the structure of the air and fuel electrodes. Through I-V characteristics, EIS, DRT analysis, and TLM fitting of Porous GDC, Dense GDC, AFL 3T, Co-casting, and Multi-Tailored Electrode (MTE) single cells, the electrode reactions and resistance characteristics of each cell were quantitatively compared. The Dense GDC single cell showed enhanced air electrode reactions through GDC densification, while the AFL 3T single cell significantly reduced gas diffusion resistance by increasing the fuel electrode thickness. The Co-casting single cell improved electrode reaction efficiency through optimized fuel electrode structure, achieving a synergistic effect between the fuel and air electrodes. The MTE single cell, combining Cocasting, dense GDC processes, and SSC infiltration, exhibited the best performance, recording a high current density of 2.30 A/cm² in EC mode at 750°C. In the long-term stability evaluation of the MTE single cell, a degradation rate of 0.002 V per hour was observed at a current density of 1.5 A/cm² over 72 hours. The main degradation mechanism was identified as reoxidation of fuel electrode Ni, confirmed through DRT and TLM fitting. Furthermore, TEMEDS analysis and oxygen partial pressure analysis at the fuel electrodeelectrolyte interface revealed that the increased overpotential in the fuel electrode led to an interfacial oxygen partial pressure exceeding the critical threshold for Ni oxidation, thereby driving the degradation process.
남궁연 忠南大學校 敎育大學院 1976 국내석사
Social contradiction at home and abroad in the later period of Chosun made people fall into extreme distress. With these background, "TONIGHAK" had been risen with the object or PROTECTING THE NATION AND PROVIDING FOR THE WELFARE OF THE PEOPLE and RELIFING THE MASSES OF PEOPLE in 1860, did not gain official approval because of extreme suppression of the Government in that time, while on the hand itn became to be branded only as the heresy.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TONGHAK" developed the movement o letting all people know their founder of the religion in the process that their religion could be approved. The beginning period (1871), the movement of letting all people know their founder of religion was no more than the insurrection or the people but "TONGHAK" Religion Order of religion group on a small scale was brought up original and political group through So Pyong Hak and So In Ju' the CONTENT OFWRITTEN INSTROMENT LITIGATION(July 1892 according to the lunar calendar), the MEMORIAL TO THE KING INFRONT OF THE GATE OF THE PALACE 11 Feb. 1893 according to the lunar calender), the meeting at Sam Ye(1 Nov. 1892 according to the lunar calener) and gathering at Poun(11 March 1893 according to the lunar calendar), and it became to be changed revolutionary tendency for dissatisfaction of suppression and feudal suppression. The first organization of "TONGHAK" Religious Order were in significant but in accordance with expantion of religious influence, the religious order was organized by "PO", "JOP" and six classes appointment. The bilivers of "TONGHAK"(XTONHAKCIAN) who had resided in Honam District that had been formed strongly of TONHAK rosed the standard of revolt against leaders of "TONGHAK" on account of ways of Non-violence and Non-resistence as the struggle policy to The Government, and had formed largely their power, so we call it NAM-JOP As NAM-JOP had been rising boldly the standard of revolt agaist The Govement, they tried to complete the revolution of "TONGHAK" but could not obtain good result at their will because of the opposition of PUK-JOP and their self-disunion. At last NAM AND PUK-JOP were able to be united again according to their reconciliation in the second rebellion of "TONGHAK" but their resistence against the system of feudalisme could be met with failure by outside influence and official solidiers. It was the reason why they permitted outside influence to flow into them and to extend the time of revolution.
남궁연 광운대학 산업정보대학원 1988 국내석사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문서로부터 문자 분리 및 도형추출에 관해 논하였다. 한국어 문서에 대하여 먼저 횡방향에 대한 확대와 축소조작의 반복과 Run-Length에 의해 문자열을 추출하고 횡방향과 종방향의 반복조작으로 공통부분의 개별문자 영역을 추출한 다음 개별 문자 영역 중 분리되어진 문자를 융합한 다음 정피치 문자를 우선 추출하고 그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후보위치를 추가 하며 복수회를 반복해서 한국어 문서에서 개별문자를 추출하였다. 접촉문자에 대하여는 이미 추출되어진 문자폭의 Run-Length를 이용하여 서로 접촉하고 있는 문자를 끊어낸 접촉문자를 강제적으로 추출한다. 나머지는 특수문자와 같은 반 피치 문자이므로 반 피치 문자를 추출한다. 추출 실험은 한국어 인쇄체 활자문자로 되어있는 월간지률 이용해서 840 × 600으로 입력되어진 9개의 데이타에 대하여 행하였고 추출결과는 문자열에 대한 추출 100 % 개별문자 추출에 대해서는 98%의 추출율을 얻어서 본 논문이 문자영역과 개별문자 추출에 대해 유효함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