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광역자치단체의 집적경제와 산업생산성에 관한 연구 : 중분류 제조업을 중심으로

        김헌민 한국정책학회 2002 韓國政策學會報 Vol.11 No.1

        본 연구에서는 광역자치단체의 제조업에 대해 지역별, 산업별 생산성을 집적경제적 요인과 기타 생산성요인으로 실증분석한다. 외부규모의 경제와 타산업과의 관계를 통해 도시화경제의 영향력을 분석하며, 동종산업의 집중도를 해당산업의 상대적 특화도를 사용하여 지역화경제의 영향을 분석한다. 분석결과에서 도출되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대도시의 경우 동종산업의 특화와 함께 도소매업, 유통관련업 및 금융보험업의 발달을 병행하는 것이 제조업의 생산성에 효과적이다. 도(道)지역의 경우 동종산업의 집중이나 도시화보다는 금융·보험·부동산·임대·사업서비스와 같은 생산자서비스의 발달을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소비재제조업은 다른 집적경제적 요인보다는 산업집중을 강화시키는 것이 생산성 제고에 부합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광역자치단체의 집적경제가 제조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이 제조업의 종류와 지역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어, 지역별, 제조업 종류별 차별화된 정책이 필요하다는 것과, 제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관련된 타 산업의 육성이 병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ses the effect of agglomeration economies on manufacturing productivity of Korean metropolises and provinces. The manufacturing industry is disaggregated into 23 sub-industries, which are regrouped into five types of manufacturing. Utilizing industry-region specific data, productivity of each type of manufacturing is estimated by variables representing localization economy and urbanization economy. For localization economy location quotient is used as a measure of industrial concentration. For urbanization economy population and relative proportions of non-manufacturing industries are used as measures of the size of agglomeration and industrial diversity, respectively. From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es, a number of policy implications can be drawn. In metropolises industrial specialization, along with the growth of sales, distributive services and FIRE industries, can be effective in enhancing productivity of the manufacturing sector. In provinces development of FIRE and business services seems to have a greater positive influence on manufacturing productivity compared to the concentration of manufacturing or to the size of agglomeration. However, for improving the productivity of consumer goods manufacturing, industrial concentration is more desirable than other agglomerative strategies. As agglomeration economy is shown to have different effects by types of manufacturing and of region, differentiated policies targeted for particular manufacturing and region should be formulated. In addition, measures for growth of relevant service sectors should be accompanied in improving the manufacturing sector.

      • KCI등재

        지역혁신역량이 지식기반산업 성장에 미치는 영향분석

        김헌민,박윤경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2013 국가정책연구 Vol.27 No.1

        지식기반경제하에서 지역들은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지역혁신역량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지역의 혁신역량이 실질적으로 지역 경제성장에 기여하는지를 분석해 볼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16개 시·도 지역을 대상으로 지역의 혁신역량이 지식기반산업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논의들을 바탕으로 지역 혁신역량을 크게 경제여건, 서비스 인프라, 연구자원으로 구분하고, 지식기반산업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보다 구체적인 분석결과를 위해 지식기반산업 전체와 지식기반제조업 및 지식기반서비스업으로 세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식기반산업의 성장을 위해서는 지역의 혁신역량의 강화가 중요함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몇 가지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 KCI등재

        기초자치단체의 혁신적 특성에 관한 연구

        김헌민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1 사회과학연구논총 Vol.7 No.-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지방자치단체들의 혁신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하여 기초자치단체들이 최근에 추진한 혁신사업들의 특성을 파악한다. 수단으로서의 혁신이라는 개념에 초점을 두고 혁신적 특성을 수단 또는 방법과 관련된 내용으로 분류하였다. 개혁박람회에 참가한 혁신사례 중에 행정 ·재정 분야의 사례를 중심으로 일반적인 특성과 수단·방법에 관련된 특성을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기초자치단체의 혁신에 대한 시사점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시와 구에 비해 군의 혁신이 월등히 저조하여 앞으로 군 차원의 혁신사업이 보다 적극적으로 지원되어야 할 것이다. 광역시에 속한 구에 비해 일반시의 혁신사업 예산이 월등히 낮아 예산확보에 노력이 요구된다. 포괄적 접근/통합적 서비스의 접근방법은 가장 많이 사용한 방법으로 기초자치단체의 혁신에 이러한 접근방법이 비교적 용이하고 효과적이라고 볼 수 있다. 행정 ·재정 분야에 보다 구체적인 벤치마킹이나 객관적인 성과지표를 마련하는 방법이 앞으로 더욱 필요할 것이다. 기초자치단체들의 혁신사업의 목표나 효과는 능률성과 관련된 것이 많았지만, 책임성/투명성 제고와 관련된 것은 소수에 지나지 않아, 앞으로 책임성/투명성 제고를 위한 혁신사업도 능률성 못지 않게 강조되어야 할 이다. This study analyses the characteristics of innovations undertaken by local governments in Korea. Focusing on the concept of innovation as means, this study categorizes the characteristics of innovation related to means or approaches taken to improve government performance. Cases presented in the The First Local Government Benchmarking fair held in 2000 are utilized and innovations in the administration and financial area are selected for analysis.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implications regarding innovation in local government are as the following. As the number of innovations from counties was much smaller than those from cities and wards(ku), greater efforts should be exerted by county governments to innovate their services and more assistance should be offered to the counties for such efforts. Compared to the size of budget appropriated for innovative projects of wards, that of local cities was considerably smaller, indicating more financial resources may he needed to further the innovative efforts of the cities. Among the different approaches taken for innovation, comprehensive apploach/integrated service appeared the most frequently. This implies that such an approach is relatively more effective and feasible for innovation in local government. Specific benchmarking projects and performance measures were rarely applied in innovations in adminstration and financial service. Local governments may need more assistance in employing such methods for future innovations. The majority of the cases had efficiency enhancement as the objective of innovation, with very few cases of accountability/ transparency as the objective. Local governments' innovation in administration and financial area should emphasize improving accountability /transparency as much as enhancing efficiency in the future.

      • KCI등재

        The Process of Conflict Resolution in Public Project Disputes

        김헌민 서울대학교행정대학원 2009 The Korean Journal of Policy Studies Vol.23 No.2

        This study examines thirteen recent public dispute cases in Korea with the objective of analyzing the process of conflict resolution and thereby assessing the role of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ADR) in public disputes. The focus is on dispute cases related to development of, or site selection for, public projects. Based on detailed accounts of events, the nature of the conflict, parties involved, pattern of actions taken, and final outcomes are analyzed. Only five cases were settled by ADR methods, indicating that ADR is rather ineffective in public conflicts. ADR seems to work better in locally confined, structured conflicts where participatory processes are used. An identifiable pattern in attempts at ADR is that ad-hoc committees are formed but often fail to reach agreement or are seen as lacking legitimacy, authority, and impartiality. Policy implications drawn from this study are that a higher priority should be given to developing community-based conflict resolution programs, that ADR should be incorporated into local government regulations to acquire greater legitimacy, and that conflict prevention procedures are a prerequisite for the success of conflict resolution programs.

      • KCI등재

        A Comparative Study on Industrial Competitiveness of World Cities

        김헌민 한국행정학회 2004 International Review of Public Administration Vol.9 No.1

        In order to take part in the command and control of the world economy, many countries, especially in Asia, are designing policies to nurture and promote world cities in their countries. While world cities share some common economic characteristics they also have distinct roles in the international spatial division of labor. This means that successful policy for making a world city involves as much a faithful cloning of existing leading world cities as identifying the unique role it can play. However, existing studies lack in providing comparative data to show the nature of world cities’ economy across all industrial sectors. This paper attempts to compare industrial characteristics of world cities and, based on their performances during the 1990’s, assess their competitive situation. Comparison is made between Asian and western cities and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cities. The industrial performances in world cities during the 1990’s indicate that a number of Asian and/or secondary world cities are gaining competitiveness over western and primary world cities especially in FIRE, business services, trade, hotels and restaurants. It is reasonable to expect that these cities will emerge as major world cities, complementing or even replacing the roles of traditional leader cities.

      • KCI등재

        도시계획 관련학과 교과모형 설정에 관한 연구

        김헌민,김찬호,양승우,최상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02 國土計劃 Vol.37 No.3

        The major problems facing the undergraduate education in planning today are the lack of disciplinary identity and the diminishing competitiveness in the job market. In addressing these problems, this study develops models of curriculum reform for college planning departments. To identify the educational requirements that planning curriculum should fulfill, a number of studies are undertaken: employment rates and job distribution of recent graduates who majored in planning; subjects required for various professional license examinations and for graduate school admissions; and a survey of professionals in private and public sectors. Two types of curriculum model are developed in this study: a model by engineering and social science orientation in planning and a model by professional areas of planners.

      • 지식기반산업이 광역자치단체 경제발전에 미치는 영향력에 관한 연구

        김헌민,박윤경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15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학술대회발표논문집 Vol.2015 No.2

        본 연구는 지식기반경제에서 지역의 경제를 이끄는 요인으로 지식기반산업의 영향력을 경험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지식기반산업은 크게 지식기반제조업과 지식기반서비스업으로 분류하고, 지역 총생산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다. 통제변수로는 지역 산업구조, 집적경제, 인적자원, 노동상황, R&D역량, 광역자치단체 재정력을 포함한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우리나라 15개 시도이며, 시간적 범위는 2001년부터 2013년까지이다. 연구방법은 패널데이터 분석에 적합한 고정효과모형(fixed effect model)과 확률효과모형(random effect model)을 이용한다.분석결과 지식기반제조업과 지식기반서비스업은 지역 경제 생산성에 긍정적으로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 R&D역량, 인적자원, 광역자치단체 재정력이 높을수록 지역 생산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제조업 중심의 산업구조는 지역 생산성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업률도 지역 생산성에 부정적인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결론적으로 지식기반산업이 지식기반경제하에서 지역 발전을 이끄는 원동력이 될 수 있다는 주장을 경험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지역의 발전을 위해서는 제조업 보다는 서비스업 중심의 산업 육성과 혁신지향적인 지식기반산업의 육성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