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1부 헤겔논문 : 철학의 두 길-선험적 방법과 변증법

        김혜숙 ( Hei Sook Kim ) 한국헤겔학회 2014 헤겔연구 Vol.0 No.35

        본 글의 목적은 칸트의 선험철학적 방법과 헤겔의 변증법적 방법을 그 동기에서 생각해보고, 두 입장이 어떻게 상이한 철학의 길을 형성시켰는지를 살펴본다. 칸트와 헤겔철학이 분기하게 되는 지점은 철학적 사유 자체의 성격규정과 관련된다. 철학은 이차 담론이다. 그렇다면 이차담론으로서의 철학은 어디에 근거하는가? 철학적 관점의 정당성은 어떻게 확보되는가? 칸트의 선험철학은 인간의 경험 전체를 문제 삼는다. 그러나 전체에 관한 사고는 항상 역설을 포함한다. 그것은 전체 바깥에 철학적 관점을 설정하는 데서 발생하는 역설이다. 헤겔은 그런 역설에 직면하여 철학적 관점 혹은 반성이 과연 독립적으로 가능한지를 묻는다. 선험적 관점 자체는 어떻게 정당화되는가? 칸트가 선험철학을 통해 지식의 궁극적 정초를 제시하고자 하였다면, 헤겔은 그 선험철학 자체가 어떻게 가능한지를 『정신현상학』 안에서 의식의 변증법적 운동을 통한 철학적 지의 형성으로서의 ‘학’의 출현을 보이고자 했다. 의식의 변증법적 운동의 기술(description)은 의식 바깥에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의식의 변증법적 운동이 일어나는(현상하는) 바로 그 자리에서 발생한다. 그것은 정신운동의 기술로서 ‘현상학’이라 이름할 수 있는 바의 것이다. 이런 방법은 철학적 시원에 대한 정당화 문제를 피해갈 수 있을 것인가? 적어도 전체에 관한 사고가 갖는 칸트적 역설에 빠지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진리가 전체 바깥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면 진리는 곧 전체가 될 것이다. 칸트와 헤겔은 우리의 인식, 혹은 언어사용이 객관성을 갖는 두 가지 상이한 길을 표시해주고 있다고 나는 본다. 칸트의 인식론이나 헤겔의 인식론은 회의주의 문제를 둘러싸고 나름의 길을 모색한다. 또 칸트와 헤겔은 철학 자체에 대한 규정에서도 다른 길을 만들어냈다. 철학을 이차담론으로 본 칸트의 입장에 반해 헤겔에게 있어 일차담론과 이차담론과의 구분은 모호해진다. 철학적 사유는 모든 것에 관한 것이지만 철학적 사유 자체가 그 모든 것 안에 포함되어있으며 그것과 구분되어있지 않기 때문이다. 이차담론으로의 철학의 성격을 부정하고 있는 현대철학자들과 이차담론으로서의 철학의 자율적 영역을 주장하는 철학자들의 싸움은 아직도 진행중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wo different ways to deal with the concept of philosophical truth, i.e., the concept of what philosophy is, i.e., transcendentalism of Kant and speculative dialectic of Hegel. Kant`s transcendentalism calls into question the whole of our experiences of objects. He asks, “How is our knowldege of the world possible at all?” A critical or transcendental philosophy aims at attaining a point where philosophical or transcendental reflections can be made. The result of the reflection is the system of philosophical knowledge or truth. For Kant, the system is what we call transcendental philosophy. Hegel`s question concerns the validity of this system. What justifies the transcendental perspective Kant proposes? What is the real nature of philosophical knowledge (Scientific System in Hegel`s term)? Do we need another philosophy (Wissenschaft) to justify transcendental philosophy? Hegel`s strategy is to define philosophical knowledge from within, not from without, i.e., from the immanent movement of philosophical consciousness, not from the transcendental philosophical reflection. He does not seek another rational grounds to vindicate philosophy itself, but seeks a system that completes itself through iis development. According to Hegel, the philosophical truth is the whole But the whole does not exist on a transcendental level as a foundation or as an absolute presupposition (beginning), but as a final result of the activity of dialectical reason. These two conceptions of what philosophical truth is has influenced the later development of western philosopohy both in the Continental and the Anglo-American contexts The problems of the objectivity of our knowledge, the relation among language, mind and the world, and the rational grounds of linguistic communication, human acitivities, and social/historical developments. The different conceptions of philosophy also give rise to different characterization of philosophy, i.e. philosophy as a first order knowledge and philosophy as a second order knowledge.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특별 학술대회 팔표논문 : 한국 인문주의 예술론 정립을 위한 시론

        김혜숙 ( Hei Sook Kim ) 한국미학회 2014 美學 Vol.78 No.-

        인문학과 예술은 서로를 포함하기도 하고 서로를 배척하는 관계를 유지해왔다. 이런 양상은 동서양의 지적 전통 모두에서 확인할 수 있다. 서양미학의 발달은 감성과 감정의 산물로서의 예술과 이성의 산물로서의 철학 사이에 생긴 간극을 재조정하는 작업 안에서 이루어졌다. 이 글에서는 서양의 미학 맥락 보다는 동아시아 문화 전통에 초점을 두어 예술과 철학의 관계, 나아가 한국 인문주의 미학이론의 정립 문제를 생각해본다. 동아시아 문화 전통 안에서 우리는 철학과 예술의 불화가 아니라 철학과 예술의 불가분성, 혹은 일체성을 확인하게 된다. 철학 논의와 연계된 한국 예술론의 전개 안에서 포착되는 미학적 주제들 중 모방과 창조의 문제와 예술과 진리, 혹은 예술과 도덕 (道)의 관계 문제가 본 논문의 관심이다. 첫 번째 문제는 고려시대 이인로(李仁老)와 이규보(李奎報) 사이에서 벌어진 시 창작과 관련한 용사(用事) 대(對) 신의(新意) 논쟁으로부터 주어졌다. 두 번째 문제는 문이재도론(文而載道論)이라는 유가의 대표적 예술론과 관련하여 정조와 박지원 사이의 논쟁으로부터 주어졌다. 이들 논의를 살펴봄으로써 예술과 철학 간의 불가분성 논제를 확인한다. 한국미학의 과제는 문기와 장기 (철학과 예술) 사이의 긴장과 화해가 어떻게 드러나고 있는지, 이것들이 어떻게 논의되었는지, 여기서 제기되는 철학적 문제들이 무엇인지를 논의하는 것이 될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the paper is to dig out unique features that may define the color of Korean Aesthetic problematics surfacing the cultural tradition of literatti officers who heavily focused on literary and intellectual spirit in art. With this purpose, I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art and philosophy or an intellectual literary tradition in a broad sense in the East-Asian cultural tradition, especially in Korean cultural tradition. Western philosophers have long shown strong scepticism about the status of art as a form of knowledge. They doubted that art cannot be a result of serious human activity achieving some lofty ideals. It is not until the 18th century that art is made an object of serious philosophical reflections in the West. In contrast to the West, conflicts between art and philosophy are not easily observed in the East-Asian tradition. On the contrary, art and philosophy or humanities tradition in general cannot be separated. Art has been considered an important medium of truth (Tao), whether it is theoretical (眞) or practical (善). Throughout Korean cultural history, we have two important debates concerning what art is, that is, a debate between Lee Kyu Bo, and Lee In Ro and another between King Jungjo and Park Ji Won. I examine the general context of the debates to show the argument for the inseparability of art and philosophy (as expressing mental spirit).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우주적 실재에 관한 인식론적 성찰

        김혜숙(Hei-Sook Kim),안창림(Chang-Rim Ahn),김성구(Seung-Ku Kim),임경순(Kyung-Soon Im) 한국철학회 2001 哲學 Vol.67 No.-

        양자론과 관련한 인식론적 문제들은 지금까지 많이 논의되어왔다. 그러나 현대 우주론과 관련한 인식론적 문제는 거의 논의된 바가 없다. 우주론(cosmology)은 우주 자체에 관한 인간 경험의 한계 때문에 1960년대 이전까지는 사변적 요소를 많이 담고 있었으며, 과연 그것이 과학의 분야일 수 있는지에 관한 논란이 많았다. 그러나 이후 몇 십 년 간 우주론 분야는 눈부시게 성장하였고 고도로 이론화되었다. 본 논문은 우주의 시작과 끝에 관한 이론으로서의 우주론의 내용을 철학적 문제의식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그 안에서 제기되는 인식론적 물음들을 다룬다. 이 물음은 과학적 이론의 정당화와 진리, 검증 불가능한 과학이 론의 정당화 문제, 우주의 객관적 실재에 관한 이론으로서의 우주론 내에서 등장하는 인간원리의 문제들과 관련되어있다. 본 논문은 과학적 이론의 궁극적 정당화는 객관적 실재와의 대응이 아니라 (그 이론이 그 객관적 실재 자체의 기원과 생성에 관한 이론인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 이론의 설명력과 이론 내에서의 수학적ㆍ논리적 정합성, 그리고 인간원리에 의존하는 일종의 선험논변에 의해 이루어짐을 초끈 이론의 경우를 통해서 보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