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연구산업의 집적도와 기업 활동이 기업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혜린 충남대학교 국가정책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47

        연구산업의 집적도와 기업 활동이 기업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혜린 충남대학교 국가정책학과 과학기술정책전공 (지도교수 강태원) 글로벌 첨단기술패권이 심화됨에 따라 산업경쟁력 제고를 위한 첨단원 천기술 확보 및 산업화 등을 위한 연구개발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연구개발 활동의 현업 및 분업을 통해 연구성과 도출 효율성을 높이는 연구산업에 대한 중요성도 함께 증대되고 있다. 정부는 연구산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연구산업 지원 확대를 위한 법 제정, 정책 수립 등을 통해 다양한 지원 활동을 펼치고 있다. 특히, 연구산업은 자생적으로 확 대되는 산업이 아닌 기존 산업과의 네트워킹 및 연계를 통해 성장하는 산 업으로써 연구산업 집적도가 높은 지역을 대상으로 연구산업진흥단지를 지정하여 연구산업 생태계 활성화를 지원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연구장비, 연구개발서비스업, 연구재료, 주문연구 분야를 전 반적으로 어우르고 있는 연구산업에 대한 집적도와 연구산업 성장 및 기업 활동에 대한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2017년~2020년 연구산업 기업 패널 데이터 기반으로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산업 집적도와 연구산업 기업 성장에 관한 하우스만 검증 결과, P 값이 0.05보다 큰 0.5956으로 나타나 귀무가설을 채택하여 해석할 수 있 으며, 본 회귀분석은 확률효과 모형에 더 적합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기업 집적도와 기업 활동의 기업 성장영향에 대한 회귀분석을 확률효과모 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연구결과로는 연구산업 집적도가 높은 지역의 연구산업 기업의 혁신 활동, 경영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질수록 기업 성장에 높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기업의 집적도가 높은 지역 일수록 연구산업 기업은 중기업 대비 소규모 기업에서의 성장에 더 높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연구산업 집적도가 높은 지역에서 연구산업 기업의 혁신 활동인 R&D 집중도가 높을수록 기업 성장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이를 통해 연구산업 집적도가 높은 지역 대상을 연구산업진흥단 지로 추가 지정하여 R&D 집중도를 높일 수 있는 지역특화산업, 12대 국 가전략기술과 연계함으로써 자체 R&D 활동을 활발히 진행할 수 있는 R &D 중심의 사업 마련함으로써 연구산업 기업 성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할 필요가 있다. 주제어 : 연구산업, 기업성장, 집적도, 기업 혁신활동, 기업 규모, 기업 활 동, R&D 집중도, 회귀분석 As global technological hegemony intensifies, the need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to secure advanced core technologies and industrialization to enhance industrial competitiveness is increasing. Accordingly, the importance of the research industry, which enhances the efficiency of research outcomes through fieldwork and division of labor in R&D activities, is also growing. Recognizing the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industry, the government is expanding support activities through the enactment of laws and the establishment of policies to support the research industry. In particular, the research industry is not an industry that expands autonomously but grows through networking and linkage with existing industries. To support the activation of the research industry ecosystem, the government designates research industry promotion complexes in areas with high research industry concentration. To understand the impact of research industry concentration and the growth of research industry enterprises, a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panel data of research industry companies from 2017 to 2020. The Hausman test results for the concentration of the research industry and the growth of research industry companies showed a P-value of 0.5956, which is greater than 0.05, allowing the acceptance of the null hypothesis. This indicates that the random effects model is more appropriate for this regression analysis. Consequently, the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enterprise concentration and business activities on enterprise growth using the random effects model.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 more active the innovation and management activities of research industry companies in regions with high research industry concentration, the more significant the impact on enterprise growth. Additionally, it was found that in regions with high enterprise concentration, the growth impact on small enterprises is higher compared to medium-sized enterprises. Particularly,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R&D concentration, an innovation activity of research industry companies in regions with high research industry concentration, the greater the impact on enterprise growth. This suggests the need for active efforts to promote the growth of research industry companies by designating additional research industry promotion complexes in regions with high research industry concentration, enhancing R&D concentration through regional specialized industries, and linking with the 12 national strategic technologies to create R&D-centered businesses that can actively conduct their own R&D activities. Keywords : Research Industry, Corporate Growth, Agglomeration, Corporate Innovation Activities, Firm Size, Corporate Activities, R&D Intensity, Regression Analysis

      • 90년대생 초등학교 교사의 세대 갈등 경험에 관한 연구

        김혜린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90년대생 교사의 세대 특성을 살펴보며 세대 갈등 경험, 세대 갈등 대응 방식과 그로 인한 영향은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세대가 학교에 유입됨에 따라 학교 문화가 긍정적인 방향으로 발전 및 정착하길 바라며, 새로 임용되는 90년대생 교사들과 기성세대 교사들이 조화와 균형을 이루면서 서로의 잠재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기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90년대생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본인 세대의 특성은 어떠한가? 둘째, 90년대생 초등학교 교사들이 경험한 세대 갈등은 어떠한가? 셋째, 90년대생 초등학교 교사들의 갈등 대응 방식은 어떠한가? 넷째, 90년대생 초등학교 교사들이 세대 갈등으로부터 받은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 지역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90년대생 교사(1990~1996) 8명을 대상으로 하여 심층 면담 방법을 활용하여 질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90년대생 교사들은 개인주의적 성향을 가지고 있었으며 자신들의 개성, 권리 등을 중시하는 특성이 있었다. 둘째, 90년대생 교사들은 가치관, 행동 양식, 젊은 교사에 대한 학교의 기대와 개인의 가치에 대한 충돌로 세대 갈등을 경험하였다. 셋째, 연구 참여자 대부분이 조용하게 참고 넘어가기의 갈등 대응 방식을 사용하였는데 이는 솔직함, 정직함이라는 90년대생의 세대 특성과 다른 방식이었다. 넷째, 세대 갈등은 90년대생 교사에게 정서적, 관계적, 가치관 측면에서, 학교 조직에 업무효율, 인재 관리, 학교 문화 측면에서 영향을 미쳤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대 갈등 요인은 세대 특성 차이뿐만 아니라 학교의 보수적, 수직적 문화에도 기인하였다. 둘째, 대부분의 90년대생 교사는 폐쇄적인 학교 문화, 세대 특성, 개인 성향에 따라 다양한 갈등 대응 전략을 사용하였다. 셋째, 90년대생 교사들은 세대 갈등을 경험하며 교직 사회에 적응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 및 논의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90년대생 교사의 특성은 개인의 권리 추구, 솔직함, 정직함, 수평적 관계 지향 등이었다. 둘째, 90년대생 교사들은 가치관, 행동 양식, 젊은 교사에 대한 학교의 기대와 충돌하며 갈등을 경험하였고, 조용히 참고 넘어가는 갈등 대응 전략을 다수 사용하였다. 교직에 들어와 경험한 세대 갈등은 90년대생 교사 개인에게도, 학교 조직 측면에도 영향을 미쳤다.

      • 사회통합을 위한 사회정서학습(SEL) 기반 평화·통일교육 방안

        김혜린 서울교육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의 한반도는 냉전의 그림자 아래 견고한 분단 구조를 이루고 있다. 분단 이후 남과 북은 상호 불인정을 통해 체제의 존립 근거를 찾고자 했으며 남북 주민들 간 관계는 완전히 단절되었다. 배척과 분리를 갈등의 해법으로 내세운 배타적 정치는 내부 갈등 역시 편향적으로 다루어 합리적인 의사소통을 저해하는 결과를 낳았다. 분단 구조는 이분법적 기준을 내재화하고 부정적인 사회정서를 양산함으로써 사회의 통합을 저해한다. 분단 구조에 뿌리를 둔 국내외 갈등이 지속적으로 재생산되는 현실은 한반도가 분단체제에서 평화체제로 나아가야 하는 주된 이유이다. 통일교육에서 학습자가 분단의 현실과 삶의 관계성을 인식하는 것은 통일을 주체적으로 이해하는 출발점이다. 분단 현실에 대한 피로감과 통일에 대한 무관심이 증대하는 현실 속에서 개인과 분단 구조의 관계를 다루는 것은 오늘날 통일교육이 직면한 과제이다. 개인과 사회의 구조는 밀접한 상호성을 지닌다. 구조는 개인의 사회적 행위를 제시하는 틀로 작용하는 한편 개인은 구조의 실상을 실현하는 행위자로서 자신의 행위를 결정하며 구조에 영향을 미친다. 구성원 간의 연대와 합리적인 의사소통을 통한 갈등 해결 과정은 사회의 폭력적 담론을 거부할 수 있으며 분단체제를 지속하는 요인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통일교육은 학습자 개인에게 사회통합과 평화적 공존에 필요한 역량과 구체적인 실천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 체제 간 갈등을 자신의 ‘문제’로 이해하는 과정은 규범적 당위성만으로 이루어지기 어렵고, 개인의 필요와 의지, 즉 학습자의 생활과의 연계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연구는 통일교육이 생활세계와의 연계를 통해 삶 속에서 실천되는 과정을 수반해야 함을 주장한다. 평화·통일교육에서 생활세계 중심 접근이 강화되어야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화는 개인이 생활하고 경험하는 범위 안에서 다루어질 때 생생하게 이해된다. 둘째, 통일 교육은 학습자의 생활 문제와 연계할 수 있을 때 실천과 지속적인 참여로 이어지는 정서적 추동력을 가질 수 있다. 셋째, 학습자의 삶의 맥락을 고려한 통일교육은 평화통일의 과정이 미래의 추상적인 모습이 아닌 현재의 이야기(Narrative)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한다. 생활세계 중심접근을 강화하는 데 사회정서학습(Social and Emotional Learning)은 통일교육의 효과적인 실천방안이다. 사회정서학습은 학습자 개인의 삶의 맥락에서 통일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역량을 설정하고, 통일교육의 내용을 다양한 생활 속 실천으로 확장하는 징검다리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사회정서학습을 사회통합을 위한 평화·통일교육의 구체적 실천방안으로 제시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의 예방과 치유를 통한 지속적인 해결 과정에 중점을 두는 사회정서학습은 평화·통일교육이 지향하는 문제해결과정의 관점에 부합한다. 사회정서학습은 학습자의 실질적인 고민과 관계 및 정서적 문제에서 출발하여 공동의 문제에 대한 책임감과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는 역량을 기르는 교육이다. 이는 분단으로 인한 사회적 갈등을 평화적 관계와 소통을 통해 회복해야 한다는 평화·통일교육의 지향점과 일치한다. 이러한 접점을 활용한다면 학습자의 일상 속 관계를 다루는 방법과 사회적 문제로서의 분단을 연계한 실천과정을 발전시킬 수 있다. 둘째, 정서적 기술과 생활을 연계한 학습은 분단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을 충분히 공감하고 사회의 평화가 개인의 평화적 관계(peaceful relationship)에서 출발하고 완성됨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다양한 감정의 존재를 인식하는 정서 문해력과 감정이입을 통해 타인과 사회 이해역량을 강조하는 사회정서학습은 한반도 공동체 내 정서적 유대감을 바탕으로 평화적 공존의 필요성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사회적 기술에 대한 학습은 평화적 통일과정에서 소통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차이를 존중하는 태도를 길러준다. 사회적 기술 및 역량을 기르는 사회정서학습은 공통으로 합의된 문화 속에서 타인의 정서, 배경, 합리적 의견을 존중하는 의사소통 과정을 강조한다. 생활세계에서 학습된 소통의 기술은 북한주민들과의 차이를 대면하고 평화적 관계를 맺는 방안을 모색하는 학습 과정으로 확장될 수 있다. 평화와 통일을 다루는 통일교육은 각 개념이 지니는 포괄성만큼이나 사회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학습자의 생활 전면을 통해 접근되어야 한다. 부정적인 정서가 폭력적으로 표출되고 학생 간의 관계가 분열된 교실에서 평화·통일교육은 효과적으로 구현될 수 없다. 학습자가 생활에서 마주하는 교육적 필요를 파악하고 충족하는 데서 출발하는 사회정서학습은 생활과 구조의 간극을 메우는 학습방안으로 채택될 수 있다. 본 논문은 학습자의 정서와 사회를 포괄하는 사회정서학습과 평화·통일교육의 통합 교육을 통해 실생활과 통일교육의 선순환과정이 구현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평화·통일교육에서 사회정서학습의 활용에 대한 구체적 논의는 학습자가 분단에서 기인한 갈등을 객관적으로 직면하고 해결하는 역량을 기를 수 있는 실질적 대안을 제공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 성인발레지도자의 지도유형이 수강생의 무용몰입 및 무용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

        김혜린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성인발레지도자의 지도유형이 무용몰입 및 무용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서울·경기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문화센터·사설학원·동호회에서 성인발레수업을 수강 중인 성인 31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고, 자기평가기입법으로 응답하도록 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미기입 등 불성실한 응답으로 신뢰도가 떨어지는 2부를 제외하고, 총 308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 WIN 23.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T-test, 일원변량분석, Scheffe검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상의 연구방법을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발레수강생의 일반적 특성인 경력, 참여 빈도에 따라 지도유형, 무용몰입, 무용지속의사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연령에서는 몰입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성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성인발레지도자의 지도유형인 훈련 및 지시 유형, 민주적 유형, 사회적 유형, 긍정적 보상 유형은 무용몰입과 무용지속의사에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권위적 유형은 무용몰입의 인지몰입과 무용지속의사에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발레수강생의 무용몰입과 무용지속의사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인발레지도자의 긍정적 보상 유형은 무용몰입과 무용지속의사의 모든 하위요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훈련 및 지시 유형은 무용지속의사의 무용지속가능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무용몰입의 인지몰입과 행위몰입은 무용지속의사의 모든 하위요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성인발레지도자의 지도유형과 성인발레수강생의 무용몰입, 무용지속의사간에 서로 영향을 미치는 관계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성인발레지도자들이 수강생들을 효율적으로 지도할 수 있도록 효과적인 교육법을 개발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고, 수강생들은 높은 여가몰입으로 삶의 질이 향상될 수 있으며, 수강생들의 무용지속의사를 높여 성인발레 활성화를 촉진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e study is concerned with finding the effects of instructor's teaching behavior styles on dance commitment and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ions. The study was done for the 310 adults taking the adult ballet classes in the culture centers, private institutes, and clubs located in the Seoul and Gyeonggi regions. Moreover, the responses were done with the self-administration method by using the total 308 copies for analysis except for the 2 copies having low reliability due to the insincere responses such as blank among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The frequency analysis, the reliability analysis, the T-test, the one-way analysis of variance, the Scheffe test,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regression analysis were done with the SPSS WIN 23.0 statistical program. The conclusion derived from the above research method is as follows. First, depending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dult ballet participants including career and participation frequenc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ing behavior styles, dance commitment, and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ions. For the ag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mitment. For the gend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the adult ballet instructor's teaching behavior styles including the training and order, democratic, social, and positive compensation behavior styles had the positive correlation with dance commitment and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ions. The authoritative behavior style had the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cognitive commitment of dance commitment and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ions. The dance commitment of adult ballet participants ha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ions. Third, the adult ballet instructor's positive compensation type had the positive effect on the dance commitment and all the lower factors of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ions. The training and order types had the positive effect on the continuous participation possibility of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ions. Furthermore, the cognitive and behavioral commitments of dance commitment had the positive effect on all the lower factors of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ions. It is found from the study that the adult ballet instructor's teaching behavior style and the adult ballet participants' dance commitment and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ions have the relation of mutual effects. Hence, it is helpful for developing the effective education method enabling adult ballet instructors to teach participants efficiently and participants to have the more leisure commitment for improving the life quality and the more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ions for facilitating the active adult ballet.  

      • 노인요양전문병원에서의 福祉서비스계약에 관한 基礎的 硏究

        김혜린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dieser st?ndig ver?nderne soziale Welle, muss Recht f?r die soziale Ordnung als einen Zaun der sozialle Geseltschaft funktionieren. Der Zaun steht als die letzte Festung f?r die Geseltschaft und dazu funktioniert auch als einen gemeinsamenden Schutz. Deshalb darf die Grenze des Zauns sich nicht so leicht Sch?tteln lassen. Aber wir m?ssen auch von einem Stereotype uns nicht schliessen lassen, dass die Grenze unver?ndbar ist. Die Ver?nderung der Grenze beginnt von einer Wahnermung, dass die Geseltschaft in seiner Begrenzung eingekommen ist, und andere verschiedene soziale probleme sind eine Forderung f?r die Ver?nderung der Grenze. Dieser Schriftst?ck handelt sich um die neue Vertragskategorie die sich nach eine soziale Entwicklung aufgetaucht ist, und auch die Probleme des jetzigen Vertragsrechtsystems, und die m?gliche L?sung f?r diese Probleme. F?r das, ist das heutige sozial Thema ?Sozialhilfe? als ein gro?es Motiv angewendet, die unter das Hauptthema ?Fundamentale Untersuchung ?ber der Vertrag der Sozialhilfe? als Beispeil, Gesundheitsversorgung in den Krankenh?usern die f?r ?ltere Menschen geeignet sind, angeschaut ist. Der Vertrag der Sozialhilfe und andere Vertr?ge die f?r Service geeignet sind, sind unter Zivilrecht sehr ?hnlich mit Vertrag zur Diensteverbunden, aber die sind nur ?hnlich, und haben nicht die ganz gleiche Ideen. Von da an, ist es nur eine vereinigung der Teile, unzureichend f?r eine Fertigstellung zu nennen. Zuerst, bei dem zweiten Teil des papiers, ist die Gesundheitsversorgung in den Krankenh?usern die f?r ?ltere Menschen geeignet sind, wegen der geh?rung zur Service Vertrag, glechzeitig auch wegen des Zahlungsgrunds, nicht als Vertrag zur Dienste gegrenzt werden kann beweisst. Das musste angeschaut wereden f?r eine Beweisung der falsche Interpretation bei heutigen Recht in Vertrag zur Dienste. Das heisst, dass das alles einen wichtigen Prozess war, um anzusehen ob es eine m?glich falsche Interpretation in Kategorien by Vertragsrecht ist, oder einen Fehler in dem Recht selbst gibt. Dieses Papier handelt sich mehr um die zweite Situation als die erste. Wegen einer nat?rlich ungreifbare Eigenscahft der Service, gibt es verschiedene Formen in Vertr?ge. Nat?rlich zehlt Formen wie die Vertrag zur Dienste, die heutige Zivilrecht festgelegt hat dazu. Vertragskategorien wie Sozialhilfe die hier in diesem Papier eingestellt sind, besitzt jedoch eine bestimmte Bgrenzung die durch Vertrag zur Dienste nicht erkl?ren kann. So eine Bgrenzung ist eine inh?rente problem die Korea von Romes Recht system ?bernommen hat. Eine kurzlebige Form die einen t?pischen Vertrag besitzt, ist sehr schwach gegen Vertragsformen wie die ?Dauerrechtsverh?ltnis?. Mittlerweile, wenn wir die Entwurf zur Modernisierung des Japanischen Schuldrechts ansehen, die eine ?hnliche Recht system wie uns hat, hat Japan eine ultimale Kategorie ?Dienstleistung? erschafft die Elemente wie beinhalten, und dazu entsch?rft nicht nur die Konflikte bei realistische Branche, sondern funktioniert auch als eine gesamte Wiederregulation bei Werkvertrag, Auftrag ,Verwahrungsvertrag, Dienstvertrag. So eine abstrakte Recht wie die hier, passt f?r die heutige schnell-l?ufende Geseltschaft perfekt an, und gleichzeitig funktioniert als Unterst?tzung der typischer vertrag die bei Zivilrecht aufhaltet. Die soziale Geseltschaft bittet um eine inhaltliche Ver?nderung in Vertrag. Das hei?t, wenn man realistische Branche die unter Dauerrechtsverh?ltnis verbunden ist ansehen, kann man wissen dass es sehr schwer ist um all die Information bei Vertragsentscheidung aufzuschreiben. Es kann sein, dass man Ver?nderung in Vertrag erfordert wegen der langen Zeitspanne in Vertrag. Deshalb, handelt dieses Papier um die Vertragsver?nderung in speziele situation. Unter der gr?ssten Eigenschaften bei moderne Vertragskategorien Spezialisierung, and Informationszeitalter, stehen die ?ltere Menschen in einer unermesslich schwachen Position in der Geseltschaft. Deswegen muss die generelle Regelung in Dienstleistungsvertrag bei dem Zivilrecht legalisiert wereden, um dieses Problem zu l?sen. Und durch diese Regelung , kann man Verbrauchersvertragsrecht im Sondergesetz einsetzten, die als Heilanstalt im Sondergesetz genannt wird, um nicht nur die ?ltere Leute sondern auch die Behinderte zu helfen.

      • 연발 표현 '-자, -자마자, -는 대로'의 효과적인 교육 방안 연구

        김혜린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연발 표현 ‘-자, -자마자, -는 대로’의 의미적, 통사적 특징 및 차이점을 밝히고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이를 효과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발 표현 ‘-자, -자마자, -는 대로’는 선행절의 행위 및 사건이 일어나고 곧 이어 후행절의 행위 및 사건이 일어남을 뜻한다는 유사점을 갖는 반면, 각각의 의미와 용법에 차이점을 갖고 있어 한국어가 모국어가 아닌 외국인 학습자들이 적절하고 정확하게 연발 표현을 구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적인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따라서 연발 표현에 대한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으로 ‘-자’, ‘-자마자’, ‘-는 대로’가 갖는 의미적, 통사적 의미를 비교 분석하고, 말뭉치 분석을 통해 분석 내용의 실질적 근거로써 뒷받침하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한국어 수업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교재 4종을 분석하여 연발 표현 교육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점을 살펴보고 앞서 정리한 내용을 토대로 교재 분석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보완하여 연발 표현의 효과적인 학습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교육 방안을 제안해 보았다. 먼저, 연발 표현의 의미적 특징은 ‘-자’는 ‘-자마자’와 ‘-는 대로’에 비해 선행절과 후행절 사이의 물리적 혹은 심리적 시간 격차를 허용하며, ‘-는 대로’는 선행절 행위에 대한 ‘완료’의 의미를 갖는 ‘-자’와 ‘-자마자’에 비하여 ‘지속성’을 가지므로 선행절과 후행절의 행위에 연관성이 있어야 한다는 차이점이 나타났다. 통사적 특징은 주어 제약, 연발 표현과 결합하는 서술어의 품사 및 속성, 부정형 사용, 시제 및 후행절의 문장 유형 제약의 다섯 가지 차원으로 구분하여 연발 표현 각각의 특징 및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자’는 유일하게 주어 일치 제약이 나타났고, 주로 후행절에 과거 시제가 오는 경우가 많았으며 후행절에 의문문, 청유문, 명령문의 형태가 결합되지 않는다는 특징이 발견되었다. ‘-자마자’는 별다른 통사적 제약을 보이지 않은 반면, ‘-는 대로’는 유일하게 의미의 ‘지속성’을 갖는 과정성 동사와의 결합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고, 주로 후행절에 미래 시제가 많이 나타나며 계획이나 예정을 의미하는 표현이 아닌 일반 평서문에는 제약을 보인다는 특징이 있었다. 다음으로, 한국어 수업 현장에 활용되는 한국어 교재 중에서 6종을 사전 검토한 뒤 최종적으로 4종을 선정하여 연발 표현 ‘-자, -자마자, -는 대로’가 어떻게 교육되고 있는지, 그리고 각 연발 표현과의 연관성과 차이점은 교육 내용에 포함되어 있는지, 연습과 활동은 적절하게 제시되어 있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발 표현 ‘-자, -자마자, -는 대로’를 모두 포함시키고 있는 교재는 단 2종뿐이었고, 각 연발 표현 사이의 연관성과 차이점을 기술한 교재는 단 1종뿐이었다. 또한 연발 표현에 대한 의미적 차이와 통사적 제약 및 특징에 관한 내용도 자세히 나타나 있지 않았다. 연습 문항이 교재마다 너무 적었고, 의사소통과 결합된 유의미한 연습 보다는 기계적 연습이 상대적으로 많았으며, 과제를 통한 활용 부분도 각 단원의 주제에 맞춰 목표 문법을 모두 활용하는 과제이다 보니 연발 표현을 집중적으로 활용하기에 부족함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연발 표현 ‘-자, -자마자, -는 대로’의 특징 및 차이점과 교재 분석에서 드러난 문제점을 바탕으로 한국어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고는 연발 표현을 이미 배웠지만 의미적 차이 및 통사적 특징과 제약을 구분하여 사용하지 못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보충 교육을 할 수 있도록 도입-제시-연습-활용-마무리의 5단계로 나누어 각 단계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고에서 제시하는 교육 방안은 첫째, 예문 및 연습과 활용에서 말뭉치 분석 결과 연발 표현과 자주 결합하는 것으로 나타난 동사를 최대한 활용하고, 둘째, 기존의 교재에서 문제점 및 개선점으로 지적된 내용을 시각적 자료를 이용하여 보다 쉽고 간단하게 제시하며, 셋째, 연발 표현 ‘-자, -자마자, -는 대로’를 골고루 활용하여 수행할 수 있는 과제를 개발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본 연구는 유의 관계를 가진 ‘-자’, ‘-자마자’, ‘-는 대로’를 연발 표현이라는 하나의 범주에 포함시켜 학습자에게 보다 효과적으로 각각의 특징 및 차이점을 명시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질 수 있다. 하지만, 본고는 연발 표현의 의미적, 통사적 특징 및 차이점을 분석한 내용에 대해 실제적 근거를 제시하기 위한 말뭉치 분석에서 제한된 말뭉치를 사용하였기에, 구어와 문어로 나누었을 때 분석 대상 구어의 분량이 너무 적어 일반화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실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연발 표현에 대한 교육을 분석하지 못하고 교재 분석을 통해 연발 표현의 교육 내용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한계를 가진다.

      • 클라우드 환경 web OS 사용자 인증 스킴의 정형 명세 및 검증

        김혜린 高麗大學校 融合소프트웨어專門大學院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클라우드 서비스 환경의 성장과 모바일 환경의 급격한 확대로 인하여 Web OS의 장점을 부각시킬 수 있는 환경이 부각되었다. Web OS는 웹이 브라우징 역할을 넘어, 운영체제 환경을 구현한 것이다. Web OS를 통해 사용자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자신의 정보가 저장된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여 자신의 컴퓨팅 환경을 지원 받을 수 있다. 인터넷을 기반으로 통신하므로, 사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버의 정보가 악의적인 공격자로 인하여 보안 위협을 받을 수 있다. 현재 Web OS의 보안 스킴을 보안 프로토콜 검증 도구 Scyther를 이용하여 보안 위협을 검증한 결과, 기밀성, 메시지의 무결성, 세션 키의 보안, Aliveness, Weak agreement, Non-injective synchronization, Non-injective agreement 등의 보안 위협이 존재한다. 이로 인해 도청, MITM, Flooding, DDOS, Spoofing, 서버공격, 계정이나 서비스 및 세션 hijacking 등의 보안 공격이 예상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Web OS의 Server와 Client가 상호 인증하는 과정에서 보안 위협의 공격을 방지할 수 있는 개선된 보안 스킴을 제안하고 Scyther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 COIVD-19 백신접종이 재확진자 임상 증상 및 재감염 소요 기간에 미치는 영향

        김혜린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연구 배경: 코로나19는 2019년 12월 첫 사례가 나온 이후 현재까지 전 세계적으로 약 6억 명이 확진 되었고 약 650만 명이 사망하였다. 한국은 거리 두기 시행 및 코로나19 백신 접종률 증가 (87.9%) 등 강력한 백신 정책으로 코로나19를 통제하고 있지만 2022년 1월 오미크론 변종 유입 이후 확진자가 급증하며 재확진율 (0.43%) 또한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재확진의 경우, 확진 혹은 백신접종에 의해 형성된 면역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나 지역사회 내에서 이를 고려한 동일인 대상 임상증상 변화 비교 연구나 첫 확진에서 재확진까지 기간 (재확진 소요 기간)에 나이, 성별, 백신접종 등이 주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잘 이루어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일인을 대상으로 확진 당시 확인된 정보로 구축된 데이터를 통해 백신접종 유무가 첫 확진과 재확진 시 임상증상의 감소에 미치는 영향과 첫 확진부터 재확진까지 소요 기간에 백신접종, 성별, 나이 등이 주는 영향을 확인하고 백신접종 시 임상증상 완화 정도와 효과적인 추가 백신 접종의 시점을 확인하여 재확진 사례 억제 및 증상 완화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본 연구는 후향적 코호트 연구로 서울에 거주하는 18시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한다. 대상자는 2020년 1월부터 2022년 2월 24일까지 RT-PCR 검사로 코로나19에 확진 후 동일한 검사로 재확진이 확인되고, 확진 사이 간격이 90일 이상인 자로 정의한다. 통계 방법으로 증상에 미치는 영향은 기술통계와 맥니마 카이제곱 검정을 통한 빈도분석을 사용하고 확진 소요 기간에 미치는 영향은 연속변수로 평균 비교, 다중 회귀분석을 사용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 확진과 재확진 시 무증상의 비율은 백신 미접종군(17.8%, 39.1%)과 접종군(21.0%, 43.1%)에서 모두 재확진 시의 무증상 비율이 유의하게 많았다(p<0.001). 증상의 종류 중 열, 오한, 피로감, 근육통, 몸살 등의 전신증상과 기침, 콧물, 가래 등 국소증상 및 후각소실과 미각소실 모두 첫 확진 시 보다 재확진 시 유의하게 적었다(p<0.001). 완전 백신접종을 한 경우 두통, 기운 없음, 쳐짐, 국소증상, 후각소실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으며(p<0.05), 알레르기의 경우 백신접종을 하지 않은 경우 증상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p<0.001). 확진과 재확진 간 소요 기간은 백신 미접종 군에서 평균 220.3±152.8일로 백신접종 군(283.8±163.2일)보다 유의하게 짧았고(p<0.001) 첫 확진 시 증상이 있는 군(254.3±160.5)이 증상이 없는 군 (311.52±164.4일)보다 유의하게 짧았다(p<0.001). 나이가 어릴수록 나이가 많은 군보다 소요 기간이 짧았고, 특히 20대 (237.8±150.9)와 60대 (322.2±169.8), 30대(242.2±148.3)와 60대가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p<0.001). 재확진 소요 기간에 영향을 주는 백신접종 유무, 첫 확진 시 증상유무, 연령, 기저질환 유무, 변이 바이러스 유행기간과 성별을 고려한 다중 회귀분석 시행 시 백신접종 유무는 다른 변수를 보정하더라도 미접종 시 보다 접종 시 재확진 소요기간이 13.0 더 유의하였다(p=0.03). 논의 및 결론: 재확진 시 이전 확진의 면역반응으로 무증상 비율이 늘어나고 특히 백신접종 시 전신 증상, 신경 증상의 비율이 백신 미접종 시보다 유의하게 적어지며 임상적으로 완화된 형태로 나타난다. 더불어 백신접종은 재확진 소요 기간을 증가시켜 면역의 유지 기간도 증가시킴을 알 수 있다. 즉, 백신접종은 질병 예방뿐 아니라 재확진 시 증상 완화, 면역 지속시간의 증가에 영향을 준다. Background: Only a few studies have compared the primary infection cases of SARS-CoV-2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infection and the time of reinfection in the same person. We ai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vaccines on symptomatic relief during reinfection and prolonging the interval for reinfection, and investigate whether the vaccination was associated with additional protection against reinfection. Methods: This retrospective cohort study included patients aged > 18 years in Seoul who were reinfected with SARS-CoV-2 and confirmed positive using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between January 2020 and February 24, 2022. Patients were considered reinfected if the period between the two infections was at least 90 days. Reduction in symptoms and severity was determined using the chi-square test;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confirm whether COVID-19 vaccination prolonged the reinfection interval. Results: We included 712 reinfection cases. The proportion of asymptomatic patients at the reinfection (42.0%) was higher than at the first infection (20.1%) (p<0.001). If vaccinated, the ratio of systemic, local, and neurological symptoms at reinfection was lower than that when unvaccinated (p<0.001). The average interval for reinfection was 265.78±162.8 days. The change in the interval for reinfection in the vaccinated group (283.79 ± 163.23 days) was significantly longer than in the unvaccinated group (p<0.001). The interval for reinfection was significantly shorter for symptomatic cases (254.29±160.446 days) at the time of the first infection than for asymptomatic cases (p<0.001).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age, vaccine, and presence of symptoms at the first infection affected the change in the interval for reinfection (p<0.001); in the model including the time variable at the first infection, vaccination still significantly delayed the interval for reinfection (p=0.030). Conclusions: Between two infection periods in the same person, when vaccinated, the ratio of systemic, local, and neurological symptoms at reinfection was lower than that when unvaccinated at the first infection. The interval for reinfection was significantly longer for the vaccinated group than for the unvaccinated group.

      • 일회성 고강도 달리기 운동과 극저온 냉각 처치 후의 초콜릿 우유 섭취가 혈중 젖산, 심박변이도, 인지적 기능 및 운동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혜린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hocolate milk intake following high-intensity running and cryotherapy on blood lactate, heart rate variability, cognitive function, and physical performance. [Methods] A total of 30 recreational soccer players were assigned to cryotherapy and water group (CON) (n=10), cryotherapy and carbohydrate group (CRCHO) (n=10), cryothearpy and chocolate milk (CRCM) (n=10). As for the procedure of the experiment, each group performed high-intenstiy running (Ex1) and treated cryotherapy and ingested carbohydrate and carbohydrate+protein (Chocolate milk) immediately after running. Then, each group performed same running 2 hours later (Ex2). Blood lactate was measured at before and immediately after each running (Ex1, Ex2). Heart rate variability was measured before running, immediately after treatment, and 1 hour, 2 hours later. Cognitive function was measured before running, immediately after treament and 2 hours later. Physical performance such as cognitive agility test, squat jump were measured before running and 2 hours later after running. [Results] In all three groups, blood lactate leve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running (Ex1, Ex2). However, in CRCHO group, blood lactate increment after Ex2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CON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hree groups in root mean square of successive differences (RMSSD), high frequency (HF), the ratio of low frequency and high frequency (LF/HF) index which can measure the activity of the 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 However, the heart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RCHO group compared to CON group. In cognitive func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hree groups, but all of the groups decreased significantly immediately after running (Ex1),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t 2 hours after running. In physical performanc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 and time. [Conclusion] Carbohydrate intake after cryotherapy following a single bout of high-intensity running suppressed the increase of blood lactate concentration after the high-intensity running test. However, chocolate milk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blood lactate, heart rate variability, cognitive function, physical performance. It is expected that a clearer effect can be verified when further research is conducted by supplementing the deficiencies in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