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정용 로봇의 피드백 움직임과 접근-회피 행동에 따른 사용자 경험 연구: 작업 수행 상황을 중심으로

        나경화,김환주,강현민,Na, Gyoung-Hwa,Kim, Hwan-Ju,Kang, Hyun-Min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1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9 No.8

        팬데믹으로 인해 생활의 중심이 집으로 이동함에 따라 집을 다양한 활동에 최적화된 공간으로 만들어줄 수 있는 가정용 로봇의 개발이 활발하다. 이 연구는 로봇이 작업을 수행하는 상황에 따라 피드백을 하기 위한 접근 또는 회피 움직임이 사용자 경험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작업 수행 상황과 움직임 조건에 따라 6가지 시나리오를 구성하여, 각 조건에 따른 호감도, 인지된 지능, 친밀감, 부정적 태도, 행동 예측가능성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작업 수행 상황에서는 인지된 지능과 친밀감, 행동 예측가능성에서 주효과가 나타났고, 움직임 조건에서는 호감도, 인지된 지능, 친밀감에서 주효과가 나타났다. 상호작용 효과는 호감도와 인지된 지능에서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로봇의 움직임에도 접근-회피 경험을 적용할 수 있고, 회피에 따른 부정적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Due to pandemic situations, the development of home robots that can make the house an optimized space for various activities is active. This study aims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approach or avoidance behavior for feedback positioning on the user experience, depending on the context in which the robot performs the task. Based on two types of the task contexts(Reactive vs. Proactive) and three types of robot feedback positioning(No move vs. Avoidance vs. Approach), six different scenarios were designed for experimental study. Likeability, perceived intelligence, rapport, negative attitude and predictability of behavior are measured for each conditions. The result showed the main effects of perceived intelligence, rapport, predictability in the context of tasks, and of likability, perceived intelligence, rapport in robot feedback positioning. The interaction effects were shown in likeability and perceived intelligence. In conclusion, approach-avoidance experiences can also be applied to robot behaviors as well, and the negative effects of avoidance have been significantly confirmed.

      • KCI등재

        음성 에이전트 상호작용에서 선행 발화가 사용자 경험에 미치는 영향 - 스마트홈 맥락에서 대화 유형 조건을 중심으로 -

        강예슬,나경화,최준호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1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7 No.1

        이 연구는 스마트 홈 환경에서 대화 주제 유형에 따라 음성 에이전트의 선행 발화 방식이 사용자 경험에 미치 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과제 중심적 대화와 관계 중심적 대화의 두 가지 대화 유형을 바탕으로, 스마트 스피 커의 발화 방식을 선행 발화와 후행 발화로 구분하여 네 가지 시나리오를 제작하였다. 온라인 실험을 진행하여 총 62 명의 참가자를 발화 방식에 따라 두 그룹으로 나누어, 대화 유형의 두 가지 시나리오를 진행하게 하고, 호감도, 심리 적 저항감, 지각된 지능의 사용자 경험 요인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대화 유형 중 과제 중심적 대화에서 호감도의 주효과가 나타났고, 발화 방식에서 선행 발화에 대한 심리적 저항감의 주효과가 나타났다. 선행 발화 방식은 과제 중 심적 대화에서 호감도와 지각된 지능을 높이는 효과를 보였다. The study aim to test the effect of voice agent’s preceding utterance type on the user experience in the smart home contexts by conversation types. Based on two types of conversation (task-oriented vs. relationship-oriented conversations) and two types of utterance (preceding vs. response utterances), four different scenarios were designed for experimental study. A total of 62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y utterance type, and exposed to two scenarios of the conversation types. Likeability, psychological reactance, and perceived intelligence were measured for the user experience of conversational agent. The result showed main effects of likeability in task-oriented conversations, and of psychological reactance in preceding utterances. The interaction effect demonstrated that preceding conversation improved the likeabilitty and perceived intelligence in the task-oriented conversations.

      • KCI등재

        일반유아 어머니들의 결혼이주여성 및 다문화가정 자녀들에 대한 인식 측정도구 개발

        구효진,김량희,나경화 한국아동권리학회 2010 아동과 권리 Vol.14 No.4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 및 그들 자녀에 대한 일반유아 어머니의 인식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이에 대한 타당도 검증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예비검사와 본 검사가 실시되었으며, 이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연구 및 개별 인터뷰를 통해 가설적 6요인이 구성되었으며 내용타당도 분석을 거쳐 해당 유형에 적합한 37개 문항이 선정되었다. 이에 대해 일반유아 어머니 30명을 대상으로 예비검사를 실시한 결과 12문항이 제거되어 총 25문항이 선정되었다. 둘째, 일반유아 어머니 275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본 검사에서 6개의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Cronbach a는 .74 ~.83이었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구조모형이 적합하며 최종 6요인들 사이의 상관관계가 모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준타당도 분석을 위해 Ponterotto, Rieger, Barrett, 그리고 Sparks(1995)의QDI(The Quick Discrimination Inventory) 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각 변인별로 유의미한 정적 및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이는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일반유아 어머니들의 ‘결혼이주여성 및 그 자녀들에 대한 인식'이 측정가능하다는 것을 뒷받침해주는 연구결과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measurement scale of perspective of kindergarten children's mother toward immigrant women and their multi-cultural children. The developed 37-item perspective scale through content validity with 5 experts in the field of education was piloted on the subjects of 30 kindergarten children's mothers. After item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25 items of the reviewed perspective scale toward immigrant women and their multi-cultural children were carreid out on 275 subjects of kindergarten children's mother in Southern Jeolla-province. Through reanalyz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25 items were chosen. The results of confirmative analysis of 25-item scale of the final perspective scale toward immigrant women and their multi-cultural children proved the model fitness of six-factored structure with relatively high reliabilities between .74 and .83 and well-acceptable fit index(RMSEA=0.04, TLI=0.94, CFI= 0.95).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perspective scale toward immigrant women and their multi-cultural children and QDI(The quick discrimination inventory) also showed the validity of the final scale. Both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were discussed with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 KCI등재

        일상생활 속 구체물 조작활동이 발달지체 유아의 수개념 발달에 미치는 효과

        구효진,김혜영,나경화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1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concrete materials operative activities in daily life on number concept format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40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aged 3 to 6 selected from special schools in Daejeon and Chunan. Th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concrete material operative program as an experiment tool and a measuring instrument were designed on the basis of literature review and discussion with a group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experts.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concrete materials’ operative activities for 4 weeks with 16 sessions. Pre and post test were carried out to both of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an independent and paired sample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ncrete materials operative activities had influence on overall number concept formation of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Second, concrete materials operative activities had an effect on improvement of number concept sub-domains(classification, measurement, rank, cardinal numbers, one-to-one correspondence, ordinal numbers, space sense and time sense)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In conclusion, to explore and operate concrete materials in daily life helps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to improve their number concept. Therefore further studies should focus on the development of concrete materials operative activities suitable for higher mathematical function(calculation, number writing, combination) rather than number concept to improve the overall quality and effect of special mathematical education. 본 연구는 일상생활 속 구체물 조작활동이 발달지체 유아의 수개념 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대상은 대전과 천안시에 위치한 통합유치원 특수학급에 등원중인 만 3~6세 발달지체 유아 40명이었으며 이들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나누어 20명씩 무선 배치하였다. 실험도구인 구체물 조작활동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을 위한 측정도구는 선행 연구들을 기초로 유아특수교육 전문가 집단의 자문 및 논의를 통해 구성되었다. 실험집단에 속한 유아들을 대상으로 4주 동안 총 16회기에 걸쳐 구체물 조작활동이 진행되었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유아 모두에게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체물 조작활동은 발달지체 유아의 전체 수개념 발달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둘째, 구체물 조작활동은 발달지체 유아의 수개념 하위 영역 중 분류, 측정 및 서열, 기수, 일대일 대응, 서수, 공간, 시간 능력 형성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일상생활 속 구체물을 직접 탐색하고 조작해보는 활동은 발달지체 유아의 수개념 발달에 효과적이라는 것이 보고되었다. 따라서 발달지체 유아의 기초적 수개념 발달 뿐 아니라 수 연산, 조합, 숫자쓰기 등과 같은 보다 높은 단계에서의 수학적 개념 발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에 적합한 구체적 조작활동에 대한 후속연구가 실시되어야 함이 제언 되었다.

      • 완전자율주행 차량의 비주행 맥락별 Ambient Light 디자인 연구

        김시완(Siwan Kim),나경화(Gyounghwa Na),전수진(Soojin Jun) 한국HCI학회 2023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완전자율주행 차량의 핵심적인 비주행 맥락을 선정하여 각 맥락에 맞는 요구 사항을 파악한 후, Ambient Light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안하는 것이다. 문헌조사와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를 진행하여, 빛의 색상과 움직임에 따른 사용자의 감정과 행동, 인식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Ambient Light 의 디자인이 비주행 맥락에 따라 다르게 제공되어야 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엔터테인먼트와 휴식은 동일한 맥락안에서도 행위에 따라 다른 요구사항이 발견되었고, 전체적으로 업무와 휴식은 서로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색상은 개인의 색상 선호도나 인식에 따라 맥락안에서도 다른 결과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움직임에 대한 니즈는 전반적으로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엔터테인먼트 맥락에서 콘텐츠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빛의 색상과 움직임을 보여주는 자동화에 대한 니즈가 나타났다. 이에 따라 4 가지 Ambient Light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는 완전자율주행차량의 상용화가 가까워지는 시점에서 비주행 맥락을 구체적으로 구분하여 Ambient Light 의 디자인 방향성을 제안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미혼성인의 이성교제 특성과 구강건강행위 및 관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경희 ( Kyeong-hee Lee ),김나영 ( Na-yeong Kim ),나경화 ( Kyoung-hwa Na ),조라연 ( La-yeon Cho ),정은서 ( Eun-seo Jung ) 한국치위생학회(구 한국치위생교육학회) 2018 한국치위생학회지 Vol.18 No.2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providing more effective basic data for adults ’oral health management in their future. Methods: The study investigated factors that influence oral health care and oral health behavior depending on the heterosexual status for about one month from Aug. of 2017 on 20 unmarried adult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do. Statistical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WIN 21.0 statistical program. Results: The factors affecting the oral health behavior were high (p<0.001) while oral hygiene products (p<0.05) and interdental toothbrush (p<0.05)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oral health behavior.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times of brushing were less than three (p<0.05) and the time for brushing was two minutes (p<0.05), which negatively affects oral health behavior. The concern of oral health was high (p<0.001), whiledental hygiene products (p<0.05), interdental toothbrush (p<0.05) and mouth saliva (p<0.05)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oral health care.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above, it was found that the concern and the behavior of oral health increased depending on the heterosexual status.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motivation for oral care is more likely to be induced to make oneself attractive by making a resignation. Therefore, in order to promote oral health care and oral health activities, it is necessary to precede the motiv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