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Visible‐light‐mediated synthesis of 3‐arylsulfonylated thioflavones using an in situ activation strategy

        나상철,이안나 대한화학회 2023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ol.44 No.11

        We have developed a visible‐light‐mediated synthesis of 3‐arylsulfonylated thioflavones using an in situ‐activation strategy. The reaction proceeds through a one‐pot, three‐component pathway, without the need for sensitive or harsh reaction conditions. Organic photocatalysts were employed to generate aryl radicals more efficiently from aryl diazonium salts generated in situ. This method enables the synthesis of 3‐arylsulfonylated thioflavones from aryl amines and methylthiolated alkynones, utilizing potassium metabisulfite as an inexpensive source of sulfur dioxide. The resulting products were obtained under mild reaction conditions. This approach provides an efficient alternative pathway for synthesizing thioflavone derivatives, which are prevalent among various bioactive compounds.

      • KCI등재

        6·25전쟁기 노무단의 구성과 활동

        나상철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20 군사 Vol.- No.115

        본 논문은 한국전쟁 중 동원된 노무인력의 형태와 운용 실태를 전반적으로 파악하면서, 특히 미 제8군 예하의 한국노무단(KSC, Korean Service Corps)의 구성과 운영을 중점적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이것은 예비병력이 KSC로 전화되어 가는 과정을 규명하는 것에서 출발해, 민족상잔 비극의 중심에 존재했던 진중 노무자에 대한 당대의 다양한 인식을 살펴 KSC의 군사사적 성격을 밝히는 것이다. 개전 초, 미군의 참전에도 고전을 면치 못한 전쟁 국면은 낙동강까지 전선을 후퇴시켰고 폭발적인 소요에도 불구하고 각종 인력 동원은 법제의 공백으로 체계적으로 실시되지 못했다. 설상가상으로 인천상륙작전으로 군이 북진하자 노무인력 동원 범위는 전국으로 확대되었다. 그러나 기 동원한 노무자는 빈번히 부대를 이탈했고, 언어장벽과 업무 효율 등 문제가 계속 제기되어 노무인력의 조직화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중공군의 참전으로 다시 전선이 남하하여 현재의 휴전선 일대에서 고착되자 미군은 노무인력 조직화에 박차를 가하게 되고 한국노무단이 창설되기에 이른다. 그러나 KSC의 창설은 단지 미 제8군의 필요에 따른 일방적 정책 구현은 아니었다. 당시 한국 정부는 예비병력과 비전투병력의 총 결집을 통한 총력전 체제로의 전환을 기도하였고, 1950년 12월 ‘국민방위군’을 창설하였으나 이른바 ‘국민방위군 사태’로 국민방위군은 반년 만에 해체된다. 그리고 미 제8군과 마찬가지로 노무인력의 체계적인 동원의 필요성을 전쟁 기간 내내 몸소 겪은 국군은 예비인 제5군단을 창설한다. 이것은 국민방위군 소속이었던 인원들을 다시 흡수하여 5개의 사단 규모의 병력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러한 한·미 양국의 필요가 합치되어 제5군단을 모체로 KSC가 창설되었고 그것은 작전지속지원을 위한 ‘근무 부대’로서 운영된다. This paper takes an overall look at the form and operation of the labor force mobilized during the Korean War,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 Korean Service Corps(KSC) under the Eighth U.S. Army. Despite the UN Forces’ participation at the beginning of the war, the front line ended up being pushed down to the Nakdong River. Attempting to overcome this crisis, South Korean President Syngman Rhee appealed to the whole nation for voluntary assistance in the war effort. However, due to the lack of legal basis for the mobilization of reserve forces and laborers and the declaration of emergency martial law leading to men being conscripted on the streets, systematic mobilization was unable to be implemented. About one month after the war broke out, the "Special Measures Ordinance on Punishment" was enforced, laying down the legal basis for conscription and mobilization. However, du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refugees and floating population, systematic mobilization could still not be carried out as administrative procedures were difficult to implement. The range of the Eighth U.S. Army’s labor mobilization expanded across the country as the Incheon landing cleared the frontline and the military advanced northward. However, some of the refugees who were mobilized during the Nakdong River battle went missing while following the U.S. military northward. Moreover, problems such as the language barrier and the work efficiency of the Korean labor force were continuously made apparent, raising the need to organize the workforce. As the front lines again moved southward with the entry of the Chinese military and the conflict turning into a war of attrition along the present-day demarcation line, the organization of the workforce was stepped up, resulting in the establishment of the KSC. The creation of the KSC was not just in accordance with the needs of the Eighth U.S. Army. The Korean government attempted to create a national all-out war system by combining the reserve and non-combat forces. It established the "National Defense Corps" in December 1950, but due to the so-called "National Defense Corps issue," the National Defense Corps was disbanded after half a year. The Korean Army, feeling the need for the systematic mobilization of the labor force throughout the war just like the Eighth U.S. Army, established the Fifth Corps, a reserve unit. It aimed to reabsorb personnel from the National Defense Corps to secure troops enough for five divisions. Meeting both the needs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he KSC was established with the Fifth Corps as its parent institution. Since the armistice agreement, all labor organizations have been gradually dismantled, with some remaining as the current KSC. Despite its distinctiveness, the KSC was termed the 'vacuum of Korean War research' because it had not received attention in either history or military studies at home or abroad. Therefore, this research’s significance lies in finding historical significance by following in the footsteps of those who existed at the center of Korea’s national tragedy.

      • KCI등재

        한국전쟁기 공산군의 유엔군 포로 관리와 성격

        나상철 육군군사연구소 2019 군사연구 Vol.- No.148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anagement of the UN POWs of the Communist Army during the Korean War from the military historical perspective, focusing on the US POWs. The North Korean army had not established a prisoner policy until just before the invasion. Therefore, many Korean soldiers and Smith Special Forces, who were prisoners of war in battle with the North Korean army, were killed or forced to march to the last part of the North Korean army, the Yalu River, which is the rear of North Korea army. In the process, many of the prisoners died due to lack of nutrition and physical strength. This situation continued even after March 1951, when the responsibility of the prisoner management was transferred to the Chinese army involved in the war. The confusion of the North Korean prisoners' policy continued until the last moment of the repatriation of prisoners under the armistice agreement. Before historical-reconstructing the management of the prisoners of the Communist Army, Chapter II of this paper diagnoses the reliability of the prisoners announced by the Communist Army. In this chapter, we will confirm that the North Korean military has accepted the international Red Cross agreement very selectively and as a result, the number of prisoners is reduced and concealed. Chapter III reconstructs the reality of prisoner camps. The main contents are march, daily life, interrogation and propaganda, and Indoctrination(political learning). We’ll see how they created collective memory, which is represented by death, for prisoners. In the last chapter, Chapter IV, I intend to make the above-mentioned things conceptualized and visualized to indirectly experience the prisoner camp and improve understanding of it. 본 연구는 軍事史적 관점에서 한국전쟁기 공산군의 유엔군 포로 관리에 대해 미군 포로를 중심으로 하여 고찰 한 것이다. 북한군은 남침을 개시하기 직전까지 포로 정책을 수립하지 못한 상태였다. 때문에 국군과 스미스 특수부대는 북한군과의 조우로 전쟁포로가 되어 다수가 사살되거나 북한군의 최후방인 압록강을 향한 가혹한 행군을 감수해야 했다. 그 과정에서 포로들은 영양 부족과 체력 저하로 인해 다수가 사망하였다. 이것은 중공군 개입 후 1951년 3월경 포로 관리 책임이 중공군으로 이전된 이후에도 지속되었으며 포로 송환의 순간에 이르기까지 단지 정전협정의 기조에 따라 처우의 개선과 퇴보는 반복되었다. 공산군의 포로 관리를 재구성하기에 앞서, 본고의 Ⅱ장에서는 공산 측이 발표한 포로 현황의 신뢰성 여부를 진단한다. 이 장에서는 북한군이 국제적십자협정을 매우 선택적으로 수용하였고, 그 결과 포로의 수가 감소, 은폐됨을 확인하고자 한다. Ⅲ장과 Ⅳ에서는 포로수용소의 실상을 재구성한다. 주요내용은 행군, 일상생활, 심문과 선전, 정치학습으로 각각이 어떻게 포로들에게 ‘죽음’으로 대변되는 집단기억을 야기 시켰는지 확인한다. 마지막장인 Ⅴ장에서는 본문을 정리하고 공산군의 포로 관리와 포로의 성격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Different Set Processes for Bipolar Resistance Switching in a Ta/TaOx/Pt Thin Film

        나상철,Min Chul Chun,김재준,강보수 한국물리학회 2014 THE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65 No.7

        We observed two different set processes, gradual and avalanche, for the resistance switching (RS)of a Ta/TaOx/Pt thin-film device. The gradual and the avalanche set processes could be controlledby adjusting the external reset voltage. From the current-voltage curves and the effectivethickness of the insulator layer, we demonstrated that the resistance states leading to gradual andavalanche set processes were dominated by interface-limited and bulk-limited conduction mechanisms,respectively. A possible model with different effective insulator thicknesses is proposed basedon conducting channel formation due to oxygen vacancies.

      • KCI등재후보

        6·25전쟁기 UN군 의무후송 헬리콥터 활동 연구

        나상철 조선대학교 군사학연구소 2022 군사발전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6·25전쟁기 미군이 새로운 전력화 자산으로 헬리콥터를 도입하는 과정과 그것 이 전장에서 운용된 양상을 의료 목적용 항공후송 기능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고 그 군사 사적 의미 도출을 시도한 것이다. 미군은 한반도의 산악과 열악한 교통 인프라로 전쟁 수행에 어려움을 겪게 되었고 특히 전선에서 발생한 부상자를 적시에 후송할 수 없는 위협에 직면하였다. 이에 미군은 지형 마 찰 요소를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헬리콥터를 도입하였다. 당시 회전익 항공기의 기계적 발전은 초기 단계였으며 육군은 공군이 분리된 이후 소수의 기체만 보유했으므로 사 상자 후송을 위해 해상구조가 임무인 타군 헬리콥터의 지원을 받았다. 이후 육군은 회전익 항공기의 의료적 가치를 이해하고 자체적인 능력을 보유할 수 있도록 조치하여 비록 기체 수가 넉넉하지는 않았지만 헬리콥터로 구성된 부대를 창설하여 발전시켜 나갔다. 당시 헬리콥터 자체 성능은 초기 단계의 것임을 감안 하여도 전장에서 원활히 기동성을 발휘하기는 어려운 것이었다. 특히 통신장비나 조명장치가 열악하거나 배터리 출력이 부족 한 문제 그리고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충분히 방호 받지 못하는 엔진의 내구성 문제 등이 있었고 또한 기 계획된 전력화 자산이 아닌 만큼 수리 부속도 항시 부족할 따름이었다. 그러나 조종사와 구조팀은 심대히 비행이 제한되는 환경이 아닌 한, 때로는 적의 대공 사격 위협도 돌파하며 부상자를 후송하기 위한 비행을 기꺼이 수행하였고 이들의 헌신으로 후송된 부상자의 사망률은 급감하여 제2차 세계대전의 절반 수준을 달성하였다. 이것은 헬리콥터의 물리적 전력을 초월하는 정신적 가치였으며 이들이 결합 된 한반도 전장은 다음 세대의 군사의료혁신을 추동하는 반석이 되었다.

      • KCI등재

        태평양전쟁 역사서술의 일 정형성 고찰 - 일본군 ‘蛙跳’와 연합군 ‘Bypass’를 중심으로 -

        나상철 육군군사연구소 2021 군사연구 Vol.- No.152

        Military historians have traditionally attempted to categorize wars into broader groups. For instance, the World Wars have been generalized as ‘trench war’ and a ‘blitz war’. In the same vein, military historians declared a clichés of the Pacific War, and such details were included in popular military history textbooks. This paper traces several clichés depicting the history of the Pacific War, and focuses on their respective meanings. Historians of the Pacific War assert that the Japanese deployed the ‘wazo’ tactics, and the Allies pursued ‘bypass’ tactics in battles. As the first step in dismantling of such stereotype, the paper reviews errors between Chinese character translations as empirical consideration for the wazo tactics. Subsequently, the paper compares the usage of the words ‘wazo’ and ‘leapfrog’ to evaluate the implications of the two terms in war context. Furthermore, the paper traces by literature type and chronology the unique portrayal of ‘island hopping’ from the American and U.K. perspectives. In the process, the paper uncovered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leapfrog’ and ‘island hopping’. Finally, the paper examined MacArthur, who serves as the center point for the Pacific War converges. MacArthur claimed that the Navy’s operation was unfair during the war, and this point was reproduced to glorify and heroify the Pacific War in other nations. However, in the historicalization of the war, the term ‘island hopping,’ which he called as a unique method of the navy, became generalized to characterize the history of the Pacific War. As a result, war the clichés, regarding the allied forces crossing the Pacific Ocean could break away from the past methods embedded in a person - centered view of history and entered into a new historigraphical landscape. 역사와 군사사 관련 학계에서는 양차 세계대전을 참호전, 전격전이라 호명하는 것처럼 전쟁의 조작적 정의를 전통적으로 시도해 왔다. 같은 맥락에서 학계는 역사를 재구성하며 이해의 편리를 돕기 위해 태평양전쟁사의 내적 구도 정형화를 시도하였고 그것은 군사사와 전쟁사를 가장 많이 소비하는 군 교재에 담겼다. 본고는 태평양 전사를 묘사하는 수 개의 클리셰를 각각의 어의에 초점을 맞추어 추적한 것이다. 태평양전쟁사 쓰기의 정형이란, 일본군은 와조, 연합군은 바이패스 전술로 군을 전개했다는 내러티브다. 정형성 해체의 첫 번째 단계로 와조의 실증성 고찰을위해 영·한문 번역 간 굴절을 검토하였다. 이어서 leapfrog와 와조의 쓰임을 비교하여 전사 서술에서 두 단어의 기능을 비교하였다. 두 번째 단계로 미국과 영연방의 태평양 전사 서술에서 island hopping이 서술되는 특이점을 문헌 종류와 시대순으로 구분하여 추적하였다. 그 과정에서 유사 어의인 개구리 뛰기와 섬 기동의 수사에서 나타나는 차이와 공통점을 발굴하였다. 마지막 단계로는 태평양전쟁 수사가 수렴하는 인물맥아더에 접근하였다. 맥아더는 전쟁 동안 해군의 작전이 부당함을 주장했고 그 논지는 전후 다년간 영웅사관 역사쓰기 방식으로 참전국과 한국, 일본에서도 재생산되었다. 그러나 전쟁 기억을 역사화 하는 수순에서 그가 해군의 방식이라 명명했던 ‘섬 기동’이 태평양 전사를규정하는 학문적 시민권의 자리를 굳히게 되었다. 이로써 전쟁 당시 연합군이 대양을가로지르는 작전 양상의 클리셰는 인물 중심 사관에 함몰되어 있던 과거를 탈피하고새로운 역사의식 지형을 견인하게 되었다.

      • KCI등재

        麗末鮮初 중국 북방문화의 유입과 剝地粉青沙器 편년연구

        나상철 동악미술사학회 2023 東岳美術史學 Vol.- No.34

        분청사기에 관해서는 선학들의 많은 연구가 있었다. 그러나, 박지분청은 면 상감기법으로부터고안 발전된 것이라는 견해와 조화기법과 박지기법이 중국 자주요와 연관성이 있을 것이라는 언급만이 있었다. 박지기법을 중국 척화기법과 비교해 본 결과 박지기법은 기법상 내몽고와 요녕지역의 장식기법과 유사하였다. 그리고, 문양의 소재와 표현양식은 요대, 금대, 서하 자기와 유사하였다. 그러나, 200-300여 년이라는 사용 시간의 차이로 볼 때 박지분청은 요대, 금대, 서하 자기의 직접적 영향이 아닌 이들 자기문화의 영향이 남아있는 원대 자기와 그 연관성이 있음을 이야기하였다. 이러한, 박지분청과 중국 북방계 자기의 연관성은 여말선초 시기 중국 북방지역과의 무역과 귀화인의유입에 따른 사회적 변화와 새로운 문물의 유입에 의한 영향으로 보았다. 이외에도, 박지분청이 상감분청과 기종과 문양을 공유하고 있어 비슷한 시기에 제작되었음을 주장하였다. 중국 元明 교체기 조선에는 많은 사회적 변화가 발생하였다. 그리고, 박지분청사기는 도자사적 관점에서 이들 사회변화를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자기이며 또 이러한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고할 수 있다. There have been lots of studies on Buncheong Ware, but there weren’t many studies on Buncheong Ware with Sgraffito. Previous studies on Buncheong Ware with Sgraffito have just suggested that it was designed and advanced from Inlaid on Face, and both Incised and Sgraffito were linked with Cizhou-yao(磁州窯) of China. After comparing Sgraffito of China with that of Korea, Sgraffito, used in the 15th century of Joseon Dynasty, is similar to that in inner Mongolia(內蒙古) and in Liaoning province(遼寧省), and it is also found that both the materials of patterns and the expression have the similarity with the ware in Liao(遼), Jin(金), and Western Xia(西夏) of China. However, given the difference in usage time of 200 to 300 years, it can be said that Buncheong Ware with Sgraffito was not directly influenced by Liao(遼), Jin(金), and Western Xia(西夏). but influenced by the remaining Yuan Dynasty ceramics cultures. This relationship between Buncheong Ware with Sgraffito and the Northern Chinese ceramic was attributed to the trade with northern China and the influx of naturalized people in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Periods, which led to the introduction of procelain and a series of social changes. It was argued that Buncheong Ware with Sgraffito and Inlaid Buncheong were produced at the same time due to the same pattern and model of them. There were many social changes in Joseon during the during the late Yuan and early Ming periods. In addition, Buncheong Ware with Sgraffito is an important porcelain that can give a glimpse of these social changes from a ceramic history perspective, so it can be said to be meaningful in this resp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