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립생태원 습지에서 진행 중인 자발적 복원

        안지홍,임치홍,남경배,정성희,이창석 한국습지학회 2016 한국습지학회지 Vol.18 No.4

        본 연구는 국립생태원 캠퍼스 내에서 주요 습지로 자리잡은 국립생태원 건립 전의 논을 자연의 과정에 맡긴 습지, 물길을 내어 자발적 복원을 유도한 습지 그리고 생태적 원리에 바탕을 두고 복원 처리한 저수지, 즉 생태연못을 대상으로 식생의 정착과정을 모니터링하여 복원의 진행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경관변화 분석 결과, 국립생태원의 현존 습지는 주로 이전의 논에 기원하였고, 일부는 주거지와 산림에서 기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생의 종 조성 변화에서 초기에는 경작식물이나 인간 간섭에 내성을 갖는 식물이 우세한 경향이었으나 복원이 진행됨에 따라 인간 간섭에 의해 제거되었던 식물들과 습지의 생태적 특성에 어울리는 식물들이 늘어나는 경향을 보였다. 종 다양성과 외래종 출현 비율은 둘 다 복원 사업 진행 단계에서 가장 높았고, 복원 후와 복원 전 단계 순으로 이어져 외래종의 침입이 종 다양성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생태연못에서 나타난 변화는 수변 완충용으로 도입한 식생의 성공적인 정착이 두드러져 향후 외부로부터 오는 환경영향을 완충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국립생태원에 성립한 습지식생의 변화는 묵논에서 일어나는 전형적인 천이 초기과정의 모습을 보여 성공적인 복원을 이루어내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최소한의 인위적 보조를 가한 생태연못에서도 복원의 과정은 성공적으로 진행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특히 다양한 생태적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완충식생대의 성공적인 정착은 의미있는 복원효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아직 완충식생대가 빈약한 구역에 대해서는 그 질을 개선하기 위한 적응관리대책이 요구되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restoration process of a few wetlands in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NIE). Wetlands were composed of the former rice paddies that passive restoration was led through only natural process and by creating waterway, and an ecological pond, a reservoir that restorative treatment was practiced. As the result of analysis on landscape change in the current wetland space, existing wetland in NIE was usually from the former rice field and some parts were from the residential area or forest. Change of species composition was progressed from crops or ruderals resistant to human interferences to plant species, which has removed artificially for cultivation and grow usually in the typical wetland. Both species diversity and occurrence of exotic plants were the highest when restoration project is in progress and stages after and before restoration were followed. In an ecological pond that restorative treatment was done, vegetation introduced as riparian buffer was established successfully and thereby it was expected that it could contribute to buffer environmental stress comming from the outside. Synthesized the above mentioned results, change of wetland vegetation established in NIE resembled the typical trend of early successional stage occurring in the abandoned rice paddy and consequently, it was estimated that successful restoration is under progress. Restoration under progress in an ecological pond where artificial aid in the least level was added, could be evaluated in successful as well. In particular, successful establishment of buffering vegetation, which can play diverse ecological functions, could be evaluated as significant restoration effect. But adaptive management to improve ecological quality for the section that buffering vegetation is insufficient, is required.

      • KCI등재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invasive alien plants in Jejudo

        이준우,김상준,안종빈,남경배,신현탁,정수영 국립중앙과학관 2018 Journal of Asia-Pacific Biodiversity Vol.11 No.2

        This study aims to conduct basic research on identifying and managing the current status of invasive alien plants by identifying the distribution of invasive alien plants and the structure of invasive alien plants colonies for each ecological type in Jejudo susceptible to inflow of invasive alien plants resulting from increasingly frequent international exchanges. According to the site survey, total 28 families, 82 genera, 115 species, three varieties, and 118 taxa were identified: 106 dwelling taxa, the greatest number of invasive alien plants; 58 coastal taxa; and 41 forest taxa. With regard to species composition, Compositae (27.1%) showed the largest distribution. The distribution of eight families and 49 taxa, such as parts of Amaryllidaceae, etc., were identified only in the Dwelling District; eight taxa, such as Diplotaxis muralis DC., etc., only in coastal areas; and six taxa, such as Gnaphalium purpureum L., etc., only in forest areas. Compositae, etc., are mostly sun plants with ecological features that allow them to easily invade disturbed areas, such as roadside, cutting areas, etc., rather than forest with low exposure to sunlight.

      • 한국에서 재빠른 이차생태계 (novel ecosystem) 성립 배경과 생태계 전망의 점검a

        조용찬,구본열,임치홍,남경배,서진수 한국환경생태학회 2017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7 No.1

        최근의 급격한 환경변화는 생태계 전망에 대한 합리적인 논의를 필요로 한다. 우리나라의 경관생태 그리고 생태계 변화를 합리적으로 이해하는 것은 미래적 생태계 보전 및 자연자원 활용의 지속성 확보를 위한 가장 기초 작업이다. 한국의 70년대 이후, 자연보호사상의 성립과 확산, 화석연료의 보급 (연료혁명), 인구급증, 그리고 도시화 및 산업화, 그리고 국제화에 따른 사회경제적 변화, 그리고 조선 후기부터 이미 진행된 먹이그물의 급변 (예, 대형 포유류의 cascade-effect 소멸)은 현재의 식생 경관 성립의 핵심 배경일 뿐만 아니라, 이전에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종조성과 식생-동물 상호작용의 재조합을 가져왔다. 국내·외에서 많이 언급되는 우리나라의 숲식생 복원 또는 회복은 먼저 과거로부터 지속적으로 그것이 유지-교란 및 쇠락-재성립의 생태 과정을 경험하였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그러나 과거 기록과 야생동물의 다양성과 수도 및 그것의 부양에 필요한 식생, 그리고 현재의 숲 식생의 구조와 종조성은 그러한 전제 조건을 뒷받침하지 못한다. 기존의 쇠퇴로 표현되는 20세기 초·중기의 식생경관은 식생과 다양한 야생동물의 상호작용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던 시스템으로 볼 수 있다. 한국전쟁 후 1970년대 이전까지 지속되던 최고차 소비자의 절멸, 그리고 연결된 초식동물의 급감은 산림녹화 활동에 의한 급속한 숲식생 발달의 숨은 생물학적 요인이다. 기존 초지 및 관목류가 우점하는 저식생 (low vegetation)의 전환에 의한 숲식생의 재빠른 성립은 남한 생태계에 다양한 긍정적 (탄소 축적, 목재 생산 및 휴양) 및 부정적 (경관 단순화, 서식처 변화) 영향을 야기하고 있다. 특히 자연보호사상과 같은 사회경제적 배경은 오랫동안 유지되어 온생태계와 인간 활동의 상호작용을 부정적인 관점에서만 인식하게 만들었으며, 자연성, 자연도 및 자연 과정에 대한 착시 현상을 가져왔다. 최근 생태계 및 생물다양성 보전, 그리고 다양한 영역의 생태 복원은 자연성 또는 생태 과정을 긍정적으로 개선하는 목적이지만, 역설적으로 인간의 관리와 개입 수준을 급속히 상승시키는 결과를 가져오고있다. 흥미로운 것은, 이미 변화한 시스템 조건에 대하여 다양한 보전 정책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인데, 이에 따라 최근의 보호구역 및 서식처는 이미 인간의 조정 활동으로 변화한 시스템에 대한 가치 평가를 기반으로 설정되고 있다. 미래의 생태계 기능 및 생태 과정은 더욱 높은 인간 조정활동 (보호구역, 서식처의 보전 및 다양한 복원) 아래 놓일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이미 인간 활동에 의해 형성된 한국의 생태계 및 식생 변화 양상을 올바로 이해하고 미래를 고민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특히 생태계의 적응 과정 및 변화에 대한 왜곡된 인식은 생태계 보전 정책 속의 오류와 낭비 요소를 증가시킬 수 있다. 물론, 환경생태적 관점 역시 환경변화, 복잡성 및 불확실성의 증가, 환경정책의 환경, 비용, 의도하지 않은 오류 등 수 많은 고려 사항들이 존재한다. 이미 변화한 생태환경은 큰 틀에서 남한 생태계의 온전성과 건강성에 대한 재검토 및 관련 기초 생태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미 많은 환경이 변화했고, 보다 복잡해지고 있음을 충분히 수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많은 연구 결과들을 재검토하고 제대로 현상을 이해하였는가를 살펴보는 것은 한국 생태학의 현재와 미래를 준비하는 기본이 될 것이다. 특히 새로운 생태 관점을 시민 및 정책 부문과 공유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무등산국립공원의 생태적 질 평 가 및 복 원 가 이드라인 수립

        임치홍,박용수,안지홍,정성희,남경배,이창석 한국수생태학회(구 한국하천호수학회) 2016 생태와 환경 Vol.49 No.4

        Ecological restoration is an eco-technology, which heals the nature damaged by human activity by imitating organization and function of the integrate nature and thereby provide an inhabitable space for diverse organisms. Such an ecological restoration has to be carried out by applying restoration plan prepared based on the results of diagnostic evaluation discussed in the diversified respects. This study aims to prepare an ecological restoration plan of the damaged forest ecosystem in Mt. Moodeung National Park. To arrive at the goal, first of all, we diagnosed quality of forest landscape established in Mt. Moodeung National Park based on natural (topography, climate, and distribution of vegetation) and artificial (land use, linear landscape element) factors. In addition, we evaluated the integrity of each zone divided by linear landscape element quantitatively based on geometric property and land use intensity. As the result of analysis, topography of Mt. Moodeung National Park tended to be depended on weathering property of parent rock and vegetation zones were divided to three vegetation zones. Based on land use pattern,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evergreen needle-leaved forest, and mixed forest occupied about 90% of Mt. Moodeung National Park. Mean score of forest landscape quality was shown in 69.86±11.41. As a result, forest landscape elements in Mt. Moodeung National Park were influenced greatly by human activity and the degree was depended on topographic condition. This study suggested the synthetic restoration plan to improve ecological quality of Mt. Moodeung National Park based on the results of diagnostic evaluation.

      • KCI등재

        황병산 일대 분비나무 개체군 군집구조

        박병주,이준우,김지동,허태임,이동혁,이재현,남경배,김회진,신창호,변준기 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20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4 No.3

        아고산(sub-alpine)지역의 환경은 척박하고 서식처가 좁지만, 지구환경변화로 인한 북방계 식물의 피난처(refugia)로써 중요한 생태학적 가치를가지는 지역이다. 한편 황병산(1,407m)은 백두대간보호구역으로 지역적·생태적 가치가 높은 지역이다. 현재 황병산 일대의 목장 및 관광객 유입으로인하여 산지의 일부가 교란 되고 있어 보전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황병산 일대 보전 및 관리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확립하는데 있다. 황병산 일대 해발 1,000m 이상의 지역을 대상으로 총 24개소의 원형방형구를 설치하여 임분조사를 실시하였다. 군집의 유형은신갈나무-분비나무(군집 1), 신갈나무(군집 2), 분비나무(군집 3)로 분류되었다. 중요치 분석 결과 군집 1은 신갈나무(21.4), 분비나무(19.1), 당단풍나무(8.2), 피나무(6.0)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군집 2 신갈나무(34.9), 분비나무(17.7), 피나무(10.2), 사스래나무(7.2) 등 그리고 군집 3은 분비나무(40.0), 신갈나무(11.9), 당단풍나무(6.4), 피나무(6.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황병산 분비나무림은 각 임상에 따른 모자이크형 패치형태의 군집구조로나타나 향후 혼효임분의 동태를 파악하고, 각 우점 군집의 보전을 위하여 버퍼구역을 통한 보전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Sub-alpine region has a relatively narrow habitat and a poor environment and important ecological value as a refuge for northern plants caused by global climate changes. On the other hand, Mt. Hwangbyeong (1,408m) is belong to as Baekdudaegan Protected Area, Lately, part of the area is disturbed due to pasture and inflowing touris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basic data for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Mt. Hwangbyeong. A total of 24 plots were installed in the area. There wew installed more than 1,000m above the Mt. Hwangbyeong to conduct survey.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communities were classified into Quercus mongolica- Abies nephrolepis (community 1), Q. mongolica (community 2), and A. nephrolepis (community 3). As a result of analysis of importance, Q. mongolica (21.4) > A. nephrolepis (19.1) > Acer pseudosieboldianum (8.2), Tilia amurensis (6.0) in community 1. Community 2: Q. mongolica (34.9) > A. nephrolepis (19.1) > T. amurensis (10.2) > Betula ermanii (7.2) etc. and community 3 were followed by A. nephrolepis (40.0) > Q. mongolica (11.9) > A. pseudosieboldianum (6.4) > T. amurensis (6.4). Study sites appear as a mosaic patch of stand structure by forest type. It is necessory to figure out dynamics of mixed forest for continuous monitoring, and to preserve each dominant forest, it needs to prepare a preservation measure through a buffer zone.

      • KCI등재

        식생정보에 기초한 백두대간 지리산권역 내 훼손지 유형별 실태조사

        이혜정 ( Hye-jeong Lee ),김주영 ( Ju-young Kim ),남경배 ( Kyeong-bae Nam ),안지홍 ( Ji-hong An ) 한국환경생태학회 2020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4 No.6

        본 연구는 백두대간 지리산권역 내 훼손지의 유형을 분류하고, 각 훼손 유형별 실태조사를 통해 훼손 정도를 파악하여 훼손지의 복원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지리산권역의 훼손실태를 분석한 결과 전체 훼손지의 패치 수는 57개로 확인되었고, 평균고도가 낮고 경사가 완만한 지역일수록 훼손지의 패치 수 및 훼손 면적이 더 넓게 나타났다. 훼손 유형은 초지(폐경지)와 경작지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 농업적 토지이용이 주요 훼손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이 중 14개소의 훼손지를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수행한 결과, 훼손 유형은 초지, 경작지, 복원지, 벌채지 및 나지로 분류되었다. 각 유형별 교란정도(일년초 및 이년초의 비율, 도시화지수, 교란율)를 분석한 결과, 초지 및 경작지에서는 대부분 초본류로만 구성된 1층 구조의 단순한 식생구조와 교란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소나무 유묘가 다수 식재된 복원지의 경우 2층 구조의 식생구조가 나타났고, 복원사업으로 인한 교란과 인근의 등산로로 인해 귀화식물의 유입이 다른 훼손지에 비해 특히 높게 나타났다. 나지의 경우 고도가 높아 귀화식물의 유입은 낮았지만, 일년초와 이년초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 조사된 모든 유형의 훼손지는 천이 초기단계로 판단되었다. 훼손 유형별 군락을 서열화한 결과, Ⅰ축상의 복원지, 경작지, 초지, 벌채지 및 나지 순으로 나타나 훼손 유형별로 구분되어 배열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훼손 유형별 조사지와 참조생태계의 군락을 서열화한 결과, 종조성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생태적 복원 절차에 따라 식생정보에 기초한 훼손 유형별 실태를 진단하고, 진단 결과와 함께 참조생태계와의 종조성의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향후 복원 목표 및 복원 방향 설정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the types of degraded areas of Mt. Jirisan section in Baekdudaegan and survey the actual condition of each damage type to use it as basic data for the direction of the restoration of damaged areas according to damage type based on the vegetation information of reference ecosystem. The analysis of the Mt. Jirisan section's actual degraded conditions showed that the total number of patches of degraded areas was 57, and the number of patches and size of degraded areas was higher at the low average altitude and gentle slope. Grasslands (deserted lands) and cultivated areas accounted for a high portion of the damage types, indicating that agricultural land use was a major damage factor. The survey on the conditions of 14 degraded areas showed that the types of damage were classified into the grassland, cultivated area, restoration area, logged-off land, and bare ground. The analysis of the degree of disturbance (the ratio of annual and biennial herb, urbanized index, and disturbance index) by each type showed that the simple single-layer vegetation structure mostly composed of the herbaceous and the degree of disturbance were high in the grassland and cultivated land. The double-layer vegetation structure appeared in the restoration area where the pine seedlings were planted, and the inflow of naturalized plants was especially high compared to other degraded areas due to disturbances caused by the restoration project and the nearby hiking trails. Although the inflow of naturalized plants was low because of high altitude in bare ground, the proportion of annual and biennial herb was high, indicating that all surveyed degraded areas were in early succession stages. The stand ordination by type of damage showed the restoration area on the I-axis, cultivated area, grassland, logged-off land, and bare ground in that order, indicating the arrangement by the damage type. Moreover, the stand ordination of the degraded areas and reference ecosystem based on floristic variation showed a clear difference in species composition. This study diagnosed the status of each damage type based on the reference ecosystem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cological restoration procedure and confirmed the difference in species composition between the diagnosis result and the reference ecosystem. These findings can be useful basic data for establishing the restoration goal and direction in the future.

      • KCI등재

        수질 오염물질 배출저감을 위한 완충식생 복원 모델 개발

        안지홍 ( Ji Hong An ),임치홍 ( Chi Hong Lim ),임윤경 ( Yun Kyung Lim ),남경배 ( Kyeong Bae Nam ),피정훈 ( Jung Hun Pi ),문정숙 ( Jeong Sook Moon ),방제용 ( Je Yong Bang ),이창석 ( Chang Seok Lee ) 한국물환경학회(구 한국수질보전학회) 2016 한국물환경학회지 Vol.32 No.2

        In order to improve water quality in the Paldang Lake, a riparian vegetation belt, treatment wetland, and artificial floating island were designed for introduction in the upland field, the estuary of tributaries, and the section of water facing mountainous land, respectively. We synthesized vegetation information collected from a reference river and found that herbaceous, shrubby, and tree vegetation zones tended to be dominated by Phragmites japonica, Phalaris arundinacea, etc.; Salix gracilistyla, S. integra, etc.; and S. koreensis, S. subfragilis, and Morus alba, respectively. In our plan, the herbaceous vegetation zone, which is established on floodplains with a high frequency of disturbance, will be left in its natural state. A shrubby vegetation zone will be created by imitating the species composition of the reference river in the ecotone between floodplain and embankment. A tree vegetation zone will be created by imitating species composition on the embankment slope. In the treatment wetland, we plan to create emerged and softwood plant zones by imitating the species composition of the Zizania latifolia community, the Typha orientalis community, the P. communis community, the S. integra community, and the S. koreensis community. The floating island will be created by restoring Z. latifolia and T. orientalis for water purification purposes.

      • KCI등재

        수변 완충식생대 조성을 위한 경안천 하류유역의 강변식생 실태 진단

        안지홍 ( Ji Hong An ),임치홍 ( Chi Hong Lim ),임윤경 ( Yun Kyung Lim ),남경배 ( Kyeong Bae Nam ),피정훈 ( Jung Hun Pi ),문정숙 ( Jeong Sook Moon ),방제용 ( Je Yong Bang ),이창석 ( Chang Seok Lee ) 한국물환경학회 2015 한국물환경학회지 Vol.31 No.6

        A landcover map watershed of downstream reach in the Gyungan stream was made by using the existing land use map and interpreting satellite images and aerial photos. Based on the map, we analyzed land use patterns of this basin. Broad-leaved forest occupied the largest area among landscape elements established in this watershed. The total area of the zone designated as the waterside district by the central government was 4.7 km2, and broad-leaved forest occupied the largest area as 33.9% in this zone. Therefore, the area did not meet the qualifications of riparian zones. Riparian vegetation established in the Gyungan stream watershed was composed of Phragmites communis, Miscanthus sacchariflorus, Salix gracilistyla, Salix koreensis. But terrestrial vegetation elements such as Ambrosia trifida, Ailanthus altissima, Robinia pseudoacacia also appeared in this area. On the other hand, Phragmites japonica, Salix gracilistyla, Salix koreensis, Salix integra, Ulmus davidiana and so on appeared in the riparian zone the reference streams. Differently from the vegetation established on the reference streams, terrestrial vegetation elements appeared frequently in the Gyungan stream watershed. This result would be due to that the Gyungan stream watershed is exposed to excessive human interferences.

      • KCI등재

        토지이용 특성에 어울리는 완충식생 활용 계획

        안지홍 ( Ji Hong An ),임치홍 ( Chi Hong Lim ),임윤경 ( Yun Kyung Lim ),남경배 ( Kyeong Bae Nam ),피정훈 ( Jung Hun Pi ),이창석 ( Chang Seok Lee ) 한국물환경학회(구 한국수질보전학회) 2016 한국물환경학회지 Vol.32 No.5

        Since Gyungan stream is included in the protected zone of the water supply source of the Metropolitan area in Korea, the water quality needs to be continuously managed. Therefore, a measure is required that can inhibit the flow of water pollutant into the water body and facilitate the ecological restoration of riparian vegetation. A field survey was conducted on the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landscape elements established on the downstream catchment of the Gyungan stream, the result of which showed that the paddy field and urbanized area can be regarded as point pollution sources. The upland field can be regarded as a non-point pollution source. In order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in the Paldang lake, we first recommended creating a riparian vegetation belt. We also suggested introducing a treatment wetland and an artificial plant island to places in which the creation of a riparian vegetation belt is not ensured. We recommend creating a treatment wetland equipped with diverse functional groups. For creating the plant island, we recommend Zizania latifolia and Typha orientalis, which showed the highest productivity among aquatic plants. The former could be introduced around the outlet of a paddy field and the estuary of tributaries, while the latter could be introduced to a water body directly sourced from mountainous la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