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산욕기 질병관리(유열)

        김형종,Kim, Hyeong-Jong 한국단미사료협회 2006 피드저널 Vol.4 No.10

        목장 경영의 성공과 실패에는 여러 가지 요인이 작용하지만 연중 얼마나 적은 소가 도태되는가 하는 것 또한 아주 중요하게 생각해 보아야 할 사항이다. 낙농에 있어 거의 대부분의 질병이 산욕기에 발병하는데 산욕기(産褥期)란 분만으로 인한 상처가 완전히 낫고, 자궁이 평상시 상태가 되며 신체의 각기관이 임신 전의 상태로 회복되기까지의 기간으로 대개 분만 후 6~8주간을 말한다. 산욕기에 주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질병(산욕기 부전마비, 난산, 급성유방염, 제4위 전위증 등)들이 조기에 발견되어 적절히 치료되지 못하고 만성화되면서 전해질불균형, 에너지와 단백질의 섭취부족에 의한 영양장애로 허약과 지방간 및 케토시스 등으로 진행되어 결국 도태됨으로서 목장 경영에 있어 막대한 영향을 끼치는 것이다. 이러한 산욕기 질병의 주 원인은 건유기 사양관리에 있다. 건유기간 동안 체점수(BCS)의 변화를 최대한 줄이면서 분만전의 스트레스를 얼마만큼 줄일 수 있도록 관리하는가에 달려있다. 다시말해 분만 전 마지막 한달간에 건유에서 분만으로의 이행과정을 얼마나 매끄럽게 연결 지어주는가에 따라 산욕기 질병의 발생률이 결정되는 것이다. 본 고에서는 건유기 사양관리 소홀로 발생되는 산욕기 부전마비에 관해서 자세히 설명해 보고자 한다.

      • SCOPUSKCI등재
      • KCI우수등재

        문헌 연구와 실지 답사를 결합한 한·중 국경 문제의 재검토 - 이화자, 『백두산 답사와 한중 국경사』, 혜안, 2019 -

        김형종(Kim Hyeong-jong) 동양사학회 2020 東洋史學硏究 Vol.151 No.-

        This book introduced here is the third study on the subject by the professor Li Huazi(李花子), who is a well-known researcher through active activities in Korea and China. This book consists of 4 Parts. The first part is about the Baekdu Mountain Border set(白頭山定界) in 1712, the second part is about the several problems of the recent studies around the Korea-China Border, the third part is about the problems of the so-called ‘Gando problem(間島問題)’ in early 20th century between China and Japan, and the last part is the record of Baekdu Mountain exploration by herself. This book has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the progress of academic research by removing the many errors and misunderstandings by neatly cleaning up the various issues of the previous researches. It can be pointed out that this complement is based on the author’s own exploration as well as extensive research on Chinese and Korea’s literature. This high evaluation of the book’s performance is due to the following findings of her. First, she corrected the wrong view that the valley and stream of Tomun River(土門江) along the east side of the Baekdu mountain link to the Songhua River(松花江). Second, by reaffirming the Installations set by the the valley and stream of Tomun River(土門江), which extends from Tomun River to Duman River(豆滿江), She completely reproduced the real results of the Baekdu Mountain Border set of 1712. Due to this discovery, Now we can reliably recreate the old Korea-China Border line. So, We can say that Professor Li huazi made a decisive contribution to resolving the mystery of Baekdu Mountain Border monument(白頭山定界碑), which has long puzzled researchers interested in this issue.

      • SCOPUSKCI등재

        무증상의 현미경적 혈뇨를 동반한 성인 환자에서 신조직 검사의 유용성

        김형종 ( Kim Hyeong Jong ),최훈영 ( Choe Hun Yeong ),김동기 ( Kim Dong Gi ),김현진 ( Kim Hyeon Jin ),장제현 ( Jang Je Hyeon ),김현욱 ( Kim Hyeon Ug ),최규헌 ( Choe Gyu Heon ),이호영 ( Lee Ho Yeong ),한대석 ( Han Dae Seog ),강신욱 대한신장학회 2003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2 No.6

        배 경 : 소변 검사상 혈뇨는 흔한 이상 소견이며, 혈뇨의 원인으로는 거의 대부분의 요로계를 포함할 정도로 매우 다양하다. 이들 환자에서 진단을 위해 신조직 검사가 도움이 될 수 있는데, 무증상의 현미경적 혈뇨 환자에서 진단을 위해 신조직 점사가 반드시 필요한 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명확하게 정해진 바가 없다. 이에 본 연구자는 무증상의 현미경적 혈뇨를 동반한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신조직 검사 결과를 분석하여 신조직 검사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세브란스병원에서 1993년 1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10년간 15세에서 40세까지 무증상의 현미경적 혈뇨를 동반한 환자 중 신조직 검사를 시행 받았던 환자 119명을 대상으로, 고립성 현미경적 혈뇨 환자군 (isolated microscopic hematuria : proteinuria <150 ㎎/24 hr, H)과 현미경적 혈뇨와 단백뇨를 모두 동반한 환자군 (microscopic hematuria+proteinuria, H+P) 두 군으로 나누어 신조직 검사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결 과 : 총 119명의 환자 중 남자는 72명 (60.5%), 여자는 47명 (39.5%)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26.4±7.3세이었다. 대상 환자 중 신조직 검사 소견이 정상인 예가 19명 (16.0%)이었으며, 비정상인 예가 100명 (84.0%)이었다. 비정상 신조직 소견으로는 IgA 신병증이 73명 (61.3%)으로 가장 많았으며, 비박형 사구체 기저막 질환 (thin glomerular basement membrane disease) 12명 (10.1%), 그리고 minimal mesangiopathy 7명 (5.9%)의 순이었다. H군 환자는 55명이었으며, 이 중 38명 (69.1%)에서 비정상 신조직 소견을 보인 반면, H+P군 환자 64명 중에서는 62명 (96.9%)이 비정상 신조직 소견을 나타냈다 (p<0.05). 혈뇨의 정도 (현미경하 고배율 시야 당 적혈구 3-10 vs. 10-20 vs. 다수)에 따른 신조직 소견에는 통계학적 차이가 없었다 (P>0.05). 결 론 : 이상의 결과로 무증상의 현미경적 혈뇨를 동반한 환자의 84.0%에서 신조직 검사상 이상 소견을 나타냈다. 따라서 무증상의 현미경적 혈뇨 환자, 특히 단백뇨를 동반한 환자에서 비뇨기과적 문제가 없을 경우 적극적인 신조직 검사가 환자의 진단, 예후 예측 및 추적 관찰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Hematuria is most frequently detected on routine urinalysis and the prevalence of hematuria in adults has been reported to range from 5 to 10 percent. Hematuria can originate from any site along the urinary tract and whether gross or microscopic, may be a sign of serious underlying disease including malignancy. The literature agrees that gross hematuria warrants a thorough diagnostic evaluation. By contrast, whether physicians should test for hematuria in asymptomatic patients remains at issue, and the role of renal biopsy in the investigation of this condition is still edb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renal biopsy in adults with asymptomatic microscopic hematuria on urinalysis. Methods : From January 1993 to December, 2002, 119 patients (72 men, 47 women) with mean age 26.4 years (range 15 to 40 years), in whom renal biopsy was performed for evaluation of asymptomatic microscopic hematuria, were included. All patients were normotensive, with normal serum creatinine, sterile urine, and no abnormality on IVP and abdominal ultrasonography. Results : In 119 patients, renal biopsy abnormalities were found in 100 patients (84.0%) whereas no histologic abnormality in 19 patients (16.0%). Histologic abnormality abnormalities included IgA nephropathy in 73 (61.3%), thin glomerular basement membrane disease in 12 patients (10.1%), minimal mesangiopathy in 7 (5.9%), and other glomerular diseases in 8 patients (6.7%). When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the presence of proteinuria, 55 patients belonged to isolated hematuria group (H) and 64 patients to concomitant hematuria and proteinuria group (H+P). Histologic abnormalities were statistically more common in H+P group (62/64, 96.9%) compared to H group (38/55, 69.1%) (p<0.05). On the other hand, when the renal biopsy finding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hematuria (3-10/HPF vs. 10-20/HPF vs. many/HPF),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sults of renal biopsy among the three groups. Conclusion : Eighty four percent of patients with asymptomatic microscopic hematuria had renal biopsy abnormalities. Therefore, renal biopsy should be performed in patients with asymptomatic microscopic hematuria, especially in patients with concomitant hematuria and proteinuria, if renal imaging is normal. (Korean J Nephrol 2003;22(6):684-691)

      • KCI등재
      • SCOPUSKCI등재

        지속성 외래 복막투석 환자에서 만성 염증 및 감염과 죽상경화증과의 상관성

        김현진 ( Kim Hyeon Jin ),김동기 ( Kim Dong Gi ),최훈영 ( Choe Hun Yeong ),김형종 ( Kim Hyeong Jong ),유태현 ( Yu Tae Hyeon ),류동열 ( Lyu Dong Yeol ),김범석 ( Kim Beom Seog ),강신욱 ( Kang Sin Ug ),최규헌 ( Choe Gyu Heon ),이호영 대한신장학회 2004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3 No.3

        배경 : 말기신부전 환자에서 심혈관계 질환에 의한 사망의 위험도는 일반인에 비해 10-20배 이상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최근 이들 환자들에서 관찰되는 염증 반응이나 감염이 심혈관계 질환에 의한 사망과 어떠한 연관이 있는지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복막투석 환자를 대상으로 경동맥 내중막 두께와 내중막 면적, 죽상경화반의 유무를 측정하고 만성 염증 및 감염의 지표를 측정하여 투석중인 말기신부전 환자에서 죽상경화증의 진행에 염증 반응 및 감염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2002년 4월 현재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신장내과에서 복막투석을 시행받고 있는 환자 중 평균 32개월 전에 경동맥 초음파 검사를 시행한 52명을 대상으로 생화학적 지표 및 CRP, hsCRP, interleukin-6 (IL-6), Chlamydia pneumoniae (C. pneumoniae)에 대한 IgA와 IgG 항체가, ICAM-1, VCAM-1을 측정하였으며, 고해상도초음파를 이용하여 경동맥 내중막 두께, 내중막 면적 및 죽상경화반의 유무를 측정하였다. 결과 : 과거에 경동맥 초음파를 실시한 52명의 환자에서 동일한 방법으로 반복 측정한 경동맥 내중막 두께의 평균값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죽상경화반을 보이는 환자의 비율도 의의있게 증가하였다 (p<0.05). 경동맥 내중막 두께의 변화에 따라 진행군과 비진행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을 때, log IL-6, C. pneumoniae에 대한 IgA 항체가, ICAM-1은 진행군에서 비진행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P<0.05).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log IL-6, C. pneumoniae에 대한 IgA 항체자가 높은 경우에 경동맥 내중막 두께가 증가하는 위험도가 의의있게 높았으며 HDL 콜레스테롤 또한 경동맥 내중막 두께의 변화에 유의한 독립인자였다. 다중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log IL-6와 C. pneumoniae에 대한 IgA 항체가, ICAM-1이 경동맥 내중막 두께에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인자였다 (p<0.05). 결론 : 이상의 연구 결과로 지속적인 C. pneumoniae 감염이 여러 염증반응의 단계에 작용하여 죽상경화증을 악화시킴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말기 신부전 환자에서 죽상경화증을 악화시키는 기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 In ESRD patients, the annual mortality rate due to cardiovascular disease (CVD) is 10 to 20 fold higher than that of the general population. Much recent interest have been focused on the association between chronic inflammation and the increased mortality rate due to CVD in ESRD patient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C.pneumoniae infection and inflammation play important roles in the change of the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IMT) in ESRD patients. Methods : 5 patients undergoing CAPD were enrolled in the study. We measured IMT by using B-mode ultrasonography. 1L-6, antibody titers to C.pneumoniae, cell-adhesion molecules were assessed by ELISA. Results : Significant increase in carotid IMT (0.71±O.02 to 0.77±0.12 mm, p<0.05), cIM area (19.62±4.21 to 21.82±4.80 mm², p<0.05), prevalence of plaque (36.5% to 57.7%, p<0.05) were observed in 52 patients.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change in IMT. Progressor for 32 patients who had more than 0.1 mm increase in IMT and nonprogressor for 20 who had lesser than 0.1 mm increase or no changes in IMT. Log IL-6, IgA antibody titers to C. pneumoniae, ICAM-l level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rogressors compared to nonprogressors (4.20±5.14 vs. 1.44±0.58pg/mL, 1.14±0.60 vs. 0.77±0.32, 297.42±88.22 vs. 233.93±88.89 ng/mL, p<0.05).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elevated log IL-6 and IgA antibody titers to C. pneurnoniae were independent factors adversely affecting change of IM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log IL-6, ICAM-1, and IgA antibody titers to C. pneumoniae were independent factors affecting carotid IMT. Conclusion : Our data suggest that inflammation and seropositivity of IgA to C. pneumoniae can be associated with the progression of atherosclerosis in CAPD patients. (Korean J Nephrol 2004;23(3):466-475)

      • SCOPUSKCI등재

        비당뇨병성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안지오텐신 수용체 길항제의 단백뇨 감소 효과에 대한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 유전자 다형성의 영향

        최훈영 ( Choe Hun Yeong ),허종호 ( Heo Jong Ho ),김현욱 ( Kim Hyeon Ug ),김현진 ( Kim Hyeon Jin ),김형종 ( Kim Hyeong Jong ),김범석 ( Kim Beom Seog ),박형천 ( Park Hyeong Cheon ),강신욱 ( Kang Sin Ug ),최규헌 ( Choe Gyu Heon ) 대한신장학회 2004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3 No.1

        목 적 : 단백뇨를 동반한 당뇨병성 및 비당뇨병성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의 단백뇨 감소 효과가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ACE)] 유전자 다형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보고가 있었다. 그러나 이들 환자에서 안지오텐신 수용체 길항제의 단백뇨 감소 효과가 ACE 유전자 다형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는 확실히 규명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비당뇨병성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안지오텐신 수용체 길항제의 단백뇨 감소 효과와 ACE 유전자 다형성을 검사하여 안지오텐신 수용체 길항제의 단백뇨 감소효과가 각각의 ACE 유전자 다형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신장내과에 내원하거나 입원한 환자 중 일일 500 ㎎ 이상의 단백뇨를 동반한 비당뇨병성 만성 신질환 환자 중 본 연구에 동의한 총 7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안지오텐신 수용체 길항제인 losartan을 연구시작 시점부터 12주까지 50 ㎎, 12주부터 24주까지 100 ㎎으로 증량하여 투여하면서 4주 간격으로 추적 관찰 하였다. 결 과 : 대상환자 70명에서 losartan 투여 전에 비해 12주 후 및 24주 후 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 평균 동맥압 등은 의의있게 감소하였다. 혈청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은 12주 후 및 24주 후에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혈청 알부민은 기저치에 비해 12주 후에 의의있는 증가 소견을 나타내었고, 혈청 크레아티닌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24시간 요단백 배설량은 losartan 투여 후 12주와 24주에서 의의있게 감소하였으며, 크레아티닌 청소율은 12주 후에는 변화가 없었으나, 24주 후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24시간 요나트륨 배설량은 의의있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Losartan 투여 후 12주 및 24주에서의 24시간 요단백 배설량 감소 정도는 투여전의 요단백 배설량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Losartan 투여 12주 후 30% 이상의 단백뇨 감소 효과를 보인 환자군을 반응군 (N=50)으로 설정하여 비반응군 (N=20)과 비교 분석한 결과 losartan 투여전 혈압, 혈청 요소질소, 혈청 크레아티닌, 그리고 24시간 요단백 배설량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12주 및 24주 후 수축기 혈압, 평균 동맥압은 반응군에서 의의있게 낮았다. 24시간 요단백 배설량은 12주 후 반응군에서 유의하게 낮았으며 24주 후에도 반응군에서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양 군간에 통계학적으로 의의있는 차이는 없었다. 한편 ACE 유전자형에 따른 기저 혈압 및 24시간 요단백 배설량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losartan 투여 12주 및 24주 후 혈압의 변화, 24시간 요단백 배설량의 변화, 크레아티닌 청소율의 변화, 그리고 반응을 보인 환자의 빈도에는 의의있는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이상의 연구결과로 비당뇨병성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안지오텐신 수용체 길항제는 혈압 및 요단백 배설을 유의하게 감소시킴을 관찰하였으며, 이러한 안지오텐신 수용체 길항제의 혈압 및 단백뇨 감소 효과는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유전자 다형성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음을 관찰하였다. Background : Angiotensin Ⅱ, a potent vasoconstrictor, plays a key role in renal injury and in the progression of chronic renal disease of diverse causes. In every organ system, the biologic effects of angiotensin Ⅱ are mediated through its interaction with specific receptors on cell membranes. Angiotensin Ⅱ receptor antagonist specifically inhibits angiotensin Ⅱ-mediated physiologic responses such as systemic and renal vasoconstriction, sodium reabsorption by renal proximal tubule, and stimulation of aldosterone and adrenergic hormone release by the adrenal gland. It has been reported that losartan angiotensin Ⅱ receptor antagonist, has a significant antiproteinuric effect in patients with diabetic and non-diabetic renal diseas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ACE) gene polymorphism on the renal response to angiotensin Ⅱ receptor antagonist in non-diabetic proteinuric chronic renal patients. Methods : Seventy patients with non-diabetic chronic renal disease with urinary protein excretion greater than 500 ㎎/day were enrolled in this prospective study. Subjects were given losartan 50 mg o.d. for the first 12 weeks, and then were given to 100 mg o.d. for another 12 weeks. Results : Twelve weeks and twenty-four weeks later, blood pressure, urinary protein excretion,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baseline values.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s of baseline urinary protein excretion and the magnitudes of the reduction of urinary protein excretion after treatment with losartan. Baseline blood pressure, BUN, serum creatinine, and urinary protein excretion were not different in the responder group (patients with more than 30% reduction of urinary protein excretion after losartan treatment) compared with the nonresponder group. Systolic blood pressure and mean arterial pressure in the responder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nonresponder group after twelve and twenty-four weeks. Urinary protein excretion in the responder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nonresponder group after twelve weeks. When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ACE gene polymorphism, Ⅱ, ID and D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blood pressure change, reduction of urinary protein excretion following losartan treatment and distributions of responder among three groups. Conclusion : Our results suggest that angiotensin Ⅱ receptor antagonist, losartan, significantly reduced blood pressure and proteinuria in patients with non-diabetic chronic renal disease. The magnitude of antiproteinuric effect of losartan was not influenced by ACE gene polymorphism. However, further studies with large number of patients are required to confirm the issues regarding the ACE gene polymorphism and the antiproteinuric effects of angiotensin disease. (Korean J Nephrol 2004;23(1):46-56)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