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고형상의 모델시스템에 있어서 리놀레산의 산화에 미치는 리폭시게나아제, 카로틴, 토코페롤 및 수분활성의 영향

        김혜경(Hae-Gyoung Kim),최홍식(Hong-Sik Cheigh),송영옥(Yeong-Ok S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1 No.1

        고형상의 모델시스템에서 리놀레산의 산화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가지 인자들 즉 리폭시게나아제, 수분 활성도, β-카로틴, α-토코페롤등에 대해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리폭시게나아제에 의한 리놀레산의 산화반응은 a_w 0.72에서 a_w 0.25에 보다 잘 일어났다. 그러나 이 시스템에 β-카로틴이나 α-토코페롤을 반응시키게 되면 리놀레산의 산화를 크게 저해하였으며 β-카로틴보다는 α-토코페롤이 지질과 산화 과정에서 항산화작용이 더 컸다. 즉, 유사한 조건에서 β-카로틴은 24시간의 유도기간을 보여 준 반면 α-토코페롤은 72시간까지도 유도기간이 지속되었다. β-카로틴의 항산화작용은 수분활성도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수분활성도가 높을수록 항산화 작용이 뛰어났고 또한 β-카로틴의 농도가 높을수록 CDA 생성이 적었다. Starch solid model system was employ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ipoxygenase, β -carotene, α-tocopherol and water activity on the oxidation of linoleic acid. The rate of oxidation of linoleic acid by lipoxygenase was increased with the increase in water activity. Addition of β -carotene and α -tocopherol to this system has been shown to inhibit the oxidation of linoleic acid and α -tocopherol was more effective antioxidant than β-carotene. However, an increase in the concentration of β-carotene was found to have a strong antioxidant effect in the solid model system. And also the antioxidative action of β-carotene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water activity in this system.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쌀보리 결합지질의 추출과 그 조성에 관한 연구

        김혜경(Hae-Gyoung Kim),김복남(Bok-Nam Kim),최홍식(Hong-Sik Cheigh)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8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18 No.1

        쌀보리가루에서 결합지질을 방법을 달리하여 추출하고 이들을 중성지질, 당지질, 인지질등으로 분획하였으며 다시 이 분획된 성분들의 구성 지질들을 분별 정량한 다음 각 지질들의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였다. Water saturated butanol (25℃, WSB-LT) 추출 결합지질에서는 중성, 당, 인지질의 함량이 각각 35.5%, 32.4%, 32.1% 그리고 WSB(95℃, WSB-HT)추출 결합지질에서는 인지질의 함량이 50.6%로 가장 많았다. 중성지질 성분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성분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triglyceride(66~82.9%)이고 그외 free fatty acid, free sterol, diglyceride, esterified sterol 등이 분별정량되었으며, 당지질 성분중에서는 digalactosyl diglycerides, cerebrosides, steryl glycosides, monogalactosyl diglycerides등이 주요 구성성부이였고 이중 digalactosyl diglyceride(40.2~44.8%)의 함량이 가장 많았다. 인지질의 경우에는 lysophosphatidyl choline (20.3~34.4%), phosphatidyl choline & phsphatidyl serine(18.6~22.5%), phosphatidyl ethanolamine(18.4~28.2%), diphosphatidyl glycerols (10.5~16.9%)등으로 그 성분이 구성되어 있었으며, 대체로 구성성분은 추출방법에 따른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으나 인지질외에는 그 차이가 심하지 않았다. 또한 쌀보리에서 추출한 결합지질의 주요 지방산은 linoleic acid와 palmitic acid로서 추출방법에 따른 지방산 조성의 큰 차이점은 없었으며, 특히 중성지질에서는 palmitic acid 함량이 34.3~38.2%, linoleic acid 함량이 44.2~48.8%였다. Bound lipids(BL) of naked barley(Hordeum vulgare L.) were extracted by different methods and the composition of BL was determined by the procedures of column chromatography, thin layer chromatography and gas chromatography. For the extraction, after free lipids were removed from barley flour by petroleum ether(PE) extraction and then BL were extracted from PE treated flour by the solvent systems of water-saturated butanol(WSB) at 25℃(WSB-LT) and at 95℃( WSB-HT). BL were extracted by WSB-HT with higher extraction yield as 1.5% as dry basis of flour. The contents of neutral Iipids(NL), glycolipids(GL) and phospholipid(PL) in BL were 20.7~35.5%, 28.7~32.4%, 32.1~50.6%, respectively with particularly higher content of PL in WSB-HT as 50.6 %. Digalactosyl-diglycerides (40.2~44.8%), monogalactosyl- dig-lycerides(20.3~31.1%), sterly glycerides(11.2~15.2%) and cereb rosides(11.6~12.9%) were observed in GL. Of the PL in BL, lysophosphatidyl choline, phosphatidyl choline and phosphatidyl serine, and phosphatidyl ethanolamine were the major components. The predominent fatty acids of NL, GL and PL were linoleic and palmitic acid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composition of fatty acids between two extraction methods.

      • SCOPUSKCI등재

        액상 모델 시스템에서 베타 - 카로틴의 Co - oxidation에 대한 리폭시게나아제 및 기타 관련 인자들의 영향

        김혜경(Hae-Gyoung Kim),최홍식(Hong-Sik Cheigh)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4 No.2

        액상 모델 시스템에서 베타-카로틴의 co-oxidation에 대한 리폭시게나아제, pH, 리놀레산과 베타-카로틴 그리고 토코페롤의 영향에 대해 검토하였다. pH 9.0에서 리폭시게나아제에 의한 베타-카로틴의 co-oxidation 현상이 특히 현저하였다. 그리고 리놀레산과 베타-카로틴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베타-카로틴의 산화 속도도 이에 비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pH 9.0 반응 시스템에서 이러한 산화 현상이 더 뚜렷하였다. 베타-카로틴의 co-oxidation에 대한 토코페롤의 항산화 효과에서는 pH 조건에 따라 아주 다른 양상을 보였다. 즉 알파-토코페롤의 경우, pH 7.4 시스템에서는 10^(-4)M 농도에서, pH 9.0 시스템에서는 10^(-3)M 농도에서 가장 효과적인 항산화제로 작용했다. 델타-토코페롤의 항산화 효과도 알파-토코페롤과 유사하게 pH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대체적으로 농도가 높을수록 베타-카로틴의 산화 안정성이 큰 경향을 보였다. The effects of lipoxygenase, linoleic acid, tocopherol and pH on the co-oxidation of β-carotene in the aqueous system were studied. It showed that the co-oxidation of β-carotene was noticeable at both pH 7.4 and 9.0. As the concentrations of linoleic acid and β-carotene increased, the rate of oxidation of β-carotene tended to be increased. However, α-and δ-tocopherol retarded the co-oxidation of β-carotene. As the concentrations of tocopherols increased, β-carotene was more stabilized, generally. But low concentration of α-tocopherol (10^(-4)M) acted more effective antioxidant than high concentration of it(10^(-3)M) at pH 7.4. The antioxidant effect of tocopherol greatly depended on pH ; it was outstanding at pH 7.4.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Antioxidative Characteristics of Dihydroxyphenylalanine, Melanin and Enzymatic Browning Reaction Products of Tyrosine in a Model System

        엄수현(Soo-Hyoun Um),김혜경(Hae-Gyoung Kim),최홍식(Hong-Sik Cheigh),이창용(Chang Y.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4 No.3

        모델시스템에서 얻어진 tyrosine의 효소적 산화반응생성물 (enzymatic oxidation products of tyrosine ; EOPTs) 그리고 동 반응의 중간 또는 최종 물질로 알려진 두가지의 표준 물질 즉, dihydroxyphenylalanine (DOPA)과 melanin에 대한 일련의 항산화 특성을 살펴보았다. Tyrosine-tyrosinase 반응시스템 (pH 6.5, 온도 25℃, 시간 0~120분)에서 얻어진 EOPTs는 전반적으로 200~210, 280, 310~320 그리고 450~490㎜에서 정점을 갖는 광학적 흡수특성을 보였으며 15분 후에는 450~520㎚에서 강한 흡수특성을 나타냈다. EOPTs의 리놀레산에 대한 산화반응 억제 효과는 다 같이 최초 반응물질인 tyrosine 보다는 현저히 높고 반응초기 (1~3분)의 것이 후기의 것들 보다 높았다. 또한 tyrosine, DOPA 및 melanin 등의 표준물질에 있어서는 tyrosine 보다는 다른 두 물질에서 항산화 효과가 더 높았고 그 중 DOPA의 항산화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편 이들의 유리기 소거능은 tyrosine 보다는 다른 두 표준물질에서 높았으며 이러한 산화반응 물질들은 다양한 항산화 특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최종 갈변생성물 보다는 중간 물질에서 더 높은 효과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아직은 그 작용 메카니즘이 분명치 않으며 앞으로 더 규명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Antioxidative characteristics of dihydroxyphenylalalnine (DOPA), melanin and enzymatic oxidation products of tyrosine (EOPTs) were studied in a model system. EOPTs were prepared by the tyrosine-tyrosinase reaction at pH 6.5 and 25℃ at various time intervals (0~120min). All EOPTs were brown in varied intensities with increased absorption at 200~210, 280, 310~320㎚, and 450~490㎚. EOPTs obtained at the early stage of the reaction (1~3min especially) showed a higher antioxidative activity than those from the later stage on the inhibition of peroxide, conjugated dienoic acid and malonaldehyde formations in linoleic acid autooxidation. Additionally among the substances of tyrosine, DOPA and melanin, DOPA showed the highest antioxidative activity while that of tyrosine was the lowest during the linoleic acid autooxidation. It was observed that DOPA and melanin had the ability of free radical scavenging, which may partly contribute to their antioxidative activity.

      • SCOPUSKCI등재
      • KCI등재

        한국산 칡의 Estrogen 활성에 관한 연구

        김소정(So-Jung Kim),박철(Chul Park),김혜경(Hae-Gyoung Kim),신완철(Wan-Chul Shin),최석영(Suck-Young Cho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3 No.1

        한국산 칡(Pueraria thunbergiana)의 에스트로겐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9종의 물질의 함량을 HPLC로 측정하였고, 그들의 에스트로겐성을 in vitro screening test인 estrogen receptor dependent transcriptional expression assay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Phytochemical 함량을 분석한 결과 칡의 대표적 에스트로겐성 물질인 daidzein의 경우, 뿌리>줄기>잎>꽃>종자의 순서로 나타났고, 칡에서 가장 함량이 많은 puerarin의 경우도 뿌리>줄기>잎>꽃>종자 순서로 함유되어 있었다. Phytochemical들의 에스트로겐 활성도 측정 결과 효능(potency)은 daidzein>genistein>>biochanin A>formononetin>puerarin>genistin >> glycitein = daidzin = glycitin 순이었다. 17β-estradiol에 대한 1 μM에서의 상대효율(relative efficiency)은 genistein>biochanin A>daidzein>genistin>formononetin>puerarin >> glycitein = daidzin = glycitin 순이었다. 또한 칡의 부위별, 지역에 따른 칡의 에스트로겐성을 조사하였다. 칡의 부위별 에스트로겐성은 뿌리>줄기>잎>꽃>종자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별로도 칡의 에스트로겐성에서 차이를 보였다: Mokpo>Ulsan> Jecheon>Pochon>Taebaek>Punggi. 이상의 결과 칡에는 다양한 에스트로겐성 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뿌리에 가장 많고, 줄기 등 다른 부위에도 함유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o assess the estrogenicities of Korean arrowroot (Pueraria thunbergiana) the contents of nine phytochemicals which are known to present were analyzed by HPLC. Also the estrogenecities of these phytochemicals were assayed using estrogen receptor dependent transcriptional expression assay. Daidzein and puerarin are major compounds in arrowroot, which were contained in the order of: root>stem>leaf>flower>seed. Among the assayed phytochemicals daidzein, genistein, biochanin A, formononetin, puerarin and genistin were highly estrogenic. The total estrogenicities in different parts of arrowroot and those by regions in Korea were also assessed. Roots had the highest estrogenic effects. The estrogenicities also were shown in stem and leaf. The differences in the estrogenicities of arrowroots by regions in Korea were shown.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estrogenic phytochemicals content was the highest in Korean arrowroot and also present in stem and lea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