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찰적 노스탤지어

        김홍중(Kim Hong Jung) 한국이론사회학회 2015 사회와 이론 Vol.27 No.-

        이 논문은 한상진의 중민 이론을 후기 근대적 상황에 맞추어 성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서 중민이론의 기본개념과 분석틀을 살펴보고, 사회이론으로서 중민이론이 갖는 특징을 ‘실천적비판이론’이라 명명한다. 이어서 중민 개념의 중요한 의미소인 ‘中’을 집중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중민 이론이 양 극단의 중간에 대한 이론적 상상계 위에 서 있음을 보이고자 한다. 중민 이론을 좀 더 발전적으로 재구성하기 위해서 나는 중민 의식 대신 중민심을 탐구할 것을 제안하고, 그것이 한국 근대성을 근본적으로 특징짓는 생존주의를 초월하려는 집합적 심리로 구축되어 있음을 주장한다. 마지막으로 성찰적 노스탤지어의 감정구조를 분석함으로써 비판이론의 정서적 스탠스를 점검한다. This article attempts at reflecting on the Jung-min theory of Han Sang-Jin again in the context of late modern era. For this, I will examine basic concepts and frameworks of Jung-min theory, and by naming it praxeologico-critical theory, I try to reveal its strong points as social theory. I will also analyze the important semantic element of Jung-min theory which is the Jung(中) to show that Jung-min theory is established on the theoretical imaginary of communication. Finally I propose to explore the heart of the Jung-min instead of its consciousness, as a way of reconstructing Jung-min theory. And this will lead to the fact that Jung-min’s collective heart is oriented toward the transcendence of the survivalism which is fundamental tone of Korean modernity in terms of ethos of the people. Finally I will examine the reflective nostalgia, which would be the basic theoretical affect to reconstruct the Jung-min theory.

      • KCI등재후보

        미디어스케이프와 모바일 성찰성

        김홍중(Kim Hong-Jung) 한국문화사회학회 2011 문화와 사회 Vol.10 No.-

        ??이 논문은 휴대전화가 변화시킨 우리의 사회적 삶의 다양한 모습들 중에서 특히 휴대전화를 사용하는 인간의 체험구조의 변화상에 초점을 맞추어, 이를 이론적으로 탐색하려는 시도이다. 이를 위해서 휴대전화의 사물성에 대한 현상학적 탐구를 시도하여. 그것이 언제나 사용자의 ‘손’에 부착되어 있는 일종의 보철이자, 사용자의 신체를 재구성하는 하나의 장치임을 보일 것이다. 더 나아가서 휴대전화가 사용자의 체험을 특수한 방식으로 구조화하는 경향을 첫째, 산만한 지각 환경이 유도하는 체험의 파편화의 경향과 둘째, 휴대전화 사용에 동반되는 가상 피막의 형성이 야기하는 모나드화임을 보일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 주체성을 소위 후기근대의 ‘성찰적 개인’과 연관시킴으로써 모바일 테크놀로지가 형성하는 ‘모바일 성찰성’의 가능성을 이론적으로 탐색한다. This article attempts to explore theoretically the way how mobile phone transformed the structure of experience of the its users. From a phenomenological point of view, we will show that mobile phone is, beyond being a simple instrument of communication, a kind of prosthesis embodied in the hand of users, and also an apparatus reformulating human body. On the basis of this argument we will show how mobile phone structures human experiences in the following two points. Firstly, mobile phone facilitates the tendency of fragmentation of experience favored by the distracted perceptive environment enforced by mobile technology. Secondly, mobile phone facilitates the tendency of monadization favored by the formation of virtual membrane. Finally, we will relate this feature to the reflexive individual of which speaks Giddens to theorize it under the name of mobile reflexivity.

      • 실재에의 열정에 대한 열정

        김홍중(Kim Hong-Jung),심보선(Sim Bo-Seon) 한국문화사회학회 2008 문화와 사회 Vol.4 No.-

        이 논문은 2005년 한국 문단의 일대 사건이라 할 수 있는 ‘미래파’의 발생을 사회학적으로 파악함으로써 IMF 위기 이후 한국 사회의 문화변동의 문법을 읽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우리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주된 테마를 다룬다. 첫째, 미래파의 시학적 특징을 그들의 탈(脫)서정적 경향에서 찾고 이를 구체적으로 점검한다. 둘째, 미래파 시인의 역사철학적 상황을 오타쿠의 그것과 비교하면서, 거대서사의 조락 혹은 진정성 에토스의 소멸 이후의 시적 흐름을 ‘시의 동물화’로 규정한다. 셋째, 미래파 비평의 핵심적 전략을 바디우의 ‘실재의 열정’으로 파악하고, 미래파 비평을 이런 실재의 열정이 불가능한 시대에 실재의 열정을 여전히 중요한 지향으로 유지하려는 ‘실재의 열정에 대한 열정’의 소산으로 파악한다. This paper aims at sociological investigation of the emergence of "Miraepa" in 2005. Miraepa is seen by critics as a group of poets who write poetries radically different in both form and content from the previous poetic styles. We endeavor to identify the linkage between the emergence of Miraepa and broad cultural change after IMF crisis. To this end, first, we see that the main characteristic of Miraepa poetry is "post-lyric poetry". Second, by relating its historico-philosophical situation with that of Otaku of which subjectivity emerged after the demise of master narrative or authenticity ethos, we argue that at the core of Miraepa's poetry is the animalization of poetry. Third, we argue that critics who positively read Miraepa's poetry draw on the notion of "passion of the real" borrowed from Alain Badiou. However, we see that critics' positive response to Miraepa is the product of "the passion of the passion of the real" that is to retain "the passion of the real", which is, in fact, impossible given the historico-philosophical situation of our time.

      • KCI우수등재

        부정자본론

        김홍중(Kim Hong Jung) 한국사회학회 2017 韓國社會學 Vol.51 No.3

        이 연구는 부르디외의 자본 개념을 집중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다음 세 작업을 수행할 것이다. 첫째, 부르디외 자본 개념의 내용과 특이성을, 그 이중적 속성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둘째, 그의 상징자본 개념을 탐구한다. 상징자본은 사회적 인정을 획득함으로써 어떤 자본이 취하는 형식(form)으로서, 그 형성과정을 가리키는 상징적 변형(상징자본의 사회적 구성)의 논리를 해명하기 위해 부르디외가 원용한 뒤르케임의 토템분석과 프로이트의 부인(Verneinung) 개념을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부르디외의 취향분석과 예술장/문학장 분석에서 특징적으로 발견되는 ‘부정적인 것’의 관점에 주목한다. 부르디외에 의하면 취향은 선호가 아니라 도리어 혐오의 능력, 즉 무언가를 부정적으로 배제할 수 있는 능력이다. 또한 예술자본은 사회적으로 부정적 가치들(가난, 고통, 질병, 광기, 죽음)이 예술적 성취와 함께 축성되어 만들어지는 경우가 있다. 양자를 총칭하여 나는 부정자본이라 부르기를 제안한다. 이 논의를 통해 부르디외 사회학에서 사회적인 것이 상징적인 것, 그리고 부정적인 것과 맺고 있는 깊은 연관의 의미를 성찰해 볼 것이다. This article aims at investigating in deep the concept of ‘capital’ as the nucleus of the Bourdieusian social theory. For this, it takes analysis in three steps. First, I argue that the singularity of Bourdieusian concept of capital lies in the emphasis on the psychological aspect of the capital. That is, the capital appears not only as the energy of the social but also as the object of desire attracting the social agents. Second, I attempt at clarifying his concept of symbolic capital which is not one type of many capitals but a specific form that any capital takes when it gets social recognition. Finally, focusing on the perspective of the negative, prevalent in Bourdieusian analysis of the taste and artistic capital, I argue that the most imporst form of symbolic capital can be called ‘negative capital’.

      • KCI등재

        육화된 신자유주의의 윤리적 해체

        김홍중(Kim, Hong-Jung) 한국이론사회학회 2009 사회와 이론 Vol.14 No.-

        신자유주의는 단순한 제도가 아니라 특정한 주체를 생산하고 또한 그런 주체의 규범적 지표로 기능하는 사회적 에토스이기도 하다. 이는 신자유주의적 주체(생존자)와 도덕(생존주의)에 물질적으로 구현되어 있는 바, 우리는 이를 육화(肉化)된 신자유주의라 부른다. 신자유주의적 생존자는 ‘모든 것을 도구화시키는’ 자로서 경제적, 사회적, 생물학적 생존이라는 절대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도구적 성찰성을 극대화하는 존재로 규정된다. 윤리와 도덕을 개념적으로 구분하면서 우리는 이런 주체성의 가장 큰 문제로서 도덕의 과잉과 윤리의 결핍을 지적한다. 생존자는 생존을 절대 선으로 수용하면서 그 가치를 실현시키기 위해 스스로를 관리, 조절, 성찰한다는 점에서는 대단히 도덕적이지만, 생존의 의미 그 자체에 대한 ‘윤리적 성찰’의 능력을 갖추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매우 비윤리적인 주체이다. 이런 맥락에서 생존자의 주체성을 해체하기 위한 이론적 자원을 우리는 가라타니 고진(柄谷行人)의 주체와 윤리에 대한 통찰에서 빌려온다. 가라타니는 데카르트부터 칸트에 이르는 서구 주체철학 사상을 비판적으로 재구성함으로써 도덕을 넘어서는 윤리적 주체의 가능성과 그런 주체들의 공동체로서의 세계 공화국을 구상한다. Neo-liberalism is not a mere institution but it represents a social ethos that produces a specific subject and that functions as a normative map of the subject. This aspect of neo-liberalism is embodied in a neo-liberal subject (survivor) and ethics (survivalism), which we specifically name as incarnated neo-liberalism. A neo-liberal survivor is the one who not only “instrumentalizes all” but also maximizes “instrumentalized reflexivity” to achieve the absolute objective of ensuring economic, social and biological survival. While conceptually distinguishing ethics from morality, we would like to point out that the problem of such subjectivity lies in the imbalance between excessive morality and deficient ethics. For example, the moral integrity of a survivor is found in his ability for controlling himself in an efficient manner in order to ensure his continued survival, whereas his ethical lapses may lie in the fact that he is incapable of reflecting on the supreme value (survival) itself. In this context, Karatani Kojin’s theory of subjects and ethics comes in handy for deconstructing the subjectivity of a survivor. Karatani shows the potential of ethical subjects and their community (world republic) by reconstructing the modern Western philosophy of numerous philosophers from Descartes to Kant.

      • KCI등재

        러시아 각색영화의 특수성과 문화적 의미

        김홍중(Kim Hong Jung) 한국노어노문학회 2009 노어노문학 Vol.21 No.3

        러시아 각색영화는 러시아 영화 연구와 러시아 문학 연구 양측 모두에게 의미 있는 연구주제이다. 여러 측면에서 러시아 각색영화는 다른 국가들의 각색영화와는 차별되는 특수성을 가지는데, 이는 독특한 러시아의 영화사적 환경과 강한 문학적 전통에 기인한다. 우선 러시아의 각색영화는 영화 연구자만의 담론이 아닌, 형식주의, 기호학 등의 문학 연구자들과 러시아 모더니즘 작가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그 배경으로 한다. 그래서 러시아 각색영화 연구는 문학작품과 그것의 각색영화를 비교 분석하는 것 외에도, 근본적인 영화와 문학의 상호관계를 고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다음으로 100여 년 동안 독특한 사회적 환경 속에 위치해 있던 러시아 각색영화는 서구에서의 각색영화와는 다른 각색유형들을 보여준다. 이 두 가지 요인으로 인해 러시아 각색영화는 아주 낮은 수준부터 예술적, 미학적으로 높은 수준까지 ‘각색‘의 모든 스펙트럼을 제시하고 있다. 이는 ‘각색‘의 미학적 의미를 정의하는데 무엇보다 적합한 예들이 될 것이다. 이처럼 러시아 각색영화가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는 주로 개별 작가들의 작품과 그것의 각색영화에 국한되어 이루어져왔지, 문학연구와 영화연구 관점을 모두 포용하는 큰 범주에서의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각색’의 미학적 정의를 시도하기 보다는, 러시아 각색영화의 다양한 유형들과 변화 궤적을 살펴보고 러시아 각색영화들을 유형화하는 작업을 목적으로 삼았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향후 진행될 각색영화 연구의 대상과 목적도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는 러시아 각색영화의 유형을 공시적, 통시적으로 분류하였는데, 공시적으로는 러시아 영화의 발생과 혁명기 러시아 각색, 스탈린 시기의 각색, 소비에트 시기의 각색, 포스트 소비에트 시기의 각색으로 분류하였고, 통시적으로는 ‘조야한 모방‘, ‘충실한 재현‘, ‘사회적 변용‘, ‘예술적 변용‘으로 러시아 각색영화 유형분류를 시도하였다.

      • KCI우수등재

        페이션시의 재발견 : 고프만과 부르디외를 중심으로

        김홍중(Hong-Jung Kim),조민서(Minseo Cho) 한국사회학회 2021 韓國社會學 Vol.55 No.3

        이 연구는 20세기 사회이론의 에이전시(agency)에 대한 편향을 비판적으로 파악하며, 고프만과 부르디외의 행위이론을 조명함으로써 페이션시(patiency)의 관점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윤리학과 철학에서 제안된 페이션시 개념을 소개한다. 페이션시는 수동성과 감수(자)의 존재, 힘, 경험을 포괄적으로 지칭한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는 베버에서 파슨스로 이어지는 20세기의 주요 행위이론이 어떻게 페이션시의 관점을 결여하고 있었는지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이어 고프만의 『수용소』와 부르디외의 『파스칼적 명상』에 존재하는 페이션시의 관점을 논의한다. 고프만의 연극학적 접근에서 행위에 해당하는 ‘연기’와 부르디외의 ‘실천’은 순수한 능동성으로 환원되지 않는 감수의 조건을 함축하고 있다. 고프만의 경우에는 총체적 기관의 재소자인 정신질환자(mental patients)라는 페이션트의 경험을 탐구한다. 부르디외의 경우에는 반영구적 실업상태에 놓인 기층 프롤레타리아트가 경험하는 인내하는 기다림(patient waiting)을 탐색한다. 우리는 양자의 논의를 전거로 사회이론에서 페이션시에 대한 논의의 가능성과 필요성을 주장한다. This article addresses the agential bias of the 20th-century social theory by proposing the concept of patiency in the following order. Firstly, based on Soran Reader’s discussion of this concept, we introduce the notion of patiency: the assemblage of the being, the experience, and the capacity proper to the patient. Secondly, we critically review two major significant sociological theories of action that represent the ignorance of the patiency: Weber and Parsons. Thirdly, we explore the possibility of re-reading the concept of the patiency more positively by reexamining two influential sociologists. For Goffman, the focus will be on the Asylum, in that he analyzed the total institution as the apparatus of patientialization par excellence of mental patients. As for Bourdieu, we interpret his Méditations Pascaliennes in which the epitomical figure of ‘hommes sans avenir(people without a future)’ appears and is patiently waiting: a common subject of his investigation of sub-proletariats in 1960s Algeria and 1990s France. In doing so, we argue the necessity and prospect of further discussion on the patiency.

      • KCI등재

        유라시아주의의 제 양상: 지정학에서 지역주의로

        김홍중(Kim, Hong Jung) 한국노어노문학회 2014 노어노문학 Vol.26 No.1

        소련 붕괴 후 러시아의 새로운 정체성으로 제시되어왔던 유라시아주의는 21세기 현실정치와 국제관계 속에서 러시아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하지만 유라시아주의는 사회이념, 지정학적 전략, 구소련 지역의 대안 정체성, 세계화 과정에서 발생한 지역주의 이론 등 다양한 모습으로 우리에게 다가오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유라시아주의 논의를 지정학적 관점과 지역주의적 관점으로 분류하면서 이 두 경향의 특징을 밝혀보고 있다. 지정학적 유라시아주의는 국제 질서에서 유라시아의 ‘역사 축’ 역할을 강조하면서 구소련의 영토와 민족들을 통합하려는 움직임이다. 비록 현대성이 반영된 지정학이라고 할지라도 지정학적 유라시아주의는 자연발생적 정체성이라기보다는 권력과 힘을 추구하는 목적 지향적 정체성으로 남을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유라시아 지역주의는 지정학적 유라시아와는 다른 배경을 가진다. 지정학적 유라시아주의가 사상과 이념의 측면에서 목적적으로 만들어졌다면, 유라시아 지역주의는 필요에 의해 생겨난 관계로 볼 수 있다. 세계화의 과정 속에서 러시아와 주변 이웃 국가들의 지역적 이익을 중심으로 공동체가 형성되는 것이 유라시아 지역주의이다. 지정학적 관점에서 ‘나’와 ‘타자’의 관계가 독백적이며 일방향적이라면, 지역주의적 관점에서 ‘나’와 ‘타자’는 대화적이며 동등한 상호작용을 한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유라시아 통합 계획을 성공적으로 이루기위해서는 지정학적 관점의 유라시아주의보다는 지역주의적 관점에서 경제적, 문화적 접근을 통해 유라시아 공동체를 형성해야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