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메논』에 나타난 교수의 교육철학적 고찰

        김회용 진주교육대학교 1996 論文集 Vol.4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philosophically Socrates's teaching methodology in Plato's Meno. I attempted first to analyze Socrates's failure to help Meno acquire the answers to questions about the nature and acquisition of virtue and Socrates's success to teach the slave-boy on mathematics. One reason was that the teaching on virtue was the traditional Socratic method and it on mathematics was Plato's method. Another reason was that Socrates had a bad student. Meno was shown as a student who refused to follow the direction of his teacher while the slave-boy followed it. The third reason was resulted from students' wills to seek their answers to questions about study. In case of Meno, he was not interested in even his own question about the acquisition of virtue. The fourth reason was stemmed from Socrates's homosexuality feeling to Meno. Because of this, Socrates subverted his teaching to please his student, Meno. The fifth reason was caused from different characters between moral knowledge and mathematics, In contrast to mathematics where the teacher can easily and logically replace the slave-boy's false opinions with knowledge, moral knowledge cannot be acquired while the student hold false opinions. Because of these reasons, Socrates failed to help Meno acquire the answers about virtue. Next, I tried to get a hint from Socrates's educational methodology for current education. First, teachers should know essential knowledge on subject matters ahead of teaching students those. Second. "power over" in classroom was replace with "power with"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Finally, the notion of good teachers was to be changed from good teachers who organized the knowledge about subject matters logically and systematically to good teachers who can give a chance for studennnts to have a time for seeking answers about questions.

      • KCI등재

        철학적 탐구 공동체 방법에 근거한 통합적 도덕교육의 효과에 관한 문화 기술적 연구 : 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김회용 한국교육학회 2005 敎育學硏究 Vol.43 No.2

        The advocates of philosophy for children contend that the community of philosophical inquiry is an integrative approach to moral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it. For the qualitative data collection, 10 elementary teachers interested in the philosophy for children were interviewed to check the expectations, results and suggestions of the philosophy class. And the 5th grade classroom participated in the philosophy program was observed for 34 weeks, and the teacher and students were interviewed to check effects of it.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teachers emphasized it helped students to develop skills to converse with others and higher thinking ability, to concern about others, to improve sense of community and an ability to judge uprightly. Students were improved in moral abilities to say logically and listen to carefully, to work well with other people, and to form self-identity.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more opportunities were given to students to learn the program continuously and systematically. Though there were many difficulties in proceeding this study for students who had never participated in the class based on philosophical background, the classes of this type should be encouraged and spreaded to more students. 철학적 탐구공동체 방법에 근거한 통합적 도덕교육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탐구공동체 수업을 실시한 경험이 있는 교사들과 수업을 받은 학생들의 지각 및 학생 행동의 변화를 분석하였다.교사들은 탐구공동체 활동이 학생들의 사고력 신장, 도덕적 규범 실천에 효과적이며, 수업 후 학생들이 의미 있는 변화를 보였다고 밝혔다. 이 수업의 성공적 정착을 위해서는 학생들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철학적 교수학습 방법 개발 및 교사의 철학적 소양과 도덕적 모범이 선행되어야 함을 강조했다.학생들은 사고기술 및 문장 활용에서 뚜렷한 진전을 보였고, 공동체 활동 유지에 필요한 덕목들의 중요성을 명백히 인지했으며, 그것을 탐구공동체 토론 활동에 상당 부분 실천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인지한 규범의 실천은 여전히 미흡했다.탐구공동체 수업에 보다 많은 학생들이 참여하게 되었고, 논리적 근거도 상당히 보완되었다. 그러나 탐구 내용이 심화되면서 발생한 지적 능력이 낮은 학생들의 소외는 탐구공동체 활동의 성공적 정착을 위해 극복되어야 할 문제였다.

      • KCI등재후보

        영재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 개발

        김회용,박수홍 대한사고개발학회 2009 사고개발 Vol.5 No.1

        There has been an amounting interest and subjects in gifted education in recent years as a number of studies dealt with the development of gifted education programs. However, leadership program area remained as a low profile in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and materials that meet the varying curiosities and needs of gifted students with a focus on their characteristic development. This study developed a leadership program, or democratic leadership for the gifted. Leadership has been a designated talent area in the definition of gifted students who require a differentiated program. While there is no single best definition of leadership, we assume the leadership for the gifted as a democratic and reflective leadership. The reflective leader is influential through the force of his or her ideas and the communication with others. Students gifted in any of the talent areas have the potential to lead by contributing influential ideas to their chosen fields and by communicating and gathering others' thoughts and opinions. To be a reflective leader, self-control, caring and cooperative problem solving leadership are needed. We made a plan for developing these leaderships. 영재가 공동의 목적과 목표를 위해 효과적으로 협력하는 지덕체를 겸비한 사회지도자가 될 수 있도록 영재리더십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관련 연구를 토대로 영재리더십을 ‘영재 개인이나 공동체의 비전을 구성원들과 함께 창출해 내어, 그러한 비전을 향해 함께 나아갈 수 있도록 배려하고 안내하여 이끌어 주는 과정’으로 정의하였고, 자기관리리더십, 타인배려리더십, 협력적 문제해결 리더십을 영재리더십의 주요소로 설정하였으며, 포커스그룹 인터뷰(FGI)를 통해 영재리더십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였다. 자기관리리더십의 하위역량으로 자기진단능력, 개인비젼생성 및 실현능력, 자기관리능력, 타인배려리더십의 하위역량으로 공감적 의사소통능력, 갈등관리능력, 비젼공유능력, 협력적 문제해결 리더십의 하위역량으로 타인과 함께하는 능력, 실제적 문제해결 능력, 효율적 의사결정 능력을 설정하여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 KCI등재

        상상력과 교육의 관계 연구

        김회용 대한사고개발학회 2015 사고개발 Vol.1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hilosophical concept of imagination focusing on Plato, Aristotle, Hume, Kant and Bachelard, and Kieran Egan’s Imaginative Education. In Plato’s work and Aristotle’s, the imagination is a faculty that copies what is in the world. According to Kant, followed to Hume’s work, the imagination is a powerful agent for creating as it were a second nature out of the material supplied to it by actual nature. Bachelard’ concept of imagination was affected by Kant’s, and Kieran Egan concurred with Bachelard’s view in the fusion of the imagination and reason. Egan is an educational philosopher whose emphasis on imagination. He offers us a new theory that describes education in terms of a sequence of kinds of understanding. He characterizes several distinctive ways of understanding as the Somatic, Mythic, Romantic, Philosophic and Ironic ways of knowing. Learning in Depth program (LiD) is designed as an additional contribution schools can make to students' education. LiD is both easy to implement and does not cost much to do so, and yet it delivers a very considerable educational benefit to students, especially for developing students' imagination. Egan’s main idea, that education does reside in mastery of cognitive tools and acquiring knowledge because all knowledge is human knowledge, gives our education a special meaning 본 연구는 상상력의 개념을 역사적으로 규명하고, 키렌 이건의 상상력 이론과 교수·학습 활동을 분석하였다. 상상력 개념의 역사는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로 대별되며, 근대의 흄과 칸트로 이어진다. 칸트의 ‘창조적 상상력’은 현대의 바슐라르에게 영향을 미치고, 상상력과 이성적 능력의 결합에서 바슐라르와 의견을 같이하는 이건은 상상력과 교육의 문제를 집중적으로 조명하였다. 이건은 사회화, 학문적 이데아, 발달이론이 불완전하게 공존하는 기존의 교육을 비판하고, 대안으로 ‘마음의 이해’와 ‘인지도구’ 이론을 제안하였다. 그는 인류의 주요한 정신적인 도구를 바탕으로 인간의 마음이 ‘신체적, 신화적, 낭만적, 철학적, 반어적 이해’의 단계로 발달하며, 각각의 이해 단계에 적합한 인지도구를 제안하고, 인지도구를 최대한 활용하는 교수·학습 활동을 예시하였다. 이러한 교수·학습활동을 통한 지식에 대한 깊은 이해는 학습자의 상상력 신장에 기여할 것으로 보았다.

      • KCI등재

        초등학교 인격교육에 관한 논의

        김회용 한국초등교육학회 2000 초등교육연구 Vol.13 No.2

        인격교육은 습관과 실천을 통한 성품의 도야에 중점을 두고 있다. 1920-30년대의 인격교육은 도덕원리 접근법의 비판을 받았고, 최근의 인격교육은 도덕원리 접근법을 극복하는 대안으로 제시되었다. 1980년대에 미국에 재등장한 인격교육은 초기의 인격교육과는 달리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측면을 통합한 성격을 띠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1995년 교육개혁위원회의 교육개혁 방안에서 중요성이 강조된 후, 제7차 교육과정에서 도덕교육의 핵심적 근거가 되었다. 인격교육에는 도덕적 이상주의, 보수주의, 교화, 모호성과 불명확성의 문제가 내재되어 있었고 학교현장에서의 현실적 어려움도 있었다. 인격교육의 성공을 위해서는 도덕교육의 통합적 접근이 필요하고, 아동 주변인물들의 적절한 역할이 기대되며, 초등현장에서는 학년과 내용을 고려한 방법이 요구되었다. This study was to discuss on characte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Character education, as old as education itself, is a wide tent, covering a variety of approaches to building good character. Moral education goes through cycles. It oscillates between teaching moral principles and moral virtues. In the past few years character education has emerged as the leading term for school efforts to implement programs in the area of moral values, ethics and citizenship education. Advocates of character education believe the breadth and directness of their approach offer the most promising response to the social-moral problems that beset modem societies. There are at least three compelling reasons why all schools should be engaged in character education. The first is that we need good character to be fully human The second is that schools are better places for moulding good characters. The third is that it is essential to the task of building a moral society. Character education is based on virtue ethics which is a very old view. But many moral education theories like Lawrence Kohlberg rejected the virtues approach to moral education, criticizing it 'bag of virtues' approach But the recent supporters for character education call for balance and harmonies between affect and cognition. Character education had many problems inherently, such as moral idealism, conservatism, indoctrination, ambiguous and not certain waning. And also it will not be easy to have full realization of character education, considering current situations of Korean elementary schools. Those required to achieve all the goals of character education were moral theories harmonizing virtue ethics and duty ethics, and proper roles of all the related persons with child, such as teachers, a principal, parents, peers. In the elementary school, the methods for character education have to differ from age, grade and subject.

      • KCI우수등재

        지식기반 사회에서의 철학적 탐구공동체를 통한 유아 사고력 계발 방법 연구

        김회용 한국교육학회 2003 敎育學硏究 Vol.41 No.2

        본 연구는 유아 사고력 계발 방안으로 철학적 탐구공동체를 활용한 어린이철학교육의 이론적 근거와 방법론 모색을 목적으로 하였다. 어린이에게 철학교육이 불가능하다는 기존의 신념은 철학을 철학사적 지식의 체계로만 간주하는 철학에 대한 오해와 Piaget 인지발달론에 근거한 어린이의 사고 능력 부족에 근거하고 있었다. 그러나 철학의 본질은 ‘생각에 대한 생각으로서의 철학함’에 있고, Piaget 인지발달이론은 성인의 관점에서 어린이의 지적 능력을 파악한 것이라는 비난으로부터 자유롭기 어려웠다. 반면, 언어를 매개로 한 교수-학생 및 학생간의 상호작용이 인지발달을 촉진한다는 Vygotsky 이론은 어린이 철학교육의 이론적 근거가 되었다. 철학교육의 궁극적 목적은 철학의 본질상 ‘의미와 가치 탐구’가 되어야 한다. 그러나 기존의 철학적 탐구공동체는 지나치게 형식적 추론에 치우친다는 비난을 받고 있었다. 때문에 철학교육의 본질적 성격에 입각한 방법으로 대화식 수업의 원형인 소크라테스식 대화와 기존 어린이 철학교육의 장점을 극대화 한 철학적 탐구공동체 수업 방법을 모색하였다. 유치원 어린이의 사고력 계발을 위한 분위기 조성, 이야기 제공, 주제 선정 및 확인, 신념진술과 확인, 신념의 타당성 논의 새로운 전제 수용 및 사고 확장, 글스기의 순서를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