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이버 소설의 환상성과 한국 서사의 전통

        나은진(Rah, Eun Jean) 구보학회 2008 구보학보 Vol.4 No.-

        지금까지 문학 행위와 소통의 장에 대한 논의는 주로 사이버문학 쪽과 고전문학, 현대문학 세 영역에서 이렇게 별개로 진행되어 왔다. 독자의 반응에 따라 작품의 인기도와 수명, 유사한 갈래 작품의 지속적 생산이 결정되며, 도서 대여점이라는 한국적인 독특한 체제에 따라 문학 작품의 소통이 매개된다는 점이 17~8세기와 현대의 사이버 세대가 공유하고 있는 공통점이다. 소설사라는 관점에서, 고소설, 전통적 서사와 사이버 소설의 연맥을 위해 우리는 ‘당대’의 ‘대중성’과 대중성에 기반한 소통구조에 주목해야 한다. 이는 사이버 문학에서 전대의 고소설로, 그리고 구비문학으로 이어지는 연계성의 흐름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우선 신화에서 발원한 영웅의 일대기 신화와 고소설의 군담소설류, 그리고 현대의 사이버 무협소설로 이어지는 한 갈래를 살펴보았다. 두 번째로 문학의 영원한 주제인 남녀의 애정 모티프가 전설이라는 비극적 설화 형태에서 고소설의 행복한 결말로, 그리고 인터넷의 로맨스 소설로 이어지는 맥락을 짚어보았다. 마지막으로는 현실에서 출발하여 환상적인 유토피아를 꿈꾸는 환상성의 모티프가 민담에서 전기문학으로 그리고 사이버 판타지 소설로 가는 흐름을 확인하였다. 10대 청소년들이 고소설을 모르는 상태에서 판타지 소설을 창작해도 길동이가 꿈꾸었던 ‘율도국’ 공간과 같은 유토피아를 구현해낸다는 것은 바로 우리의 문화가 보여주는 환상성과 타자성의 보편화를 의미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사회적 현상, 문학행위의 이면에는 면면히 이어온 문학적 상상력의 현상학적 편향성이 내재되어 있다. 그리고 이 편향성이 이토록 줄기차게 문학 작품 안에 구현될 수 있었던 이유는 민중의 저변에 뿌리내린 일상성과 대중성의 힘이라는 것을 외면할 수 없을 것이다. The discussions on the place of the literature activities and communications until now have mainly focused on 3 spheres: cyber literature, classical literature and modern literature, each taking a different route. The popularity and longevity of novels and a continuous creation in the similar classification are decided by the response of their readers. That the communication of literary works is mediated by the Korea’s unique system of “book rental stores”is a characteristic which the 17th~18 centuries and the modern cyber generation have in comm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novels, we need to focus on the “contemporary popularity” and the communication structure based on “popularity” in order to link to ancient novels, the traditional narratives an cyber novels, which means the flow of the linkage by which is connects to ancient novels in the previous times from cyber literature and to oral literature from ancient novels in the previous times. In order to identity it, first of all, I examined a classification of novels, which connects to the mythological novels which depicted the life story of the heroes, which were originated from a myth, hero novels in ancient times or something like and the cyber chivalrous novels in the modern 20~21centuries. Secondly, I examined the context of the novels whose motif is the love between a man and a woman, the eternal theme of literature, are connected to the tragic novels in a narrative style, the happy- ending ancient novels and the romance novels on the internet. Lastly, I explored into the flow of the novels, whose underlying motif is the dreaming of a fantastic utopia starting the reality, that is, a motif of the fantastics, are connected to folktales, biographic literature and cyber fantasy novels. Under the situation which the young people in their teens are unaware of the ancient novels, even though someone created a fantasy novel, that the realization of the utopia like a space of the “Yuldoguk,” or state which Hong Gil-dong dreamed of means the universalization of the fantastics and the otherness which our culture shows. At the back of this social phenomenon and literal activities, the phenomenological bias of the literary imagination which is ceaselessly inherited is immanent. The reason why the bias is incessantly embodied in the novels like this lies with the power of the ordinary life and popularity which has been rooted in the base of the populace.

      • KCI등재

        소설가 소설과 ‘구보형 소설’의 계보

        나은진(Rah, Eun Jean) 구보학회 2006 구보학보 Vol.1 No.-

        박태원의 소설 「小說家仇甫氏의 一日」은 소설가 소설이다. 소설가 소설은 소설과 현실의 경계선이나 소설의 존재의의, 문학 일반론, 작가의 삶 등의 주제에 쉽게 접근하도록 해 주므로, 소설의 자기반영성과 메타픽션적 특징을 통해 소설의 소통양식, 시대와 사회에 대한 인식 등을 드러내기에 유리한 양식이라는 의미에서 우리 소설문학사에 독보적인 존재로서 자리매김 된다. 나아가 “구보형 소설”이라 일컬어질 정도로 소설가 소설의 계보에서 뚜렷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1930년대 박태원의 소설에 뒤이어 1970년대 최인훈의 15편 연작소설 󰡔小說家丘甫氏의 一日󰡕과 1990년대 주인석의 5편 연작소설 󰡔검은 상처의 블루스: 소설가 구보씨의 하루󰡕가 하나의 흐름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이 작품들은 소설가가 주인공으로서 개인적, 사회적, 문화적 여건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소설가의 역할 탐색과 소설쓰기의 의미를 진지하게 고찰하고 소설가의 정체성 확인과 자기반성을 소설쓰기의 형식을 통해 드러낸 작품들이다. 고현학으로서 시대의 인식을 창작기법화한 박태원, 시대에 대한 담론공간을 창작의 원리이자 정체성으로 확보했던 최인훈, 현실의 이면을 과거로부터 탐색하는 주인훈은 각각 소설가 ‘구보(仇甫)’와 ‘구보(丘甫)’, ‘구보’라는 소설속 인물인 소설가로부터 비롯된다. 박태원, 최인훈, 주인석 세 작가의 차이는 바로 그들이 위치했던 시대, 그 시공간성의 차이이며, 각각 자신의 시대에서 사회와 문학의 위기에 대한 문학적 응수이자 대안제시의 한 방법이기도 한 것이다. 따라서 한국적 예술가 소설의 하위갈래로서 구보형 소설가 소설은 박태원 이래 현재까지 맥을 이어 창작되고 하나의 계보를 형성할 힘을 얻을 수 있었다고 본다. 다른 소설가 소설들과 달리 한국 현대소설에서 ‘소설가 구보’형 소설들은 특정 시공간성에 대한 편력을 중심으로 자성적 자기반성과 소설가로서의 자기 정체성을 확인하고 특유의 기법실험과 함께 새로운 소설 세계를 모색한다는 점에서 특유의 소설작법과 서사구조를 형성한다. 이는 앞으로도 생산적인 소설 창작의 원형이 되어 창작에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상호텍스트성의 근원이 됨과 동시에 능동적 힘을 지닌 모티브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구보형 소설가 소설들은 소설의 위기론에 대한 소설적 대안으로서 항상 한국 소설의 지평을 넓히는 데 기여해 왔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One Day of a Novelist, Mr. Gubo」, one of novels by Park Tae-Won, is a novelist novel. Since the novelist novel allows us to easily approach to the boundary between a novel and reality, existence meaning of a novel, general considerations on novel or life of the writer, it has been positioned as an unique existence of our history of novel literature in such a sense that it is an advantageous form to unveil communication style of novel and recognition on era and society through features of novel such as self-reflection and metafiction. Moreover, it has occupied a distinctive position in a genealogy of artist novel to the extent that it is called as “Gubo-Style Novel”, since it has constituted a stream from a novel of Park Tae-Won in 1930s, to 15 volumes of novel cycle, 󰡔One Day of a Novelist, Mr. Gubo󰡕, by Choi In-Hoon in 1970s and 5 volumes of novel cycle, 󰡔Blues of Black Wound: One Day of a Novelist, Mr. Gubo󰡕 by Joo In-Seok in 1990s. These literary works of which heros are novelists look for the roles of novelist, seriously consider the meaning of writing a novel based on their recognition on the individual, social and cultural situation, and unveil their identity confirmation and self-examina- tion through a form of writing a novel. The three novelists including Park Tae-Won who had made the recognition on the era with modernologie into a creation technique, Choi In-Hoon who had secure a discussion space on the era as a creation principle and identity, and Joo In-Seok who had searched the other side of reality from the past have arisen from the novelists ‘Gubo(仇甫)’, ‘Gubo(丘甫)’, and ‘Gubo’ respectively. The dif- ferences between these three novelists are exactly same as those from eras when they were located, so to speak space time differences, and also a kind of literary countermove against social and literary crisis at each own era and one of the methods to suggest alternatives. Hence, it is con- sidered that the Gubo-style novelist novel has been created with keeping up spirits from Park Tae-Won through the current and got the strength to form a genealogy as a subordinate branch of Korean artist novel. Contrary to the other novelist novels, the ‘Novelist Gubo’ style novels of the Korean modern novels have constituted an unique novel writing technique and epic structure in the respect that they have confirmed a reflective self- examination and own identity as a novelist laying stress on the pilgrimage for a certain time and space and sought a new world of novel with a peculiar technique experiment. This means that it may be a root of inter- text to be able to make effect on creation as an original form of produc- tive novel creation and a motive with an active power at the same time. Therefore, it would be meaningful that the Gubo-style novelist novels have contributed to always expand the horizon of Korean novels as the novel alternatives against crisis argument of novel.

      • KCI등재

        사이버 공간 소설에 나타난 여성성과 남성성

        나은진(Eun Jean Rah) 한국현대소설학회 2002 현대소설연구 Vol.- No.16

        In the respect of examining present novel mode, we have to study how the descriptive grammar is associated with the non-fictional character in the fantastical novel. It is why our novel literatures start with present novel one in the future. The cybernovels are serialized in the internet. The contents and plots are quite likely to change because websites have specific opened writer-reader. The kernel of the description in these website novels are the open of descriptive process and present. The writers make stories about the world, characters and the society in the beginning of the novel. There are fixed bodies, sex, social positions not as a physical existing but as a conceptual existing in these types of description. The change of the character, in particular, is expressed as special body parts or characteristic body forms. Both men and women change plain appearances in the real world into good-looking and extraordinary ones. As a result of that, extraordinary power, which require inverted bodies and pedigree, is a task for main characters to have to settle. The write feels narcissism as identifing their ideal type with themselves. In addition, the readers feel furtive please while reading the depiction of characters` bodies and behaviors` narration. Like this, the reconcilement of the body and the sex, made in the cyberworld, introduce an erotic factors in the novel against writers` will. The longer the novel is through episode`s insertion and arrangement, the more the subtextes, such as supplementary stories, paradies and character illustrations, are, the bigger the joint of the writer and the reader is. Thus, the description depends on the character more and more. So does Avata, used in the internet. The Avata is another ego, which existed in cyberspace. nonfictional creatures, regardless of physical limitation of the reality. The description and manhood and womanhood, which existed in the cybernovel, lied in the extension line of our real world.

      • KCI등재
      • KCI등재

        통신공간과 유토피아 : 90년대 판타지 소설을 중심으로 in the focus on the Fantastic Novels of Korea

        나은진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문학회 2000 이화어문논집 Vol.18 No.-

        Since the informationalized society was set in, the amount of the use of computer and internet has risen rapidly. As a result of that, the cyber spare on the network as imaginary space, no as real space, appeared. This is the best one for relieving from the discontent about our real lives and revealing the hope about utopia Particularly, the Korean literature by the sense of the new generation which has been skilled to jnformationlization and multimedia computer, has brought forth the electronic-style writing of serial board types on the new spare named PC cyber spare. It is the fantastic novels which was circulated extendedly by the name of the fantasy fiction. Because of the character of cyber media it has three kinds of text: digital text, hyper-text and interactive fiction. These text deal with the following contents.. Fjst, they are focusing on the creation of the secondary world. Second, they mainly deal with hew utopia world changes into distopia world. Third, they deal with the cynical critical thoughts about reality in the form of allegory. Fourtf, they show the creative and original utopia. As 'Fantastic novels' in the 1990s are published in the fun of paper book in the real world, however, they have been experienced conflict between original characters and the existing form of literature. Thus, we should postpone and wait for the decision in order to decide if the paradigm of our novels can be substitute for fantastic novels like our expectation of fantastic novels.

      • KCI등재

        사이버 매체와 현대의 대중 서사 : 매체의 변화와 타자성의 탈 주변화 과정

        나은진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0 한국문화연구 Vol.18 No.-

        Literatures and other subordinate branches utilizing cyber media which have been full-fledged since the 1990s choose methods of actively projecting their writers' desires onto others via fantasizing. Cyber literatures depend on aspects in which their writers create a third space-time dimension in fantasies and realize their desires. By restructuring frames of the genres of the existing popular literatures and adding fantasy thereto via experiments or realization of political ideologies of individuals or figuration of romantic fabrication, which solves lack of self-confidence, cyber literatures have occupied positions contrasting to the existing literatures. Texts of cyber narratives literatures show forms of literatures and cultural identities ensuing from changes of media by modifying the existing genres such as fantasy novels, martial arts novels, romance novels. etc. by adjusting thereof to Korean situations. Subordinate main cultural bodies actively express their discontent with realities, and experience exotic space and time by entering into fantasies to overcome such discontent and to escape from the routines of dailiness. This is a method of fantasizing which intentionally shows being another person by forming a ground of literature space. For this, they specifically and actively try to reform the other persons by methods such as entry into other worlds, reincarnation, substituted history, realization of political ideas, administration of nations or feudal territories, virtual realities of games, central districts of martial arts, idealized academic spaces, etc. This trend of cyber narratives texts actively confronts other persons in the relationship with them more than any existing narratives texts, and re-perceives the realities and shows strong will of reforming routines comprising such realities. It is because rediscovery of cores of epics which end up with individual growth, elements of fantasizing involved in the process thereof and being the others composing the other side of realities, and re-perception of realities generate a more universalized paradigm by crossing the border between literature and culture. 90년대 이후 본격화된 사이버 매체를 이용한 문학과 기타 하위갈래들은 자신의 욕망을 적극적으로 환상성을 통해 타자에게 투사하는 방식을 선택한다. 사이버 문학은 환상으로 제3의 시공간을 만들어 자신의 욕망을 구현하는 양상에 의존한다. 때로는 개인이 가진 정치적 신념의 실험이자 실현으로, 자신의 결여를 해소하는 낭만적 허구화의 형상화로, 기존의 대중문학이 지니고 있던 장르의 틀을 다시 재구성하여 환상성을 가미함으로써 기존의 문학과 대비되는 위치를 차지하게 된다. 사이버 서사문학텍스트는 판타지, 무협, 로맨스 등의 기존장르를 한국적 상황에 맞춰 변형함으로써 매체변화에 따른 문학의 양식과 문화적 정체성을 드러낸다. 하위문화주체는 적극적으로 현실에의 불만을 토로하며, 그 불만을 극복하기 위해 일상성을 탈피해 환상 속으로 들어가 기이한 시공간을 경험한다. 이는 바로 특수한 문학공간의 장을 형성함으로써 타자성을 의도적으로 드러내는 환상성의 방식이다. 이를 위해 이계진입, 환생, 대체역사, 정치적 이상의 실현, 국가나 영지의 경영, 게임의 가상현실, 무협의 중원세계, 이상화된 학원 공간 등 구체적이며 적극적으로 타자의 변혁을 시도한다. 사이버 서사텍스트의 이런 경향은 기존의 어떤 서사텍스트들보다도 타자와의 관계에서 적극적으로 맞대면하는 것이며, 현실을 재인식하고 현실을 이루는 일상에 대한 강한 변혁의지를 드러낸다. 개인의 성장으로 귀결되는 서사의 핵심과 그 과정에 개입되는 환상성의 요소, 그리고 현실의 이면을 이루는 타자성의 재발견과 현실 재인식을 통해 문학과 문화의 경계를 넘어서 보다 보편화된 패러다임을 생성하기 때문이다.

      • 이상소설에 나타난 여성성 : 양파껍질 벗기기

        나은진 한국여성문학학회 2001 여성문학연구 Vol.6 No.-

        이상 소설은 자의식이 넘치는 소설이라 규정되어져 왔다. 그러나 그의 자의식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의 소설 속에 언제나 존재하는 타자와의 상호관계를 이해해야만 할 것이다. 이 타자들은 비 혈연관계로 맺어진 일대일의 성적 대상자로서의 여성들이다. 남성성은 이상 본인이 텍스트에 드러나는 방식을 통해 구현되며, 여성성은 이상의 여성편력과 관계되어 소설에 형상화된 각 인물들을 통해 나타난다. 이상 소설의 남성성과 여성성은 각각 인물의 외모에 대한 묘사와 상징, 그리고 당대 성담론이 담고 있는 전통적 가치관과의 갈등을 통해 구체적으로 뚜렷해진다. 여성이 머리를 ‘단발’로 자르는 것과 남성이 ‘수염깎기’하는 것은 정반대의 의미이며, 여성은 머리를 자름으로써 힘을 얻고 남성은 힘을 빼앗긴다. 이상과 그의 여성의 성역할은 언제나 기존 담론으로부터 뒤집혀진 상태로 나타난다. 그런 상태에서 여성의 정조 지키기는 가족부양과 맞바꿔질 수 있었다. 타자로서의 여성성과 이상 자신이 그려내는 남성성은 각각 식물적 상상력과 동물적 상상력으로 그려지기도 한다. 여성성과 남성성은 또한 시간성과 공간성을 통해서도 파악될 수 있다. 여성과 남성의 만남은 무화된 ‘시간’으로부터 개별화된 ‘세월’로의 전이과정이다. 또 여성성의 공간이 화려하면서도 가변적이고 변화무쌍하며 수시로 걸치고 돌아다니는 ‘옷’이라면 남성성의 공간은 음침하게 정체되어 있는, 폐쇄된 ‘방’인 것이다. 양성 공간의 대립은 ‘옷’과 ‘방’으로써 확인된다. 이상의 피해의식은 자신 또한 여성에게 있어서 수시로 입었다. 벗었다 갈아입을 수 있는 수많은 옷처럼 임의적인 존재가 아닐까 하는 의심에서 시작된다. 남성성의 상징물인 ‘방’은 하나뿐이고 움직일 수 없는 정형화된 공간이기 때문이다. 이상에게 있어서 남성성과 여성성 사이의 갈등과 이해는 바로 여기에서 비롯된다. 여성의 공간성이 유동적인 옷으로 규정되었던 것처럼, 여성의 성적 정체성은 ‘양파’로 규정될 수 있다. 남성들이 기대하는 알맹이가 없는 존재, 벗겨도 벗겨도 껍질밖에 없는, 껍질 그 자체가 양파의 본질이다. 양파야말로 이상 소설에 나타난 여성들의 섹슈얼리티의 상징인 것이다. 남성적 섹슈얼리티로서 똑바로 걸을 수 없는 ‘절름발이’의 인생은 상징계적인 도덕성이 남성위주의 가부장제로서 억압할 수 없는 여성성을 만났을 때로 규정된다. 여성과 남성의 끝없는 경합을 통해 자기 우월감을 확보하려는 의식을 버리고 여성의 섹슈얼리티가 지닌 속성을 ‘양파’와 ‘소수’(素數)라 받아들일 때, 이상은 자기 존재에 대한 규정을 내릴 수 있게 된다. 여기에 걸맞게 남성성 또한 변화를 받아들이고 선택하는데, 이상은 그것을 절름발이의 인생이자, 자기 정체성을 지워버린 형해의 흔적이라 규정함으로써 새로운 날개를 얻는다. 전통적 가치관의 질서의식이 부여하는 억압으로부터의 일탈, 그것은 이상소설이 보여주는 양성구유의 가능성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Lee Sang's novels is the novel dealing with self-consciousness. To understand his idea, we must understand the relations with The Others in his novel. These people have no relations like family members. They are just sexual partners. Lee Sang's male sexuality is known by expressions in his novel. Feminity appears among the characters in his novel. The sexuality of both female and male becomes specific when there's a conflict between each character's appearance and traditional customs. Cutting off hair(women) and shaving(men) hold opposite meaning. Women obtain power when they get a haircut but, men lose their power. The roles of sexuality in both women and men are switched in the novel. This switched roles enabled women to take care of family. Feminity as The Others and male sexuality as Lee Sang's are described as animal and vegetable imagination. Both female and male sexuality also revealed by considering time and space. The meeting between a woman and a man is the process that can be moved from normal time to individualized time. Also, the feminity is the dress that can be changeable and decorative. The space of male sexuality is the room where is dark and isolated. Confrontation between two sexes is divided clearly into dress and the room. Lee Sang's paranoia begins with the skepticism that he is the optional existence like cloth for women. Lee Sang's own room is the space that is only one and becomes standardization that can not move. For Lee Sang, the conflict between male and female sexualities begins in this point. As described that spaceness of women is clothes, the sexual identities of women can be justified as onions. Shell itself, even if take off, is essence of onion. Onion is the symbol of feminity in Lee Sang's novel. A crippled life is symbolized male sexuality. As male sexuality gimp's life who can not walk straight woman department which morality of The Symbols which is upper official reprimand enemy can not oppress as patriarch emperor of Pro-Male meet that sometimes prescribe. Lee Sang can justify the meaning of his existence when both male and female discards their superiority in endless competitions and then, accept that women sexuality is the onion and marginality. To accept the changes of male sexuality and justify it as the navigation of erasing self-identity, Lee Sang described it as a crippled life, men get new wings. Escape from the normality is the possibility of androgyny that is described in his no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