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산주의(共産主義)에 있어서 민족문제논의(民族問題論議)에 관한 연구(硏究)

        김한식 ( Han Shik Kim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1977 국방연구 Vol.20 No.2

        The purposes of this article are as follows; first, to outline the meaning of the state in relation to the application of the proletarian dictatorship in the theortical aspect of communism; second, to review "socialism in one country" and "the right of national self-determination" as a process of rationalizing its nationalist movement in harmony with internationalism in communist theory in 20th century; third, to assess and analyze nationalist disposition applied to the formation of North Korean communism. And one of the assumption of this study is to see nation`s problem in the light of a nation state`s problem. Karl Marx and Friedrich Engels stated that the state, that is, a "executive committee" of the ruling class, is subordinated to the class and is a simple result of class struggles. This assertion has been based on the state theory in communism. Engels said in his book, "Socialism, utopian and scientific," that the state shall not be abolished but wither away in the coming classless world. However, a problem is that they did not manifest a definite time of the construction of a socialist society. This problem raises too many different and difficult questions about the proletarian dictatorship. The first document which Marx explained about the proletarian dictatorship was in "The Communist Manifesto." He wrote in it that the paroletariat will use its political supremacy to centralized means of production in the hands of the state, i.e., of the proletariat organized as a ruling class. The word proletarian dictatorship was expressed first in "Class Struggle in France." He pointed out that socialism is the declaration of the permanence of the revolution, the class dictatorship of the proletariat, as the necessary transitional state to the abolition of all class distinctions. In the letter which Marx wrote to his friend Joseph Wey-demeyer, he insisted that class struggle necessarily leads to the dictatorhip of the proletariat and this dictatorship itself is only a transition to the ultimate abolition of classes. All that Marx attempted to explain about the proletarian diclatorship was drawn from the situation of Paris Commune. But Paris Commune was not a proletarian diclatorship but an enlargement of a council of workers, a proletarian democracy. It was Lenin who believed that the proletarian dictatorship is an essential step to the construction of communist society. His claim was based on the theory which emphasized on the different meanings between "proletariat destroys the state" and "the state withers away." He explained this difference as a transitional state ruled by the proletarian dictatorship. After the Revolution of 1917, this theory of the proletarian dictatorship led to that of the proletarian dictatorship over the party, and then the dictatorship of the party over the Proletariat. This kind of change was necessitated by the demand that in any way the conflict between the theoretical aspect of internationalism and the pragmatic aspect of nationalism must be resolved. This kind of development of the harmony between internationalism and nationalism in Communism was advanced by Stalin`s "socialism in one country theory" and "assertion of national sef-determination." Stalin insisted that Marx, Engels and Lenin had failed to consider the state in the light of the situation under which socialism is victorious only in one country. Despite of Marx theory that the state wither away, in 1950`s the state should become stronger in order to playa vital role to meet ever increasing the dangers arising from "capital encirclement." "The theory of socialism in one country" made Soviet Union justified to control the world Communist movement. "The assertion of national self-determination" made the leaders of Soviet Union justified to decide whether the national movement was suppressing or suppressed, and if it was suppressed, she supported the national movement. Internationalism in communist theory has been transferred to a strong

      • KCI등재

        한국정치사상 연구를 위한 틀

        김한식(KIM HAN-SHIK)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04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3 No.1

        거의 불모지라고 할 수 있는 한국정치사상 연구가 도약의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우선 연구의 틀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관련해서 그동안 일부 연구의 대상과 방법에 관한 논의가 있었다. 이러한 성과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서양 근대적 학문방법론에만 매달리지 말고 우리의 상황에 맞는 접근방법을 찾아야 할 것이다. 우선 관련되는 인문분야의 업적을 계속 쌓고, 자료의 정리보완에 깊은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연구의 대상은, 인간관, 신관, 자연관에 함축된 정치적 상관관계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고고학, 역사, 언어, 민속 그리고 종교 등 여러 분야에 깊은 관심이 필요하면, 토템이나 신화 등에 관한 연구는 고대의 정치사상을 연구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한국정치학 연구방법론을 설정할 수 있는 기준으로 시간의 문제, 주체의 문제 그리고 상황과 사상의 관련성 문제를 들 수 있으며, 이러한 기준에 따라 여러 가지 연구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이 중에서 사상가를 중심으로 하는 연구방법과 시대사 중심의 연구방법 그리고 주된 사상 중심의 연구방법에 주목할 필요가 있는데, 이들 연구방법은 각각 장단점이 있으므로 연구대상의 성격에 따라 적절히 혼용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현대 서구중심의 사상의 흐름과 대비시켜 한국인의 자기 확인, 창의성의 제고, 자기발전의 동력제공이라는 정치사상의 바탕을 마련하는 지혜를 찾아야 할 것이다. 다양한 사고를 통해 자료의 부족에 따른 공백을 메우며 폭넓은 안목을 갖출 필요가 있다. 이러한 노력은 「한국 정치사상」 통권을 시도하는 하나의 길잡이가 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 KCI우수등재
      • 국제사회 새 쟁점으로서의 도덕성: 동티모르 독립의 경우를 중심으로

        김한식 ( Han Shik Kim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04 국방연구 Vol.47 No.1

        21세기에 들어 상식적으로는 이해될 수 없었던 동티모르의 독립은 전쟁의 정의(Jus ad Bellum)에 있어서나 전쟁수행상의 정의 (Jus in Bello) 기준에 있어서 하등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인도네시아의 강력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동티모르의 독립이 가능했던 가장 중요한 요인은 독립투쟁이 평화적 수단으로 추진되었고 인권보호 차원에서 강력한 국제적 지원이 있었기 때문이다. 국제사회에서 이러한 변화가 일어날 수 있었던 것은 탈냉전시대라는 시대성, 통신수단의 발달, NGO의 활동 그리고 대량살상무기의 확산과 깊은 연관이 있다. 인권을 해치는 국가에 대한 제3자의 간섭에 해한 검토와 테러의 성격에 대한 분석을 통해 국가의 절대권위에 대한 한계도 새롭게 부각된다. 또한 초강대국이 막강한 힘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약소국의 입김 역시 거세지고 있다는 사실이 주목된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변화는 국제사회에서 윤리, 도덕의 문제가 강조되기 시작했다는 사실이다. 동티모르 독립에 대한 검토를 통해 인간의 기본가치를 보호하고 인권유린을 방지하는 국제사회의 새로운 흐름이 감지된다. The struggle for the independence in East Timore can be justified in the point of the standard of both Jus ad Bellum and Jus in Bello. What is more attractive to us in studying this case is that how a small half island could gain the independence against the resistance of Indonesia, a strong power in Southeast Asia.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make the people of East Timore free from the control of Indonesia was closely related to their way of peaceful struggle, which made the people of the world regard it as a movement of keeping human rights based on humanitarianism, and support it strongly. They led the foreign policy of their own countries toward Indonesia to stay away from existing pursuit of their national interest and to stand up for the peaceful struggle. Such a movement resulted in reinforcing the resolutions of UN, which had supported the independence of East Timore These phenomena were made possible with the changes of environments such as the end of the cold age, the development of the means of communication, the active role of NGOs, and the proliferation of mass destructive weapon system like nuclear and chemical weapons which makes even small countries able to have counterattacks against the super powers. It seems that a new stream of humanitarianism and ethics would be more influential in the international affairs in the near future. This trend will also make smaller and weaker states able to do more important roles and at the same time super powers less influential in international relationships, even though a supper power like US leads international affairs mostly at her disposal.

      • KCI우수등재

        한국정치사상 연구 서설

        김한식(Kim Han-Shik) 한국정치학회 1999 한국정치학회보 Vol.33 No.2

        한국정치사상연구가 도약의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보편성의 관점에서보다 특수성의 관점에 유의하여야 할 것 같다. 그것은 한국인의 자기확인, 창의성의 제고, 자기발전의 동력제공이라는 정치사상의 바탕을 마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의 것에 대한 애정을 가지고, 서양 근대적 학문방법론에만 매달리지 않으면서, 관련되는 인문분야의 업적을 계속 쌓고, 동시에 자료의 정리보완에 갚은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 요청된다. 보다 포괄적이면서 다른 학문분야와 다양한 연관성을 가져야 할 한국정치사상연구의 대상문제는, 인간관 신관 자연관에 함축된 정치적 상관관계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고고학, 역사, 언어. 민속 그리고 종교 등 제분야에 깊은 관심이 필요하며, 토템이나 신화 등에 관한 연구는 고대의 정치사상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한국 정치사상 연구의 방법론은 연구대상이나 시대 상황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서양근대의 학문적 특징인 「과학」적 방법론에 지나치게 구애받을 필요는 없을 것이다. 한국정치사상 연구방법론을 설정할 수 있는 기준으로는 시간의 문제, 주체의 문제 그리고 상황과 사상의 관련성 문제를 들 수 있으며, 이러한 기준에 따라 여러 가지 연구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이 중에서 사상가 중심의 연구방법과 시대사 중심의 연구방법 그리고 주된 사상 중심의 연구방법에 주목할 필요가 있는데, 이들 연구방법은 각각 장단점이 있으므로 연구대상에 따라 적절히 혼용하는 지혜가 필요한 것 같다. 이러한 연구대상이나 연구방법을 살펴봄에 있어 현대의 대표적인 사상의 흐름과 연관시켜봄으로써 사고의 다양성을 기함으로 자료의 부족에 따른 공백을 채움은 물론, 한국정치사상연구의 보편성기여에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조 속에 포함된 서구근대성의 특징, 예컨대 우리의 경우와 역사배경을 달리하는 인본주의적인 면, 실증주의적 사고의 강한 영향 등은 그 적용에 있어서 유의되어야 할 것이다.

      • KCI우수등재

        조선조 유학 정치이념에 대한 재조명

        김한식(Kim Han-Shik) 한국정치학회 1996 한국정치학회보 Vol.29 No.3

        조선조 유학의 정치사상적 의미를 오늘의 시각에서 재평가해 보려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한 시대의 정치사상을 그 시대의 주된 사상 중심으로 살펴보려고 할 때 여러 가지 한계가 있겠으나 다음 몇 가지를 유의함으로써 이를 가능한 극복하려고 했다. 첫째, 조선조 유학을 그것이 전래된 그 시대적 입장에서 먼저 살피고 난 후, 이를 다시 오늘의 시각에서 재평가한다. 둘째, 유학을 종교라는 관점에서가 아니라 사상의 관점에 한정해서 살펴본다. 셋째, 다양한 관점의 문제의식을 지니기 위해 서로 다른 입장을 취하는 자료를 활용하도록 노력하되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을 다같이 함께 살펴보도록 한다. 넷째, 유학에 대한 부정적인 면은 주로 유학에 깊이 관여했던 이들의 언급을 중심으로 살펴보며, 이를 시대별로 나누어 그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시대상황과 사상과의 연계성에 주목하도록 노력하였다. 먼저 조선조 유학 곧 성리학이 정치이념으로 채택되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중국 송대의 성리학과 차이점을 알아보았다. 성리학이 지도층 중심의 통치윤리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사상이라는 점에서는 일치되지만 조선조의 경우에는 그것이 채택되는 과정상의 특이성 때문에 배타적인 성격, 토론문화가 억제된 점 그리고 실천적 개혁성을 띤 점 등에서 중국의 경우와 다른 면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특이성을 지닌 조선조 성리학은 오백년간이나 계속되면서 다음과 같은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을 보여 주었다. 긍정적인 면으로는 조선조 유학이 정의를 지향하는 문화인식을 가지게 했고, 인륜도덕을 숭상하는 기풍을 진작시켰으며, 논리적 사고력을 키우는데 보탬이 되었다는 점을 들 수 있었다. 자연과 인간이 조화를 이루는 자연관을 제공했고, 도덕성 있는 지도자를 배출하였으며 그만큼 교육에 관심을 가지도록 했고, 가문 중심의 공동체가 유지될 수 있는 구심력을 제공했다는 점 역시 빠뜨릴 수 없었다. 한편 유학에 대한 부정적 평가는 사상적인 측면에서라기보다는 당시 성리학 지배하의 정치현실에 대한 비판이 주를 이루었는데, 그것은 다음 몇 가지로 집약할 수 있었다. 즉, 맹목적 모방에 따르는 고루성, 명분을 내세우면서 공리공론에 빠짐으로 현실감각을 제대로 가지지 못한 점, 당쟁, 다른 사상에 대한 배타성, 모화의 사대사상과 폐쇄적인 국제관, 계층구조의 강화와 개성의 경시, 삶의 소극적인 태도, 그리고 노동경시로 인해 산업발전을 저해한 점 등이었다. 이러한 검토를 통하여 앞으로 유학이 한국의 미래를 위해 정치사상면에서 풀어야 할 과제로 네 가지를 제기하게 되었다. 첫째는 조선조 성리학은 한국인의 중국관에 대하여 분명한 설명이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한국인의 일본관이 중국관과 다른 이유가 성리학 사상을 통해 설명되어야 하며 이점은 오늘날 한국인의 강대국관과 약소국관에 대한 재평가와 관련하여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둘째는 조선조 성리학은 고루하고 형식적이며 권위주의 적이라는 인상을 씻어내고 진취적 기상을 품을 수 있는 미래지향적 시간관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는 민본이 아닌 민주시대에 부응되는 지도자론이 제시되어야 한다. 이 문제는 지도자의 인성과 관련하여 유학의 종래 입장에 대한 근본적인 재평가를 통해서만 가능할 것이다. 넷째는 한국인의 고유사상에 대한 유학의 영향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일이다. 진취척이고 활달했던 일부 고유사상에 대한 새로운 조명이 유학계 자체 내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만약 유학이 이 과제에 대한 해답을 주지 못한다면 한국인의 자존성에 대한 연구가 본격화될 때 유학은 그 설자리를 잃고 말지 모른다.

      • KCI우수등재

        行狀을 통해 본 율곡의 사상세계

        김한식(Kim Han-Shik) 한국정치학회 1997 한국정치학회보 Vol.30 No.4

        본 논문은 율곡에 관한 김장생의 행장을 통해, 시대사 중심의 연구방법과 주된사상 중심의 연구방법을 배경으로 하여 인물사 중심의 연구에 접근하는 방법을 시도하였다. 율곡의 행장의 내용은 당시 시대적 여건, 율곡의 가정환경, 그가 접했던 사상의 폭, 그리고 그의 건강상태 등 크게 네가지로 나누어 살펴 볼 수 있었다. 당시 시대적 여건의 가장 큰 특징은 당파의 싸움과 관련이 깊었으며, 율곡이 제시한 모든 정책건의가 당파문제와 관계가 있다. 행장에 나타난 율곡의 가정환경은 외가, 어머니, 부인, 서모 등 여성과의 관계가 특이했다는 점과 어려운 경제적 삶으로 집약될 수 있다. 율곡은 퇴계 등 주리학자나 화담 등 주기론자와 접촉했으며 불교에 심취한 적이 있었고 도가에도 관용적이었다. 율곡은 일찍부터 위병과 어지름증으로 시달렸고 이로 인해 현실 정치에서 벗어나 인생본연의 문제에 심취하려 했던 하나의 계기가 되었던 것 같다. 이러한 시대적 환경조건과 생애를 통해 율곡은 그의 사상세계에 다음 네가지 점에서 큰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첫째 개체에 대한 절대적 의미 보다는 사회내 개체간의 기능적 조화를 강조한다. 둘째 다양성, 관용성을 중요시 한다. 셋째 시비의 구분 보다는 인간내면의 성찰을 중시하고 타인의 아픔에 관심을 보인다. 네째 성리학의 울 속에서이긴 하나 누구보다 민본의 정치사상을 강조하는 점 등이다.

      • KCI등재

        경기지역 청동기시대 문화유형 재검토

        김한식(Kim Han-Shik) 중부고고학회 2003 고고학 Vol.2 No.1

        남한지방의 청동기시대 문화양상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 한강유역을 중심으로 하는 경기지역은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여 왔다. 일반적으로 서북한지방의 팽이형토기문화와 동북한지방의 공렬문토기문화가 중부지방으로 전파되고, 그 다음 단계에서 두 토기문화가 결합된 혼암리유형이 형성되어 남부지방으로 다시 전파되는 것으로 이해되었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들에서는 급증한 자료를 토대로 남한지방에서 확인되는 가락동유형 및 혼암리유형에 대한 재검토가 이루어졌고, 기존의 청동기문화의 변천과정에 대한 인식 틀은 재조정되어야 하는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연구경향에 비춰 본다면, 북한지방의 토기문화가 남한지방으로 전파되는 중간지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인식되는 경기지역 청동기문화에 대한 재검토는 필수적이라 하겠다. 또한 경기지역에서도 자료가 급증하여 조사된 청동기시대 주거유적이 23개소에 이르고 거기서 조사된 주거지도 150기가 넘어, 이에 대한 정리 역시 필요하다. 이에 대한 분석결과, 경기지역의 청동기시대 문화는 크게 ‘각목돌대문유형’, ‘혼암리유형’, ‘역삼동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고 ‘가력동유형’은 확인되지 않는다. 각 유형의 변천과정을 살펴보면, 청동기시대 이른 시기에는 어느 정도의 시차가 있겠지만 제유형이 공존하는 것으로 보이며, 그 다음단계에 이르러 대부분의 유형은 소멸되고 역삼동유형이 주를 이루다가, 그 다음단계에서 원형점토대유형과 접촉이 일어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In the study of Bronze Era cultural trends of Southern region. Kyeonnggi Province which located within Han River catchment takes large portion of the study. In general, until now people know that Pengyee-type Pottery assemblages of Northwestern region and Kongreol-type Pottery assemblages of Northeastern region had transferred to middle region and mixed and modified those two pottery assemblages(Heunamri Assemblage) had moved to southem region in the next step. However, in the recent studies, hased on the evidences, reconsideration has been taken on Garakdong Assemblages and Heunamri Assemblages recovered in the south Korea and there was a proposed objection on existed theory of changing process of Bronze Era in Korea. From those study trends,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studies of assemblages in Kyeonggi Province which taking roles of transferring the assemblages between Northern region and Southern region. Also the evidences found in this region has been increased upto 23(Settlement Site) and 150(Dwelling) and there are rearrangement needed on these newly recovered evidences.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se facts, the Bronze Era of Kyeonggi province can be distinguished into Kangmokdoldaemoon-type pottery Assemblages. Heunamri Assemblages and Yeoksamdong Assemblages. Therefore, Garakdong Assemblages are not existed in this region. When we have look at changing process of each assemblages, there might be time differences in the first stage, it seems each assemblages existed together and exterminated in the second stage except Yeoksamdong assemblages. After the second stage, there was a new entrance of Wonhyeongjeomtodea-type pottery Assemblages.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