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harles-Paul Landon의 「박물관 연보와 오늘날의 화파」와 ‘과거 프랑스 화파’의 미술사적 의의

        김한결(KIM Hangyul) 프랑스학회 2019 프랑스학연구 Vol.0 No.89

        혁명 이후 프랑스의 과거 미술에 대한 서술은 이전과 달리 이탈리아, 홀란드 등 외국 미술의 헤게모니에 맞서 자국의 화파를 재조명하고 가치롭게 하려는 의도를 드러낸다. 이는 미술관이라는 지식과 문화유산의 공유를 위한 새로운 공공의 장소의 탄생과 함께 등장한 소장품 도록을 통해 뚜렷이 관찰되는데, 더욱 객관적이고 설득력 있는 분류와 목록화의 필요성에서 주로 연유한다. 본 논문에서 분석한 Landon의 「박물관 연보와 오늘날의 화파」는 혁명 이후 프랑스 사회가 품고 있는 여러 역설적 상황에도 불구하고 새 시대의 미술을 격려하는 한편 과거 프랑스 화파의 일관되고 지속적인 예술 전통의 계보를 정립하여 이를 국가와 민족의 우수성을 대변하는 하나의 근거로 삼고자 했다. 이 과정에서 Landon은 프랑스 미술사에서 부재하다시피 했던 18세기 이전의 미술 전통을 대변하고 정당성을 부여하는 주체로서 ‘과거 프랑스 화파’École française ancienne을 정의하고 이를 작품 설명과 비평을 통해 설파하였다. 이 러한 관점에서 이 책을 분석하여 19세기 초 프랑스의 과거 미술 서술의 특징을 정리하고 과거 자국 미술에 대한 인식이 자리 잡은 정황을 파악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Au premier XIXe siècle en France, les idéaux révolutionnaires et d’un nationalisme s’immiscèrent en matières d’art et de critique artistique. À part l’exposition inédite des oeuvres d’art anciennes grâce à l’espace nouvellement créé sous le nom de “musée”, les catalogues s’opèrent comme un support visuel supplémentaire s’adressant à distance à un public plus large. Parmi les publications contemporaines, les Annales du musée et de l’école moderne des beaux-arts de Charles-Paul Landon sont remarquables pour leur accessibilité et l’analyse riche des oeuvres qui contribue à la mise en valeur de l’École française ancienne. Dans les volumes nommés l’“École française ancienne”, à côté de l’encouragement sans réserve de l’“école moderne des beaux-arts” dont dépendra l’avenir de la jeune France, se trouve l’éloge des maîtres anciens français. En reconnaissant chez ces derniers un mérite artistique sûr et une tradition continue, le catalogue de Landon ouvrit un spectre de goût plus divers quant à l’esthétique de l’art ancien. Aussi observons-nous ici une nouvelle définition du terme d’“école”: plus qu’un rassemblement d’artistes appartenant à une même nation, à un même atelier, ou pratiquant un style similaire, celui-ci incarne désormais l’image d’une généalogie, filialité sanguine de père à fils. Cette idée de parenté renforce un discours national dans l’histoire de l’art, qui privilègie la continuité et l’entité culturels et participe à la fabrique d’une identité nationale. À travers l’expérience visuelle et intelligente de l’art ancien offerte par Landon et ses contemporains, l’École française est interprétée, non sans difficultés et paradoxes, comme emblème de l’excellence universelle de la France.

      • KCI등재

        인간과 비인간, 예술가와 피조물의 사이: 18세기 프랑스 미술과 피그말리온 신화

        김한결(Kim, Hangyul) 서양미술사학회 2021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Vol.55 No.-

        피그말리온 신화는 고대 그리스·로마로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문학·예술 작품에게 마르지 않는 영감을 제공했다. 자신의 피조물에 대한 조각가 피그말리온의 사랑은 미술의 역사에서 조각, 또는 예술창작의 기원을 설명하는 설화로 즐겨 인용되었으나, 18세기 ‘계몽주의’ 프랑스에서 이는 전에 없는 대중적 유행을 맞으며 예술가들의 예술과 인간성에 대한 철학적 고찰을 담아내는 중요한 소재로 재조명되었다. 본고는 섭정 시기 귀족적 회화의 영향 아래 나타난 라우나 르무안의 우아한 화폭을 비롯한 여러 사례들 가운데 피그말리온이 겪은 ‘사랑의 기적’ 안에서 신의 역할과 그 비중을 훑어본다. 한편, 18세기 중반에 발표된 부로-델랑드와 루소의 작품은 각각 피그말리온 신화의 재현에 유의미한 전환점이 되었다. 이들 텍스트가 대표하는 지적 흐름을 전제로, ‘접촉’이라는 주제를 통해 팔코네의 피그말리온 군상(1763)과 이에 따른 디드로의 살롱 비평을 분석하고자 한다. 나아가 이때부터 심화되는 예술가의 창조적 자아와 피조물의 대상성, 그리고 인간성의 경계에 관한 탐색이 마침내 1770-1780년대 라그르네나 레뇨 등의 화폭에 나타난 피그말리온 도상에서 어떻게 구체적으로 형상화되었는지 살필 것이다. 본고는 이로써 18세기 “계몽의 피그말리온”이 예술의 기원에 대한 향수를 상기하고 조각의 우월성을 정당화하는 단순한 신화의 재해석에 그치지 않았다는 점을 밝히고자 한다. 요컨대, 피그말리온 신화는 로코코시대 유행한 사랑이라는 모티브의 연장 이상으로, 예술을 매개로 한 시대의 인간에 관한 더욱 깊은 고찰을 내포하고 있음을 설명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표이다. The myth of Pygmalion has provided an inexhaustible source for many artistic and literary creations of all time. If the Cypriot sculptor"s love for his creation has been a leitmotif in explaining the origin of sculpture in the history of art, it has known considerable success as a recipient of ‘philosophical’ reflections of artists on art and the human being in the France of the Enlightenment. In this light, this essay begins by observing the changing role of divinities in this miracle in the first appearances of Pygmalion in the Eighteenth-century French art. However, the works of Boureau-Deslandes and Rousseau, or the criticism of Diderot in the middle of the century mark a significant turning point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myth according to which it is useful to analyze a particular intellectual current: the boundaries between human/inhuman and artist/object stand out through the theme of ‘contact.’ From Raoux, Lemoyne to Lagrenée and Regnault, this essay will conclude its observation with an attempt to assert that the ‘Pygmalion of the Enlightenment,’ not only a simple ‘amorous’ reinterpretation of a mythical anecdote, shows a series of serious reflections on the humanity of the time through art.

      • KCI등재

        글로 쓴 역사, 그려진 역사 - 베르나르 드 몽포콩의 『프랑스 왕국의 유물』에 관하여 -

        김한결(Hangyul KIM) 한국프랑스사학회 2021 프랑스사연구 Vol.- No.44

        역사학 안에서 텍스트와 이미지의 관계 맺음의 역사는 어디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이것이 본격적인 체계와 형태를 갖추게 되는 것은 언제부터일까? 베르나르 드 몽포콩 신부의 『시간의 풍파가 비껴간 각 시대의 유물의 그림을 곁들인, 프랑스의 역사를 담은 프랑스 왕국의 유물』(1729-1733)은 이러한 문제의식 앞에서 진지하게 검토해볼만한 저술 중 하나다. 본래 문헌학자이자 고대사 전문가로 알려졌던 몽포콩은 이 책을 통해 프랑스의 역대 왕들의 치세를 최대한 고르고 객관적인 방식으로 서술하고자 했으며, 각 시대의 유물, 유적, 예술작품의 이미지를 삽화로 실어 그 특성을 설명하고 근거를 제시하고자 했다. 이는 역사서술을 뒷받침하는 유물과 유적의 사료로서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더욱 종합적인 프랑스 왕조의 연대기를 쓰는 데 의미 있는 전환점이 되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관점에서 몽포콩의 저작을 개괄하고, 삽화에 대한 저자의 인식과 그 사용 방식을 중점적으로 논한다. 이어서 그 직접적인 영향 하에 있는 이후의 역사 저술을 살펴봄으로써 이것이 프랑스 역사학의 계보뿐만 아니라 관련 학문의 역사에서 갖는 의미를 되새기고자 한다. When was the link between text and image in history invented? And since when has it taken a modern and systematic form? Les Monumens de la Monarchie françoise, aves les figures de chaque règne questioned l’injure des terms a épargnées by Dom Bernard de Montfaucon is among the colossal works which invite a deep analysis of such a problematic. Philologist and historian of Antiquity, Montfaucon sought to write the history of each reign of the kingdom in a more neutral and balanced way. In doing so, he uses illustrations of monuments and objects from the past to explain the characteristic of the eras and to support his text. This attempt marked a decisive turning point in the use of monuments as witness of history and contributed to the more synthetic writing of chronology. With this in mind, we have reported on the work in question around the use of illustration. Then, in order to reflect on his unique place in the history of history in France and in the development of neighboring sciences, we scrutinized his imprint on his successors.

      • KCI우수등재

        분류하고 저장하고 기억하기 : 프랑스혁명과 아카이브

        김민철(Kim, Minchul),김한결(Kim, Hangyul) 역사학회 2020 역사학보 Vol.0 No.245

        Since the days of historical positivism that had allegedly regarded the archives as the storehouse of neutral facts had passed, the “linguistic turn” of the 1960-70s has given rise to the view that the “guardians of records” have in fact exerted huge influence on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issues and borders in historiography. Even as the archives have been established as a crucial part in the standardized pattern of the production of history, viz. record-memory-past-narrative, sources are at the same time being regarded less as an objective guide than as a prism that distorts the course of projection of historical “things” onto the present. However, if one insists on the subjectivity of the archives alone, it becomes impossible to escape from the Möbius loop of extreme relativism, skepticism, and infinity of interpretations. This article, taking “inventory” as the keyword, attempts a foray into this predicament. From the birth of the National Archives of France to the French revolutionaries’ discussion on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artifacts and specimen for national museums, this article studies exemplary cases of the archival experiments of the 1790s, in which we find that numerous endeavors were made to classify and conserve the heritage of the past as the property of the “nation,” alongside the infamous vandalism that appeared as a means of “forgetting” the Old Reg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