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로이드 존스의 성령론 연구 : 중생과 성령세례를 중심으로

        김향경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about the baptism of the Spirit which is the key point in the pneumatology of Marty Lloyd-Jones' theology.This doctoral thesis consists of six chapters, especially which include some subjects focused of the relevance between the baptism of the Spirit and regeneration. Lloyd-Jones claimed that while he dissociate the Holy Spirit's work of salvation from the baptism of the Spirit, being a believer by faith is different from being baptized with the Holy Spirit. Therefore, Lloyd-Jones expressed his view that whoever becomes a believer does not mean that he is necessarily given the baptism of the Spirit. he understood the baptism of the Holy Spirit as requisite directly linked to revival by explaining that anyone does not inevitably become baptized with the Holy Spirit automatically at the same time as becoming a believer through repentance. When we observe that the baptism of the Holy Spirit is not accompanied in these revivals, we can conclude that Lloyd-Jones' opinion that we must connect the baptism of the Holy Spirit with revival goes too far. Though he underlined the Holy Spirit as the hidden God in accordance with the Reformed theology, yet he equated the baptism of the Holy Spirit not only with the baptism of the power but also with the fullness of the Holy Spirit in terms of the person and work of the Holy Spirit to unify the three into one. It appears that it is his peculiar view. 이 논문은 로이드 존스의 성령론 중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성령세례를 연구한 논문이다. 특별히 성령세례와 중생의 관계를 중심으로 몇 가지 주제를 나누어서 연구한 논문으로서 모두 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성령세례를 오순절 성령강림 사건과 연결해서 설명하였다. 로이드 존스는 신자가 되었다고 해서 동시에 반드시 성령세례도 받게 되는 것이 아니라는 견해를 밝혔다. 그는 구원사역은 성령의 사역이지만 성령세례는 그리스도의 사역이라고 하며 중생과 성령세례를 분리시키고 있다. 즉, 성령세례는 우리의 구원과 관련된 문제가 아니라 그리스도인의 사역과 관련된 문제라고 강조한다. 성령세례를 중생과 연결시키지 않고 성령충만과 연결시키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는 회개하고 신자가 된다고 해서 반드시 동시에 자동적으로 성령세례도 주어지는 것은 아니라고 설명하면서 성령세례를 부흥과 직결되는 요건으로 이해했다. 성령세례 없이는 능력의 증인된 삶이 어렵다고 생각한 로이드 존스는 성령세례가 부흥과 연결이 되어 있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부흥운동에 성령세례가 수반되지 않았음을 살펴보면서 성령세례와 부흥을 연결한 로이드 존스의 주장은 무리한 주장이라는 결론을 지었다. 물론 개혁주의 신학으로는 감추어진 하나님을 강조하고 있지만 로이드 존스는 성령의 인격과 사역을 전재로 성령세례와 능력세례뿐 아니라 성령충만까지 동일한 것으로 보면서 하나로 통합하려했다. 그것이 로이드 존스의 독특한 점이라고 볼 수 있다.

      • 피아노연주에서의 긴장심리 완화방안 연구 : 프로이트와 에릭슨의 정신역동이론에 근거하여

        김향경 경원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일상적 삶을 살면서 취하는 다양한 행동들 속에는 어떤 무의식적 동기가 숨어있다. 그래서 어떠한 문제이든, 현재의 드러나고 있는 모습만으로는 근본적인 해결이 될 수가 없다. 그것은 ‘왜’ 그러한 행동을 하게 되었는지에 대한 질문에서 출발해야 한다. 연주에서의 지나친 긴장문제에서도 ‘왜’라는 의문점을 갖고 시작해야 해결방안을 구할 수 있다. 충분한 연습과 준비를 갖추어도 연주에서 발생하는 불안과 두려움에 대해 대부분이 적절한 대처방식을 갖고 있지 않는 것은 그 만큼 원인이 무엇인지, 어떠한 방법으로 긴장을 조절해야 하는지를 알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본 연구자는 연주에서의 긴장심리를 완화하기 위해서 먼저 연주의 주체가 되는 ‘인간’ 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그에 대한 이론적 배경으로 정신역동이론이라는 심리학의 한 분야에서 프로이트와 에릭슨의 핵심이론을 고찰하고 개인 역동심리의 형성과정을 살피면서 인간행동에 대한 이해를 구하고자 하였다. 연주에서의 긴장심리에 대한 배경을 살펴보고, 이것을 토대로 정신역동적인 방향에서 완화방안을 모색하였다. 개인적인 측면과 연주적인 측면에서 분석하거나 교정하므로 써, 긴장심리가 완화될 수 있도록 각기 네 단계로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개인 주요역동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첫째는 자신이 현재 어떤 감정 상태에 있는지를 자각하는 단계, 둘째는 성장기에서 겪었던 욕구충족과 욕구좌절을 고찰하는 단계, 셋째는 과거에 반응했던 양식이 현재의 상황에서 무의식중으로 나타나는 전이현상을 고찰하는 단계, 넷째는 현재의 자신을 이해하기 위해서 역동에 의한 개인을 진단하는 단계를 갖는다. 연주에서의 긴장심리를 분석하고 교정하는 과정에서는 첫째, 실제연주에서 발생하는 불안요소들을 세부적으로 파악한 후 긴장의 원인을 크게 연습부족과 연주상황불안으로 구분하여 분석하는 단계, 둘째는 자기분석을 바탕으로 긴장에 적절하게 대처하기 위한 목표를 설정하는 단계, 셋째는 습관화되어 자동적으로 떠오르게 되는 부정적인 생각을 교정할 수 있도록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단계, 넷째는 긴장심리로 인하여 굳어진 신체의 움직임을 교정하기 위해 신체이완을 돕는 자세를 익히는 단계를 갖는다. 이와 같은 분석과 교정은 자유연상일지라는 관찰일지를 작성하여 실행할 수 있도록 그에 대한 실제의 사례를 제시하였으며 또한, 긴장이 완화되므로 써 얻을 수 있는 연주의 효율성을 언급하였다. 정신역동이론으로 살펴보는 연주에서의 긴장심리는 부정적인 정서에서 오는 압박감에서 자유로워지게 하며 연주자가 가지고 있는 역량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한다. 이로 써 청중과 교감을 나눌 수 있는 연주의 기쁨을 누릴 수 있을 것이다. A certain subconscious motive is behind the various activities that constitute everyday life. Therefore, whatever the problem, the observed situation cannot provide a fundamental solution. It can only be provided by asking why such action was carried out. It appears that an overdose of anxiety during performance can only be overcome by asking "why?". In most cases, performers, anxious and nervous despite sufficient practice and being ready while giving a performance, do not have an adequate method to deal with such anxiety. This is because it is very difficult to know the sources of such feelings and the methods to deal with such nervousness in an apt matter. In this paper, it was thought necessary to understand the subject of the performance, ‘the human being’, to reduce anxiety during such anctions. In order to understand human behavior, from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psychodynamics, a field of psychology, the formation of an individual’s psycho-dynamism was studied with the core theses of Frued and Erikson on psychodynamics. By reviewing the background of anxiety during a performance, a method to reduce anxiety from a psychodynamic perspective was sought for. By analyzing and addressing the issue from an individual perspective and a performance perspective, four steps to reduce anxiety are identified below. There are four steps in analyzing the psychodynamics of an individual. First, the individual becomes aware of the emotional state he or she is in. Second, the individual considers the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of desires while reaching maturity. Third, the mode of reaction chosen in the past goes through a transference subconsciously to the present situation. Fourth, in order to understand himself, the individual diagnoses himself in a dynamical pattern. Analyzing the anxiety and addressing it during a performance goes through the following steps. First, after identifying specifically the non-constant factors that arise during a performance, the individual categorizes the factors as either being caused from insufficient practice on her part, or the unstable situation surrounding a performance. Second, on the basis of such self analysis, objectives are set to deal with anxiety adequately. Third, the negative feelings that automatically occur as a habit is corrected so positive feelings will replace them. Fourth, the individual learns how to reduce physical tension to address the physical symptoms, such as rigidity, caused by anxiety. In order to carry out such analysis and correction through writing a free-thought observation diary, an actual example was given. The efficiency gain by reducing anxiety during a performance was also mentioned. By understanding anxiety while performing from a psychodynamic perspective frees the performer from the pressure of negative feelings and allows her to put forth her full potential. This would make performing a truly happy endeavor, as she could share her emotions with the audience.

      •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음주문제에 미치는 영향 : -분노표현과 위험음주 수준, 생활스트레스의 매개효과와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향경 건신대학원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분노표현, 위험음주 수준, 생활 스트레스, 음주문제에 미치는 영향과 관계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또한 부모양 육태도가 음주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분노표현, 위험음주 수준, 생활스트레스 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에 대해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20년 8월 1일부터 2020년 9월 10일까지 서울, 대전, 광주, 부산, 인천에 거주하는 대학생 3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329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SPSS 25.0 프로그램으로 빈도분 석, T-test, ANOVA 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다. AMOS 22.0 프로그램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하였으며 경로분석을 통해 직접효 과와 간접효과로 분해하여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상호작용효과분석을 통해 조 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관계와 주 양육자에 따라 대학생이 경험 한 부모양육태도와 분노표현, 위험음주 수준, 생활스트레스, 자아존중감은 차 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위험음주 수준이 정상 음주군으로 조사된 대상자도 음주로 인한 문제를 경험하고 있으며 위험음주 수준이 높아질수록 직업 및 사회적 기능의 손상, 행동상의 문제, 가족 및 대인관계 손상 문제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는 음주문제에 대한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넷째, 부모양육태도와 음주 문제의 관계에서 분노표현, 위험음주 수준, 생활스트레스는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자아존중감은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음주 문제에 조절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자아존중감이 대학생의 음주문제를 예방하는 주요한 요인이 됨을 확인하였으며 부모양육태도가 심리사회적 보호요인으로 분노표 현, 위험음주 수준, 생활스트레스를 매개로 한 여러 경로를 통해 음주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완충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문제음주로 진단되지 않은 대학생들도 음주로 인해 직업 및 사회적 기능의 손상, 행동상 의 문제, 가족 및 대인관계의 손상과 같은 문제를 경험하고 있다는 점을 탐색 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가족의 형태가 다양해지고 자녀의 성장에 주 양 육자의 역할이 축소되고 그 역할을 다양한 사회적 영역에서 수행하고 있어 대 학생의 음주문제에 심리사회적 보호요인으로 부모양육태도에 대한 재평가가 필요하다. 음주에 허용적인 사회문화적인 배경으로 음주로 인한 문제를 경험 하고 있지만 문제음주로 진단되지 않은 경우가 많고 이는 음주에 대한 경각심 을 가지고 음주를 예방하는데 어려움으로 작용한다. 이에 음주를 보다 정확하 게 반영할 수 있는 측정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 그리스도의 지옥강하 연구

        김향경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독교 신조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은 오늘 우리가 고백하는 사도신경(Apostles' Creed)이다. 한국 교회가 사용하는 사도신경에는 “지옥에 내려가사”의 문구가 빠져있는데 서양 교회에서 사용하는 사도신경은 이 구절을 담고 있다. 한국 교회가 “지옥(음부)에 내려가사”의 문구를 삭제한 이유로 추론되는 것을 그 용어의 정의에서 찾을 수 있다. 지옥이라는 번역을 Hell이 아니라 Hades로 해야 한다. ‘지옥’은 죽은 자들이 가는 장소를 의미한다. 지옥이 지칭하는 곳은 히브리어로는 ‘스올’이며 헬라어로는 ‘하데스’를 가리키는 것으로 죽은 자들이 거하는 영역을 말한다. 신약성경에서는 형벌의 땅을 나타낼때는 ‘게헨나’를 사용한다. 게헨나는 악인이 형벌을 받는 땅을 의미하는데 이것이 곧 지옥이다. 즉 사도신경에 있는 지옥강하는 우리가 생각하는 Hell과는 아무 관련이 없는 것이다. 모든 죽은 자들의 음침한 곳으로서의 음부를 말한다. ‘지옥’이란 의미의 변화로 인하여 현대 신앙인들에게 혼란을 주기 때문에 삭제되었을 것으로 본다. 지옥강하에 관한 내용을 역사적으로 고찰해 보면 지옥강하 구절은 다른 구절들과 같이 초기부터 신경 속에 포함되지 않았었다. 이 구절은 본래 ‘고대 로마 신조’에는 없었으나 ‘아퀼리아의 신조’에 들어 있었다. 이그나티우스, 이레니우스, 터툴리안, 오리겐과같은 초대 교부들이 주장한 신앙규범에는 지옥강하의 내용이 들어 있지 않다. 중세 신학자들로 어거스틴과 토마스 아퀴나스는 동일하게 그리스도께서 지옥세계에 내려가심을 인정하므로 현재의 가톨릭 교회에서 주장하는 연옥설의 바탕을 이루고 있다. 개신교회의 전통의 뿌리가 되는 종교개혁자인 루터와 칼빈의 지옥강하의 이해는 매우 상이하다. 루터는 그리스도의 지옥강하를 그리스도의 죽음의 고통과 그리스도의 부활과 승천의 관점으로 해석한다. 반면 칼빈은 십자가상의 고난과 죽음이 극치로 땅에 묻힌 비하를 의미한다고 주장한다. 루터의 주장은 루터교의 지옥강하 이해의 근간을 이루었으며, 칼빈의 주장은 개혁교회의 바탕을 이루어 발전하게 되었다. 근대 시대의 찰스 핫지는 “지옥에 내려가사”는 죽으시고 장사되셨다는 말 다음에 나타나는 것을 보아서 죽으시기 전에 당하신 고통을 지옥강하로 볼 수 없다고 주장하면서 칼빈의 주장과 다른 입장을 취했다. 현대 개혁주의 신학자로 웨인 그루뎀도 핫지와 같은 내용을 주장하면서, 더 나아가 지옥강하교리가 성경에 분명한 언급이 없다는 점과 주요 교리가 아닐 뿐 아니라 신앙인들을 혼란스럽게 만든다는 이유로 사도신경에서 삭제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지옥강하의 내용을 문자적으로 이해한 로마 가톨릭과 루터교는 그리스도께서 지옥에 내려가셨음을 주장한다. 로마 가톨릭에서는 그리스도께서 연옥에 내려가심으로 그곳에 있던 이들을 천국에 이를 수 있도록 해주셨다고 주장하며 그들의 연옥교리를 정당화하는 것으로 이용하고 있다. 루터교도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 간의 교류의 방식으로 이해하는 내용을 지지하기 위하여 지옥강하의 교리를 정당화 하고 있다. 즉, 위격의 개념이 아닌 속성교통으로 신성과 인성을 보는 것을 지지하기 위한 해석에 불과하다고 볼 수 있다. 개혁교회는 하이델베르그 교리문답과 웨스트민스터 요리문답을 통해 지옥강하의 내용을 정리하여 비하의 깊은 단계로 죽음의 권세 아래에 3일간 계셨던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지옥강하 교리는 각기 다른 교회와 교파들이 자신들의 신학기반을 다지기 위함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삭제된 것으로 볼 수있다. 위의 내용들을 바탕으로 베드로전서 3장 18-19절은 그리스도께서 공간적인 의미로 지옥에 내려가셨다고 가르친 것이 아니라 성령으로 노아를 통해 말씀을 전파하셨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 시편16편 8-10절도 그리스도께서 그의 영으로 낙원에 계셨고 그의 몸으로는 무덤에 누워 계셨다. 즉 이 본문은 개혁주의 교회에서 주장하는 것과 같이 그의 죽으심과 부활 사이의 기간 동안 그는 죽음의 상태에 계셨다는 것을 강조한 본문이라 할 수 있다. 베드로전서 4장 6절도 개혁교회에서 주장하는 것과 같이 죽음으로 영원한 운명이 이미 결정된 사람들을 구원하기 위해 죽으신 것이 아니다. 죽은 이후에 사람의 운명은 더 이상 바꿀 수 없는 최종적인 것이다. 에베소서 4장 9절은 그리스도의 성육신을 뜻하는 것으로 그의 죽으심을 지칭하는 것으로 그가 무덤 속으로 내려가셔서 땅 속에 묻히신 것을 뜻한다. 본 논문은 지옥강하 교리의 의미를 공시적, 통시적으로 살펴봄으로 한국 개신교회가 “지옥에 내려가사” 구절을 삭제한 이유를 추론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지옥강하에 대한 성경의 난해한 구절들을 주해함으로써 개혁교회가 주장하는 올바른 해석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지옥강하를 문자적으로 가르치지 않고 그리스도께서 죽음의 권세아래 있었다는 것을 가리킨다고 주장하였다.

      • Effect of anastomotic method on neointimal hyperplasia in rabbit aorta

        김향경 울산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Purpose: Intimal hyperplasia (IH) is a major component of vascular remodeling and is responsible for graft occlusion following angioplasty, stenting, endarterectomy, and bypass procedures. Although end-to-end (ETE) anastomosis appears to have a biomechanical advantage over end-to-side (ETS) anastomosis, the clinical advantages of ETE anastomosis are not clear. We therefore compared the histomorphometric features of intimal remodeling after ETE and ETS anastomosis and investigated changes in allograft bypass artery, in a rabbit model. Materials and Method: Thirty-two bypass operations, 16 with ETS and 16 with ETE anastomosis, were performed using aortic grafts of donor rabbits (15 per group) and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grafts (1 per group). Vessels were harvested at 1 day (1 per group), 5 days (1 per group), and 4 weeks (14 per group, including the PTFE bypass) after surgery. The locations and sizes of intimal thickening and characteristics thereof at sites of anastomoses were studied in detail by hematoxylin-eosin and van Gieson staining. Cell proliferation in the neointima was assessed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and Western blot analysis. Results: In both groups, grafts 5 days after implantation demonstrated smooth muscle cell proliferation around the suture hole. Neointima in ETE anastomoses at 4 weeks were concentric in shape. After ETS anastomosis, a thick cellular layer containing abundant extracellular matrix material developed, mostly on the ventral surface of the graft. Mean intimal thickness (0.72±0.047mm vs. 0.88±0.048mm) and mean neointimal volume (0.21±0.039mm3 vs. 0.33±0.046mm3) were significantly smaller in ETE compared to ETS anastomosis (p<0.05), where medial volumes were similar (0.30±0.050mm3 vs. 0.30±0.034mm3). The PCNA indices of the intima and media were also significantly lower in the ETE than in the ETS anastomosis group (15.0±5.7% vs. 41.0±3.2%, P<0.05). Western blotting of the whole bypass graft showed a marked increase in TNF-α (203.15±5.29 vs. 494.49±6.11) and PCNA concentrations (152.66±7.37 vs. 175.53±4.36) in the ETS group. Conclusions: Cellular proliferation commenced at the suture hole soon after bypass. At 4 weeks, extensive development of neointima was evident at the ventral surface in ETS and circumferentially in ETE anastomoses. ETE anastomosis results were significantly better with respect to decreased intimal hyperplasia, and ETE therefore improve long-term graft patency.

      • 직장암의 괄약근 보존 술식에 따른 기능 장애 및 삶의 질에 대한 전향적 연구 : A Prospective Study on Functional Derangements and Quality of Life after Sphincter Saving Resection In Patients with Rectal Cancer

        김향경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Purpose: The primary objectives of the current study were to assess impact of different anastomosis level on defecatory, urinary and sexual function in addition to quality of life (QoL). We wanted to investigate relationship between physiologic test and functional changes after sphincter saving resection (SSR) and changes in QoL scores over time. Furthermore, we wanted to determine whether physiologic tests can be used as objective tools to evaluate patients… functional status and predict functional prognosis with. Methods: From November 2003 to October 2004, we recruited each 50 patients of curative anterior resection (AR), low anterior resection (LAR) and ultra-low anterior resection (LLAR) consecutively. Patients were followed up by standardized questionnaires and manometry at 3, 6 and12 months after operation and by transrectal ultrasonography (TUS) at 6 and 12 months. QoL was assessed by using the Medical Outcomes Study Short Form 36 Health status Questionnaires version 2 (SF-36). Results: Overall,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relevant to defecatory function between 3 groups. Defecatory function was improved over time in each group. In manometric findings, MRP, rectal capacity and rectal compliance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and improved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over time. Generally AR patients have better functional scores than other groups and showed relatively rapid improvement. Voiding and sexual functio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In patients younger than 60 years, there was tendency to improve over time in each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QoL scores between the groups and they also showed tendency of improvement over time. Conclusions: Bowel habit changes and manometric findings after SSR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AR, LAR and LLAR patients over time. Lower anastomosis level brought later functional adaptation. Functional adaptation period matched well with resumption of RAIR or increase of rectal capacity. Functional outcome had close relationship with QoL score and generalized QoL scores were different between groups and patients… QoL improved continuously in each group. Key words: sphincter-preserving, quality of life, rectal cancer, SF-36v2, manometry 목적: 본 연구를 통해 괄약근 보존 수술을 시행 받은 환자에서 문합부 위치에 따른 배변, 요, 성기능 변화와 삶의 질을 평가하고 기능적 변화와 생리학적 검사간의 연관성과 환자들의 시간에 따른 삶의 질 변화 양상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3.11월부터 2004.10까지 본원에서 전방절제술, 저위 전방절제술, 그리고 초저위 전방절제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각각 50명의 환자를 대상군에 포함시켰다. 환자들은 술 후 3, 6, 12개월에 설문지와 항문직장 내압검사를 시행하였고 6,12개월에 경직장 초음파를 시행하였다. 삶의 질은 SF-36을 통해 평가하였다. 결과: 배변기능은 각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각군에서 배변기능은 시간에 따라 유의하게 향상 되었다. 항문 직장 내압검사 값 중에서는 최대 휴지기 압력, 직장 항문 억제 반사, 직장 용적 그리고 직장 유순도가 각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시간에 따라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대체로 전방절제술 군은 다른 군에 비해 기능이 좋았으며 빠른 회복을 보였다. 반면, 요 및 성 기능은 각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60세 미만 환자에서는 시간에 따라 요 기능의 현저한 회복을 보였다. 삶의 질 수치에 있어서도 각 군 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으며 시간에 따라 향상되었다. 결론: 배변 기능과 항문직장 내압 검사 값은 각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문합부 위치가 낮은 군에서 기능적 회복이 늦었다. 기능적인 적응과 직장 항문 억제 반사 그리고 직장 용적의 증가는 시기적으로 유의한 연관이 있었으며 문합부 위치가 높을수록 기능적인 적응은 빨리 일어났다. 환자들의 기능적 결과는 환자들의 삶의 질 수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삶의 질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지속적으로 향상되는 양상을 보였다. 중심단어: 괄약근 보존 수술, 삶의 질, 직장암, SF-36v2, 항문직장 내압검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