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초등학교 영어몰입교육의 문제점에 대한 고찰: 연구학교 교사의 시각에서
남경숙,조윤경,Nam, Kyung-Sook,Cho, Yunkyoung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2010 영어어문교육 Vol.16 No.3
The present study has sought to explore the critical issues of English immersion education through the voices of the four elementary teachers who have recently taught at immersion programs under the guidance of Busa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The interview data with three teachers and the teaching journals of one teacher were analyzed and categorized into two emergent themes: (1) current difficulties in the immersion programs and (2) possible problems with the implementations of immersion programs in all public schools. Specifically, the first issue included teachers' inadequate teaching skills for immersion programs, accumulated learning losses, and lack of immersion class hours. The second issue included workload imposed on immersion program teachers, promotion of private education, learning losses of other subjects, and administration for show. Finally, pedagogical implications are suggested.
흰쥐에서 단감발효주가 알코올성 지방간 형성에 미치는 영향
남경숙(Kyung-Sook Nam),김주연(Juyoun Kim),노상규(Sang K. Noh),박중협(Joong-Hyeop Park),성언기(Eon-Gi Su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0 No.11
본 연구에서는 흰쥐를 이용, 단감발효주의 항산화성과 알코올성 지방간 증상 완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Lieber-DeCarli 액체 표준식이만 공급받는 동물군을 대조군, 에탄올에 의한 열량 보충으로 대조군과 동일 열량의 액체식이를 공급받은 에탄올군, 에탄올군과 동일한 양의 알코올을 함유하는 단감발효주가 혼합된 액체식이를 공급받는 단감발효주군으로 하여 7마리씩 3그룹으로 나누어 6주간 사육하였다. 시작 전, 3주째, 그리고 6주째에 혈액을 채취하였고 간은 6주 혈액 채취 직후 적출되었다. 단감발효주의 총 페놀함량은 24.59mg/100mL이었고 SOD 유사활성은 20.9 %이었으며 DPPH 라디칼 소거능은 27%로 나타났다. 6주간 의 체중증가율은 대조군과의 비교에서 에탄올군에서는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나 에탄올군과 단감발효주간의 비교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혈액의 중성지방 농도는 에탄올군과 단감발효주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혈액의 ALT, AST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서 에탄올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나 단감발효주군에서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간조직의 사진촬영에서와 유사하게 간조직의 총지방량은 대조군에 비해 에탄올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고 단감 발효주군에서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간조직의 주요 지방 종류별 총지방산 비교에서도 중성지방 분획의 지방산들은 에탄올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나 단감발효주군에 서는 유의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실험을 통해 단감발효주가 알코올 섭취로 증가된 혈중 지질 수준과 간기능 지표 수준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나타냈으며 지방간 형성이 유의적으로 억제되는 것을 간조직 지방분석을 통해 확인 하였다. 이는 전통기능성주인 단감발효주에 포함된 다양한 폴리페놀이 알코올에 의한 간 손상을 보호하는데 기여할 수 있음을 증명한 실험결과로 판단된다. Persimmons are shown to contain high levels of phenolics.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if a sweet persimmon wine (SPW) would affect the development of alcoholic fatty liver in rats. Initially,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housed singly in stainless steel wire-bottomed cages in a room of controlled temperature and lighting. The rats had free access to a nutritionally adequate AIN-93G diet and deionized water. After the acclimatization period, rats were weight-matched and assigned to the following three groups: two groups were fed 6.7% ethanol or the caloric equivalent of maltose-dextrin in a Lieber-DeCarli diet and the other group was fed the isocaloric Lieber-DeCarli diet containing SPW at the same ethanol level. All three groups were fed their respective diets for 6 weeks. Serum transaminase,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levels were measured. Liver lipids and histology were assessed at 6 weeks. The total phenolic content and the antioxidant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SPW were determined. SPW significantly increased antioxidant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s markers of liver injury, serum alanine and aspartate transminases were markedly lowered by SPW at 6 weeks. SPW significantly reduced the serum levels of serum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compared to ethanol treatment. SPW delayed the development of an alcoholic fatty liver by reversing fat accumulation in the liver, as evidenced in histological observations. Taken together, SPW seems to protect the liver from becoming fatty by alleviating fatty liver symptoms and lowering hepatic and serum lipid levels. Such a protective effect of SPW appears to be in part due to its phenolics.
남경숙(Nam Kyung-Sook),조윤경(Cho Yun-kyoung)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인문학논총 Vol.26 No.-
교육과학기술부 영어공교육 완성 프로젝트의 핵심방안으로 내용중심 언어교육(content-based instruction)은 많은 주목을 끌었다. 많은 실험연구들은 초등 영어교육 현장에서 내용중심 언어교육 즉 영어과와 타 교과와의 통합을 시도하고 그 결과를 보고하였다. 또한 몇몇 선행연구들은 일반 초등학교 교사나 학부모, 학생들을 대상으로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다. 하지만, 실제 내용중심 초등영어교육을 받고 있는 학생들의 인식을 연구하고 그것을 일반학교의 학생들의 인식과 비교·분석한 연구는 극히 제한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교현장에서의 내용중심 언어교육에 대하여 내용중심 초등영어교육 연구학교 학생들과 일반학교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451명 학생들(연구학교 학생 184명과 일반학교 학생 26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내용중심 초등영어교육을 실제로 받고 있는 연구학교 학생들의 인식이 긍정적임을 보여준다. 내용중심 초등영어교육을 확대 실시할 경우에, 그것의 긍정적인 면을 최대한 장려하고 문제점은 시급히 보완하여 학생들이 즐겁게 참여하고 싶어 하는 체계적인 내용중심 영어수업 적용 방안이 정선되어야 할 것이다. The present study has sought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primary school students about the introduction of content-based instruction in public elementary schools. Particularly, it examined the perceptions of the students who have been involved in the content-based instruction (CBI, hereafter) at public schools, and compared them with the perceptions of those who have not been exposed to the CBI yet. To this end, 451 students (148 students in the CBI programs and 267 students in non-CBI schools) were ask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respond to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multiple-choice items and Likertscale items. The reliability and construct validity of the Likert-scale items were examined through reliability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udents in the CBI programs had favorable attitudes toward the programs, and those in the non-CBI programs also had positive expectations of the CBI program. Pedagogical implications will b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