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시인성 LED 횡단보도 조명설계

        김후성(Hoo-Sung Kim),주재영(Jae-Young Joo)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18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Vol.32 No.1

        We proposed high visibility smart LED lighting for solve existed crosswalk lighting system problems. To improve recognizability of pedestrian on signal situation, bright and illuminates of crosswalk and near side, brightness should be established over minimum horizontal illumination(24lx) which driver can recognize obstacles and pedestrian on the crosswalk. Moreover, we reduce brightness of a vertical angle with cut-off light distribution to improve visibility of pedestrian and driver with reduction glariness. We design color-wave flexible LED module for maintain high-uniformity of brightness. Moreover, we proved that the recognizability of driver to pedestrian could be improved with uniformed brightness on crosswalk and near side using simulation tests. Thus, the traffic accident rate on crosswalk could be decreased.

      • 커버 가동에 의한 실내용 천정조명기구 눈부심 제어

        김후성(Kim Hoo-Sung),여인선(Yeo In-Seon)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7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7 No.5월

        This study attempts to prove a superiority of slide-cover lighting.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cover materials with slide-type, blind cover should be prepared to make it easy to replace the light bulbs in a short time and to introduce a sense of decorative taste. Depending on an user's linking, slide-type cover can always change the indoor atmosphere by adjust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ing and meeting with the blind unit.

      • KCI등재

        치매 예방을 위한 교구재 디자인 색상 적용 연구 -노인의 색 지각 변화 특성에 기반하여-

        김응철(Kim, Eung Cheol),김후성(Kim, Hoo S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6 No.1

        우리나라는 저출산 및 인구의 고령화로 인하여 노인인구 수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며, 노인인구 수 만큼 치매 환자 수 또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2024년에는 그 수가 10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기억력, 문제 해결력, 지남력이 악화되고 감정의 변화가 잦아지는 치매 초기에는 비약물적 치료를 통하여 인지능력의 저하를 늦출 수가 있다. 이러한 비약물 치료의 보편화된 방법이 치매 예방 교구를 사용하는 것이다. 교구란 특정한 학습 목표를 이루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을 말하는데, 노인치매 예방 교구는 그 대상과 교구를 활용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가 확실하기 때문에 노인의 특징을 고려하여 교구 디자인이 이루어져야 하지만 국내의 치매 예방 교구는 치매 환자만을 고려한 것이 아니라, 인지 능력 개발이 필요한 다수를 대상으로 하므로 치매 환자가 사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는 노인의 시각 능력 특징을 분석하여 치매 초기 비약물 치료의 한 종류인 치매 예방 교구에 사용된 색상의 사례 분석을 통하여 현재 치매 예방 교구의 한계점을 확인하고 향후 치매 예방 교구 색채디자인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으로는 첫 번째, 문헌 및 인터넷 조사를 통하여 치매 환자의 특징과 국내 치매 환자의 일반적 특징을 조사하였고, 둘째, 비약물 치료에 대해 알아보았다. 세 번째로는 노인의 일반적 특징을 심리, 신체, 지각 능력으로 구분하여 그 특징을 알아보았다. 네 번째로 교구는 시각 정보를 바탕으로 학습자를 사고하게 하여 학습 목표에 맞는 행동을 끌어내기 때문에 시각 정보 중 중요한 색상에 관하여 노인의 특징 중 시각 능력의 특징을 문헌 연구를 통하여 정리하였다. 다섯 번째로 국내 치매 환자 요양원에서 실제 사용하고 있는 치매 예방 교구를 유선 조사하여 제품에 사용된 색상을 조사, 분석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치매 환자의 시각적 능력을 바탕으로 색상 선정 시 고려해야 할 요소를 정리하여 색상 선정과 제품에 적용하는 과정을 정리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치매 환자의 실정을 바탕으로 국내 치매 환자 요양원에서 사용하는 제품을 사례 조사하였기 때문에 제품의 적용을 국내에 판매중인 제품으로 한정하였으며, 노인의 색 지각 능력 또한 황변화 증상을 가진 노인으로 한정하여 연구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노인의 시각 능력의 특징은 황변화로 인하여 파란색, 보라색과 같은 단파장의 색상이 검은색과 구별이 어려우며, 심한 경우 명도 차이를 통해 색상을 구분한다는 것이었다. 이에 따라, 가시광선의 7가지 색상이 각각 배경색으로 사용되었을 때를 앞의 2가지 노인의 시각 특징을 바탕으로 하여 치매 환자를 위한 교구에 색채 적용을 위한 고려 요소를 정리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현재 국내에 시판 중인 치매 예방 교구 3가지를 대상으로 하여 제품에 사용된 색상을 분석하였는데, 3가지 제품 모두 노인의 시각 능력을 고려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앞서 정리한 고려 요소를 바탕으로 치매 환자를 위한 제품의 색상 선정 과정을 정리하여 2가지, 3가지 색상을 선정하는 과정을 예시로 정리하였다. 비록 이렇게 선정된 색상이 실제 노인 치매 환자를 통한 사용성 평가를 하지 못했다는 한계점이 있지만 본 연구가 치매를 예방하려는 노인 혹은 치매 환자에게 필요한 제품 디자인 제안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number of elderly people is on the rise due to the low birth rate and aging population in Korea, and the number of dementia patients is expected to increase by the number of elderly people, which is estimated to reach 1 million by 2024. In the early stages of dementia, where memory, problem solving, and endurance deteriorate and emotional changes become frequent, non-pharmacological treatment can slow down cognitive decline. A common way to treat these non-drugs is to use anti-dementia teaching aids. teaching aids is what is used to achieve a specific learning goal, which is intended to be achieved by using the teaching aids and the target for the elderly, so the design of the teaching aids should be made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but it is difficult for dementia patients to use as the teaching aids in Korea are not only for dementia patients, but also for many who need to develop cognitive skil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isual ability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to identify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anti-dementia teaching aids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future anti-dementia parish color design through case analysis of the colors used in the anti-dementia parish, a type of early non-drug treatment. The first research method for this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dementia patients 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dementia patients in Korea through literature and Internet research, and second, to find out about the treatment of non-drugs. Thirdl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were identified by their psychological, physical and perceptual abilities. Fourth, because the teaching aids draws actions that fit the learning goals by causing learners to think based on visual information, the characteristics of visual ability among the elderly are summarized through literature studies regarding the important colors of visual information. Fifth, the color used in products was investigated and analyzed by a wired survey of the anti-dementia teaching aids that are actually used in domestic dementia care centers. Finally, based on the visual ability of dementia patients, the color selection and application process were organized by organizing factors to consider in color selection. The research limited the application of the product to products that are being sold in the country because it investigated the products used in domestic dementia patient nursing homes based on the actual conditions of dementia patients in Korea, while the senior citizens’ ability to perceive colors was also limited to those with symptoms of yellow change, resulting in order to produce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characteristic of the older people’s visual ability was that the colors of short wavelengths such as blue and purple were difficult to distinguish from black due to yellow change, and in severe cases, the colors were distinguished through differences in names. Accordingly, the factors considered for color application to the teaching aids for dementia patients were summarized based on the two previous older people’s visual characteristics when each of the seven colors of visible light was used as background colors, and based on them, the colors used in the products were analyzed based on the three currently available dementia prevention teaching aids in Korea, and all three products were analyzed without consideration of the visual ability of the elderly. Based on the previously arranged factors, the color selection process of products for dementia patients is organized and the process of selecting two or three colors is summarized as an example. Although there are limitations to the fact that these selected colors have failed to assess usability through actual elderly dementia patients, we hope that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for product design suggestions for elderly or dementia patients who want to prevent dementia.

      • KCI등재

        상황적 범죄 예방 이론을 활용한 여성 안전귀가 시스템 디자인 연구

        김윤중(Kim, Yoon Joong),김후성(Kim, Hoo S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6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2 No.3

        사회의 발전이 거듭되며 범죄 예방에 대한 관심과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한 노력이 증대되고 있다. 현재 범죄 예방에 관련된 대책들이 많이 존재하지만, 여전히 곳곳에 미흡한 요소가 남아있어 범죄 예방 효과를 얻지 못하는 경우가 나타난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범죄 대책들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기술 활용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운영되는 안전귀가 대책들의 문제와 본질적인 범죄 예방 속성을 파악하여, 속성의 장점을 살리며 동시에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형식의 안전귀가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통계, 논문 자료, 기사, 문헌 등의 리서치를 통해 오늘날 발생하고 있는 범죄 형태의 현황을 조사하였고, 이를 통해 여성 귀갓길 범죄 예방의 필요성을 중심으로 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안전귀가를 위해 어떤 대책이 운영되고 있는지 조사하여 이것을 4가지 범주로 분류하여 구분한 뒤, 클라크(Clarke) 범죄 예방 이론을 기준으로 속성과 문제점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문제점과 속성을 현재 여러 곳에서 활용되고 있는 IOT 기술 드론 기술과 적절히 조합하여, 다양한 관점에서 이점과 실효성을 가진 새로운 안전귀가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5대 강력 범죄 중 타 범죄에 비해 증가의 추세로 발생하고 있는 성범죄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연구의 타깃층은 여성으로, 홀로 안전하게 귀가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는 서비스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시스템의 구성에 활용된 기술은 IOT(사물인터넷) 기술과 드론 기술이며, 범죄예방 대책에서 분석된 속성을 바탕으로 IOT 환경과 드론 기술을 활용하여 다양한 범죄 예방 속성을 지닌 새로운 범죄 예방 대책을 제안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IOT 환경에 드론 기술을 접목한 개인용 범죄 예방 드론으로써, 밤길에 홀로 귀가하는 여성을 범죄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역할을 하는 범죄예방 시스템이다. 시스템 구성에는 앞서 분석한 4가지 성범죄 예방 대책의 속성을 적절히 활용하였으며, 동시에 각각의 예방 대책이 가진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향으로 구성하여 진행하였다. As social development has repeated, effort and interest in crime prevention and self-protection are increasing. Even though there are many measures for crime prevention, there are still insufficient things left in many places, which leads to situation not to receive prevention effect. In this situation, many technology utilization studies are in progress. Thus,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essential attribute of crime prevention and current operating back-home measures, and suggest new form of safe back-home system strengthening its strength of the attribute and solving the problem at the same time. About the study method, it researched status of crime form that is occurring these days through stat, thesis, article, and reference, and carried out the research focusing on the necessity of female back-home crime prevention. Also, it researched what measures are operating for safe back-home and categorized the result into 4 categories and found out attributes and problems based on Clarke"s crime prevention theory. It properly blended found problems and attribute with IOT drone technique that has been used widely, and suggested new safe back-home system that has advantages and effectiveness in various viewpoint. The range of the study focused on sexual crime that is increasing compared to other crimes of five violent crimes. Since the target of the study is female, it suggested service design to help safe back-home alone. Used technique for system composition is IOT technique and drone technique, and it suggested new crime prevention measure having various crime prevention attributes using IOT environment and drone technique based on analyzed attributes at the crime prevention measure.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personal crime prevention drone that drone technique is applied on IOT environment, which is the crime prevention system that may protect female who goes back home alone from crime. At system composition, it properly used aforementioned four attributes of sexual crime prevention measures, and it composed to the direction to solve problem that each prevention measure has and carried out.

      • KCI등재

        화장품 산업에서의 디자인 콜라보레이션과 소비자 구매결정에 관한 연구

        김응철(Kim, Eung Cheol),김후성(Kim, Hoo S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4 No.1

        소비자들이 브랜드 가치를 우선시하는 시대가 도래하면서 콜라보레이션이 새로운 마케팅 수단으로 등장하였다. 최근 화장품 산업에서도 콜라보레이션은 새로운 마케팅 수단으로 많은 브랜드에서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 산업에서 콜라보레이션이 소비자에게 어떠한 가치를 주며, 소비자의 구매결정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가를 알아보고 앞으로 관련 산업에서 디자인 콜라보레이션 전략을 기획 진행 시 고려해야 할 것들을 살펴보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 내용으로, 첫째, 문헌 연구를 통하여 콜라보레이션의 정의를 알아보고 화장품산업에서 이루어진 다양한 콜라보레이션 사례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 화장품 산업에서의 콜라보레이션은 외적 디자인을 소재로 한 콜라보레이션과 제품 자체의 변화를 통한 새로운 제품 혁신 콜라보레이션으로 구분되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디자인 콜라보레이션에 한정하여, 2015년부터 2017년 상반기까지 국내 화장품 브랜드에서 이루어진 디자인 콜라보레이션 사례를 캐릭터 아이덴티티, 비주얼 아이덴티티, 리패키지 아이덴티티의 3가지 구체적 유형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사례와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셋째, 20~30대 여성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피터 모빌의 허니콤 모형을 근거로 디자인 콜라보레이션의 3가지 유형에 대해 소비자경험 측면에서 구매 요인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캐릭터, 비주얼, 리패키지의 3가지 각 유형을 활용하는 브랜드 전략이 각각 다르며, 각 유형별마다 목표하는 시장 및 소구하는 소비자층이 다르다는 것을 사례를 통하여 확인 하였다. 또한, 허니콤 모델을 활용한 5가지 측면에 대한 레이더차트를 활용하여, 각 유형별 전략의 한계를 가늠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서, 국내 주요 화장품 회사가 디자인 콜라보레이션을 통하여 새로운 가치를 소비자에게 전달하려는 전략을 살펴보았고, 분석한 사례 등을 통하여 향 후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보다 다양하며 새로운 전략 도출을 기획하는 데에 근거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As the age when consumers regard brand value as the most important value, collaboration has emerged as a new marketing tool. In the cosmetics industry in recent years, collaboration has been utilized by many brands as a new marketing tool. This study examined the value of collaboration to the consumer in the industry and the effect of the value on the purchase decision of the consum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tilize the industry as a basic data to look into what to consider in the planning process of design collaboration in the cosmetics industry in the future. The study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we analyzed the definition of collaboration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analyzed various cases of collaboration in the industry.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collaboration in the cosmetics industry is divided into a collaboration based on the external design and a new product innovation collaboration through the change of the product itself. Second, from the period of 2015 to the first half of 2017, the case of design collaboration in the domestic cosmetics brand was classified into three types of character identity, visual identity and repackage identity. Third,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female consumers in 20s and 30s age. Based on the honeycomb model of Peter Mobil, we analyzed the purchasing factors in terms of consumer experience for the three types of design collaboration.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is confirmed through the case that the brand strategy that utilizes each of the three types of characters, visual, and repackages is different. The target market and the appealing consumer group are also different regarding each type of identity. Using the radar charts on the five aspects of the honeycomb model, we were able to gauge the limitations of each type of strateg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major cosmetics companies in Korea are exploring strategies for delivering new value to consumers through design collabora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examples, we planed to develop more diverse and new strategies that can enhance customer satisfaction. We hope that this research data will be used as a fundamental resource for further related study.

      • KCI등재

        한국 대중 음악 음반 커버 디자인의 표현 요소 트렌드 변화 연구

        김응철(Kim, Eung Cheol),김후성(Kim, Hoo S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6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2 No.2

        컴퓨터 및 모바일 네트워크의 발달과 함께, 대중 음악 소비자들이 음악을 소비 하는 방법이 변하고 다양해지면서 음반(Album)이 갖는 의미 또한 변하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국내 많은 대중가수들이 음반을 발매할 때, 음반 패키지 등에도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특히 아이돌 가수를 주로 기획하는 음반기획사에선 시각 디자인 요소(Visual Design Elements)를 활용하여 부가산업으로써 확대될 수 있게 많은 심혈을 기울이는데, 이러한 노력의 결과, 국제 디자인 어워드에서 국내 음반 패키지가 매해 수상을 하며 세계적으로 그 수준을 인정 받고 있다. 이러한 앨범 패키지에서 음반 커버 디자인은 앨범에 대한 정보를 시각화하여 보여줌과 동시에 음반 구매자나 청취자의 시각적 욕구를 만족시키며 그 시대적 시각 표현 트랜드를 구축하며 또한 관련 디자인 표현요소를 형성해 왔다. 이 연구는 2000년 이후 발매된 국내 음반 커버 디자인의 시각적 표현 특성을 사진, 일러스트, 타이포그라피, 하이브리드적 표현 위주의 4가지 유형으로 세분화하고 동 시대적 표현 경향 및 트랜드를 분석 이해하여 관련 디자인의 기초 연구 자료로 활용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으로는, 온라인 음악 서비스 업체인 지니(www.genie.co.kr)社가 제공하는 2000년부터 2015년까지의 연간챠트에서 상위 30개의 음반의 커버, 수집된 총 480개의 음반 커버를 범위로 한정하여, 위의 4가지의 유형으로 음반 커버 디자인 표현 특성을 분석하고 그 배경을 이해 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음반 커버의 표현요소의 트렌드 변화는, 첫째, 사진 위주에서 타이포그래피로의 비중의 확대, 두번째, 시리즈 형태의 음반 커버의 증가, 마지막으로 사진 합성을 통한 음반 내용의 스토리텔링 전달 방식의 표현 방식으로의 변화이다. 이러한 배경에는 소비자가 활용할 수 있는 음악 기기와 그 GUI의 발전, 음반 패키지의 다양화 및 대중음악에서의 선호되는 음악 장르의 다양화 등의 배경적 이유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음반 커버 디자인이 끊임없이 변화하는 음악 산업에서 단순히 음반의 부속물로써가 아닌 독립적인 객체로 표현 트랜드를 이해하고, 표현 방법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여 독창적인 음반 커버 디자인 및 관련 디자인 개발의 기초 연구 자료로 본 연구 결과가 활용 되었으면 한다. With development of computer and mobile network, customer’s music consuming ways have been changed and diversified, so the meaning of album has been changed. Because of this, many of Korean singers have invested in album packages. Specially, some record companies who is mainly planning idol singer(or band) are devoted to visual design elements what to be able to be expanded as supplementary industry. As a result of these trying, many album packages and design elements what are associated with singer are awarded in international design awards and the level has been recognized worldwide. In album packages, these album cover designs not only show some information visually about the album but also promote the album by satisfying the consumer and listener for purpose and they have formed a trend. This study categorized album cover designs into four groups as Photography based type, Illustration type, Typography type and Computer graphic type and found the design trend in album cover design. And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to be refereced as basic research data proposing a design development of album cover design according with the trend after being released in Korea after 2000. For this study, selected 480 album covers, from top 30 songs in annual chart from 2000 to 2010 provided by Genie, online music service supplier and checked the trend of album chart in various ways and found the backgrounds. As a result, the trend of album cover designs are as follows. First, increasing in the portion of typography in photography based type, second, increasing of album cover series and finally, increasing of cover using collages. Backgrounds for this trends are as follows. development of devices, consumer and listener can use or utilize, and UI of the device, diversfication of album packages, and finally diversfication of music genres what people prefer. This study expect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to be refereced as basic research data for developing album cover design as a independent object in album rather then accessory of album, and for satisfying the consumer’s music consuming ways in the everchanging music industry.

      • KCI등재

        O2O기반 커피전문점 서비스 스케이프 디자인 연구

        김윤중(Kim, Yoon Joong),김후성(Kim, Hoo S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6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2 No.2

        본 연구는 온라인의 소비자와 오프라인의 판매자를 연결해주는 플랫폼 기술인 O2O를 통해 새로운 서비스의 성격을 지닌 커피전문점 서비스 스케이프 디자인을 연구하였다. 연구의 목적으로는 현재 운영되고 있는 커피전문점 서비스 스케이프의 다양한 문제를 종합적으로 해결하기 위함으로, 소비자의 니즈에 초점을 맞추어 O2O 기술의 활용방안을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기존의 서비스 스케이프보다 확장된 형태의 새로운 서비스 형식을 제안하여 차별화된 서비스 영역의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한 연구의 방법으로 인터넷 리서치와 문헌조사, 통계자료조사를 통한 커피전문점과 O2O 기술에 대한 자료수집과 현황 파악, 니즈 파악을 진행하였으며, 자료분석을 통한 기술 활용방안과 서비스 디자인 모델과 시나리오를 제안하였다. 또한, 서비스 스케이프의 문제점을 고객 편리성 문제, 공간 환경적 문제, 근무자 환경 문제의 3가지 범주로 분류하여 사례 조사를 통해 문제점을 추출하여 문제 해결을 제안하였다. 규모적인 서비스 스케이프 디자인인 점을 고려하여 연구의 범위는 프랜차이즈 커피전문점을 중심으로 진행하였고, O2O 기술에서의 범위는 Beacon(비콘), NFC(근접무선통신) 그리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에 집중하여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론으로는, 현재 상용화된 O2O 기술 중 NFC와 Beacon을 중심으로 새로운 서비스 모델을 디자인하였으며, 서비스 모델의 진행 방식을 아이콘의 형식으로 구성하여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시하여 다양한 이점을 분석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ervice scape design of coffee shops that has the characteristics of new service through O2O, the platform technology that connects consumers online and sellers offline.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comprehensively solve various problems of service scape that the currently run coffee shops are facing. For doing this, the study analyzed the utilization method of O2O technology focusing on the needs of consumers, and proposed the new service type in an extended form that the existing service scape did not have in an aim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differentiated service area. For the study methods, collection of data and investigation of the current situation and needs of the coffee shops and O2O technology were conducted through the Internet research, literature review, and statistical data investigation. Through data analyis, the study suggested the technology Additionally, categorizing the problematic spectrum into three classes - consumer convenience problems, spatial/ environmental problems and employee environment problems, a case study was conducted to extract information on the problems after which solutional suggestions were made. Considering that it is a service scape design with a scale, the range of the study focused on the franchise coffee shops, and the range of O2O technology focused on Beac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and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n conclusion to the case studies, focus was directed on NFC and Beacon - compository elements of the currently commercialized O2O technology - and a new service model was designed through which a solution system was proposed that allowed analysis of diverse vantage points for solving the extracted problems.

      • KCI등재후보

        유기론적 조형성 맥락에서 용기제품 형상화 과정 연구 : 유기론적 형상화 과정을 중심으로

        김지은(Kim Ji Eun),김후성(Kim Hoo Sung)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2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2 No.2

        유기론적 패러다임은 모더니즘의 기계론적 사고 범위의 한계를 극복하고 인간과 자연 및 환경 간의 새로운 확장적 관계성의 구축을 시도하고 있다. 현대 과학의 급속한 발달은 기존의 물리적인 개념을 초월한 개방성과 개체성의 유기적 개념을 확립하며 비선형적 현상에 대한 새로운 디자인 개념으로 표현되어지고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기론적 패러다임의 기초 개념을 기반으로 유기론적 특성을 나타내는 조형요소를 발견하여 이를 오브제와의 연관성에서 적용하는 형상적 표현의 특징적 조형화 프로세스를 실험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 유기론적 패러다임의 개별 특성 중에서 오브제와의 유기적 요소들을 추출하는 관찰을 통해 이를 토대로 조형적 특징으로 나타날 수 있는 표현 요소를 용기제품 디자인에 적용시키는 새로운 디자인 형상성 개발 모델 프로세스를 단계적으로 정리 하였다. 이를 통하여 표현된 특징적 형태들은 새로운 조형 트랜드 표현방법으로 적용되어 나가는 형태화 과정을 연구 하였다. 유기적 새로운 형상성이 기술적 요인과 더불어 더욱 발전된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과학적 진보를 통한 기능성과 유기적 형태가 조화되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개념적 디자인 프로세스를 기대해 본다. Organicism paradigm is trying to overcome the limits of mechanistic thought of the modernism and to build a new expanded relationship among people, nature and environment. The rapid development of modern science establishes the organistic concept of openness and individuality beyond the existing physical concepts and they are expressed as new design concepts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nonlinear phenomen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rganistic morphology elements reflecting the organistic characters based on basic concepts of organicism paradigm and test the morphological process which may appear in organic association with object. As a study method, first, we did case study to extract elements which have organic association with object amo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nonlinear paradigm. We applied it into the container product design representing the morphology based on results of case study and made the new design development model process. New forms found through this procedure were applied as the morphological elements of container product design to test the morphological process. If more developed studies on organic new morphology are conducted together with technical factors, the conceptual design process with new paradigm in which functionality and organic form are harmonized through scientific advances will be expected.

      • KCI등재

        건설현장 내 산업재해 감소를 위한 안전 사이니지 시스템 디자인 연구

        김윤중(Kim, Yoon Joong),김후성(Kim, Hoo S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4 No.1

        본 연구는 기존 안전표지의 한계성 및 변화하는 노동환경을 파악하고 다문화 근로자를 포함한 산업재해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디지털 안전표지 시스템 디자인 개발 방향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첫째, 문헌 조사를 통하여 전 산업에서의 산업재해 현황과 건설업의 산업재해 특성을 발견하였다. 둘째, 국내 건설현장의 안전표지 실태를 조사하여, 현행 안전표지 시스템의 한계를 파악하였다. 셋째, 건설업에 종사하는 다문화 외국인 노동자의 노동실태를 조사하여 연관된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넷째, 건설현장 내 노동자 및 관리자를 대상으로 인뎁스 인터뷰를 진행하여 그 내용을 바탕으로 안전표지 시스템 디자인 개발에 필요한 요소를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앞서 도출된 요소들과 해외의 사례를 참고하여 디지털 사이니지를 활용한 안전표지 시스템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문헌 조사 결과, 해가 갈수록 건설업의 산업재해율은 증가하며 외국인 근로자의 비중과 산업재해율 또한 매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 하였다. 현재 건설현장의 안전표지 시스템은 종류가 많고 통일되어있지 않으며 특히, 다문화근로자의 언어, 문화, 인지, 가치 등 개인적인 인식 방법에 따라 안전표지에 대한 이해도가 각각 다르고 의미의 전달성이 다르게 반응하여 그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새로운 안전표지 시스템 개발을 위한 필요요소를 조사하기 위하여, 건설 현장 3곳을 방문하여 현장 관리자, 내국인 및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현행 안전 관리시스템의 문제점에 대해 심층 인터뷰를 진행 하였다. 인터뷰 결과를 분석하여, 안전 관리 시스템 개발을 위한 요소를 시스템 운용 요소, 활용 요소, 다문화 고려 요소의 3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도출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다문화 근로자를 고려한 디지털 사이니지를 활용하는 안전표지 시스템의 구성과 그래픽 활용의 예를 제시하였다. 향후, 국내 및 다문화 근로자의 개별적 문화 배경, 언어, 인지수용과정 등 세부화된 요인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고, 또한 사용자 경험 측면에서 효용성 있는 인지요소 발견과 정보전달 방법에 대한 심층적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digital safety marking system in order to identify limitations of existing safety signs and changing working environment and to reduce industrial accidents including multicultural workers. First, through the literature survey, we found the status of industrial accidents in all industri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accidents in construction industry. Second, we investigated the actual status of safety signs in domestic construction sites and identified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safety sign system. Third, I investigated the actual situation of multicultural foreign worker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found problems related to them. Fourth, we conducted in - depth interviews with workers and managers in the construction site and derived the elements necessary for the design of the safety mark system based on the contents. Finally, the safety sign system design using digital signage is presented by referring to the above - mentioned factors and overseas cases. According to the literature survey, the industrial accident rate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increases as the year progresses, and the proportion of foreign workers and the industrial accident rate also increase every year. Currently, there are many kinds of safety marking systems on construction sites. They are not unified. Especially, according to individual recognition methods such as language, culture, cognition, and value of multicultural workers, understanding of safety markings is different, It was found that the efficiency was low.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quirements for developing a new safety label system, we visited three construction sites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field managers, domestic and foreign workers on the problems of the current safety management system. The results of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and the elements for developing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were divided into three aspects: system operation factor, utilization factor, and multicultural factor. Based on the results, we have presented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and graphic application of the safety sign system that utilizes digital signage considering multicultural workers. In future, it is necessary to study detailed factors such as individual culture background, language, cognitive acceptance process of domestic and multicultural workers, and further study on effective cognitive element discovery and information delivery method in terms of user experience is needed.

      • KCI등재

        아동용 인터랙티브 스마트 토이의 복합 감정 표현 방안 연구 - 사용자의 얼굴 표정과 음성을 통한 감정 분석 중심으로 -

        김형규(Kim, Hyung Kyu),김후성(Kim, Hoo S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7 No.1

        인간의 모습을 한 아동용 장난감은 인류 역사와 함께 발전해왔으며, 현대사회에서 아동은 사회성 및 자아 형성을 인형을 통해 이루고 있다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전통적 인형은 사용자인 어린이의 일방적 의사소통의 대상이었다면, 최근 개발되고 있는 스마트 토이는 양방향 의사소통이 가능하고 다양한 기술을 통해 그 기능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단순한 언어적 정보를 기반의 의사소통을 넘어 사용자와 감정을 교류할 수 있는 스마트 토이의 표현 방안을 연구하여 제시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선행연구를 통해 스마트 토이의 일반적 현황을 알아보았으며, 둘째, 본 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의인형 인터랙션 스마트 토이의 정의와 사례를 조사하였다. 세 번째로 의인형 인터랙션 스마트 토이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여 사용자와 스마트 토이 간의 감정 전달표현 방안을 크게 시각 정보, 음성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감정을 보다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모델링 하였다. 멀티모달 감정인식 프로그램을 통하여 아동의 대화장면을 분석하여 표정과 음성을 통한 그 정확도를 확인하였으며, 분석 결과, 표정만을 통해 사용자의 감정을 분석하는 것보다 음성과 함께 복합감정 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감정을 분석할 경우, 감정 교류의 정확도가 더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스마트 토이에 적용 가능한 표정 시각화 예를 제시하였다. 인터랙션 스마트 토이는 입력된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 이에 알맞은 자료를 스피커, 디스플레이 혹은 모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하여 지속적인 인터랙션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제작된 대화 영상 자료를 활용하여 비대면 분석 방법으로 진행된 결과이므로 일반적으로 분석 결과가 낮게 나타난 경향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인터랙티브 스마트 토이의 표현을 보다 사실감 있게 전달할 수 있는 정량화된 방법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그 의의를 둔다. Children’s toys in human form have developed along with human history, and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children form sociality and self-building through dolls in modern society. If traditional dolls were subject to one-sided communication by children who are users, the recently developed smart toys are capable of two-way communication and their functions are gradually expanding through various technolog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and present Smart Toy’s representation method that allows users to interact with emotions beyond simple verbal information-based communication. To this end, the study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ways: Firstly, we investigate the general status of smart toys through prior research and secondly, investigate the definitions and examples of anthropomorphic interaction smart toys covered in this work. Thirdly, we present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anthropomorphic interaction smart toys to model a computer program that can analyze users’ emotions more accurately through large visual and voice information. The children’s conversation scene was analyzed through a multi-modal emotion recognition program to verify the accuracy through facial expressions and speech, an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accuracy of emotion recognition was higher when analyzing users’ emotions through complex emotion analysis with voice alone. Based on this, we present an example of a facial expression visualization applicable to smart toys. Interaction Smart Toys should deliver the information entered through the cloud server to users through speakers, displays, or motion to ensure continuous interaction, but in this study, the analysis results tend to be low because it is a non-face-to-face analysis method using existing video data. However, it is significant that we utilize these analytical methods to present one way to study more realistic representation methods with quantified methods for smart toy representations of interactive smart toy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