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平家物語」의「やさしき人」와「ゆゆしき人」

        김평강(金平江) 한국일본어학회 2011 日本語學硏究 Vol.0 No.31

        ‘부끄럽다’ ‘불길하다’ 등의 의미를 나타내며 감정형용사로 사용되던 형용사「やさし」「ゆゆし」는 중세시대에 들어 속성형용사로 변하여 『平家物語』속에서는 사람을 칭찬하는 말로 사용되었다. 본고는『平家物語』에 사용된「やさし」와「ゆゆし」의 의미를 명확히 해, 이들 형용사가 사람의 어떠한 점을 칭찬할 경우 사용되었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이때 종래의 해석적 방법에 의거하지 않고 <주체> <대상><근거>의 문의 구조적인 측면을 고려 하고자 하는데 구조적인 측면의 고찰이 이들 형용사가 지니는 의미 변화를 명확히 하여 이후의 통시적 의미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이다. 고찰의 결과『平家物語』속의「やさし」는 이별, 죽음, 파멸, 전쟁 등과 같은 극한적인 상황에 수반된 감상을 詩歌 등으로 표현하거나, 이러한 절박한 상황을 두려워하지 않는 행동, 언행 등으로 주위 사람들에게「身も?せるような感情を感じさせる」한 감정을 느끼게 한 <대상>을 칭찬하는 경우 사용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형용사「ゆゆし」는『源氏物語』에서의 중핵적인 의미인 <死>로부터 탈피하여 의지가 강건하고 도리에 밝은 사람, 용력이 대단한 사람(것), 지위나 신분에 걸맞은 위용과 행동 혹은 마음가짐을 가진 사람(것)을 칭찬하는 데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補注의 설명과는 달리 형용사「やさし」와「ゆゆし」 사이에는 <주체>와 <대상> 사이에 지위나 신분의 차가 존재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칭찬의 <근거>면에 있어서도「やさし」는 詩歌나 용감한 행동이,「ゆゆし」는 지위에 맞는 용기 있는 행동이나 마음가짐을 가진 것을 칭찬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일본어 부정의 명사술어문에 관한 사적고찰

        김평강(金平江) 한국일본어학회 2015 日本語學硏究 Vol.0 No.46

        This paper is a study of the history of Japanese negative predicative noun sentences in Manyoshu, “Genji’s story”, Gakuichi-version, “Heikei’s story” and Amakusa-version “Heike’s story”. It investigates cases involving the emphasis postpositions (or kakari joshi) wa and mo from the synchronic and diachronic points of view. The representative forms of negative predicative noun sentences in Manyoshu are ni+Ø+arazu and ni+emphasis postposition+arazu. The representative forms of negative predicative noun sentences in “Genji’s story” are narazu and ni+emphasis postposition+arazu. The representative form of negative predicative noun sentences in Gakuichi-version Heikei’s story are narazu and ni+Ø+arazu. The representative form of negative predicative noun sentences in Amakusa-version Heike’s story is de+emphasis postposition+nai. The emphasis postpositions wa and mo were mostly used in positive expressions in Manyoshu. However, these postpositions appeared mainly in negative expressions from Genji’s story. The form of de+emphasis postposition+aru was used for positive expression. The de+emphasis postposition+nai construction was used for negative expressions in Amakusa-version Heike’s story. After Gakuichi-version Heikei’s story cases involving the emphasis postposition wa tended to increase whereas use of the emphasis postposition mo tended to decrease.

      • KCI등재

        日本語學,日本語敎育學 : 古典語の助動詞「けむ」の意味

        김평강 ( Pyung Gang Kim ) 한국일어일문학회 2006 日語日文學硏究 Vol.56 No.1

        「推量」というのは、不確實なことを推測したり、想像したりすることを指す言葉である。古代の日本語は現代語に比べて推量を表わす助動詞が發達していて、多樣性に富んでいた。その中でも、「む」はまだ實現していない事實について推量する(未來の推量)、「らむ」は現に起こっているが、直接には體驗していない事實やその原因について推量する(現在の推量)、「けむ」は旣に終っている事實、または、その原因について推量する(過去の推量)と言われている。このように一見明確な使い分け(時制)があったと說明されてきた「む」「らむ」「けむ」は、實際にはその使い分けが混亂している例があり、時を規準に「む」「らむ」「けむ」の使い方を理解すると說明できない例がある。 本稿はその中で助動詞「けむ」の意味について考えてみたものである。本稿では「けむ」の意味を推量の對象となる事柄の表わす時制と推量の性格といった二つの側面から調べてみた。考察の結果,「けむ」の用いられた文の中にはその時制が過去とは考えられない例があったり、「らむ」が用いられているが過去の事態である場合もあった。また、「けむ」によって表現される推量は話し手が事態の成立を不確かな事と思ったり、不明確な事と考えたりする時よりは、事態が確實に成立したと考えている場合が多い。そういうことから本稿は助動詞「けむ」の意味は過去推量ではなく、話し手の主觀的な確信を婉曲的に表現したもので、すでに成立したと思っている事態を、斷定を避けて婉曲的に表現する目的で使われた言葉であると判斷した。

      • KCI등재
      • KCI등재

        고전 일본어「つつ」에 관한 考察

        김평강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09 일본학연구 Vol.28 No.-

        The auxiliary word of「tsutsu」is usually used as written language in modern Japanese. It however was used as a colloquial form as well as written language in ancient Japanese. The article has studied the meaning of the classical language of「tsutsu」, focusing on the examples from classical literatures and commentaries. The classical language of「tsutsu」functioned as an auxiliary verb rather than an auxiliary word, and expressed emotion and impression when it was used to close a sentence. As an auxiliary word, it represented continuation, repetition, and parallelism, and thus its usage was different from other general auxiliary words. In addition, the study has looked into the meaning of verbs that connects to「tsutsu」through『Manyousyu』,『GenjiMonogatari』,『HekeiMonogatari』,and『Tsuredzurekusa』. In『Manyousyu』and『GenjiMonogatari』, which are the literary works of the Nara and Heian Periods when「tsutsu」played a role as everyday language, there were a number of cases wherein「tsutsu」connected to verbs that express human thought and emotion. We can also find many cases in which it connected to verbs that do not directly affect objects. This tendency was not found in『HekeiMonogatari』and『Tsuredzurekusa』, which were the works of the Kamakura period when「tsutsu」began to be used as written language. Hence, we could recognize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meaning of verbs and the conjunction of 「tsutsu」.

      • 역사내 안전을 위한 지능형 영상 감시 시스템 설계

        김평강 ( Pyeong-kang Kim ),박석천 ( Seok-cheon Park ),형헌 ( Hyeong-hun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 No.2

        도시철도는 대표적인 대중교통으로써, 하루에도 수백만명의 승객들이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도시철도를 이용하는 승객들의 안전이 보장되어야 하며, 안전한 서비스 제공 및 예방 노력이 제반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설치된 폐쇄회로 CCTV와 상황실은 넓은 구역내의 모든 위험상황을 감지하고 대응하기에 미흡하다. 따라서 이러한 영상감시의 미흡한 점을 보완하여 기설치된 CCTV를 통해 위험구역내 보행자를 자동으로 인지하여 큰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역사내 지능형 영상감시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 화재현장 보행자 인식을 통한 지능형 영상인식 시스템 설계

        김평강 ( Pyeong-kang Kim ),박석천 ( Seok-cheon Park ),형헌 ( Hyeong-hun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 No.2

        지능형 영상감시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가속화되면서, 화재감시에 대한 예방 및 경보시스템 또한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시스템은 화재에 대한 감시기능에만 국한되어 있어, 기능으로써의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본 논문에서는 화재와 보행자를 검출하여, 초기대응 및 화재원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보행자에 대한 안전을 최대한 보장할 수 있는 화재현장 보행자 인식을 통한 지능형 영상인식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 KCI등재

        『万葉集』의 「にあり」「にてあり」 구문에 관한 일고찰

        김평강 韓國外國語大學校 外國學綜合硏究센터 日本硏究所 2014 日本硏究 Vol.0 No.60

        There are 「TimeNoun+ni-ari」「PlaceNoun+ni-ari」「Condition'sNoun+ni-ari」& copular verb as「ni-ari」in Manyosyu. 「TimeNoun+ni-ari」can not be established for collocation for reasons of poor frequency of use and monotonous conjugated form.. 「PlaceNoun+ni-ari」「Condition'sNoun+ni-ari」are composed of case marker「ni」and substantive verb「ari」. Copular verb as「ni-ari」is composed of auxiliary verb「ni」and assistant verb「ari」. I will name 「Case marker ni-ari」to 「PlaceNoun+ni-ari」 「Condition'sNoun+ni-ari」, and name 「Auxiliary verb ni-ari」to copular verb as 「ni-ari」. 「Case marker ni-ari」& 「Auxiliary verb ni-ari」comparing by auxiliary verb 「Nari」in Manyosyu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ore using postpositional particle & auxiliary verb, the more tending to use a lot of 「Case marker ni-ari」& 「Auxiliary verb ni-ar i」. 2. Particularly when to use denial auxiliary verb, people tend to use a lot of 「Case marker ni-ari」 & 「Auxiliary verb ni-ari」. 3. When to use postpositional particle to stress, people tend to use a lot of 「Case marker ni-ari」 & 「Auxiliary verb ni-ari」. 4. When to use verb' form for modifing a noun, people tend to use a lot of 「Case marker ni-ari」 & 「Auxiliary verb ni-ar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