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후보자의 유권자 정보수요에 대한 연구 : 2014년 동시지방선거를 중심으로

        김학량(Kim Hak Ryang)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5 인문사회과학연구 Vol.49 No.-

        본 연구의 목적은 2014년 동시지방선거에 출마한 예비후보자들이 효율적인 선거운동을 위해 어떤 유권자 정보가 중요하다고 생각했는지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예비후보자 설문조사에 근거하고 있다. 연구 결과는 예비후보자들의 70%가 유권자의 휴대폰번호를 가장 중요한 정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논리적 추론에 근거하여 설정된 가설과는 달리 전자우편 주소 대신 집주소를 두 번째로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선거의 규모, 선거구의 도시화 정도, 예비후보자의 지역구와의 연고 정도에 따라 예비후보자가 휴대폰번호를 더욱 더 중요하다고 생각할 것이라는 가설은 입증되지 않았거나 일부만 입증되었다. 가설과는 달리 선거구 규모가 상대적으로 큰 선거구와 도시화 정도가 크게 진전된 선거구에 출마된 예비후보자가 휴대폰번호를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다만 선거구와 연고가 깊은 선거구에 출마한 예비후보자일수록 휴대폰번호를 더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것만 입증되었다. 그 외의 유권자 정보에 대해서도 선거구 규모가 클수록, 도시화가 더 많이 진행될수록, 지역구와의 연고가 깊을수록 전자우편, 집주소, 집전화번호의 순으로 예비후보자가 유권자 정보를 중요하게 생각할 것이라고 가설 설정을 했으나, 분석결과 집주소, 집전화번호, 전자우편주소 순이거나 집주소, 전자우편주소, 집전화번호의 순이어서 가설이 입증되지 못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at kind of information about voters was thought most important by the preliminary candidates of the 2014 local election. It is based on mainly a survey against the preliminary candidates that elec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s that around 70% of the candidates perceived cell phone numbers as being the most important. However, contrary to the established hypothesis, the residence address, instead of the e-mail address, was considered 2nd most critical. Factors such as the size of the precinct of the election, the extent of urbanization, and degree of personal connections between the candidate and the region, all had a correlation with the demand for cell phone numbers. However, the hypothesis was only partially confirmed. Contrary to the hypothesis, a larger electoral precinct size or further urbanization did not necessarily indicate a higher demand for cell phone numbers. However, in cases where the candidate had prior connections with the region, the candidates did in fact value cell phones highly. A hypothesis was established that the size of an electoral precinct, the extent of urbanization, and prior connections with the region would positively correlate with an increase in demand for E-mail addresses, residence addresses, and residence phone numbers, respectively. However, the study revealed that the order of preference was residence address, residence phone number, and E-mail or residence address, E-mail address, and residence phone number, thereby failing to prove the hypothesis.

      • KCI등재

        한국 유권자의 후보자 접촉경로에 대한 연구

        김학량(Kim Hak Ryang)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8 인문사회과학연구 Vol.59 No.1

        본 연구는 표본 1,000개의 19세 이상 전 국민 대상 전화여론조사에 근거하고, 로지스틱회귀분석과 교차분석을 사용하여 한국의 유권자 전체와 정치성향, 연령대별, 성별, 학력별, 거주지별 유권자가 전통적 접촉경로와 온라인 접촉경로 중 무엇을 통해 선거에 출마한 후보자와 더 빈번히 접촉하는 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한국유권자 과반수이상인 57.8%가 후보자홍보물, 집전화/휴대폰통화, 길거리연설/만남 등의 “전통적 접촉경로”를 통해 후보자를 접촉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25.6%만이 이메일/페이스북/트위터와 휴대폰문자/카카오톡 등과 같은 “온라인 접촉경로”를 통해 접촉한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사용량이 가장 많은 19세/20대만이 그 외의 연령대보다 약 2배 만큼 전통적 경로보다 온라인 경로를 통해 후보자와 접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외활동을 상대적으로 더 많이 하는 남성유권자가 여성유권자보다 1.42배 만큼 온라인 경로보다 전통적 경로를 통해 후보자와 접촉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온라인 사용이 그 외의 학력보다 상대적으로 덜 능숙한 고졸 유권자만이 대졸과 대학원졸 유권자들보다 2.42배 만큼 온라인 경로보다 전통적 경로를 통해 후보자와 접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사용에 덜 능숙한 도농복합지역 유권자만이 그 외의 지역 유권자들보다 2.94배 만큼 온라인 경로보다 전통적 경로를 통해 후보자와 접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권자의 정치성향과 후보자 접촉경로와는 유의한 인과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s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political orientation, age group, gender, residence, and level of education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voters’ candidate contact channel as the dependent variable. For this study, a telephone survey of Korean adults was conducted. The total sample of the survey is 1,000 which was proportionally extracted by gender, age, and region. The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to verify research problems are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the cross-tabulations. The results show that 57.8% of the Korean voters contacted with candidates through the traditional contact channel including candidate’s promotional materials, home or cellular phone call, and street speech/meeting, while only 25.6% did the online contact channel including email/Facebook/Twitter and mobile text/Kakaotalk. 20s, sex, high school graduates and urban/rural complex dwellers have a significant causal relationship with voters’ candidate contact channel. Voters in 20s are about 2 times more likely than those over 30s in the use of the online channel. Male voters are 1.42 times more likely than female voters in the use of the traditional channel. High school graduates are about 2.42 times more likely than college graduates in the use of the traditional channel. Urban/rural complex dwellers are about 2.94 times more likely than other area dwellers in the use of the traditional channel.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voter’s political orientation and voters’ candidate contact channel.

      • KCI등재

        한국인의 인터넷 댓글을 통한 정치참여에 대한 연구

        김학량(Kim Hak Ryang)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6 인문사회과학연구 Vol.52 No.-

        본 연구는 정치성향과 연령대별, 성별, 거주지별, 학력별 차이가 인터넷과 SNS등의 발달로 나타난 댓글을 통한 정치참여와 어떠한 인과관계가 있는 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성별, 연령별, 지역별 비례할당을 통해 추출된 표본 1,000개의 전화여론조사에 근거하고 있으며, 가설 검증을 위해 로지스틱회귀분석과 교차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한국국민의 32.5% 정도만이 댓글을 통한 정치참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치성향별 분석에서는 보수성향과 진보성향 국민 모두 댓글을 통한 정치참여와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수성향의 국민은 기타성향의 국민보다 2.95배, 진보성향의 국민은 2.17배 더 많이 댓글을 통해 정치참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 분석에서는 20대만이 댓글을 통한 정치 참여와 유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타 연령대보다 2.43배 이상 댓글을 통한 정치참여를 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성별 분석에서는 남성과 여성 사이에 댓글을 통한 정치참여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지별 분석에서는 도시지역거주자만이 댓글을 통한 정치참여와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타지역거주자보다 0.42배 만큼 댓글을 통한 정치참여를 할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별로는 대학원졸업자만이 댓글을 통한 정치참여와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등학교졸업자나 대학교졸업자보다 1.91배 댓글을 통한 정치참여를 많이 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s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on the one hand, Koreans’ political orientation, age group, gender, residence, and level of education, and on the other their political participation as registered through the internet comments that have appeared with development of internet tools such as social networking services (SNS). For this study, a telephone survey of Korean adults was conducted in 2015. The total sample of the survey was 1,000, proportionally extracted by gender, age, and region. The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for hypothesis verification in this study wer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cross-tabulations. The results show that only 32.5% of Korean people participate in politics through internet comments. In the analysis of political orientation, people with either conservative or progressive tendencies both turn out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political participation through internet comments. Koreans with conservative tendencies are 2.95 times more likely to use internet comments, while people with liberal tendencies are 2.17 times more likely. By age group, only individuals in their 20s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political participation through internet comments (2.43 times more likely than other age groups).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difference between gender and political participation through internet comments. By residence, only urban residents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political participation through internet comments. They are 0.42 times less likely than other area residents. In the analysis of academic background only the graduate school graduates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relationship with the political participation through internet comments. They are 1.91 times more likely than high school or college graduates.

      • KCI등재

        빅데이터를 활용한 선거운동에 대한 한국 유권자들의 반응 연구

        김학량(Kim, Hak-ryang)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7 인문사회과학연구 Vol.56 No.-

        This study analyzes how Korean voters think about candidates through information or opinions they left on SNS. For this study, a telephone survey of Korean adults was conducted in 2015. The total sample of the survey of 1,000 was proportionally extracted by gender, age, and region. The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for hypothesis verification in this study ar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cross-tabulations. The results show that 56.5% of Korean voters do not agree that candidates use the information or opinions they left on SNS. It means that election campaigns based on big data may not yet be possible. In the analysis by age group, only people in their 20s and 30s turn out to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candidates using their information on SNS. Since people in their 30s have a higher rate of practical use of SNS than those in their 20s, they agree candidates use their information or opinions they left on SNS more than individuals in their 20s. In the analysis by residence, both urban and rural residents turn out to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candidates using their information on SNS. Since rural residents have a higher rate of the practical use of SNS than urbanites, they agree candidates use their information or opinions they left on SNS more than urban residents. In the analysis of political orientation, sex and education, they all turn out to have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candidates using their information on SNS. 본 연구는 한국유권자들이 자신이 인터넷 뉴스, 카카오톡, 페이스북 등에 남긴 댓글 등을 후보자가 선거운동에 활용하는 것에 대해 한국유권자 전체와 정치성향별, 연령대별, 성별, 거주지별, 학력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 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성별, 연령별, 지역별 비례할당을 통해 추출된 표본 1,000개의 전화여론조사에 근거하고 있으며, 가설검증을 위해 로지스틱회귀분석과 교차분석을 사용하였다. 한국유권자의 과반수이상인 56.5%는 자신들이 SNS 등에 남긴 댓글 등을 후 보자가 활용하는 것에 동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아직은 빅데이터를 활용한 선거운동이 제도화되기 어렵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연령대에서는 20대와 30대만이 후보자가 자신의 정보 활용 동의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습관적 사용자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20대보다 SNS 등을 적게 사용하지만 실용적 사용자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30대가 자신의 정보 활용에 동의하는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 지역에서는 도시거주자와 농어촌거주자가 자신의 정보 활용 동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호간의 동질성때문에 소통을 많이 하여 실용적 사용자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농어촌거주자가 도시거주자보다 자신의 정보 활용에 동의하는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치성향, 성, 학력은 후보자가 선거운동에 자신의 정보 활용 동의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지역가구소득불평등도와 가구부채의 인과관계에 대한 고찰

        신현중(Hyeon-Joong Shin),김학량(Hak Ryang Kim),김기찬(Ki Chan Kim) 한국정책과학학회 2014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18 No.4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지역소득불평등도의 차이가 저소득층 및 중산층의 소비만족을 유지시키기 위한 가구부채를 유도하는가에 대해 대전광역시의 다섯 개 지역구를 대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소득불평등 심화와 가구부채와의 인과관계 여부에 대한 논쟁은 주로 미국을 분석 대상으로 전개되고 있는데, 주요 핵심 논쟁은 소득불평등 심화가 저소득층과 중산층의 소비만족을 위한 가구부채 증가를 초래하느냐의 여부에 대한 것이다. 한편, 국가가 아닌 하위 단위인 미국의 주 또는 카운티 수준에서의 연구에서는 지역소득불평등도가 심한 지역이 그렇지 않은 지역에 비해 저소득층과 중산층의 소비를 위한 가구부채가 증가한다는 주장과 이러한 현상은 일어나지 않으며, 오히려 지역소득불평등도가 심한 지역에서는 고소득층의 가구부채가 더 증가한다는 주장으로 나누어진다. 후자가 발생하는 이유는 고소득층이 소득을 신용으로 삼아 금융기관으로부터 쉽게 대출을 받아 재테크 투자를 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소득불평등도와 소비만족을 위한 저소득층과 중산층의 가구부채 여부 및 고소득층의 재테크 투자를 위한 가구부채 여부는 서로 연관성이 거의 없음을 발견하였다. 한편, 생활비 부족에 따른 가구부채 발생 여부는 소득계층에 따라 다른데, 중산층이 이에 대한 가구부채 비중이 가장 컸다. 대전광역시에서는 모든 소득계층에서 주택 임차 및 구입 그리고 교육비가 가구부채를 발생시키는 주요 원인인데, 특히 본 연구에서는 중산층이 이에 대한 부담이 가장 커서 이로 인한 생활비 부족을 충당하기 위해 가구부채가 발생한다는 개연성을 발견하였다. The objective of the research is to observe whether regional income inequality leads household debt in low and middle income classes. The logic is based on several reasons as follows. The rise of income inequality is attributed to the decrease of income in low and middle classes and they get into debt for their keeping consumption level. The decrease of households’ income is not a perfect linear relationship with their reduction of consumption. That is, the degree of income inequality does not correspond that of consumption inequality. This study examines this theoretical view with the comparison of five regional areas in Daejon city. The research does not find the casuality between two factors. However, this study discloses that a middle class falls into debt for consumption rather than others. Although households in any class get in debt for house purchasing/renting and the education of their children, the middle class has burden these items more heavily than other ones and highly tends to fall in debt for keeping consumption le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