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한진(Hanjin Kim),구지윤(Jiyoon Ku),박형동(Hyeong-Dong Park)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21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7
방음벽은 고속도로 및 철도변에서 발생하는 소음 공해 및 대기 공해를 차단해 주민 생활의 질을 높인다. 최근에는 단순한 공해 방지에 그치지 않고, 벽면 공간 활용을 위한 기술도 발전하고 있다. 최근 철도 및 도심지에서 설치된 방음벽 공간에 태양광 패널을 부착한 시공이 늘고 있고, 이는 추가적인 토지 사용 없이 태양광에너지를 생산하는 방법이다. 생활환경을 개선하는 방음벽의 역할과 재생 에너지 생산으로 전력 공급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어 태양광과 방음벽의 결합은 차세대 미래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설치된 방음벽을 실제로 태양광을 부착한 방음벽으로 변경 시 어느 정도의 발전량을 낼 수 있는지에 대해 분석해보았다. 군포시 전철 4호선 산본역 – 금정역 구간의 약 3km 고가 방음벽을 연구 대상지로 삼았다. 방음벽 구간을 디지타이징한 후, 각 구간별 방음벽 방향을 구분하여 그룹으로 나누었다. 공간정보를 분석할 수 있는 ArcGIS를 이용하여 인근 건물 높이 정보가 포함된 DSM(Digital Surface Model) 데이터로 고도 정보를 취득한 후, 고가 높이에 대해 인근 건물로 인한 음영 효과로 태양광 설치가 어려운 구간을 배제하였다. 음영의 영향이 적은 구간의 방음벽을 지정된 모델의 태양광 부착형 방음벽으로 교체할 경우, 각각의 방음벽 방향 별 발전량을 SAM(System Advisor Model)을 통해 계산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열차 선로를 비롯해 일반도로나 고속도로의 방음벽과 옹벽 등에 대한 발전 잠재량 산정의 참고 모델로서 의의가 있으며, 해당 연구를 대중교통 전력보충 및 전기차 충전소 운용 등에 적용할 수 있다. 기존의 공간과 신재생 에너지의 결합을 통해 정부의 ‘2050 탄소중립’ 선언과 ‘재생에너지 3020’ 보급 목표 달성을 가속화할 수 있다.
생체모방로봇 소프트웨어 검증 지원 다중 HILS 기반 로봇 테스트베드 설계 및 구현
김한진,김관혁,하범수,김주영,심성준,구지훈,김원태,Hanjin Kim,Kwanhyeok Kim,Beomsu Ha,Joo Young Kim,Sung Jun Shim,Jee Hoon Koo,Won-Tae Kim 한국정보처리학회 2024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컴퓨터 및 통신시스템 Vol.13 No.6
생체모방로봇은 조류나 곤충과 같은 생체의 특성을 모방하여 미래 전장에서 은밀한 감시와 정찰 작업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로봇들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새의 날갯짓이나 바퀴벌레의 움직임 등을 모방하는 기술이 중요하지만, 이를 지원하는 하드웨어 확보와 소프트웨어 개발 및 검증 과정의 복잡성으로 인해 어려움이 따른다. 본 논문에서는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M&S) 기술을 적용한 다중 HILS 기반 생체모방로봇 소프트웨어 검증 테스트베드를 설계하고 구현한 결과를 소개한다. 테스트베드를 사용함으로써 개발자들은 하드웨어 부재 문제를 극복하고, 미래 전장 시나리오를 시뮬레이션하며 소프트웨어 개발과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다중 HILS 기반 테스트베드는 테스트 대상 로봇 수의 증가에 따른 장치 간 연동 지연 문제를 경험할 수 있으며, 이는 시뮬레이션 결과의 신뢰도에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는 우선순위 기반 미들웨어인 data distribution service prority (DDSP)를 추가로 제안한다. DDSP는 기존 DDS 대비 1.95 ms의 평균 지연 감소 효과를 보이며, 테스트베드에서 요구되는 데이터 전송 품질을 보장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Biomimetic robots, which emulate characteristics of biological entities such as birds or insects, have the potential to offer a tactical advantage in surveillance and reconnaissance in future battlefields. To effectively utilize these robots, it is essential to develop technologies that emulate the wing flapping of birds or the movements of cockroaches. However, this effort is complicated by the challenges associated with securing the necessary hardware and the complexities involved in software development and validation processes. In this paper, we presents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multi-HILS based biomimic robot software validation testbed using modeling and simulation (M&S). By employing this testbed, developers can overcome the absence of hardware, simulate future battlefield scenarios, and conduct software development and testing. However, the multi-HILS based testbed may experience inter-device communication delays as the number of test robots increases, significantly affecting the reliability of simulation results. To address this issue, we propose the data distribution service priority (DDSP), a priority-based middleware. DDSP demonstrates an average delay reduction of 1.95 ms compared to the existing DDS, ensuring the required data transmission quality for the testbed.
수신된 전파신호의 자동 변조 인식을 위한 딥러닝 방법론
김한진,김혁진,제준호,김경섭,Kim, Hanjin,Kim, Hyeockjin,Je, Junho,Kim, Kyungsup 한국정보통신학회 2019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3 No.10
The automatic modulation recognition of a radio signal is a major task of an intelligent receiver, with various civilian and military application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recognize the modulation of radio sig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based on the deep neural network. We classify the modulation pattern of radio signal by using the LSTM model, which can catch the long-term pattern for the sequential data as the input data of the deep neural network. The amplitude and phase of the modulated signal, the in-phase carrier, and the quadrature-phase carrier are used as input data in the LSTM model. In order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learning method, we use a large dataset for training and test, including the ten types of modulation signal under various signal-to-noise ratios.
폐채석장 부지 활용을 위한 유휴 공간의 태양광 발전 잠재량 분석
김한진(Hanjin Kim),구지윤(Jiyoon Ku),박형동(Hyeong-Dong Park) 한국암반공학회 2021 터널과지하공간 Vol.31 No.6
서울 시내를 비롯한 국내 곳곳에 채굴이 종료된 다수의 폐채석장이 존재한다. 폐채석장은 낙석 등의 안전 문제와 공간 활용도 문제로 인해 항상 개발 대상 구역으로 거론되는데, 폐채석장 인근에 현재 국가적 지원을 받는 태양광 에너지 발전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사당 IC 인근 폐채석장 부지를 대상으로, 사면에 직접 부착하는 방식과 낙석 방지 시설에 부착하는 방식 등 두 가지 상황에 대해 각각 분석했다. 관련 안전 기준 및 사례가 없어 지형 정보와 적절한 가정을 통해 사면에 직접 설치하는 태양광 패널에 대한 발전 잠재량을 추산했다. ArcGIS로 나타낸 DEM(Digital Elevation Model) 등 지형 고도 정보로부터 실제 폐채석장 절개면 부위의 표면적을 Python 프로그래밍을 통해 연산하여 설치 가능한 패널 용량과 각도를 계산하였다. 또, 낙석 방지 시설에 태양광 조사 방향으로 태양광을 설치하는 상황을 가정하여 가상의 방지벽에서의 발전 잠재량을 분석해보았다. 두 가지 방식의 발전량 도출은 모두 재생에너지 발전량 분석 프로그램 SAM(System Advisor Model)을 통해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자원 생산이 끝난 폐채석장이 다시 한번 재생에너지 자원 생산지로 활용될 가능성을 보여준다. In this paper, the feasibility of generating solar power near an abandoned quarry is examined with the objectives of resolving the essential problems that quarries encounter, such as rockfalls and space usage issues. On an abandoned quarry site in Sadang, Seoul, Republic of Korea, two different PV installation methods were analyzed. The first is attaching PV directly on the quarry slope. Since there are no corresponding safety standards and precedents for installing solar panels directly on slopes, the power generation potential was calculated by using topographic data and reasonable assumptions. The surface area of cut slope section was extracted from the Digital Elevation Model(DEM) via ArcGIS and Python programming to calculate the tilt and power capacity of installable panels. The other approach is installing PV as a rockfall barrier, and the power generation potential was analyzed with the assumption that the panel is installed in the direction of facing solar irradiation. For the derivation of power generation, the renewable energy generation analysis program SAM(System Advisor Model) was used for both methods. According to the result, quarries that have terminated resource extraction and remain devastated have the potential to be transformed into renewable energy generation si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