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에서의 신학대학원 기독교교육 교과 분석과 교회교육 전문가 양성 과제

        나삼진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3 기독교교육논총 Vol.36 No.-

        Church education leaders in charge of church education and seniorpastors with the final responsibility for church education have importanteffects on church education but do not receive education correspondingto their importance. This study analyzed the Christian educationcurriculum in the theological seminary curriculums of seven majorreligious orders in South Korea and discussed the tasks of bringing upChristian education professional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study thus proposed the roles and importance of senior pastorsand church education leaders in church education and analyzed thetheological seminary curriculums and Christian education courses ofPTS, GTS, KTS, HTS, KMTS, STS, and KBTS. The analysis results revealthat church education leaders received no education corresponding totheir responsibility in the theological seminary curriculum in SouthKorea in spite of their long service in church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proposed to innovate a curriculumbased on the needs of church, expand the education to include variousprofessional ministers beyond pastors, and establish a Christian educationsociety for the improvement of theological seminary curriculum. The study further proposed to expand the Christian education courses in atheological seminary curriculum, introduce a system of pastor ordirector of Christian education as a Christian education professional,and provide today’s pastors with unified standard textbooks related toChristian education in order to bring up church education professionals. 교회교육을 책임진 교육 지도자나 교회교육의 최종 책임을 지고 있는 담임목사는 교회교육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면서도 이에 상응하는 교육을 받지 못하고 있다. 이 논문은 한국에서의 중요 7개 교단의 신학대학원 교육과정에서 기독교교육 교과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기독교교육 전문가 양성 과제를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교회교육에서 담임목사와 교회교육 지도자의 역할과 중요성을 각각 제시하고, 장신대, 총신대, 고신대, 한신대, 감신대, 서울신대, 침신대의 신학대학원 커리큘럼과기독교교육학 교과 개설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 분석을 통해 한국에서의 신학대학원 교육과정에서 오랫동안 교회교육에 종사하는 교육 지도자가 그 책임에 상당하는 교육을 받고있지 못함을 발견하였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신학대학원 커리큘럼 개선에 대해 교회의 필요를 기반으로 한 커리큘럼 혁신, 목회자를 넘어 다양한 전문사역자 양성으로 확대, 신대원에 기독교교육학회 설치를 제안하였다. 또한 교회교육 전문가 양성을 위해 신학대학원 커리큘럼에서 기독교교육학 교과의 확대, 교회교육 전문가로서의 교육목사 혹은교육사 제도의 도입, 기독교교육학회 차원에서 목회자 양성에 필요한 통일된 기독교교육학 관련 표준교과를 제시할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한국교회 교단교육의 정책과 수행 비교연구

        나삼진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2 기독교교육논총 Vol.32 No.-

        Accountability and roles of departments of denominational education are important in developing Christian education in Korean chur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educational policies and performance of the denominational education departments of the seven denominations, including four major Presbyterian Churches(Presbyterian Kosin, Tonghap, Hapdong, and Kijang), Korean Methodist Church, Holiness church, and Baptist church, denominations that occupy 80% of Korean church in number. The researcher in this comparative study identifi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nominational education in Korean church were faithfulness to basic ministry such as publishing Sunday school textbooks and cultivating teachers as a main ministry, integration or separation of education and publication, and conducting various administrative work assistance based on the needs of denominations. This study analyzed the strengths, weaknesses, opportunities, and threats of educational policies and performances of each denomination, using the SWOT analysis proc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presented as follows: for each denomination, intensifying professionalism of education department, reinvesting profits from publishing textbooks to education,and converting the structure of church education centered on denomination into the one centered on denominations’ association; for the academic societies of Korean Christian education, cooperation and alliance between professors and educational experts and cultivating practically capable people based on educational church fields; and for educational experts,developing professional knowledge as practitioners of church education and selecting improvements of communication and exchange with those who are responsible for policies in education departments. 한국교회 기독교교육 발전에 교단 교육부의 책임과 역할이 중요하다. 이 연구에서 한국장로교 4개 교단(예장고신, 예장통합, 예장합동, 기장)과 감리교, 성결교, 침례교 등 일곱교단 교육부의 교육정책과 수행을 비교, 연구하였는데, 이들 교단은 숫적으로 한국교회의80%를 차지하고 있다. 이 비교연구를 통해 한국 기독교 교단교육의 특성을 교재 발간과 교사양성 등 기본사역에 충실, 중요사역으로서의 교사양성, 교육과 출판의 병행 혹은 분리, 그리고 교단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유관기관 행정 업무 보조를 함께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각 교단의 교육정책과 수행을 SWOT분석기법에 따라 강점, 약점, 기회, 위협 요소를 분석하였다. 연구자는 이러한 연구를 기초로 각 교단에는 교육부(국)의 전문성 강화하고, 교재출판에서 나오는 수익을 교육에 재투자할 것과, 교단중심의 교회교육 구조를 교단연합으로 변경할 것을 제안하였고, 한국기독교교육학계에는 교수와 교육전문가들의 교연 협력과 연대 및 교회교육 현장 기반의 실무형 인재 양성을 제안하였으며, 교육전문가들에게는 교회교육 실천가로서 전문가적 소양을 함양하고, 교육부 정책 담당자들의 소통과 교류를 개선방안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복음과 상황"이 함께하는 복음주의 기독교교육의 모색

        나삼진 ( Sam Jin Na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1 성경과신학 Vol.59 No.-

        그리스도인은 자신이 속한 세계와 그 상황 속에서 영향을 주고받으며 살아간다. 그러므로 기독교교육에서는 분명한 기독교 복음을 오늘의 상황 가운데서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의 과제에 봉착한다. 한국 복음주의 기독교육학계에서는 이 문제에 대해 깊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해 왔다. 이 ``복음과 상황``의 문제가 신학적으로는 상황화 신학으로 발전해 번역 모델, 인류학적 모델, 실천 모델, 종합 모델, 초월 모델 등으로 나타난다. 한국에서 ``복음과 상황``의 문제는 토착화 신학과 관련하여 인류학적 모델과 민중신학을 중심으로 실천 모델이 발전되었고, 남미를 중심으로 교육과 신학 분야에서 해방운동은 이 문제에 대한 깊은 논의가 있었음을 살폈다. 연구자는 이러한 논의를 기반으로 복음과 상황이 함께 가는 복음주의 기독교교육학을 모색하여 기독교교육학의 통전적인 접근, 복음주의 기독교교육학의 실천성의 회복, 다원주의 사회에서의 기독교 교리교육의 강화, 문화와 상황에 대한 가치관 교육 실시, 복음과 상황을 고려한 성경공부 교재의 개발, 유연성과 창의성을 가진 기독교교육 등 여섯 가지의 실제적인 방향을 제시하였다. Christians live, exchanging influences with the world that they belong to and the situations that they are in, which raises a question as to how to teach the distinct Christian Gospel in Christian education in today`s context. It is unfortunate that the question has not received profound research attention in Korea`s Evangelical Christian education community. The question of "Gospel and Context" has theologically evolved into Contextual Theology, resulting in the translation, anthropological, praxis, synthetic, and transcendental model. In Korea, the question of "Gospel and Context" developed a practice model centered around the anthropological model and Minjung Theology in relation to Indigenization Theology. In South America, the Liberation Movement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theology deeply discussed the question. The investigator examined Evangelical Christian Education that involved both Gospel and Context based on those discussions and proposed six practical directions, which include a wholistic approach toward Christian education, recovery of practicality in Evangelist Christian Education, reinforcement of Christian doctrine education in a pluralism society, education of values about culture and context, development of Bible study materials by considering Gospel and Context, and Christian education with flexibility and creativity.

      • KCI등재

        한국교회 교회교육 지도자 양성 방안 연구

        나삼진 ( Sam Jin Na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4 성경과신학 Vol.71 No.-

        한국 교회의 교육은 비전문가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고, 비전담성과 비전문성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교회교육의 갱신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교회교육지도자 양성이 필요한데, 연구자는 이를 미국 교회의 교육사 제도에서 찾고자 한다. 미국 교회의 교육사 제도는 교회교육의 꽃과 같은데, 체계적인 양성과 계속교육을 통해 교회교육에 상당한 성과를 얻고 있다. 한국 교회에서 교육사 제도는 감리교, 예장통합측, 예장고신측에서 논의되고 법제화되었지만 아직 활성화되고 있지는 못하다. 교회교육 전문직으로서 교육사는 직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성경과 신학, 기독교교육의이론과 실천, 기독교교육 실습 등의 분야에서 적절한 훈련이 필요하다. 연구자는 한국교회 교회교육 지도자 양성 방안으로 신학대학원의 목회학석사 프로그램의 다변화와 전문화, 기독교교육학 석사 교육과정의 실제적인 개편,그리고 작은 교회가 다수인 한국 교회를 고려할 때 비전임 평신도 교육 지도자를 양성할 것으로 제안하였다. Education in the Korean church is being carried out by nonprofessionals, generally not fully committed and unprofessional. In order to renew and innovate church education, there is a need of systematic training for church educational leaders. The researcher desires to find it in the educational system for Director of Christian Education in the American church. The Director of Christian Education in the American church has a significant role and is producing significant outcome through consistent and systematic training. Although the system of Director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has been discussed and enacted in the Korean Methodist Church,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and Presbyterian Church in Korea, it is not being actively promoted. As a professional Christian educator, the Director of Christian Education must be trained in the Bible and Theology, the theory and application of Christian Education, and the practice of Church Education in order to effectively carry out his/her duty. As the training plan for the Korean Church educational professionals, the researcher suggests diversification and development of professionalism in the Master of Divinity program in the seminary, restructuring Christian Education curriculum in a practical matter in Christian colleges, as well as training laymen as church educator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many small Korean church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