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질적지표에 의거한 학습장애 학생을 위한 수학중재연구 분석

        나경은,서유진 한국학습장애학회 2010 학습장애연구 Vol.7 No.2

        This study systematically analyzed a total of 14 intervention studies, which were published between 2000 and August 2010, for the mathematical performance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LD) in terms of its characteristics and effect sizes. Additionally, this study reviewed the quality of 14 studies using the quality indicators proposed by Gersten et al. (2005) and Horner et al. (2005) to identify the evidence based practice in mathematics for students with L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athematics interventions were provided mainly for students with LD in elementary school. Second, most of the mathematics interventions were developed targeting for the basic arithmetic skills, such as addition, subtraction, and the word problem-solving skills of students with LD. Third, the effect sizes for group-, quasi-experimental studies and single-subject design studies were relatively high demonstrating that average effect sizes across group/quasi-experimental studies and single-subject design studies were d=1.89, PND=97%, resectively. Fourth, no group-, quasi-experimental studies met the essential and desirable quality indicators of Gersten et al.(2005) so that it was difficult to identify the evidence-based practice in the group/quasi-experimental intervention studies which were effective for enhancing the mathematical performance of students with LD. Lastly, only two single-subject design studies met the quality indicators of Horner et al.(2005). but failed to met the criterion to identify as the evidence-based practice. Consequently, it was also difficult to identify the evidence-based practices in the single-subject design studies in mathematics for students with LD. 본 연구에서는 2000년부터 2010년 8월까지 발표된 학습장애 학생들의 수학 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총 14편의 중재연구들의 특징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고, 효과크기를 살펴보면서 중재 효과성에 대한 통계수량적인 정보를 제공하였다. 또한 Gersten 외(2005)가 제시한 집단설계와 준집단설계 연구의 질적지표와 Horner 외(2005)가 제시한 단일대상연구의 질적지표를 기준으로 각 연구에 대한 질적 분석을 시도하였고, 각 연구의 질적지표 충족도 분석결과를 통해 학습장애 학생들의 수학능력 향상을 위한 증거기반 실제가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재연구들의 연구대상은 대부분 초등학교 학습장애 학생들이었다, 둘째, 중재의 독립변수는 인지, 초인지 전략이 대부분으로 다양한 중재가 제공되지 않았으며, 중재의 종속변수는 학습장애 학생들의 기초연산력이거나 기초연산을 통한 문장제 문제 해결력으로, 다양한 수학영역에서의 학습장애 학생의 수학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중재가 시도되지 않았다. 셋째, 집단연구와 단일대상연구들의 평균 효과크기는 각각 d= 1.89, PND=97%로 매우 큰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넷째, 총 7편의 집단, 준집단 중재연구 중 Gersten 외(2005)가 제시한 집단, 준집단설계 연구의 필수질적지표와 권고질적지표들을 충족하는 연구는 없었다. 또한 Gersten 외(2005)가 제시한 수용가능한 질(acceptable quality)이나 높은 질(high quality)을 만족한 연구는 없었기에, 학습장애 학생의 수학능력 향상을 위한 증거기반 실제를 선정하는 것은 어려웠다. 마지막으로, 총 7편의 단일대상연구 중 Horner 외(2005)가 제시한 단일대상연구의 질적지표를 충족하는 연구는 단 두 편 뿐이었고, 증거기반 실제로서의 기준을 만족하지는 못하여 단일대상연구에서도 학습장애 학생의 수학능력향상을 위한 증거기반 실제를 선정하는 것이 어려웠다.

      • KCI등재

        난독(증) 학생지원조례에 관한 부모의 인식과 요구분석

        나경은 한국학습장애학회 2019 학습장애연구 Vol.16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arents’ perceptions and needs on the ordinance by local government for students with dyslexia and drew policy suggestion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ordinance. To this end, 48 parents of children with dyslexia were surveyed by developing a questionnaire asking for their overall perceptions on the ordinance by local government for students with dyslexia and their awareness and demands on the appropriateness and necessity of individual provisions. As results, the overall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support of the cities and provinces in which more than 60% of the par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were aware of the ordinances, but the overall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support of the resident cities and provinces was very low. It was also found to be very low on questions about the policy process (i.e., whether the opinions of the parties were collected, the contents of student support were adequate, the student support project planning and execution process were transparent, and the student support projects were effective). Meanwhile, through descriptive questions, the importance of preparing internal issues such as public education accountability, establishment of a system to support students with dyslexia, and enhancement of professionalism were emphasiz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ovided with discussion on the direction of public education. 본 연구에서는 난독증 진단을 받은 자녀의 부모들을 대상으로 난독(증) 학생지원 조례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조례의 실효성을 높이는 정책적 제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난독(증) 학생지원에 대한 전반적 인식, 개별 조항의 적절성과 필요성에 관한 인식과 요구를 묻는 설문지를 개발하여 난독증 자녀의 부모 4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에 참여한 부모들 중 60% 이상이 난독(증) 학생지원 조례에 대해 알고 있었지만 거주하는 시⋅도의 지원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 수준은 매우 낮았다. 당사자의 의견이 수렴되었는지, 학생지원의 내용이 적절했는지, 학생지원 사업계획 수립 및 집행과정이 투명했는지, 학생지원 사업들이 효과적이었는지를 묻는 질문에 대해서도 인식하고 있는 수준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서술형 문항을 통해 공교육 책무성, 난독(증) 학생지원 시스템 구축, 전문성 강화 등 내실화 마련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이들을 위한 교육 지원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Mathematical Word-problem Solving Interventions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LD) in Grades 5-12: A Synthesis of the Literature

        나경은 국립특수교육원 2009 특수교육연구 Vol.16 No.2

        This paper is a synthesis of studies examining the effects of mathematical word-problem solving interventions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in the fifth through twelfth grades. A search of the published literature in peer-reviewed journals between 1989 and 2007 yielded a total of eleven intervention studies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in this grade group that met the criteria for this synthesis. Findings indicated that the interventions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those employing schema-based intervention(n=6), those replying on cognitive/metacognitive intervention(n=4), and that primarily incorporating representational technique(n=1). While the studies employing schema-based intervention produced the highest effect sizes(mean ES=2.21) in group studies, and medium effect(mean PND = 77.88%) in single-subject design studies, one study employing representational technique produced the smallest effect size(ES=0.34). Additionally, relevant issues for future research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후보

        학습장애 학생의 수학문장제 해결 기술에 대한 도식기반중재의 효과

        나경은 한국학습장애학회 2010 학습장애연구 Vol.7 No.1

        A schema-based instruction allows students to approach a mathematics problem by focusing on the underlying semantic or problem structure, thus facilitating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adequate skills. However, intervention studies have failed to control students reading skills and suggested that future research needs to focus on more homogeneous group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chema-based interven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schema-based intervention on the mathematical word problem solving skills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who have mathematics goals in their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 controlling their reading skills. A nonconcurrent multiple baseline design was used for the study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chema-based intervention for 4 school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on the multiplication and division word problems solving skills. Findings revealed that the four students’ performance substantially improved after they received the intervention on the achievement and generalization test which was developed by reflecting students' interests. Also, students maintained their word problem solving skills and were satisfied with the intervention. These findings provided empirical evidence that schema-based intervention was effective in teaching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to solve multiplication and division word problems. Limitations of the research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도식기반교수는 학생들이 수학문장제의 의미론적 구조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문제의 개념적 이해와 적합한 문제해결 기술 발달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기존의 도식기반 중재연구에서는 대부분 학생의 읽기수준을 통제하지 못해왔으며, 향후 연구에서는 학생의 읽기 수준을 통제한 후 좀 더 동질한 집단을 대상으로 도식기반중재의 효과를 조사해야 한다고 제안해오고 있다. 따라서 수학문장제 문제를 읽고 이해할 만큼의 읽기 능력을 가진 학습장애아동 중에서 개별화 교육프로그램에서 수학 영역에 대해 학습목표를 갖고 있는 아동의 수행에 대한 도식기반 중재의 효과를 탐색해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동시적 중다기초선설계(non-concurrent multiple baseline design)를 사용하여 읽기능력이 기준수준 이상이면서 수학 영역에 어려움을 갖고 있는 학습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곱셈과 나눗셈 문장제 문제해결에 대한 도식기반중재의 효과를 조사 하였다. 연구결과 참여아동 모두 중재 후 검사에서 기초선 단계보다 훨씬 우수한 성취를 보였으며, 도식기반전략 중재를 통해 얻은 수학문장제 문제 해결능력을 각자의 흥미를 반영하는 문제 상황에 일반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식기반전략 중재를 통해 얻은 수학 문장제 해결능력을 매우 잘 유지했으며, 도식기반전략 중재에 대해 만족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도식기반중재가 읽기 수준이 통제된 학습장애 아동에게 곱셈과 나눗셈 문장제 문제를 가르치는데 효과적이라는 경험적 증거를 제공한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에 대한 함의점이 함께 논의되었다.

      • KCI등재

        PBL 기반 특수교육학개론 수업을 통한 예비일반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과 통합교육 교사효능감 변화 분석

        나경은 국립특수교육원 2023 특수교육연구 Vol.30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ways to enhance the teacher efficacy on inclusive education along with raising awareness of inclusive education and the teacher efficacy on inclusive education among pre-service general teachers through PBL-based class of 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 To this end, PBL task performance plans, individual reflection journals, and team activity reports were first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repetitive comparative analysis. In addition, in order to analyze the change in teacher efficacy of pre-service general teachers, it was measured using Teacher Efficiency for Inclusive Practices (TEIP), which has undergone validation in Kore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PBL-based class of 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 pre-service general teachers showed the process of changes in awareness of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 awareness on the inclusive education field, and perception of instructional desig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 efficacy of inclusive education was improved through PBL-based class of introduction of special education, and the difference in pre-post efficacy for all 14 response sampl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it was found that pre-service general teachers changed their perception of the PBL method through PBL-based class of 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for PBL-based class of 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 and discussions for enhancing the pre-service general teachers’ teacher efficacy on inclusive education were provided. 본 연구는 PBL 기반 특수교육학개론 수업을 통해 예비일반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과 통합교육 교사효능감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예비일반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제고와 함께 통합교육 교사효능감 제고 방안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통해 PBL 과제수행계획서, 개별성찰일지, 팀활동보고서 등을 분석하였으며, 예비일반교사의 통합교육 교사효능감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국내에서 타당화 작업을 거친 Teacher Efficacy for Inclusive Practices(TEIP)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일반교사들은 PBL 기반 특수교육학개론 수업을 통해 특수교육대상학생에 대한 인식, 통합교육 현장에 대한 인식, 수업설계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변화하는 양상을 보였다. 둘째, 예비일반교사들은 PBL 기반 특수교육학개론 수업을 통해 통합교육 교사효능감이 제고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14개의 대응 표본 모두에 대한 사전-사후 효능감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일반교사들은 PBL 기반 특수교육학개론 수업을 통해 PBL 수업방식에 대한 인식이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PBL 기반 특수교육학개론 수업과 예비일반교사들의 통합교육 교사효능감 제고를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특수교육 교사양성 체제에 관한 연구 분석

        나경은 한국교육방법학회 2019 교육방법연구 Vol.3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search topics and research methods carried out in the studies on education in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training phase,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the qualification system and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 future. To accomplish the purpose, the trends, research themes, and research method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training in 37 papers selected from the inclusion criteria was to investigate focusing on the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from 1998 to 2018.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rom year to year, except for 2000-2001, 2012, and 2016, 1 to 5 studies were published annually from 1998 to 2018. Second, the subjects of the analysis were 'research on the training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ccording to disability area', 'research on the training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broad', 'research on the training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t school level', and 'qualification and qualifica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ird, in terms of research method, 37 papers were analyzed into 4 quantitative studies, 4 qualitative studies, 25 literature studies, and 4 mixed studies. In addition to discussing the above result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이 연구의 목적은 교원양성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에 관한 연구들을 중심으로 어떠한 연구주제와 연구방법들을 가지고 수행되었는지 분석하여, 향후 특수교육 교사양성 자격제도 및 교육과정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1998년부터 2018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들을 중심으로 포함준거를 통해 선정된 37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특수교육 교원양성에 관한 연구들의 동향, 연구주제, 연구방법 측면에서 분석했다. 연구결과 첫째, 연도별 추이를 살펴보면, 2000-2001, 2012, 2016년도를 제외하고는 1998년 이후 2018년까지 매년 1편에서 5편의 연구가 발표되었다. 둘째, 분석대상의 주제는 ‘장애영역에 따른 특수교육 교사양성에 관한 연구’, ‘국외 특수교육 교사양성에 관한 연구’, ‘학교급별 특수교사 양성에 관한 연구‘, ‘특수교육 교사양성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특수교육 교사의 자질과 자격’으로 유목화되었다. 셋째, 37편의 분석대상 논문 중 양적연구는 4편, 질적연구는 4편, 문헌연구는 25편, 혼합연구는 4편이었다. 이상의 결과에 대한 시사점을 기술한 후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했다.

      • KCI등재

        DSM-5에서 특정학습장애 진단기준의 변화가 국내 학습장애 학생 선정에 주는 시사점

        나경은,서유진 한국학습장애학회 2013 학습장애연구 Vol.1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nges of diagnostic criteria for specific learning disabilities in DSM-5 and to explore implications for school-based diagnostic criteria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in South Korea. For this purpose, the revised principles and procedures of DSM-5 recently published by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were reviewed, and then the changes of specific learning disabilities in DSM-5 were investigated compared with DSM-IV. Also, the diagnostic criteria of specific learning disorders defined in DSM-5 and identification and diagnostic criteria of learning disabilities used in schools in South Korea were compared and analyzed. Based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implications on the diagnostic criteria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d suggestions for supports and cooperations for establishing the future diagnostic criteria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in South Korea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출판된 DSM-5에서 특정학습장애에 대한 진단기준이 어떻게 개정되었는지 살펴보고,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학교기반 학습장애 진단기준과 적용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미국 정신의학회에서 발행한 DSM-5의 개정 원리와 절차를 검토한 후, 특정학습장애에 대한 진단기준이 DSM-IV의 학습장애 진단기준과 비교하여 어떻게 새롭게 개정되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DSM-5에서 정의한 특정학습장애 진단기준과 국내의 학교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진단기준을 비교, 분석해보았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DSM-5의 특정학습장애 진단기준이 국내 학습장애 진단에 주는 시사점, 향후 학습장애 진단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지원과 협력방안 등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