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칠곡 심원정원림의 공간구성과 경관특성 -"심원정 25영(心遠亭 二十五詠)"과 「심원정수석기(心遠亭水石記)」를 중심으로-

        김화옥 ( Hwa Ok Kim ),박율진 ( Yool Jin Park ),노재현 ( Jae Hyun Rho ),신상섭 ( Sang Seop Shin ),조호현 ( Ho Hyeon Cho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6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4 No.2

        『기헌(寄軒)집』에 실린 「심원정수석기(心遠亭水石記)」의 ``심원정 25영``을 바탕으로, 일제강점기인 1937년에 기헌 조병선에 의해 조성되고 향유된 칠곡 심원정원림의 공간구성과 경관특성을 고찰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심원정원림은 북쪽으로는 송림이 있는 ``임수형(林藪型)``이자 원림 내부로 구야천이 흐르는 ``계류형 별서원림``의 입지 특성을공유하며 본제(本第)와는 직선거리로 약 400m 이격되어 있다. 2. 북쪽에는 가산(假山)인 학림산을, 동쪽과 서쪽에는 만경류를 올린 취병(翠屛)을, 남쪽으로는 구야천변의 석벽(隱屛)을 포치시키는등 사방에 ``가림``시설을 조성함으로써 위요공간 속에 은일을 추구한 기헌의 정신을 표출하고 있다. 3. 심성을 수양하는 선비의 소우주이자 거처로 조성되고 향유된 심원정원림은 송림사의 경역 내에 위치함으로써 불교사상을 수용하며, 도연명의 전원사상과 시선(詩仙)이라 불리는 이백의 낭만주적 감성을 통한 도가적 삶의 추구 그리고 주자의 성리학적 가치를실현하는 통섭(統攝)의 장으로서의 면모를 엿볼 수 있다. 4. 심원정 25영 중 5영은 정운루·암수실·위류재·이열당 등의 용도가 다른 부속실과 이를 아우르는 정각인 ``장수지소(藏修之所)`` 심원정에 의탁되었으며 외원에 부여된 20영은 자연에 이름을 붙인 것 9개, 조성한 것 11개로 나뉘며, 자연에서 얻은 9영은 「석경기」에 기술된 바를 바위에 각인시켰다. 5. 현존하는 실내경물 4영은 편액으로, 원림내 경물 중 5개소는 바위글씨로 그리고 8개소는 표지석으로 각 경물이 인식되도록의도했으나, 8개 영의 표식은 유실 및 훼철 등으로 확인되지 않는다. 6. 심원정 25영 중 ``괴강(槐岡)``에는 학자수를 상징하는 회화나무, ``유제(柳堤)``에는 도연명과 줄기찬 생명력을 상징하는 버드나무, ``기천(杞泉)``에는 ``가족의 단란함``을 상징하는 구기자나무 그리고 ``동·서취병(東·西翠屛)``과 ``방원(芳園)``에는 만경류와 초본류등 다채로운 의미를 담는 식물경관이 등장한다. 또한 폭포(隱瀑), 소(君子沼), 못(湯池), 샘(杞泉), 바위를 가운데 두고 갈라 흐르는물(盤陀石) 그리고 바위 사이로 흐르는 물(水口巖) 등 다채로운 수경관이 기도되었다. 7. 심원정원림은 수계 인접형 원림임에도 불구하고 11개 영을 직접 조성하는 등의 적극적인 개입이 두드러진다. 기존의 여타 정자원림이가깝고 먼 곳에 자연 중심의 경(景)과 곡(曲)의 경물 설정에 충실한 곳이었다면, 심원정원림은 정자를 시점으로 의미 강화된경물을 취경(聚景)하도록 유도된 적극적인 수경(修景)이 두드러진다.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on the spatial composition and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Shimwon-pavilion garden built and enjoyed by Jo Byeong-sun in 1937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ism based on ``Shimwon-pavilion Soosukgii(水石記)`` and ``Shimwon-pavilion Poem of 25 Sceneries(二十五詠)`` contained in ``Anthology of Giheon(寄軒)`` are as follows. 1. Shimwon-pavilion garden is assumed as Byeol-Seo garden based on the planning background and contents of Gimun and the observations on spot. By its location, it is classified as ``Planted forest`` with a pine forest in the north and ``Byeol-Seo of mooring type`` with Guyacheon flowing in the garden. It is about 400m away from the main house in the straight-line distance. 2. The meaning and attributes of reclusiveness are well represented in the ``screening structures`` all around Shimwon-pavilion garden with Hakrimsan, a Gasan(假山) in the north, vines on Chwibyeong(翠屛) in the east and west, Eunbyeong(隱屛) of stone walls along with Guyacheon in the south, which shows the spirit of Giheon who adored the Taoistic life. 3. Shimwon-pavilion garden, located in the Songrimsa, a temple of thousand years, is a place of consilience where Buddhism was accepted, Taoistic life was pursued with Tao Yuan-ming`s philosophy regarding rural areas and romantic sensibilities of Li Po, called poem master(詩仙), the confucian values of Zhu Xi were realized. Giheon intended to build and enjoy this place as a microcosm and shelther where he unfolded his own view of learning and cultivated his mind. 4. 25 sceneries on Shimwon-pavilion consist of 5 sceneries in the space of pavilion(architecture) and 20 sceneries in the outer garden. First, 5 sceneries consist of ancillary rooms for various uses, including Jeongunru, Amsushil, Wiryujae, Iyeoldang, and Jeong-Gak Shimwon-pavilion embracing them, which shows that Shimwon-pavilion is a place to foster younger students. And 20 scenary is divided into 9 sceneries on the natural spaces and 11 artificially created facilities. 9 sceneries are engraved on the rocks as described in ``Seokgyeonggi``. 5. 4 sceneries of the indoor scenery lexemes(亭閣·心遠亭·怡悅堂·停雲樓·闇修室) were intended to be recognized by the framed pictures, 5 places among the scenery lexemes in garden(龜巖·醒石·隱屛·兩忘臺·東槃) by letters carved on the rocks, and 8 places(君子沼·杞泉·天光雲影橋·芳園·槐岡·柳堤·石扉·東翠屛) by sign stones, but signs of 8 sceneries are not currently identified because they have been be swept away and demolished. 6. A variety of plant landscapes with various meanings and water landscape with various types are contained in 25 sceneries - Sophora symbolizing a tree for scholar in Gehgang(槐岡), Willow symbolizing Tao Yuanming and continued vitality in Yooje(柳堤), Boxthorn symbolizing family togetherness in spring(杞泉), vines and herbal plants and waterfalls(隱瀑), shallow pond(君子沼), pond(湯池), water hole(杞泉), water flowing in the middle of rock(盤陀石), water flowing between the rocks(水口巖). 7. While Shimwon-pavilion garden is a garden near the water, the active involvements with 11 sceneries directly built is distinguished. The other pavilion gardens are faithful in engraving the names by setting the scenery lexemes of the nature-oriented Gyeong(景) and Gok(曲) near and far, but Shimwon-pavilion garden is a garden for active learning(修景) with the spaces built to match with the beautiful nature and to show the depths of space off.

      • 익산지역에서 직접관능법에 의한 악취관리 사례 연구

        김화옥(hwa-ok Kim),박희근(hui-geun Park),신대윤(dae-yewn Shin),강공언(gong-unn Kang) 대한환경위생공학회 2009 대한환경위생공학회지 Vol.24 No.2

        In Iksan city, there have been a lot of complaints caused by offensive odor from residents living near the public environmental infrastructures and the Iksan industrial complex.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important to know the present condition of odor pollution level in these areas, the emission characteristics of malodorous gases in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in addition to meteorological components, and the facilities of major sources emitting malodorous compound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is to make the odor monitoring network for 20 people who lived and worked in areas where the environmental infrastructures and the Iksan industrial complex are located and their neighboring areas for six months from June 1st to October 31st in 2008 in Iksan and to monitor the temporal and regional frequency and characteristics of odor intensity using direct olfactory methods. As a result of odor monitoring, the highest frequency of sensed odor per month and 20 people for six months was found to be 107 in July, followed by 84 in September, 80 in August, 54 in June, 38 in October, respectively. Odor intensity trend showed a regional trend in the decreasing order of Dongsan-dong, Busong-dong, and Palbong-dong. Odor was widely perceived from night through next morning and considered as the sense of excreta, chemicals, sewage, compost, waste, etc. When high odor intensity was sensed, there were constant 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relative humidity was 80~90%, wind speed was less than 0.5~1 m/sec, and main wind directions were from the east, the southeast, and the south.

      • KCI등재

        서예치료지도사의 직무만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일터영성의 매개효과

        김화옥(Hwaok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서예치료지도사의 직무만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일터영성의 매개효과를 파악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OO시 서예치료지도사 15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및 3단계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서예치료지도사의 직무만족 하위요인인 직업안정성, 재교육기회 요인이 이직의도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서예치료지도사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하위요인인 직업안정성 요인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일터영성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서예치료지도사가 직무만족의 직업안정성, 재교육기회 요인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하며, 직업안정성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일터영성은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서예치료지도사의 직무만족 증진을 위한 방안 마련의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mediating effect of workplace spiritua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calligraphy therapy instructors. The subjects were 154 calligraphy therapy instructors in OO City. As for the analysis method,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a 3-step mediation effect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22.0 SPSS program. First, job stability and re-education opportunities, which are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of the calligraphy therapy instructor,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the calligraphy therapy instructor,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workplace spiritua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urnover intention and the job stability factor, which is a sub-factor of job satisfaction. This observation means that the higher the factor of job satisfaction, job security, and retraining opportunities, the lower the intention to turnover, and that workplace spirituality plays a role as a partial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ability and turnover intention. This study is considered to be the basis for preparing a plan to improve the job satisfaction of the calligraphy therapy instructors.

      • KCI등재

        최명희의 소설 『혼불』에서 추출한 소나무의 경관언어

        노재현,김화옥,박율진,Rho, Jae-Hyun,Kim, Hwa-Ok,Park, Yool-Jin 한국전통조경학회 2014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2 No.4

        Throughout analyzing and construing the words, contexts, and expressive languages used for depicting the pine tree in the novel "Honbul" written by Choi, Myung-Hee the symbolism of the pine and folksy languages used for scenery can be condensed as written below: First, it is explicit that the scenery-words for illustrating the pine tree in "Honbul" are emerged through diverse means methods and expressions. Namely, the reference forms of the pine tree and the expressive means of utilizing words portrays the use of the pine are various and subdivided. Second, the scenery-words found in vocabularies and the contexts of "Honbul" imply various symbolic representation. They not only perform to describe inherent image and symbolism of the pine, but they work for reifying the image of "Honbul" in the narrative structure in "Honbul" as being intrinsic scenery-word. Third, the scenery-words used for expressing aesthetics emerge as synesthetic expressions through the linear beauty and the texture of the pine as well as through five-senses. Forth, on the basis of the inherent symbolism and the image of the pine, the landscape of the background described in "Honbul" deems as a symbolic backdrop. As with then narrative structure of the novel, the pine tree performs as a mediation of the heaven and the earth, god and man, as well as the sacred and the secular. Fifth, scenery-words used for depicting the pine tree are a symbol that represents the spirit and emotion of the character in the novel. Moreover, it is a tool for pursuing the personification of the nature, the deification of the object, and the cosmos of the space. It is also utilized as a device that definitize the ideational image applied to express the landscape of the background of the novel. As mentioned above, the expressions, vocabularies and textures about pine tree represented from "Honbul" are expected to be the beginning of understanding the landscape-images and landscape-languages of pine in not only the setting for this novels, Namwon but also the entire districts of Korea. 최명희의 소설 "혼불" 속 소나무 표현 어휘와 문장, 문맥 등의 분석과 해석을 통해 소나무의 지칭어와 상징성 등의 토속적 경관언어를 조명한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설 "혼불" 속에 묘사된 소나무 관련 경관언어는 매우 다채롭고 다양한 방식과 표현을 통해 전개되고 있다. 특히 소나무 지칭어와 쓰임새에 대한 어휘 표현상의 다양성과 세분화된 양상이 읽혀진다. 둘째, 소설 "혼불" 속 경관언어는 다양한 상징을 보이는데 소나무가 갖는 고유 이미지와 통시적 상징성뿐 만 아니라 소설의 서사구조상 '혼불'이라는 상징 이미지를 구체적으로 구현시키기 위한 경관언어로서 자리매김 된다. 셋째, 소설 "혼불"에 묘사된 경관언어는 소나무의 선형미와 재질감 그리고 오감을 통한 공감각적 표현 등으로 심미성을 극대화하고 있다. 넷째, "혼불"에 나타난 배경지 경관은 소나무 고유의 상징성과 이미지를 토대로 소설의 서사구조상, 소나무가 하늘과 땅, 신과 인간 그리고 성과 속을 넘나드는 상징적 배경막이다. 다섯째, 소나무 관련 경관언어는 소설 속 인물의 정신과 정서를 대변하는 표상이며 자연의 인격화, 사물의 신격화 그리고 공간의 우주화를 추구하기 위한 장치이자 소설 배경지의 경관성과 의미망을 표현하는 표상적 이미지 또는 상징체로 활용되고 있다. 소설 "혼불"에 등장하는 소나무의 어휘 표현 및 상징성을 다룬 본 고는 소설의 배경무대는 물론 남원 소나무의 토속적 경관 이미지와 경관언어를 이해하는데 시금석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미수(眉수) 허목(許穆)의 연천 은거당(恩居堂) 정원 복원을 위한 연구 -십청원과 괴석원을 중심으로-

        노재현 ( Jae Hyun Rho ),김화옥 ( Hwa Ok Kim ),박율진 ( Yool Jin Park ),김영숙 ( Young Sul Kim ),박주성 ( Joo Sung Park ),신상섭 ( Sang Sup Shin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5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3 No.2

        본 연구는 미수 허목의 정원 유적인 연천 은거당의 공간구성 및 정원적 특질을 구명하기 위해,『미수기언』등의 시문과고지도 그리고 소치 허련의 <연천 태령십청원도>를 중심으로 은거당의 입지와 핵심 정원인 십청원과 괴석원의 공간구성, 정원식물과 시설 등을 조사 분석한 것으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은거당의 건물은 안채, 사랑채, 별묘 그리고 행랑채 등이며 정원은 안채와 별묘 사이의 십청원과 녹봉으로 이어지는 후원그리고 사랑채 전정의 괴석원 등으로 모두 괴석을 정원시설로 중요하게 활용한 것으로 확인된다.「십청원기」등 기문 분석과후손의 인터뷰 결과, 십청원은 하도를 표방한 용도서를, 괴석원은 낙서를 상징한 귀문원을 구현하고자 한 석정(石庭)의 형태를갖는 정원으로 추정된다. 또한 십청원에 도입된 상록식물은 용도서에 등장하는 십장청(十長靑)의 식물과 일치하는데 이를통해 맑고 시원한 이미지를 추구한 것으로 판단되며 괴석과 함께 활용함으로써 성리학적 격물치지(格物致知)와 불로장생의도가적 이상세계의 소우주를 구현한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괴석원과 주변에 도입된 화려한 화목과 화초는 귀문원에서 찾을수 있는 변화의 용(用)을 의미하며 십청원의 상록식물과 대비를 이룬다. 더불어 은거당 정원에 도입된 괴석은 미수의 전서체에서느껴지는 기이함과 동질의 미적 대상으로서 창고미(蒼古美)와 고태미(古態美)를 창출하고자 한 것으로 파악된다. 궁극적으로미수는 상록식물로 바탕을 삼고 화훼류로 변화를 꾀하며 기(氣)의 체(體)와 골(骨)에 해당하는 괴석을 둠으로써 그 뜻을더욱 견고히 한 것으로 추론되며 이는 은거당의 정원적 특질로 귀착된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은거당 정원의 의장적(意匠的) 특질은 향후 은거당 복원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conducted a research on the position, construction of space and plants of Ten Evergreen`s Garden(十靑園) and Oddly Shaped Stone Garden(怪石園) that are central gardens of Eunguhdang(恩居堂) in the poem ``Statement of Responsibility``(Heo Mok, 1595 ~1682) and Sochi(小痴) Heo Ryeon(許鍊)`s ``Taeyeongsipcheongwondo(漣川台嶺十靑園圖)`` in order to bring light on the construction of space and characteristics of them as a garden of the deep pond, Eunguhdang that is a historic site of Misu(眉수) Heo Mok(許穆, 1595~1682). The characteristics of Eunguhdang, and the meaning of it from the research are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basic data for future restoration of it. The results are as follow:3) In Eunghudang, there are the main building, a detached house, a separated building, and servants`` quarters, and the garden consists of Ten Evergreen`s Garden between the main building and a Byeolmyo(別廟), a backyard which leads to a green mountaintop, and Oddly Shaped Stone Garden including a pavilion in the front of the detached house. These gardens are thought to have utilized various oddly stones. From the analysis of existing documents such as ``Gwuimonwon(龜文園)`` and several interviews, it is concluded that Gwuimunwon might have had Youngdoseo(龍圖墅) that imitated a stream, and Oddly Shaped Stone Garden might have had a garden which imitates Guimonwon standing for graffiti. The evergreen plants in Gwuimonwon correspond to the plants of Sipjangcheong(十長靑) in Youngdoseo, and through these facts, it is thought to have sought The clean and cool. Furthermore, the diverse colors of flowering trees and flowers in Oddly Shaped Stone Garden and the surrounding of it is symbolizing dragon which is found in Gwuimonwon and that is contrasting with the evergreen plants in Gwuimonwon. The oddly shaped stones in the garden of Eunguhdang have a strange atmosphere which is felt across the whole buildings in Misu, and s a same aesthetic object that are thought to have created beauty of old greenery and antique appearance by utilizing oddly shaped stones. Misu is based on ever green plants seeking change with flowers along with stones that means spirit, body and bones, which is strengthening his intention.

      • KCI등재

        양주 노고산(老姑山) 독재동(篤才洞)의 장소성과 역사문화경관 해석

        노재현 ( Jae Hyun Rho ),김화옥 ( Hwa Ok Kim ),이정한 ( Jung Han Lee ),박주성 ( Joo Sung Park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5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3 No.1

        본 연구는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삼하리 독재동 바위글씨와 노고산의 장소성에 주목하여, 이곳의 경관 및 장소특질을 고찰하고 바위글씨에 담긴 경관의미를 추론함으로써 노고산과 독재동 계곡의 역사문화경관적 함의를 밝히고자 한 것으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삼각산은 조선왕조 6백년 도읍지의 주산(主山)이며 오악(五嶽)을 이루는 중앙의 성산(聖山)으로, 노고산은 삼봉산(三峰山)즉 삼각산의 우람한 세봉우리를 향배하는 의미공간으로서 그 장소성이 획득된다. 더불어 노고산은 조선의 정기를 상징하는 삼각산을 가장 완벽하게 조망할 수 있는 ‘망삼각산(望三角山)’의 절대 시점장이다. 독재동 계곡에 산포(散布)된 다수의 바위글씨는 미수 허목의『고양산수기』의 내용을 현현(顯現)하기 위한 행위이자 경물로 재생산된 산물이다. 그리고 추사 필적의 몽재(夢齋)는 중의적(衆意的) 표현이 읽혀지는 바위글씨로, 먼저 글자 그대로의 뜻인 ‘꿈꾸는 집’ 이지만 내면적 의미는 “한낮 몽상(夢想)도 바탕을 깊이 헤아려 보면 정당성이 확보된다.”는 의미로 ‘몽재거사’로 알려진 성재(性齋) 허전(許傳)의 『몽재집(夢齋集)』서(序)의 내용으로 보아 성재의 독재동 거주와 관련된 징표로 추정된다. 또한 몽재라 쓴 바위 하단의 갑자(甲子)·경오(庚午)·무술(戊戌)·갑인(甲寅) 등의 간지(干支)는 추사와의 교유관계가 있는 1804년 5월생 유생(儒生)의 사주팔자로 판단된다. 노고산과 독재동 계곡은 삼각산을 조망하는 장소일 뿐 아니라 송월재·성재 등 미수의 학통을 계승한 기호지역의 남인학자의 공통된 장구지소로써의 응집력을 보여준다. 또한 이곳에 각자(刻字)된 추사체와 미수체(전서체) 바위글씨는 우리나라 서예사의 큰 흐름을 함축적으로 보여준다는 측면에서도 매우 의미 깊은 역사문화경관이다.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placeness of Nogosan Dokjae-dong and rock inscription located in Jangheung-myeon, Yangju-si, Gyeonggi-do. The purpose was to reveal the implication of Nogosan and Dokjae-dong Valley in terms of Historic cultural landscape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ce and its landscape, and inferring the significance of the letters engraved on the rock. The result is as follows.10)Samgaksan is one of the five famous mountains in Korea. It is the sacred mountain that stands behind the capital city of the Joseon Dynasty that lasted for 600 years. On the other hand, the placeness of Nogosan is significant since it was the place where people used to bow low to the three great summits of Samgaksan. Furthermore, Nogosan was the perfect place to view Samgaksan that represented the Joseon spirit.Many letters were engraved on the rocks around Dokjae-dong Valley by Misu(眉수) Heo Mok(許穆) as part of his memories to describe his experience in the mountain and became a scenery. Chusa(秋史) Kim Jung-Hee(金正喜) also engraved letters of ``Mongjae`` on the rock that contains a double meaning. Literally, it means ‘a dreaming house’ However, it also implies that even just a daydream is significant in a way. These letters are presumed to be the signs that are related to Sung-Jae(性齋) Heo Jeon(許傳)’s experience in Dokjae-dong since the letters were part of his famous book title. Below these two letters, Chusa also engraved letters that describe the sexagenary cycle including the year of the rat, horse, dog, and tiger. They are regarded as the letters that describe the fate of Chusa’s friend, a scholar born in May 1804. Nogosan and Dongjae-dong Valley are very significant in terms of historic cultural landscape as a viewpoint to see Samgaksan; and a place that cherishes the traces of Misu and shows common values and cohesiveness of well-known scholars of the Joseon Dynasty including Song Wol-Jae(松月齋) and Sung-Jae as a of Gihonamin(畿湖南人). The engraved letters of Chusa and Misu also implicitly demonstrates the major trends of Korea’s calligraphy history.

      • KCI등재

        동궐도(東闕圖)에 나타난 괴석(怪石)의 배치특성에 관한 연구

        정우진 ( Woo Jin Jung ),김화옥 ( Hwa Ok Kim ),박율진 ( Yool Jin Park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4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2 No.2

        본 연구는 동궐도에 나타난 괴석의 배치를 바탕으로 조선시대 궁궐에 쓰인 괴석의 배석형식과 활용을 고찰한 것이다. 동궐도에서 축선을 보조하여 정형성을 형성하는 괴석 배열의 종류는 단식, 대식, 연식으로 구분된다. 단식은 기존 건축물을 통해 형성된 축선상에 괴석 1개를 배치하여 시각적 초점을 부여하거나 중심성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대식의 경우, 주로 건물 양옆에 괴석 2개를 대칭구도로 놓아 건축물에 질서와 위계를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또한 세 개의 돌을 나열한 연식은 주석(主石)의 역할을 하는 가운데 돌이 축선 상에 놓여 강한 방향성과 정면성을 부여하는 방법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괴석 배치법은 수목의 배식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으로, 수목의 요점식재와 대칭식재 방법에서 유사성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괴석과 수목은 장소의 성격과 규모에 따라 취사선택될 수 있으며, 축 형성과 정형적 공간창출의 효과는 근본적으로 같다고 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동궐도 괴석의 배치 특성을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괴석은 중요한 건물에 위계를 표현하기 위해 설치되어 구심적인 공간을 창출하는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둘째, 괴석간 거리는 가운데에 있는 건축물의 크기에 비례하여 조정되었으며, 이는 중심축과 좌우 대칭물 간의 비례적 균형구도를 통해 안정감을 부여하기 위함이었다. 셋째, 불규칙한 괴석의 외형이 규칙적인 대칭성을 형성하는데 제한요소가 되므로 석함을 활용하여 정형성을 더하였다. 넷째, 연식(3입식) 배치에서 가운데 괴석에 변화를 주어 중심성을 강조하였다. 다섯째, 괴석은 타 점경물의 종류와 배합 및 위치조정이 수월하도록 크기를 제한함으로써 얻어지는 이동성이 있었다. 여섯째, 사의적 대상으로 감상되던 궁궐 괴석은 근본적으로 수석과 동질적인 개념의 조형물 이었으며 감상되는 방법, 형태, 구성에서 같은 맥락으로 전개되었다. 일곱째, 연식으로 놓인 괴석은 짝수일 경우 균등분할 식으로 배치되며, 홀수일 경우 중심 괴석을 중심으로 나머지가 대칭하도록 배열하는 방법을 따랐다. 이상의 배석원칙은 조선 궁궐에서 괴석을 제작하고 활용했던 특징적인 방법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has researched the forms of arrangement and use of the oddly shaped stones which were used at palaces during Joseon Dynasty based on arrangements of stones as shown in Donggwoldo(東闕圖), and tried to identify its special features. The sorts of stone`s arrangements which set formal patterns by assisting an axis in Donggwoldo can be classified as the single type using one stone, the symmetrical type using 2 stones symmetrically and the parallel type using 3 or more stones. The single type was used to endow a focal point and to accent centrality by arranging a stone on the axis performed from formal shaped buildings. The symmetrical type was used to show order and hierarchy by placing two odd-shaped stones on either side of a building. And the parallel type which is arranged three stones side by side, is put a middle stone on the central axis line to determine strong directional and frontality. Also similarity to method of arrangement of stones can be found from planting trees in a prominent way for scenery or planting trees symmetrically. Stones and trees can be chosen according to nature and scale of places and basically their effects of formation of axis and creating typical space is same. Based on these respect, the characteristics of arrangement of stones shown in Donggwoldo can be briefly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oddly shaped stones were used by creating a centripetal space in order to show a grade of rank. Second, the distances among stones could be adjusted to the sizes of the architecture which was at the center. The aim was to provide stability through the balanced composition between the central axis and symmetrical structures. Third, the form of regularity was added by using stone vase in consideration of irregular shape of stone causing interference in forming regular symmetry. Fourth, a centrality was emphasized by adding change to central stones in the parallel type used 3 erect stones. Fifth, the sizes of stone were limited in order to make smooth for the mix and adjustment of its position with the types of other garden ornaments, so the oddly shaped stones in palace have portability. Sixth, the oddly shaped stones in palace which were appreciated as inspirational object basically were a sculpture of the same quality with suiseki (壽石), and the appreciative method, the composition and shape had developed in the same texture. Finally, the even number of stones by parallel type were arranged by equal partition. But odd number of stones followed the method with symmetrical arrangement on its center stone. These principles of stone arrangement are judged as distinguishing methods which oddly shaped stones was made and used in Joseon palac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