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인향전」에 나타난 원근(遠近) 구도의 공간 배치와 기능

        김현화(Kim, Hyun-Hwa) 한국문학회 2021 韓國文學論叢 Vol.87 No.-

        이 글에서는 「김인향전」에 나타난 원근(遠近) 구도의 공간 배치와 문학적 기능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인향당은 형제간의 분리와 감금, 기아(飢餓)와 육체적 노동, 통정과 수태란 흉문 속에서 주인공을 자살로 이끄는 중심 공간이다. 인향당을 정점으로 가장 근거리에 배치된 김좌수의 처소는 가부장의 체면 때문에 여식을 살해하는 반인륜적 공간이다. 인향이 온전히 부활하는 유한림의 처소는 유교적 통념이 국가와 사회의 기틀로 여전히 건재한다는 사실을 투사해 내는 공간이다. 인향당에서 근거리에 배치된 공간들은 기존의 관습과 이념이 정태성을 띠고 존재한다. 인향당에서 원거리에 배치된 목화밭은 자신의 욕망을 위해 살인도 불사하는 원초적인 본능의 인물들을 동태적으로 투사해 낸다. 동헌은 ‘소문’이라는 방식을 통해 비밀스러운 사건을 대중이 공유하도록 확산시키는 동태적 공간이다. 심천동은 서사 주체의 자살과 부활, 복수를 담은 동태적 공간이다. 인향당에서 원거리에 배치된 공간들은 기존의 관습적이고도 전형적인 등장인물의 사고행위와 사건 전개에 역동성을 가미한 동태성을 선사한다. 「김인향전」에 나타난 원근 구도의 공간 배치는 정태성과 동태성의 공간 양상을 축조했다. 이 공간 양상은 이념의 보수와 해체가 혼재하던 당대 사회상을 복제해 내는 문학적 기능을 한다. 나아가 살해와 자살 같은 참극에서 출발한 공포담을 수용하는 가운데 균등한 삶에 대한 대리만족을 추구하고자 했던 당대인의 심리를 투영하는 문학적 기능을 한다. This article discusses the spatial arrangement and function of the perspective structure in <Kim In-hyang jeon>. The Inhyangdang is a central space where the main character reaches suicide in the midst of separation and imprisonment between brothers, hunger and physical labor, adultery and pregnancy. The space most closely placed around the Inhyangdang is the place of Kim jwasu. The space is an anti-human space that kills her daughter because of the face of the family. The place of Yuhanrim, where In-hyang was fully revived, is also close to the Inhyangdang. The space of Yuhanrim is the foundation of the nation and society, and it tells the fact that Confucian values still exist. Spaces placed close to the Inhyangdang are exist customs and ideology in a static. Cotton fields are space placed a long distance from the Inhyangdang. The space is where the characters of the primitive instincts who kill for their desires appear. Dongheon is a space that spreads secret events to the public through the method of rumour . Shimcheon-dong, which is located at the farthest distance, is a dynamic space that contains the suicide, resurrection and revenge of the main character. In the spaces placed far from the Inhyangdang, there are changes in the existing conventional and typical characters and events. The space arrangement of the perspective structure in <Kim In-hyangjeon> created the space of static and dynamic. These spaces have a literary function that shows the social image in which the conservative and dismantlement of ideology were mixed. It also plays a literary function of pursuing surrogate satisfaction with equal life by utilizing horror stories that started from the tragedy such as murder and suicide.

      • KCI등재

        1980년대 민중미술 : 반(反)풍요와 반(反)개방

        김현화(KIM hyun-wha)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1 美術史學 Vol.- No.25

        민중문화운동은 1980년 5월 광주학살사태 이후 대중적이고 예술적인 반응을 크게 불러일으켰다. 많은 미술가들은 미술을 통해 전두환 정권에 대항하고자 했다. 민중미술은 민중의 사회적 문화적 운동으로부터 유래되었으며, 또한 사회주의 미술의 미학적 원칙에 기본을 두었다. 김정헌, 김경인, 손장섭, 주재환 등과 몇몇의 비평가들은 전두환이 정권을 장악하는 시점인 1979년 12월에 그룹 ‘현실과 발언’을 창립했다. 김봉준은 1982년부터 ‘두렁’ 그룹을 이끌고, 이종구는 뜻을 같이하는 동인들과 함께 1982년에 ‘임술년’을 창립했다. 임옥상, 노원희 등도 1980년에 ‘현실과 발언’에 가입한다. 우리는 이것들을 ‘민중미술’이라 부른다. 민중미술은 사회적 소통과 정치적 참여를 추구하는 리얼리즘에서 출발하였다. 1980년대 모더니즘 미술의 대유행 속에 있었던 민중미술가들은 구상화로서 출발하였으며 추상미술을 거부하였다. 민중미술은 한국 전통예술과 모더니즘과의 관계를 통해 정체성이 확립되었다. 민중미술가들은 기본적으로 구상적인 이미지를 추구하였지만 하이퍼리얼리즘이나 전통적인 구상미술과 같은 것을 추구하지는 않았다. 민중미술은 사회적 현실에 근본을 둔 것이다. 혼란과 격변의 시기인 1980년대 10년 동안, 한국 경제는 다국적 자본주의와 후기 산업사회로 접어들게 된다. 민중미술은 노동자와 농민들로 대변되는 민중들이 정치적 투쟁의 주체임을 분명히 하였다. 민중미술가들은 정부에 빈부격차를 좁히고 모두가 평등하게 사는 더 나은 사회를 만들 것을 촉구했지만 산업화, 현대화, 도시화를 거부하였다. 민중미술가들은 경제개발을 위해 외세와 협력하는 것을 거부하고 순혈주의와 자연을 보존하는 것이 민족생존의 길이라고 생각했다. 민중미술가들은 외세에 굴복하지 않고 민족적 정체성을 지키고자 했다. 민중미술은 막스-레닌주의 관점에 기본을 둔 사회주의 미술이지만 사회현실의 혁명을 위한 것이 아니라 민중을 행복하게 만들고자 사회를 개혁시키기 위한 이상적인 미술이라 할 수 있다. 민중미술가들은 노동자와 농민이 지식인계층을 지배하는 유토피아를 실현하고자 했다. 조르주 바타이유는 노동은 무엇보다 인간 존재의 근본임을 주장하였다. 바타이유처럼 민중미술가들은 역사의 처음부터 끝까지 첫 번째는 노동와 노동자임을 강조한다. 민중미술에 있어 유토피아는 노동자들을 위한 세계이다. 민중미술은 무엇보다 순수미술이다. 1980년대의 사회 시스템과 민중미술과의 관계는 후에 한국현대미술의 방향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Minjung cultural movement has called forth the popular and artistic response after the Gwangju Massacre in May of 1980. ‘Minjung Art’ was originated from the social and cultural movement of Minjung(the populace), and was founded upon the aesthetic principles of Socialist Art. A lot of artists were inspired to line up against the military government by Chun Doo-hwan. Some painters, such as Kim Jung-heun, Kim Kyong-in, Son Jang-sup, Joo Jae-hwan, Oh Yoon, etc., and several art critics organized the Group 〈Hyun-sil and Bal-un〉 in December of 1979 when the General Chun Doo-hwan seized power in a military coup. Kim Pong-jun led the 〈Du-rong〉 Group since 1982; Lee Jong-gu launched the Group 〈Im Sul lun〉 in 1982; the famous painters, such as Im Ok-Sang and Nho Won-hee, etc., became the members in the Group 〈Hyun-sil and Bal-un〉 in 1980. It is called ‘Minjung Art’. Minjung Art started out at the Realism that agonized over social communication and political participation. Minjung Artists who were in jungles of Modernism Art in 1980s started creating the figurative painting and represented the defiance against Abstract Art. Minjung Art has arisen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n Traditional Art and Modernism. Minjung Artists used figurative images as a reference source, but unlike Hyperrealism, or Figurative Art in the tradition. Minjung Art is based upon Realism Art in the conte×t of intending to communicate with society. During the decade of the 1980s, termed as a period of confusions and Upheavals, Korean economy rapidly shifted to a multinational capitalism and to a post-industrial society. Minjung Art tried to show that the populace is the main body of political struggle through the reappearance of idealized laborers and famers. Minjung Artists has been urging the government to make Korea a better country for every one, narrowing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However we are mortified to find the Minjung Art blaming the industrialization, modernization and citification. Minjung Artists refused to negotiate with foreign power for the economic development, prefering instead to preserve the nature, the pure blood. Minjung Artists intended to show that our people shared a national characteristic of not succumbing to oppression. Minjung Art has its roots in Mar×ism. Minjung Art is the Socialist Art, based on the Mar×-Leninistic view, for not an revolution of social reality but an ideological art seeking for the reforms of the society to make happiness for Minjung. Minjung Artists is looking for a Utopia that the laborers, Farmers would dominate the intelligentsia. Georges Bataille insiste that Work, beyond all doubt, is the foundation of the human being as such. Minjung Artists maintain that From one end of history to the other, the first place belong to Work and workers. In Minjung Art, the Utopia means the World for workers. Minjugn Art, is above all else, the Fine Ar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ystems of society and Minjung Art in the 1980s became the essential factor in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Korean Modern Art afterwards.

      • KCI등재

        〈최척전〉의 노정 공간 연구

        김현화(Hyun-hwa, Kim) 어문연구학회 2011 어문연구 Vol.70 No.-

        1621년 조위한(趙緯韓)이 창작한 〈최척전〉은 17세기 사실주의 소설을 대표하는 작품이다. 동시대의 작품들과 뚜렷하게 두드러진 특질은 노정형(路程型) 서사(敍事)를 근간으로 하는 소설이라는 점이다. 노정형 서사에서는 등장인물의 노정이 중심 갈등과 사건 해결에 영향을 끼친다. 극적 전환점이 되어 서사의 확장을 도모하고 주제 의식을 표출한다. 그런 까닭에 장장 19년에 걸친 노정을 담고 있는 〈최척전〉의 노정 공간을 살피는 일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최척전〉의 노정형 서사 구조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 번째는 방랑과 정착이 반복적으로 일어나는 외연적(外延的) 서사 구조이다. ‘최척’과 ‘옥영’은 혼례 끝에 전쟁으로 헤어져 각자 방랑하다 장장 19년 만에 조선 고향 땅으로 안착한다. 최척은 육로를 통해, 옥영은 아들 부부와 바닷길을 건너 귀향한다. 작품 안에서 반복되고 있는 방랑과 정착의 반복 노정은 당시 전란 때문에 떠돌아야 했던 조선 민중의 현실이란 점에서 주목된다. 〈최척전〉의 노정형 서사는 또한 경험적 의지와 선험적(先驗的) 선택의 갈등이라는 내포적(內包的) 서사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고전소설(古典小說)의 인물들이 살았던 세계는 사회적 공론(公論))에 부합하는 인물로 살아갈 것을 선험적으로 익힌 시대이다. 사회적 공의에 위배될 경우, 예컨대 충신으로서 사명을 다하지 못했거나 열부로서 정절을 지키지 못했을 때, 죽음을 통해 그 선험적 질서 안으로 편입하는 것을 당연한 선택으로 여겼다. 그러나 최척과 옥영은 당대의 선험적 가치관에서 벗어나 자신들이 경험한 세계에서 현실을 수용하려고 한다. 삶에 대한 강렬한 의지, 곧 경험을 통해 새로운 삶을 개척해 가는 의지를 선보인다. 당대의 보수적 가치관으로부터 이탈하고자 하는 개인주의적 발상을 노정형 서사 안에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노정형 서사 구조를 바탕으로〈최척전〉은 다음과 같은 문예적 특질을 선보인다. 첫 번째는 노정 공간의 독립적 무대화를 지향한다는 점이다. 최척과 옥영이 거치는 노정 공간은 17세기 동아시아인이라면 누구나 겪었던 전쟁 상황이다. 특히 그들의 최초 이산지인 지리산 연곡사와 섬진강가 공간, 안남의 바다 공간, 옥영의 해로 귀환 공간 등은 마치 연극 무대같은 물리적 입체감을 선사한다. 전쟁으로 떠돌 수밖에 없었던 당시 민중의 아픔을 치유하는 역할과 함께 20여년의 방랑을 종결짓는 무대로 작용한다. 시청각적 묘사와 대화 기법을 적절히 살려 독립된 무대를 보여준다. 두 번째는 공의적(公義的) 방랑자를 실현하고 있다는 점이다. 주인공의 개인적 울분과 한탄으로 마무리되는 이전의 작품들과 달리 〈최척전〉의 등장인물들은 세계의 외압 앞에 무릎 꿇지 않고 오히려 현실적 장애와 문제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해결하며 다음 노정으로 향하는 역동성을 보여준다. 그런 가운데 모두가 공평하고 의로운 세계로 나아가는 새로운 방랑자형을 형상화한다. 세 번째는 서사의 지성적(知性) 장편화를 추구한다는 점이다. 〈최척전〉은 현실적 전란 상황을 노정형 서사로 수용하며 장편화를 꾀한 작품이다. 소설 속의 사실과 다른 사실을 연결시킬 줄 아는 능력, 즉 이미 읽은 부분에 대한 기억력이 뒤따라야지만 그 포착이 가능해지는 이야기의 확장을 바탕으로 한 작품이란 것이다. ‘이미 읽은 부분에 대한 기억력’을 달리 말하면 복선을 의미한다. 복선의 기능을 충분히 살린 이 작품은 근대적 소설 성격을 표출한다. 이러한 지성적 글쓰기는 창작자의 분명한 창작의도를 드러내는 역할을 한다. 이처럼 〈최척전〉을 통해 노정형 서사를 바탕으로 그 문예적 특질을 선사하는 사실주의 소설이란 성격을 살필 수 있다. 〈Choi Cheok Jeon〉 created by Jo Wee Han in 1621 is a representative work of realism novel in 17th century. The most remarkable characteristic that separates itself from other works written in the same period is that it is based on the form of journey narration. In the journey narration, the character’s journey affects the major conflicts and the problem solving. It becomes a dramatic turning point, seeks to enlarge the journey and expresses main theme of the story. Because of this reason, it is important to look at the places in the journey. In 〈Choi Cheok Jeon〉, a journey made throughout 19 years is described in which the main character’s problem in the reality who wanders due to the war is described by consistently extending one journey place into another one. 〈Choi Cheok Jeon〉’s journey narration structure can be divided into two major categories. The first one is the external narration structure which repeatedly shows wandering and settling. ‘Choi Cheok’ and ‘Oak Young’ is separated and wandered right after marriage because of the war and settles down in Chosun, which is their hometown finally after 19 years later. Choi Cheok goes by land and Oak Young goes over the ocean and arrive at their hometown. The journey through wandering and settling down is the reality of Chosun people who had to wander around because of the war at that time. 〈Choi Cheok Jeon〉’s journey narration is also composed of internal narration structure which contains conflicts between the experience desire and the transcendental choice. The world that the characters in the classic novel lived is the period in which they transcendentally learned to live with the social opinion. In case they go against the social opinion, for example, when they can not make commitment to the role as a loyalist or a virtuous wife, they took granted to be accord with the social rule by the death. However, Choi Cheok and Oak Young tried to get out of this transcendental ideology and accept reality in their experienced world. They also show strong will to life, that is, a desire to find a new life through the experience. The individualistic point of view which tries to get out of the conservative perspective is shown in the journey narration. Based on this journey narration structure, 〈Choi Cheok Jeon〉 implies three literature characteristics of journey places. The first one is that it is realizing an unbiased view of a wanderer. Unlike the prior stories in which the main character finishes the story with his individual gall and lament, the characters in 〈Choi Cheok Jeon〉 do not surrender in front of the external pressure, actively accepts and resolve the problems and difficulties in reality and show power to move on to the next journey. Among this atmosphere, every one is equal and moves to the world of justice. Secondly, it has literature characteristic that pursues independent stage of journey places. The journey place where Choi Cheok and Oak Young goes through is the war in which every East Asian experiences in the 17th century. Especially when it describes farewell at the ‘sea’, reunion and return, it gives a sense of dimension like a play stage. It performs as a stage that concludes 20 years of wandering and cures the people’s agony who had no choice but to wander in war. It shows dimensional stage which has appropriate visual description and narrations with the dynamic lives of people who lived in that period. Thirdly, the literature characterstic is outstanding in terms of intelligent full-length of narration. 〈Choi Cheok Jeon〉 is a novel which tried to make itself a full-length novel accepting realistic war situation as a journey narration. This means that it has intelligence to seek full-length with careful plan. It is based on the ability to connect the fact in the story with other facts, that is, the expansion of story which is possible when the reader remembers what he had read.

      • KCI등재

        〈숙향전〉에 나타난 환상성의 작동 방식과 의미

        김현화 ( Kim Hyun-hwa ) 한민족어문학회 2020 韓民族語文學 Vol.0 No.87

        〈숙향전〉에 나타난 환상성의 작동 방식은 세 가지 양상으로 나타난다. 첫째, 환상계의 지속적 응시와 관조에서 환상성이 입체화된다. 거북의 이마에 새겨진 하늘 천(天)자를 통해 영물을 알아보는 인물을 시험하고 꽃송이로 숙향의 미래를 예고하거나 숙향의 표진강 투신을 미리 알고 구조하는 등의 환상계 개입에서 드러난다. 사건을 변화시키는 주체로 환상계를 인식하고 있었던 전통적 문법이다. 둘째, 환상성은 물리적 공간의 비물질화 변용에서 나타난다. 숙향과 장승상 부부 사이의 3천300리 거리가 흰사슴을 활용해 단시간에 축약되거나 숙향과 이선의 3천 여리 거리가 연엽주로 축약된다. 화염 속의 숙향을 4천 300여리 밖 화덕진군이 나타나 구하거나 숙향이 수놓은 봉황의 날개를 천 리 밖 화덕진군이 찾아와 태워 버린다. 이 방식은 이선의 구약 여행담에서도 부각된다. 물리적 공간의 비물질화 변용은 자연의 숨은 공간에 대한 상상력의 발로에서 기인한 문법이다. 셋째, 환상성은 가사(假死)체험의 은유와 은닉을 통해서도 작동한다. 숙향이 경험한 요지연 풍경은 곧 한동안 의식이 없어지거나 호흡과 맥이 멎어 죽은 것처럼 되는 가사체험을 은유한다. 표진강에서 투신한 뒤 접한 환상계는 가사상태에 빠진 숙향의 의식을 은유한다. 그녀가 거듭 죽었다가 부활하는 서사는 극적 긴장감을 떨어뜨린다. 이를 대신한 것이 가사체험이다. 갈대밭의 화마 속 위기 상황, 마고와 동행한 이화정에서의 환상계 경험도 동일하다. 숙향은 가사체험을 할 때마다 육체적으로는 사경에 빠지고 정신적으로는 환상계의 기억과 조우한다. 가사체험을 통해 입도하는 ‘성소’는 현실계에서 좌절된 꿈의 마지막 보루이자 역경을 이겨내는 생명력의 은닉처로 작동한다. 〈숙향전〉은 조선후기 전쟁의 여파로 인한 기근, 역병, 유기, 도적들의 횡행과 같은 난제를 담고 있다. 현실적 난제를 다루고 있으면서도 환상성을 통해 ‘공동체적 사랑의 복원’을 구현한다. 숙향의 가정이 복원되는 과정은 사회적 상처와 고통이 봉합된 공동체적 사랑의 복원을 뜻한다. 곧 환상을 통해 공동체 구성원의 성찰과 깨달음을 유도하는 주제의식에서 문학적 의미를 찾을 수 있다. Nature as a fantasy background in < Sookhyangjeon > appears in three aspects. First, it works as a subject to stare and contemplate characters. It is not a passive background but engages and intervenes in the essence of the event. Through the heavenly heaven on the forehead of the turtle, it finds a person who is brilliant. Nature foreshadows the future of The Sookhyang with the flowering. It rescues and knows that Sookhyang falls into the Pyojin river. Nature changes events in the equal position with the narrative subject. Second, nature appears as a spatialization aspect of non-materials. The distance between Sookhyang and Jang seungsang is 3,300 li. Sookhyang arrives in a short time in a white deer. The distance between Sookhyang and Lee seon is about 3,000 li. Sukhyang travels on the Yeonyeopju. When the reed field is on fire, Hwadokjin comes out of 4,300 li and seeks Sukhyang. When Sukhyang sews, the Hwadokjin army comes out of 1,000 li and burns the wings of the bird. This transforms nature into an immaterial space. Even on the trip where Lee seon goes to find medicine, the physical space turns into a non-physical space. This is an expression from the imagination of the hidden space of nature. Third, it works as a metaphor and hiding place for the near death experience. The scenery of Yojiyeon experienced by Sukhyang refers to the state of eear death experience. The near death experience is like a unconsciousness for a while, or a breath and a pulse stop. The transcendental system that Sukhyang met after she falls out of the pyojin river is the same. It expresses the Sukhyang’s consciousness in The near death experience. The narrative that she died and resurrected repeatedly reduces dramatic tension. It is The near death experience that replaced this. When The near death experience, the Sookhyang falls into a a deadly situation physically and mentally encounters the memory of transcendental system. The transcendental world that meets through the The Nnear dath experience is the last bastion of frustrated dreams in the real world. And it works as a storage of life force that overcomes adversity. < Sookhyangjeon > contains difficulties such as famine, tribute, plague, abandonment and bandits caused by the aftermath of the late Joseon War. Nature as a fantasy background that appears at this time symbolizes 'restoration of community love'. The process of restoring the home of the Sookhyang means the completion of community love with social wounds and pain sealed. It induces reflection and enlightenment of community members through nature.

      • KCI등재

        고전소설 무덤 소재의 현대적 전승 양상과 의미 -<만복사저포기>와 <영혼은 호수로 가잠든다>를 중심으로

        김현화 ( Hyun Hwa Kim ) 택민국학연구원 2015 국학연구론총 Vol.0 No.16

        본 논문은 고전소설의 무덤 소재가 현대소설로 전승된 양상과 의미에 대해 살핀 것으로, <만복사저포기>와 <영혼은 호수로 가 잠든다>를 대상으로 하였다. 양 작품의 서사적 친연성은 만복사와 보현사라는 ‘사찰 공간’에서 남녀주인공이 조우한다는 점, 여자주인공이 죽음과 관련 있다는 점, 그리고 주인공이 모두 자신의 거처를 벗어난 ‘노정 가운데서 초월적 경험’을 한다는 점, 또한 이승과 저승이 교차하는 서사의 몽환성을 보여준다는 점 등에서 두드러진다. 양 작품의 무덤은 다음의 세 가지 양상에서 무덤 소재의 전승 과정을 유추해 볼 수있다. 우선 양 작품의 무덤은 등장인물의 ‘성격 형성’에 기여한다. <만복사저포기>의 여귀는 <최치원>의 쌍녀분 인물들이 구축한 지적이고도 우아한 덕성의 관습적 성격을 이어받았다. 당대의 작가와 독자, 작품 안의 남자주인공이 합의한 관습적 인격의 주체이다. 이러한 여귀의 성격은 세대를 유전해 <하생기우전>, <운영전> 등에 이르도록 관습적 형태로 유전한다. <영혼은 호수로 가 잠든다>의 무덤 주인은 아내를 통해 자신의 삶을 확장하는 가운데 평범한 일상적 성격부터 초월적 성격까지 다중 인격을 보여준다. 두 번째, 양 작품의 무덤은 사건 발단의 지표로써 작용한다. 등장인물이 처한 중대한 삶의 문제이자 작품의 분기점이 되는 사건의 발단이 대사회적 외압에 따른 것인지, 개인적 삶의 내홍에 따른 것인지 드러내는 기능을 한다. 세 번째, 양 작품의 무덤은 시공간의 몽환성을 강화하는 양상으로 나타난다. 무덤이 세대를 뛰어넘어 중요한 이야기 공간으로 출현하게 된 것은 실존과 욕망의 원형지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는 창작 소재이기 때문이다. 무덤을 통해 ‘나’의 실존에 대한 탐문 과정을 밝히며, 그 실존을 위해 추구했던 현실적 욕망을 풀어내기 때문이다. 두 번째는 무덤이 세대 간의 창작 기법과 소통하는 소재라는 사실이다. 그런 가운데 인간과 삶에 대한 총체적 접근을 시도한다. This study is on the meaning and aspect of using the grave material in classical novel, 「ManBokSaJeoPoGi」and modern novel, 「YeongHonEun Hosuro Ga JamDeunDa」 There are some narrative common points found that a temple, ManBokSa and BoHyeonSa appears in both novel, certain man and woman run into each other in the temple, and on death of the heroine. Both works share the material specially as the grave. Both works shared the literary relationship through themselves in ‘Death Motive,’ ‘Journey Motive,’ and ‘Fantasy Motive.’ It is also the grave that unifies these motives structurally. In both works, the grave takes a part to form the traditional, floating character, and multiple character. The owner of the grave in 「ManBokSaJeoPoGi」 is the independent person of traditional character granted by writer and reader of the day, and principle man in the novel. Intellectual and elegant character of female ghosts in the grave of twins of 「Choe, Chiwon」floats in traditional form to 「ManBokSaJeoPoGi」 「HaSaengGiUJeon」, 「UnYeong,Jeon」, through generation. The owner of the grave in 「YeongHonEun Hosuro Ga JamDeunDa」shows multiple character from common personality to transcendental character, expanding his own life through his wife. Second, the grave material of both novel shows the problem of life in the characters. 「ManBokSaJeoPoGi」 shows oppression against the society as common idea, and 「 YeongHonEun Hosuro Ga JamDeunDa」 concentrates on isolation and loneliness of a person so isolated from human relationship. Third, the grave material shows attitude conducting to the life of character. The grave is the space not only for enclosing the life the female ghost lived, but also for building world of afterlife she truly wished. DaeGwanRyeong grave Yeonghae were buried in is the space that she took her life to pieces for the remains, and separated remembrance communed with the others in the her own life isolated from relationship. The literary meaning of appearance of the grave as important material in the story through generation is that the grave was wrote truly as the writing material for the function of existence and original place of greed. The gave of both novel shows the real greed for the existence and exposures the seeking process on existence of ‘I.’ Second, the grave is the writing material communing with literary skill through generations. Through literary skill of ‘Death Motive,’ ‘Journey Motive,’ ‘Fantasy Motive,’ etc., they induce to total approaching on human and life.

      • 트리 구조를 이용한 결함 트리의 개선 지수 측정

        김현화(Kim Hyun Hwa),박철현(Park Cheol Hyun),이은석(Lee Eun Seok) 한국정보과학회 2011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8 No.2B

        결함 트리는 시스템의 결함을 줄이기 위해 등장하여 오늘날까지 많은 발전을 해왔다. 특히 결함으로 인해 심각한 피해를 입을 수 있는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고 그 범위가 점차 확장되어 가고 있다. 결함 트리 분석을 통해 사건의 원인을 간단하고 쉽게 파악할 수 있고 정량적으로 처리가 가능하고 최소 컷셋등을 통해 사고예방을 위한 노력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함 트리 분석의 정량적 분석은 각 기본 사건들의 고장율에 대한 정보가 제공이 되어야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트리 구조가 가지는 특성을 사용하여 고장율이 없는 결함트리에서 시스템 고장발생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기본 사건을 분석하는 개선지수 측정법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고장율이 있는 5개의 결함 트리를 사용하였다. 고장율로 측정한 개선지수와 본 논문에서 제안한 개선지수는 피어슨 상관계수 측정법으로 0.7672의 강한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제안한 개선지수 측정법은 고장율이 없는 결함 트리에서 유용한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 KCI등재

        제2차 대전의 초상 : 장 포트리에(Jean Fautrier)의 〈인질〉 회화 연작

        金賢華(Kim Hyun-hwa) 미술사연구회 2006 미술사연구 Vol.- No.20

        The series of Otage was revolutionary both for the new artistic process in Fautrier’s works and for its portrayals of or reference to the victims of Nazi. In January 1943, Fautrier was arrested by the Gestapo. He was released later, and arrived in the Vall?e-aux-Loups under the assumed name Jean Faron. He painted the Otage between 1943 and 1945, in the woods outside Paris at the medical clinic of Dr. Henry near Ch?tenay-Malabry, where Fautrier had his atelier during the war. He is said to have heard the cries of the Nazi’s victims while he worked on Otage. An exhibition of Jean Fautrier’s Otage paintings opened at the Galerie Ren? Drouin in Paris, on October 26, 1945. Andr? Malraux, one of the France’s foremost writers and a resistance hero, had written the preface to Fautrier’s exhibition catalogue. Malraux, a life-long friend and correspondent of Fautrier, wrote texts for various of his exhibitions. Fautrier’s Otage attracted the faithful support of several French existential writers. Fautrier was submerged in Sartre’s existentialism in the mid-forties. Three Important literary writers, Andr? Malraux, Francis Ponge, and Jean Paulhan who were associated with existentialism, had written essays on the Otage series. Paulhan was closely connected to Merleau-Ponty and Sartre. In the mid-forties, the existentialism contained a traumatic experience of the war, and the Otage were the outcry against the anti human violence of the Nazi. Therefore, his Otage join the antifascist protest of Picasso’ Guernica, recording the horrors of the Nazi’s invasion of Guernica, Spain. The series of Otage has today come to symbolize a moment of ideological resistance to the Nazi massacres then taking place throughout France and Europe. The Otages are a traumatic witness to this tragedy, documenting France’s troubled relationship with Nazi Germany. The Otage were not immediately popular with the public, but this helped win a place of lasting importance for Fautrier in the history of art. The Otages of 1943~1945 led Tapie to declare Fautrier, the foremost precursor of Informel and a main practioner. He came to prominence in the late forties by some of the same French poets and intellectuals. He is notable for materialism and often placed in the category of Art Informel. Fautrier’s works were well suitable with the purpose that Tapie strived in Informel. But, he refused all categorization. Fautrier introduced ‘haute p?te’ in the Otage series. Fautrier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painted matter: a thick, built-up surface, a variety of delicate color applications. In its peculiar fusion of paper, gesso, paint, inks, and canvas, Fautrier’s surface forms a fragile membrane rather than an architectonic relief. His Otages in ‘haute p?te’ memorialize the tortured bodies of the massacred prisoners and on the other hand, Fautrier’s ‘haut p?te’ is a medium that intensifies the articulation of painterly contradictions. For Fautrier, the painting acquires an utterly hybrid status between artistic and material processes. In the Otage series, Fautrier does not seek to disclose his experience through representation, Fautrier’s ‘haute p?te’ evokes a sympathetic response from the viewer. Fautrier’s Otage are pictures of the dead, but they are not portraits that represent a specific person. They are modern ‘memento mori’ as pictures of still life. They are not figurative delineations that indicate a real world, but pictures that represent composition and harmony of matter and texture. They are not modernist abstractions. Fautrier’s relationship to the world was based on the interaction of cognition with visual perception and bodily sensation. They are only the contemporary art after all. Fautrier symboled contemporaries in the French Art after the Second world War. Fautrier won the grand prize at the Venice Biennale in 1960 and at the Tokyo Biennale in the next year. He exerted particular influence on younger artists in Italy and Germany, and embraced in Europe and Japan.

      • KCI등재
      • KCI등재후보

        1차 항결핵제 약물이상반응 현황: 단일기관 약물이상사례 보고사례 기반 분석

        김현화 ( Hyun Hwa Kim ),문미라 ( Mira Moon ),최나이 ( Nigh Choi ),강동윤 ( Dong Yoon Kang ),채경옥 ( Kyung Ok Chae ),이정실 ( Jungsil Lee ),임재준 ( Jae-joon Lim ),조상헌 ( Sang-heon Cho ),강혜련 ( Hye-ryun Kang ) 대한내과학회 2021 대한내과학회지 Vol.96 No.5

        목적: 단일 상급종합병원에 보고된 1차 항결핵제의 약물이상반응 정보를 통해 한국인에서 항결핵제 약물이상반응 발생 현황을 파악하여 향후 결핵 관리를 위한 약물이상반응 대책 수립에 활용한다. 방법: 2009년부터 2018년까지 3차 의료기관에서 1차 항결핵제인 이소니아지드, 리팜핀, 에탐부톨, 피라진아미드를 처방 받은 환자들에 대해 원내 보고된 약물이상사례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약물이상반응 정보를 수집하였고 약물이상반응이 발생한 환자의 나이, 성별, 총 치료 기간과 약물이상반응의 발생시점, 장기별 분류, 중증도 및 심각도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항결핵제를 처방 받은 5,482명 중 1,606명(29.3%)에서 약물이상반응이 보고되었고, 한 환자에서 1건에서 많게는 5건까지 총 2,098건의 약물이상반응이 보고되었는데, 경증이 680건(32.4%), 중등증이 1,282건(61.1%), 중증이 136건(6.5%)이었고 심각한 약물이상반응은 127건(6.1%)이었다. 1차 항결핵제에 의한 약물이상반응의 발생 장기별 분포는 피부 및 부속기관 장애가 27.5%로 가장 많았고, 위장관계 장애(17.5%)와 간 및 담도계 질환(13.1%)이 그 뒤를 이었다. 처방 건 당 이상반응 보고는 피라진아미드가 29.6%(1,406건/4,757명)로 가장 높았다. 중증 약물이상반응은 간 및 담도계 질환이, 심각한 약물이상반응의 경우 전신적 질환이 가장 많이 보고되었다. 총 치료 기간을 비교한 결과 약물이상반응이 발생하지 않았던 군은 224.0 ± 3.1일, 약물이상반응이 발생하였던 군은 247.0 ± 4.7일로 약물이상반응이 발생한 군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치료 기간이 평균 23일 정도 길었다(p = 0.009). 결론: 10년 동안 단일의료기관에서 수집된 1차 항결핵제의 약물이상반응 발생률은 29.3%였으며 중증반응도 6.5%로 적지 않게 발생하였다. 약물이상반응이 발생한 경우 치료 기간이 길어지거나 투약을 완료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기는 등 치료의 진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Background/Aims: Tuberculosis has incidence and mortality rates that are among the highest for all communicable diseases. Adverse drug reactions (ADRs) to anti-tubercular drugs are common, and have a major impact on treatment maintenance and prognosi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ADRs and establish a suitable management plan.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patients with ADRs during treatment with first-line antitubercular drugs such as isoniazid, rifampicin, ethambutol, and pyrazinamide from 2009 to 2018. Age, sex, and total treatment period, and the onset, severity, seriousness, and system organ class of ADRs, were analyz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first-line anti-tubercular drug-related ADRs. Results: A total of 1,606 of 5,482 patients (29.3%) experienced ADRs after administration of first-line anti-tubercular drugs. The incidence of ADRs related to isoniazid, rifampicin, ethambutol, and pyrazinamide was 22.2%, 21.3%, 24.5%, and 29.6%, respectively. A total of 2,098 ADR reports were made (mean of 1.3 ± 0.6 per patient). The rates of mild, moderate, and severe ADRs were 32.4%, 61.1%, and 6.5%, respectively. There were 127 reports (6.1%) of serious ADRs. Skin and appendage disorders were most frequently reported (27.5%), followed by gastrointestinal disorders (17.5%), and liver and biliary system disorders (13.1%). The total treatment period was longer in patients who experienced ADRs (224.0 ± 3.1 days vs. 247.0 ± 4.7 days, p = 0.009). Conclusions: The incidence of ADRs to first-line anti-tuberculosis drugs was 29.3%, and 6.5% were severe ADRS. ADRs prolonged the overall treatment duration, indicating the importance of their detection and management. (Korean J Med 2021;96:421-43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