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어 교재의 통시적 연구와 현황

        나은영(Nha, Eun-young)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21 한국어교육연구 Vol.- No.14

        한국어 교재의 발전 과정은 최초의 한국어 교재가 개발되고 나서 약 2세기가 지나면서 역사적으로나 한국어 교육학적으로 많은 변화가 있었다. 한국어 교육학이 점차 학문적인 분야로 정착되어 가는 것이 사실이고, 특히 한국어 교재의 연구사에 대해서는 국어학사와 같이 체계적이고 본격적인 정리가 필요하다. 한국어 교재의 변화과정을 역사적으로 살펴보기 위해서 여러 가지 요소를 고려하여 당시의 정치 문화와 사회적 요소는 물론 교재의 내용과 형식에서 강조점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 연구는 한국어 교재 편찬의 역사적 변천과 실제 교재형식이나 내용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특히 시기별로 나누어서 한국어 교재와 관련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사에서 한국어 교재를 중심으로 한 시기와 한국어 교육학적인 시기가 어떻게 연계했는가를 보았다. 이에 따라 각기 구분한 시기별 교재 내용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보고, 한국어 교재를 중심으로 시기 구분과 각 시기에 한국어 교재의 내용적 특성이 어떠한지를 재정리하였다. 또한 한국어 교재의 현황을 살펴보고, 앞으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의 발전을 위하여 한국어 교재가 기준 삼아야 할 방향은 향후 과제로 삼으려 한다. ‘교재는 교육의 모든 것이다’라는 말처럼 교재에는 교육내용, 교육목표, 교육 방법 등이 총체적으로 들어있다. 따라서 교재의 중요성은 한국어 교육에 두말할 나위 없이중요하다.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proces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according to the periods from the 18th century until the present. This study focuses o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which are divided into six perirods diachronically and shows various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in each period. Major theme in the study is how Korean language textbooks changed in their formats during the six periods. A lot of contents and schemata in the testbooks teaching styles, student tasks and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periods are discussed. This study suggests the diverse textbooks for the development of the future Korean language learning with the various Korean language learners. In the future, Korean language researchers need more detail studies and efforts for the various Korean language learners’ textbooks, depending on their nationalities and levels in addition.

      • KCI등재후보

        초급 한국어 통합형 교재의 비교연구

        나은영(Nha Eun-young)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21 한국어교육연구 Vol.- No.15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부설 언어교육원에서 개발한 초급 한국어 통합형 교재 3종을 각 교재의 특성을 살펴보고 학습 내용과 내외적 구성 등을 통해 비교하고 분석해보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세 곳의 대학 부설 언어교육원에서 제작한 3종의 초급 한국어 통합형 총 12권의 구성을 비교하였다. 비교해보니 외적 구성에서 3종의 교재는 외형과 단원 구성 수나 쪽수 구성물 등에서도 차이가 있었다. 외적 구성의 차이와 함께 내적 구성에서 자모 해설, 주제와 문법, 어휘, 발음 그리고 문화의 영역에서의 서로 다른 점들을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비교의 기준은 국제통용 한국어 표준교육과정으로 하여 구체적인 항목을 비교해 볼 수 있었다. 3종의 교재는 출판 시기가 2010년 2013년 2019년으로 적절한 간격을 두고 있어서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들도 엿볼 수 있었다. 비교의 세항들은 기존의 연구에서 참고하였고 국제통용 한국어 표준교육과정의 설정 시기는 2017년이라서 그 전후의 교재 간의 항목별 비교와 그에 따른 차이점도 부가적으로 정리하였다. This study is to compare 12 textbooks which are 3 types of beginners textbooks for Korean Language from university Institutes in order to show the characteristics and external and internal composition. As a result, in the external field, there are clear distinction in looks, unit and page numbers, and composition kits. For the internal area, this study contains the letters and sounds of consonants and vowels, subjects and grammar, vocabularies, pronunciation and culture. Internationally Circulated Standard Korean Curriculum(2017) is used as the standard of the comparison. In addition, 3 type of the textbooks are different respectively in publishing years during 9 years-from 2010 to 2019, so there are some year-gaps. The comparative items were cited from the precedent researches and Internationally Circulated Standard Korean Curriculum was made in 2017, therefore, some composition items could be compared with a before-and after item.

      • KCI등재후보

        외국인 SNS 이용자의 한국어 능력향상 효과 예비연구

        나은영(Eun-young Nha),이현주(Hyeon-joo Lee)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22 한국어교육연구 Vol.- No.16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영향력이 큰 SNS를 이용한 한국어 능력향상 효과를 몇 가지 요인별로 나누어 통계기법을 사용하여 결과를 예비적으로 검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에서 SNS를 이용한 한국어 학습자들에 관한 통계적 문헌들을 살펴보고 어느 요인들을 한국어 능력향상과 연관성이 있도록 설정할지를 고찰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베트남을 비롯하여 전남 나주권에 거주하는 다양한 국적과 직업군의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일상생활에서 학습 도구로 사용하는 주요 SNS매체들을 우선 선정하였다. 이러한 SNS 매체들을 중심으로 SNS 속성요인과 SNS의 매개 요인을 구성하여 SNS의 한국어 능력향상 효과를 통계적 기법으로 검정해 보았다 먼저 설문지를 구성할 요인별 항목을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선정하였고 100명의 전남 나주시 거주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을 중심으로 한 달 동안 설문지의 답변을 받아 통계에 적합한 83부를 사용하였다. 여기에서는 지면상 앞으로 검정할 가설 중에서 두 가설만을 살펴서 향후 계속 연구할 논문 전개의 예시 부분으로 삼을 것이다. 논문의 구성과 그에 따른 새로운 가설은 이 두 가설을 통계적으로 검정하고 문제점을 수정 보완하여 차후의 논문에서 본격적으로 상세하게 다루어 가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sults using statistical techniques by dividing the Korean language learning effect using SNS, which has great influence not only in Korea but also around the world, into several factors. To this end, statistical results on Korean learners using SNS were examined in previous studies, and which factors related to Korean learning were examined.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major SNS media used by foreign Korean learners from various nationalities and occupational groups living in Naju, Jeollanam-do, including Vietnam were first examined. Focusing on these SNS media, I would like to empirically verify the efficacy of learning Korean of SNS by constructing SNS attribute factors and mediating factors of SNS. First, the items of all the factors in the questionnaire were selected by considering previous studies. 83 copies out of 100 were used for statistics. We will look at only two hypotheses among the hypotheses to be tested in the paper and we will use them as examples of future research. By statistically testing these two hypotheses, the overall hypothesis, composition, and statistical tests will be dealt with in detail in future papers.

      • KCI등재후보

        카페 메뉴 만들기로 한국어 활용 수업 : 말하기 중심으로

        황은영(Eun-young Hwang),나은영(Eun-young Nha),양주리(Ju-ri Yang)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20 한국어교육연구 Vol.- No.13

        본 연구는 국내 외국인 근로자들에게 실용 문화적 측면에서 대중문화인 카페 음료 만들기를 통하여 한국어와 카페 음료 조리법을 교육하고자 한다. 외국인 근로자들의 경우 4년 10개월의 체류가 끝나면 자국으로 돌아가야 하는데 이들 중에는 한국에서 배운 기술로 사업을 하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 많다. 현재 한국에서 대중적인 사업의 하나인 카페 창업은 외국인들도 관심을 가지는 사업 테마이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카페 메뉴로 음료를 만드는 과정을 통해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쉽고 흥미 있는 수업을 제공함과 동시에 실습을 함으로써 비즈니스와도 연결할 수 있다고 보았다. 연구를 위해 먼저 이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카페 메뉴를 찾아 한국어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았다. 수업 내용으로는 주제와 관련된 동영상 시청하기, 카페 메뉴 선별하여 레시피 교재 만들기, 레시피 교재 내의 수업의 과정을 메뉴별로 정리하였다. 연구 대상은 광주지역의 세종외국인문화센터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 근로자 중 이 수업에 관심 있는 신청자 6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3명씩 2조로 하여 하루 2시간씩 주 2회로 6주 동안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 결과, 카페 음료 주문하기와 손님 응대하기 등의 카페와 관련한 실제적 한국어 말하기 향상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학습자들이 카페 메뉴를 만드는 기술을 배워서 본국으로 돌아간 후 카페 사업의 가능성도 열어 줄 수 있다는 점에서도 부수적인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educate foreign workers in Korea on how to speak Korean naturally by making cafe drinks in practical and cultural aspects. Foreign workers are required to return to their countries after their four-year and 10-month stay. Many foreign workers want to go back to their home country and do business by learning technology during their stay in Korea. Currently, one of the popular businesses in Korea is the setup of a cafe. Therefore, the study aims to teach foreign workers Korean easier and more interestingly and practice the process again through the process of making drinks with a cafe menu, one of Korean culture. The class also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nnect with business after going back their home countries. First, we looked at the prior research related to this and found out how to use the cafe menu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content summarizes that practical Korean language classes are possible by watching videos related to the topic, selecting cafe menus, making textbooks, and using conversations used in cafes in Korean conversation textbooks. The study was conducted twice a week (Saturday, Sunday) for two hours a day, with six applicants interested for the class, by the two groups of three each among foreign workers learning Korean at the Sejong Foreign Cultural Center in Gwangju. This class not only helped them speak Korean about making cafe drinks, but also helped them speak practical Korean about cafes such as ordering cafe drinks and serving customers. In addition, they learned how to make cafe menus and opened up the possibility of cafe business after going their home countrie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learners rose in practical Korean speaking levels and had good beverage manufacturing skills effectively.

      • KCI등재후보

        SNS를 활용한 한국어 쓰기 수업 방안 : 한국어능력시험(TOPIK)Ⅱ 54번 문제를 중심으로

        황은영(Eun-young Hwang),나은영(Eun-young Nha),양주리(Ju-ri Yang)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20 한국어교육연구 Vol.- No.12

        본 연구는 학문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한국어능력시험(TOPIK Ⅱ), 쓰기 영역에서 학습자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54번 문제를 SNS를 활용한 수업을 진행하여 쓰기시험 점수를 향상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급수가 낮은 학생들의 경우 한 글자도 쓰지 못한 채 답안을 제출하기도 하고 문제를 어떻게 접근해야 할지조차도 모르는 학생들도 많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쓰기 54번 문제에 대해 부담감을 가지고 시험을 치러야 하는 학생들에게 전략적 수업을 통해 보다 쉽게 문제를 접근하고 풀어내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먼저 선행연구와 한국어능력시험(TOPIK)Ⅱ 쓰기 54번 영역의 최근 출제 유형과 평가를 분석했다. 연구방법으로는 주제와 관련된 동영상 시청, 토론, 개요짜기, 텍스트구조 표지어를 이용해서 시험 글쓰기 준비가 가능하다는 것을 밝혔다. 연구의 과정은 54번 기출 문제를 가지고 진단 평가를 했다. 그 결과를 가지고 앞으로 진행할 수업 모형을 제시해 주며 글자 수와 목표 점수를 설정하게 했다. 그리고 쓰기주제와 관련된 자료를 유튜브(YouTube) 동영상에서 찾은 후 학생들의 단체 SNS에 공유했다. 공유한 자료는 주제와 관련된 어휘와 주제 글쓰기 배경 확장에 도움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조별 토론에도 도움을 주었다. 조별 토론의 결과를 4개조가 발표했으며 그 발표 내용을 중심으로 ‘도입-전개-마무리’의 구조로 쓰기 연습을 했다. 이러한 과정을 마친 후 학생들은 자신감을 갖게 된 것은 물론 토픽 65회 시험에서 54번 문제에서 좋은 점수를 획득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 방법이 학생들의 점수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to improve the topic writing and writing of foreign Korean learners.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16 Vietnamese (10 students) and Uzbekistan (6 students) students who completed 400 hours in a year at the Korean language training institute A. I had written classes with confidence that students who had never prepared to write Topic 54 and who took the Topic II test but who did not write 54 could write. They insisted on teaching 54 writing to Topic II intermediate candidates with significantly lower writing scores than reading and listening. Even non-advanced students wanted to show that they can write 54 times and raise their writing scores. To do this, we first analyzed the previous questions and the types of assessments in the 54 areas of TOPIK II. The research method showed that it is possible to prepare for test writing by watching videos, discussions, outlines, and text structure marker related to the subject. The course of the study was, first, a diagnostic assessment with 54 previous questions. With the result, I suggested the class model to go ahead and set the number of letters and the target score. Second, I found materials related to the writing topic in YouTube videos and shared them with students group SNS. The shared materials not only helped expand the vocabulary and topic writing background related to the topic, but also helped group discussions. Third, the four groups published the results of the group discussions, and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group discussions, they wrote a personal test of Introduction-Development-Finishing . As a result, I was able to write 54 types of first-time encounters, and I was able to write 54 questions on the topic 65 exams as well as confidence, and I was positive on the writing sco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